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361B1 -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361B1
KR100403361B1 KR1019960028668A KR19960028668A KR100403361B1 KR 100403361 B1 KR100403361 B1 KR 100403361B1 KR 1019960028668 A KR1019960028668 A KR 1019960028668A KR 19960028668 A KR19960028668 A KR 19960028668A KR 100403361 B1 KR100403361 B1 KR 10040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tool
signal
unit
nois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855A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6002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361B1/ko
Publication of KR980011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NC 공작기계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NC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부터 센싱된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감지신호에 혼합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제거된 감지신호를 상기 논리처리부에 전달하고, 논리처리부의 처리명령을 상기 NC 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출력하는 I/O보드로 이루어지는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하여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노이즈를 필터로 제거함으로 오동작을 방지하고, NC공작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씨(NC) 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
본 고안은 NC 공작기계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C 공작기계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의 센서로 부터 센싱된 감지신호를 신호처리 시스템에 입력시키는 입력부(1)와, 상기 입력부(1)의 감지신호를 받아 논리적인 신호처리 과정에 의해 처리요구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처리부(PLC)(2)와, 상기 논리처리부(2)의 처리요구신호에 상응하는 적절한 과정으로 처리명령을 출력하는 CNC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 논리처리부(2)는 입,출력을 구분하는 I/O보드(2a)가 포함되어 있고, 이 I/O보드(2a)를 통해 상기 CNC부(3)의 처리명령을 공작기계의 구동측에 명령을 출력하거나, 입력부(1)의 센싱신호를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동작은 먼저, 구동측의 센서로 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부(1)에서 전달받고, 이 입력부(1)는 감지되는 신호를 논리처리부(PLC)(2)에 보낸다.
이때, 상기 입력부(1)의 감지신호는 논리처리부(2)의 I/O보드(2a)를 통해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논리처리부(2)는 그 감지신호를 논리화된 디지탈신호로 처리하여 처리요구명령을 CNC부(3)에 출력한다.
이어, 상기 처리요구명령은 CNC부(3)에서 상응하는 특정한 처리명령으로 가공되어 상기 논리처리부(2)로 출력된 후, 상기 I/O보드(2a)를 통해 해당 구동측에 출력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NC공작기계의 장치는 구동측의 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대전력의 사용전원에 의해서 24V의 신호처리 시스템 전압에 50V의 노이즈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감지된 입력신호가 불명확하고, NC공작기계의 오동작을 이르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신호를 처리하여 공작기계의 제어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출한 것으로, 공작기계의구동측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압성분의 노이즈(Noise)를 인덕턴스(L)와 다이오드에 의해 필터링하고 제거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NC 공작기계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15 ; 필터부
20 ; I/O보드 25 ; 논리처리부
30 ; CNC부
본 고안은 NC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부터 센싱된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감지신호에 혼합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제거된 감지신호를 상기 논리처리부에 전달하고, 논리처리부의 처리명령을 상기 NC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출력하는 I/O보드로 이루어지는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를 제공하여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노이즈를 필터로 제거함으로 오동작을 방지하고, NC공작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C 공작기계의 구동측 센서(도시되지 않음)로 부터 센싱된 감지신호를 신호처리 시스템에 입력시키는 입력부(10)와, 상기 입력부(10)의 감지신호에 포함된 높은 전압의 노이즈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부(15)와, 상기 필터부(15)에서 제거된 감지신호를 논리처리부로 전송하거나, 처리명령을 구동측으로 출력하는 I/O보드(20)와, 상기 I/O보드(20)의 감지신호를 논리적인 디지탈신호로 처리하여 처리요구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처리부(25)와, 상기논리처리부(25)의 처리요구신호에 상응하는 적절한 과정으로 처리명령을 출력하는 CNC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15)는 입력부(10)의 감지신호에 포함된 높은 전압의 노이즈성분이 제거되도록 하는 인덕턴스(L)과, 제거된 노이즈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은 먼저, NC 공작기계의 구동측 센서로 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부(10)에서 전달받고, 이 입력부(10)는 감지되는 신호를 필터부(15)에 보낸다.
이때 상기 입력부(10)에서 감지되는 신호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부터 전류성분이 낮은 50V이상의 노이즈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어, 상기 필터부(15)에 입력된 감지신호는 전압은 높지만 전류성분이 아주 미약하기 때문에 도 3b와 같이, 인덕턴스(L)에서 고주파성분과 전압성분을 충분히 제거시킬 수 있고, 이어 도 3c와 같이 다이오드(D)의 전류작용 및 전압강하에 의해 부성전압의 제거는 물론 노이즈성분이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인식되지 않는 전압으로 떨어진다.
이와 같이 필터링된 감지신호는 I/O보드(20)를 통해 논리처리부(25)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논리처리부(25)는 그 감지신호를 논리화된 디지탈신호로 처리하여 처리요구명령을 CNC부(30)에 출력한다.
이어, 상기 처리요구명령은 CNC부(30)에서 상응하는 특정한 처리명령으로 가공되어 상기 논리처리부(25)로 출력된 후, 상기 I/O보드(20)를 통해 해당 구동측에출력된다.
본 고안에 따른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는 오동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노이즈를 필터에 의해 제거됨으로 오동작을 방지하고, NC공작기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논리처리부(PLC)를 구비한 NC공작기계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NC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부터 센싱된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감지신호에 혼합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제거된 감지신호를 상기 논리처리부에 전달하고, 논리처리부의 처리명령을 상기 NC공작기계의 구동측으로 출력하는 I/O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NC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
KR1019960028668A 1996-07-16 1996-07-16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403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668A KR100403361B1 (ko) 1996-07-16 1996-07-16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668A KR100403361B1 (ko) 1996-07-16 1996-07-16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855A KR980011855A (ko) 1998-04-30
KR100403361B1 true KR100403361B1 (ko) 2003-12-24

Family

ID=3742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668A KR100403361B1 (ko) 1996-07-16 1996-07-16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3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855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13092A (ko) 휴대 가능 매체
PT1318076E (pt) Aparelho e processo de embalagem de objectos
DE59405381D1 (de) Elektronisch kommutierter Elektromotor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KR970059863A (ko) 조작보드, 리모트 i/o통신제어 방식
EP0336973A1 (en) Emergency stop control circuit
ATE320030T1 (de) Fehlersichere prozesseingabe und prozessausgabe
KR100403361B1 (ko)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200310342Y1 (ko) 엔씨 공작기계의 노이즈 제거회로
EP0338077B1 (en) High-speed input/output module and plc apparatus
WO2000025003A3 (de) Ausbausteuerung für bergbau - gewinnungsmaschinen
DE50111216D1 (de) Diagnosefähiges Netzgerät
DE69706713D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bustaktgeschwindigheitsänderungen
RU9191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на оборудовании с чпу при фрезеровании
KR940704022A (ko) 수치 제어 장치(Numeric controller)
KR100434138B1 (ko) 피엘씨시스템의소프트웨어필터링방법
US6385027B1 (en) Noise protection device
US519480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voltage level of a power source for a speed indication device
KR0131165B1 (ko) 가스레인지의 마그네틱 파워 유니트 구동 제어장치
KR100289130B1 (ko) 프로그램어블인버터 및 프로그램어블인버터의 제어방법
JPS6475933A (e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machine
KR200205169Y1 (ko) 고진공펌프의 제어장치
SU952495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дл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ых станков
KR19980058807A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발진 주파수를 이용한 캡스턴 모터의 보호장치
KR200312087Y1 (ko) 순환식 공기 청정기
SU161053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от обрыва цепи тахогенер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