KR100404999B1 -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 Google Patents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999B1
KR100404999B1 KR10-2001-0077317A KR20010077317A KR100404999B1 KR 100404999 B1 KR100404999 B1 KR 100404999B1 KR 20010077317 A KR20010077317 A KR 20010077317A KR 100404999 B1 KR100404999 B1 KR 10040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mode
optical fiber
cor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974A (ko
Inventor
오경환
이원경
유재왕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1-007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9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47Dual mod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cousto-optical elements, e.g. using variable diffraction by sound or like mechanical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 Lasers (AREA)

Abstract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는, 광섬유의 코어에 있어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4∼1.15 또는 1.11∼1.12이며, 1300±30nm 및 1500±50nm 또는 C밴드 및 L밴드의 파장대역에서 장축과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의하면, 타원형 코어의 비대칭 구조로 인한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코어의 장축과 단축의 직경을 조절하면 광통신의 1300nm 대역과 1500nm 대역에서 작동하는 광대역 감쇄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Erbuim doped fiber amplifier)의 이득 대역 중 일반 대역인 C밴드와 장파장 대역인 L밴드에서 작동하는 광대역 감쇄기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Elliptical Core Two-mode Fiber and its application to Acousto-Optic Tunable Filter}
본 발명은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개의 파장 대역에서 모드 결합이 일어나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와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보통 흔히 사용되는 단일모드 광섬유는 하나의 공간모드만을 진행시킬 수 있으나 단일모드 광섬유에 차단(cut off) 파장보다 더 짧은 파장의 빛을 넣으면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공간모드를 진행시킬 수 있으며, 두 개의 공간모드를 진행시키는 광섬유를 이중모드 광섬유라 한다. LP모드(Linearly Polarized mode)에서 가장 낮은 차수의 모드를 LP01모드, 그 다음낮은 차수의 모드를 LP11모드라고 부른다.
이러한 이중 모드 광섬유소자의 파장 대역폭은 상기 두 결합되는 모드의 맥놀이 길이(beat length)의 분산에 의해 결정된다. 음향 광학 가변 필터(Acousto-Optic Tunable Filter; 이하 AOTF라 한다) 또는 장주기 필터(Long Period Grating Filter)는 이러한 이중모드 광섬유의 파장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AOTF 또는 장주기 필터의 위상 정합 조건(phase matching condition)에 의해 정규화 주파수(Nomalized Frequency, V)가 3인 광대역 감쇄기가 제작되고다.
여기서 정규화 주파수(normalized frequency)는 무차원(Dimensionless)로서, LP01모드와 LP11모드의 맥놀이 길이 분산이 최소가 되는 첫번째 정규화 주파수가 대략 3의 값을 가진다. LP11모드 이상고차 모드에 대해서는 모드에 따라 정규주파수가 3 이상의 수치에서 맥놀이 길이 분산이 최소화 되는 정규화 주파수가 나타난다.
AOFT를 이용한 광대역 감쇄기의 일 예로, 김병윤 등(B. Y. Kim, J. N. Blake, H. E. Engan, AND H. J. SHaw)에 의하여 1986년 기술논문 Optics Letter, vol . 11, 389쪽에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한 파장대역에서만 평탄한 감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이중모드 광섬유를 사용하되 두 개의 파장대역에서 작동할 수 있는 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및
도 3a 내지 4b는 도 1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는: 광섬유의 코어에 있어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4∼1.15이며, 1300±30nm 및 1500±50nm의 파장대역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는: 광섬유의 코어에 있어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1∼1.12이며, C밴드 및 L밴드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일 예에 따른 음향 광학 가변 필터는: 광섬유의 코어의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4∼1.15이며, 1300±30nm 및 1500±50nm의 파장대역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예에 따른 음향 광학 가변 필터는: 광섬유의 코어의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1∼1.12이며, C밴드 및 L밴드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각각의 예에서 맥놀이 길이가 200∼6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축과 단축 방향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파장 대역이 각각 광대역 결합할 수 있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음향 광학 가변 필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는, 광섬유의 코어(110)에 있어서 단축의 직경(b)에 대한 장축의 직경(a)의 비율이 1.1∼1.2이다. 이 때 광섬유는, 1300±30nm 및 1500±50nm의 파장대역에서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장축과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맥놀이 길이 분산이 최소가 되는 3 정도의 정규화 주파수 값을 가진다. 그리고, C밴드(1530∼1562nm) 및 L밴드(1574∼1605nm) 파장 대역에서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여 장축과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맥놀이 길이 분산이 작아서 3 정도의 정규화 주파수 값을 가진다. 여기서, 맥놀이 길이 분산이란, 각각의 파장 대역에서 모드 결합으로 나타나는 맥놀이 길이의 차이를 말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광섬유를 이용하는 음향 광학 가변 필터의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신호광을 전송하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100)와, 이 광섬유(100)에 탄성파를 여기시키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소자(200)를 구비한다. 이 때, 맥놀이 길이는 200∼600㎛이다. 따라서, 일정 주파수를 가지는 전기신호가 PZT(200)에 인가되면, 이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탄성파가 PZT(200)에서 발생하게 되고, 이 탄성파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100)로 전달되어, 광섬유(100) 내를 진행한다. 이 때,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100) 내를 진행하는 탄성파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100) 내를 진행하는 신호광이 겪는 유효굴절률을 변화시키고, 이러한 유효굴절률의 변화는 LP01모드에서 LP11모드로 또는 LP11모드에서 LP01모드로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100) 내를 진행하는 신호광의 모드를 변환시키게 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1300±30nm 및 1500±50nm의 파장대역을 가지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에 있어서 도 3a는 단축 방향 및 장축 방향 편광모드에서의 모드별 유효굴절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b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에 있어서 편광별 맥놀이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의 (1) 및 도 3b의 (1)은 단축 방향 편광모드, 즉 1300±30nm에서의 모드별 유효굴절율 및 맥놀이 길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3a의 (2) 및 도 3b의 (2)은 장축 방향 편광모드, 즉 1500±50nm에서의 모드별 유효굴절율 및 맥놀이 길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a의 (1) 및 (2)를 참조하면, 1300±30nm와 1500±50nm에서 각각의 모드별 유효굴절율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파장 대역은 다르지만 같은 조건, 예컨대 동일한 PZT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두 개의 파장 대역에서 모드 결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3b의 (1) 및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파장 대역, 즉 1300±30nm또는 1500±50nm에서 맥놀이 길이의 분산이 최소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각각의 파장 대역 전체에 걸쳐서 모드가 결합됐음을 의미한다. 즉, 각각의 파장 대역에서 평탄한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
도 3a 및 도 3b의 특성을 나타내는 광섬유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단축의 직경이 3.7㎛이고, 장축의 직경이 4.25㎛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는 1.1486이었다.
이와 같은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의 전단에 편광기를 설치하고, 상기 음향 광학 가변 필터의 후단에 모드 제거기를 설치하여 광대역 감쇄기를 구성하여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1300nm와 1500nm 파장 대역에서 평탄한 감쇄가 나타났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C밴드 및 L밴드 파장 대역을 가지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에 있어서 도 4a는 단축 방향 및 장축 방향 편광모드에서의 모드별 유효굴절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에 있어서 편광별 맥놀이 길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의 (1) 및 도 4b의 (1)은 단축 방향 편광모드, 즉 C밴드에서의 모드별 유효굴절율 및 맥놀이 길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도 4a의 (2) 및 도 4b의 (2)은 장축 방향 편광모드, 즉 L밴드에서의 모드별 유효굴절율 및 맥놀이 길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a의 (1) 및 (2)를 참조하면, C밴드와 L밴드에서 각각의 모드별 유효굴절율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파장 대역은 다르지만 같은 조건하에서 모드 결합이 일어나게 됨을 말한다.
그리고, 도 4b의 (1) 및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파장 대역에서, 즉 1530∼1562nm 또는 1574∼1605nm에서 맥놀이 길이 분산이 매우 작게 나타난다. 이것은 각각의 파장 대역 전체에 걸쳐서 모드가 결합됐음을 의미한다. 즉, 각각의 파장 대역에서 평탄한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
도 3a 및 도 3b의 특성을 나타내는 광섬유는 시뮬레이션에 의해 단축의 직경이 4.05㎛이고, 장축의 직경이 4.5㎛로 나타났다. 따라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는 1.111이었다.
이와 같은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 광대역 감쇄기를 구성하여 스펙트럼을 조사한 결과 1300nm와 1500nm에서 평탄한 감쇄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의하면, 타원형 코어의 비대칭 구조로 인한 편광 특성을 이용하여 코어의 장축과 단축의 직경을 조절하면 광통신의 1300nm 대역과 1500nm 대역에서 작동하는 광대역 감쇄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Erbuim doped fiber amplifier)의 이득 대역 중 일반 대역인 C밴드와 장파장 대역인 L밴드에서 작동하는 광대역 감쇄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5)

  1. 광섬유의 코어에 있어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4∼1.15이며, 1300±30nm 및 1500±50nm의 파장대역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2. 광섬유의 코어에 있어서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1∼1.12이며, C밴드 및 L밴드 파장 대역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3. 광섬유를 이용하는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코어의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4∼1.15이며, 1300±30nm 및 1500±50nm의 파장대역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광학 가변 필터.
  4. 광섬유를 이용하는 음향 광학 가변 필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의 코어의 단축의 직경에 대한 장축의 직경의 비율이 1.11∼1.12이며, C밴드 및 L밴드에서 상기 장축과 상기 단축 방향으로 각각 LP01모드와 LP11모드 간의 위상 정합 조건을 만족하며 정규화 주파수가 실질적으로 3인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광학 가변 필터.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맥놀이 길이가 200∼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광학 가변 필터.
KR10-2001-0077317A 2001-12-07 2001-12-07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KR10040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317A KR100404999B1 (ko) 2001-12-07 2001-12-07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317A KR100404999B1 (ko) 2001-12-07 2001-12-07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974A KR20030046974A (ko) 2003-06-18
KR100404999B1 true KR100404999B1 (ko) 2003-11-07

Family

ID=2957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317A KR100404999B1 (ko) 2001-12-07 2001-12-07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9306A (en) * 1980-01-11 1981-08-10 Hitachi Ltd Single mode optical fiber which preserves plane of polarization
JPS56156811A (en) * 1980-05-09 1981-12-03 Fujitsu Ltd Coupling device
US4915468A (en) * 1987-02-20 1990-04-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pparatus using two-mode optical waveguide with non-circular core
KR20000038939A (ko) * 1998-12-10 2000-07-05 서원석 광대역 광소자용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소자
US6151427A (en) * 1999-04-20 2000-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Tunable optic fiber bandpass filter using flexural acoustic wav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9306A (en) * 1980-01-11 1981-08-10 Hitachi Ltd Single mode optical fiber which preserves plane of polarization
JPS56156811A (en) * 1980-05-09 1981-12-03 Fujitsu Ltd Coupling device
US4915468A (en) * 1987-02-20 1990-04-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pparatus using two-mode optical waveguide with non-circular core
KR20000038939A (ko) * 1998-12-10 2000-07-05 서원석 광대역 광소자용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소자
US6151427A (en) * 1999-04-20 2000-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National Security Agency Tunable optic fiber bandpass filter using flexural acoustic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974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718B1 (ko) 광 파이버
US7340139B2 (en) Polarization insensitive microbend fiber gratings and devices using the same
US6266462B1 (en) Acousto-optic filter
US6233379B1 (en) Acousto-optic filter
US4859017A (en) Dielectric optical Fabry-Perot waveguid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US6563985B2 (en) Single resonant band, tunable optical fiber wavelength filter based on long-period fiber grating
Ramirez-Melendez et al. Improved all-fiber acousto-optic tunable bandpass filter
JP3443523B2 (ja) 自己同調型光学導波路フィルタ
WO2001090807A2 (en) Acousto-optic devices utilizing longitudinal acoustic waves
KR100404999B1 (ko) 타원코어 이중모드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음향 광학 가변필터
WO2001090806A2 (en) Add/drop acousto-optic filter
Dimmick et al. All-fiber acousto-optic tunable bandpass filter
Satorius et al. Double-pass acoustooptic tunable bandpass filter with zero frequency shift and reduced polarization sensitivity
WO1997039368A2 (en) Periodic mach-zehnder optical filters
JP2750667B2 (ja) 波長分割マルチプレクシング光通信システム用共振フィルター
Hwang et al. All-fiber tunable comb filter with nonreciprocal transmission
KR20000038939A (ko) 광대역 광소자용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소자
JP4421143B2 (ja) 偏波面保持型光ファイバグレーティング、光モジュール及び光通信システム
US6658171B2 (e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polarizer
Dashti et al. Demonstration of a novel all-fiber bandpass acousto-optic tunable filter
WO1995002202A1 (en) Fibre optic components
KR100586226B1 (ko) 타원형의 응력 분포를 가지는 편광 유지 광섬유를 이용한광섬유 가변 편광 필터, 편광 의존 손실 소자 및 광섬유편광기
JPH0572433A (ja) 光フアイバ偏光子
CN114114546A (zh) 基于混合等离激元波导结构的全光纤型偏振器
Chong et al. Coupling Considerations for Fabrication of Acoustooptic Tunable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