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809B1 - 적층식 책장 - Google Patents

적층식 책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809B1
KR100402809B1 KR10-2001-0012986A KR20010012986A KR100402809B1 KR 100402809 B1 KR100402809 B1 KR 100402809B1 KR 20010012986 A KR20010012986 A KR 20010012986A KR 100402809 B1 KR100402809 B1 KR 10040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okcase
bookshelf
stacked
glass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923A (ko
Inventor
성열찬
Original Assignee
신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8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one of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necessarily precedes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전방의 유리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유닛트화된 단위책장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형의 몸체와 몸체에 윗쪽으로 개방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유리도어를 포함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책장을 형성하는 단위책장과, 단위책장의 상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단위책장을 적층시 결합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과, 단위책장중 최상측의 단위책장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캡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단위책장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책장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정함에 따라 책장의 전체적인 외곽 사이즈의 변경이 용이하고, 유리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어 장식품을 쉽게 수납할 수 있고, 단위책장이 각각 분리 및 조립되므로 운반시 책장의 전체적인 외형부피가 줄어들며, 단위책장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식품의 중량에 따라 휘어짐으로 인한 장식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배치장소가 코너인 경우 코너용 책장을 조합하여 배치함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식 책장{book case}
본 발명은 전방의 유리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유닛트(unit)화된 단위책장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적층식 책장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책장이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단위책장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책장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변경하며, 유리도어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하여 책 등의 장식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적층식 책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책, 패(牌) 등의 장식품을 수납하는 책장은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부 좌우측에 고정핀이 동일높이로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고정핀에 대해 선반을 안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의 전방에 먼지 등으로 부터 각종 장식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리도어가 각각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책장에서는 책장을 배치하는 장소를 변경하기 위하여 책장을 분리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을 분실시 이를 재구입 해야되는 문제점과, 수납되는 장식품이 중량인 경우 선반의 중앙부분이 휘어져 처지게되어 장식품의 가치를 떨어트리는 문제점과, 책장으로 부터 장식품을 수납시 유리도어가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반반식 개방되므로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장식품을 인출할 때 불편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책장을 구입하는 시기에 그 전체적인 외곽 사이즈가 이미 결정되므로 실내구조를 변경시 책장을 배치하는 장소가 한정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이사하는 경우 책장의 프레임을 분리할 수 없어 전체적인 외형부피가 크게되므로 운반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책장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책장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정함에 따라 책장이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요구되는 책장의 전체적인 외곽 사이즈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적층식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로 부터 장식품을 보호하는 유리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므로 장식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적층식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책장이 유닛트화된 단위책장별로 분리 및 조립되므로 책장을 운반시 전체적인 외형부피가 줄어들어 운반하는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적층식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책장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식품의 중량으로 인해 단위책장이 휘어져 장식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적층식 책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치장소가 코너인 경우 수개의 책장을 조합하여 배치함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적층식 책장을 제공하는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장을 구성하는 단위책장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장을 구성하는 단위책장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장에서 상부캡을 분리시킨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장의 유리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장의 제1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장의 제2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유리도어
3,7,10,11,15; 단위책장
4; 걸림판
5; 결합홈
6; 고정부재
9; 수납함
12; 브라킷
13; 걸림턱
14; 스토퍼(stopper)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형의 몸체와 몸체에 윗쪽으로 개방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유리도어를 포함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책장을 형성하는 단위책장과, 단위책장의 상하단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단위책장을 적층시 결합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수단과, 단위책장중 최상측의 단위책장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책장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단위책장중 최하측의 단위책장밑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함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단위책장, 상부캡 및 수납함은 원목, MDF 또는 적층합판재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고정수단은 단위책장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판과, 걸림판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단위책장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단위책장의 밑면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걸림판이 결합홈에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유리도어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되며, 유리도어를 개방하여 몸체에 수납시 유리도어를 이동통로용 걸림턱을 따라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브라킷과, 걸림턱 입구측에 형성되어 유리도어가 몸체로 부터 이탈되는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단위책장의 높이는 아래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h1 〉h2 〉h3 〉h4 (단, h1은 최하측 단위책장의 높이, h2는 최하측 단위책장위에 적층되는 단위책장의 높이, h4는 최상측 단위책장의 높이, h3은 최상측 단위책장밑에 적층되는 단위책장의 높이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단위책장이 배치되는 장소가 코너인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이도록 단위책장과 단위책장이 만나는 코너부위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조합되는 코너용 단위책장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형의 몸체(1)와 몸체(1)에 대해 윗쪽으로 개방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유리도어(2)를 포함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책장을 형성하도록 유닛트화된 단위책장(3)과, 단위책장(3)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판(4)과, 걸림판(4)이 분리가능하게 요철결합하도록 단위책장(3)의 하단에 걸림판(4)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결합홈(5)과, 단위책장(3)의 밑면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걸림판(4)이 결합홈(5)에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6)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단위책장(3)중 최상측의 단위책장(7)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단위책장(7)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로 부터 책 등의 장식품을 보호하는 상부캡(16)과, 단위책장(3)중 최하측의 단위책장(8)밑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터치로 가압시 로킹수단의 로킹이 해제되어 인출되는 수납함(9)이 구비되며, 상부캡(16)과 수납함(9)에는 상기와 같이 결합판(4)과 결합홈(5)이 단위책장(3)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단위책장(3), 상부캡(16) 및 수납함(9)은 원목, 톱밥 등을 혼합하여 압축성형한 판재(MDF) 또는 적층합판재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위책장(3)의 높이, 즉 최하측 단위책장(8)의 높이(h1) 〉최하측 단위책장(8)위에 적층되는 단위책장(10)의 높이(h2) 〉최상측 단위책장(7)밑에 적층되는 단위책장(11)의 높이(h3) 〉최상측 단위책장(7)의 높이(h4)를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유리도어(2)를 개방하여 몸체(1)에 수납시 유리도어(2)를 이동통로용 걸림턱(13)을 따라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브라킷(12)이 유리도어(2)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되며, 유리도어(2)가 몸체(1)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14)가 걸림턱(13)의 입구 좌우측에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위책장(3)이 배치되는 장소가 코너(corner)인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일자형의 단위책장(3)과 단위책장(3)이 만나는 코너부위에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조합되는 코너용 단위책장(15)을 구비한다.
미 설명부호 17은 유리도어(2)에 형성되어 유리도어(2)를 개폐시 사용하는손잡이로서 유리도어(2)의 좌우측에 복수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책작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단위책장(3)중 최하측의 단위책장(8)밑에 분리가능하게 되는 수납함(9)이 더 설치되며, 수납함(9)의 개폐는 수납함(9)에 소정의 사물을 수납한 후 원터치로 밀게되면, 로킹수단의 작동으로 인해 수납함(9)이 로킹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납함(9)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최하측의 단위책장(8)위에 단위책장(10)을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다. 즉 최하측의 단위책장(8)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판(4)에 대해 단위책장(10)의 하단에 걸림판(4)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홈(5)을 끼워맞춤에 따라, 단위책장(8,10)은 분리가능하도록 밀착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단위책장(8,10)중 위쪽에 위치하는 단위책장(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띠 형상의 고정부재(6)에 의해 걸림판(4)과 결합홈(5)을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게되며, 걸림판(4)이 결합홈(5)에 결합후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단위책장(8,10)이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하측의 단위책장(8)위에 단위책장(10)을 적층하고, 단위책장(10)위에 단위책장(11)을 동일한 방식으로 적층하며, 단위책장(11)위에 최상측 단위책장(7)을 반복하여 적층하며, 최상측 단위책장(7)위에 상부캡(16)을 적층시킴에 따라 책장을 분리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적층되어 책장을 형성하는 단위책장(7,8,10,11)에 수납되는 장식품 등의 중량으로 인해 각각의 단위책장(7,8,10,11)이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단위책장(3)의 걸림판(4)을 결합홈(5)에 끼워맞출 때 접촉면적이 증가되며, 하중을 몸체(1)를 형성하는 좌우 측판과 걸림판(4)에서 지탱하게되므로 단위책장(3)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트화된 다수의 단위책장(3,7,8,10,11)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책장을 형성한 후, 전술한 유리도어(2)용 손잡이(17)를 파지하여 유리도어(2)를 윗쪽으로 들어올린 후 몸체(1)내부 좌우측에 형성된 이동통로용 걸림턱(13)을 따라 몸체(1)내부로 슬라이딩이동시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유리도어(2)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후, 유리도어(2) 좌우측에 형성된 브라킷(12)이 몸체(1)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3)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여 몸체(1)에 수납되므로 단위책장(3)에 대해 책을 포함하는 장식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위책장(3) 내부에 장식품을 인출 또는 수납한 후, 손잡이(17)를 파지하여 유리도어(2)를 사용자쪽으로 슬라이딩이동시켜 방향전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유리도어(2)의 브라킷(12)이 걸림턱(13)의 입구측에 형성된 스토퍼(14)에 걸리게되므로 몸체(1)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단위책장을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책장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정함에 따라 책장이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요구되는 책장의 전체적인 외곽 사이즈를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지않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먼지 등으로 부터 장식품을 보호하는 유리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므로 장식품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책장이 유닛트화된 단위책장별로 각각 분리 및 조립되므로 책장을 운반시 전체적인 외형부피가 줄어들어 운반하는 작업성이 향상된다.
단위책장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식품의 중량에 따라 책장이 휘어져 장식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배치장소가 코너인 경우 수개의 책장을 조합하여 배치함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Claims (7)

  1.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에 윗쪽으로 개방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유리도어를 포함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책장을 형성하는 단위책장;
    상기 단위책장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판과, 이 걸림판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단위책장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단위책장의 밑면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상기 결합홈에 결합시 좌우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로 된 고정수단; 및
    상기 단위책장중 최상측의 단위책장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책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책장중 최하측의 단위책장밑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책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책장, 상부캡 및 수납함은 원목, MDF 또는 적층합판재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책장.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도어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몸체에 수납시 상기 유리도어를 이동통로용 걸림턱을 따라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브라킷; 및
    상기 걸림턱 입구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리도어가 상기 몸체로 부터 이탈되는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책장.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책장의 높이는 아래의 식을 만족하도록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책장.
    h1 〉h2 〉h3 〉h4
    (단, h1은 최하측 단위책장의 높이, h2는 최하측 단위책장위에 적층되는 단위책장의 높이, h4는 최상측 단위책장의 높이, h3은 최상측 단위책장밑에 적층되는 단위책장의 높이를 나타낸다)
  7. 삭제
KR10-2001-0012986A 2001-03-13 2001-03-13 적층식 책장 KR10040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986A KR100402809B1 (ko) 2001-03-13 2001-03-13 적층식 책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986A KR100402809B1 (ko) 2001-03-13 2001-03-13 적층식 책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23A KR20020072923A (ko) 2002-09-19
KR100402809B1 true KR100402809B1 (ko) 2003-10-22

Family

ID=2769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986A KR100402809B1 (ko) 2001-03-13 2001-03-13 적층식 책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716A (ko) 2014-07-22 2016-02-02 풍천실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가 탈부착 가능한 인테리어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03Y1 (ko) * 2013-09-12 2015-01-05 박범진 중첩 보강형 다용도 수납구조물
KR102172503B1 (ko) * 2019-03-21 2020-10-30 김민성 가변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책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716A (ko) 2014-07-22 2016-02-02 풍천실업 주식회사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가 탈부착 가능한 인테리어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23A (ko)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6395B2 (ja) 運搬用組立箱
JPH0376240B2 (ko)
US20090145790A1 (en) Modular storage system
US20050211722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flat items
KR100402809B1 (ko) 적층식 책장
CA2150878C (en) Portable container with separate compartments
US20200270024A1 (en) Selectively removable wall portable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050167221A1 (en) Carrying case
US9149099B2 (en) Portable storage enclosure with sliding doors
KR101022135B1 (ko) 이동 적층식 책장
JP4597304B2 (ja) 物品収納ケース
AU7943601A (en) Toaster
KR200171453Y1 (ko) 냉장고의 병 가드
KR200491155Y1 (ko) 수납함
WO1992015505A1 (en) Container or package for compact discs, video cassettes, tools or the like
JP3583316B2 (ja) バスケット
CN217075137U (zh) 一种多层大容量餐具盒
JP3027764U (ja) 物品収容ケース
US20070131729A1 (en) Vehicle Organization System
KR200472754Y1 (ko) 다용도 서랍장
EP1186542A1 (en) Container with height adjustable lid
CN213110339U (zh) 一种后勤物资储运装置
JP2513788Y2 (ja) 整理棚
KR200347112Y1 (ko) 셀형박스를 이용한 소물품 보관장치
JP2008239188A (ja) 折り畳み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