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302B1 - 호상주사회전헤드용테이프지지시스템 - Google Patents

호상주사회전헤드용테이프지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302B1
KR100402302B1 KR1019970703129A KR19970703129A KR100402302B1 KR 100402302 B1 KR100402302 B1 KR 100402302B1 KR 1019970703129 A KR1019970703129 A KR 1019970703129A KR 19970703129 A KR19970703129 A KR 19970703129A KR 100402302 B1 KR100402302 B1 KR 100402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ransducer
read
writ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537A (ko
Inventor
리차드 케이. 밀로
제랄드 씨. 그린
존 엠. 로텐버그
더키 비. 리차드
댄 제이. 알젠토
리로리 에이 커타
제임스 더블유 스웨슨
로버트 제이 윤퀴스트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97070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도된 기록위치를 통하여 일관된 헤드-대-테이프 커플링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판독/기록존, 특히 테이프의 코너에서 하나의 변환기를 가지는 하나의 자기 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 변환기 캐리어의 단면상에 위치된 상기 변환기는 상기 테이프를 통상 측면으로 가로지르는 호상 정보 트랙을 판독하고 기록한다. 상기 변환기는 변환경로의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판독/기록존을 통하는 하나의 실질적인 원형 변환 경로를 추적한다. 하나의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상기 변환기가 하나의 판독/기록 위치를 따라 하나의 테이프 표면으로 침투하도록 상기 테이프를 일반적으로 상기 판독/기록존의 위치로 근접시킨다.

Description

호상 주사 회전 헤드용 테이프 지지 시스템
다수의 일반적인 자기테이프 드라이브 시스템은 자기테이프를 실질적으로 고정 상태에 있는 판독/기록헤드를 거쳐 침투하게 하는 릴투릴 전송시스템(reel-to-reel transport system)을 이용한다. 정보는 전형적으로 테이프의 세로축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병렬 트랙의 형태로 테이프상에 배치된다. 고정된 판독/기록헤드는 단일채널 또는 다중채널을 가질 수 있다. 판독/기록헤드는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테이프상의 여러 트랙들을 판독할 수 있지만, 판독/기록동작중에 헤드는 필수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기록과 재생은 테이프가 판독/기록존(read/write zone)을 길이방향으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판독/기록헤드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호한 헤드-테이프 접촉의 달성은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테이프는 헤드 둘레에 감겨질 수 있다.
널리 사용되는 또다른 테이프 드라이브는 하나 이상의 헤드가 회전실린더 또는 드럼의 외측에 위치한 수직 나선형 주사(VHS)헤드를 사용한다. 테이프는 실린더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실린더의 측면 위로 이동한다. 실린더는 테이프 경로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각 헤드는 테이프를 따라 나선형 경로를 추종한다. 헤드와 테이프 사이의 접촉은 테이프가 실린더의 측면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싸짐으로써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새로이 개발된 호상 주사 테이프 드라이브(참고로 여기에 포함시킨 PCT 공개 출원 WO93/26005 참조)는 테이프가 지나갈 때, 테이프의 평면과 접촉하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단면을 포함하는 변환기를 가진 회전변환드럼을 이용한다. VHS 드라이브와는 대조적으로, 변환드럼의 회전축은 테이프 평면을 통과한다. 그러므로, 각 변환기는 일반적으로 테이프를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호상트랙의 시퀀스를 판독/기록한다(이하 "호상 주사 헤드 어셈블리 또는 ASHA"라 한다).
ASHA에 있어서, 테이프가 드럼의 단부면 둘레를 감싼다는 것은 변환기가 전체 변환경로를 따라 계속적으로 테이프와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은 테이프와 판독/기록헤드의 마모를 가속시킨다. 그외에도, 경로의 일부가 변환기에 의해 추종되는 의도된 기록존과 마주하는 시간중, 판독/기록헤드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헤드와 테이프의 접촉은 신호혼선을 유발하여 시스템내의 잡음을 생기게 한다.
테이프 표면과 접촉하는 변환드럼의 전면은 약 7,500 내지 15,000rpm으로 회전한다. 앞으로는 더 높은 속도를 사용할 수 있다. 드럼의 단면이 테이프 평면내로삽입되는 경우에는, 변환드럼이 테이프 평면에 맞대어 회전하면서, 일반적으로 테이프의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반력(opposing force)이 생긴다. 특히, 회전드럼의 일단부에서는 테이프의 세로축에 대하여 가로방향의 횡력이 생기는 반면에, 드럼의 반대편 단부에서는 반대방향의 힘이 생겨서,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테이프를 비틀리게 하는 경향이 있게 된다. 따라서, 특히, 테이프의 단부에서 헤드와 테이프를 밀착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그외에도, 변환기는 전형적으로 변환드럼의 단면 위로 예를 들면, 0.0005인치(0.0127mm) 정도 내밀어져 있다. 변환드럼의 단부면에 테이프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의 판독/기록헤드가 위치하여 있으면(이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판독/기록헤드가 테이프의 단부와 충돌하여, 테이프가 조기에 파괴되고, 판독/기록헤드도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호상 주사 헤드 어셈블리(Arcuate Scan Head Assembly:ASHA)의 회전변환드럼의 단면상에 위치한 변환기를 자기테이프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도된 기록위치를 통해, 특히 테이프의 가장자리에서 일관되게 헤드와 테이프를 결합시키기 위한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 1도는 지지암과 원형변환경로의 판독/기록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접촉을 분리시키기 위한 탭퍼링된 단면구조가 포함되어 있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제 2도는 테이프 지지물과 원형변환경로의 판독/기록위치와 자기테이프를 접촉시키기 위한 곡선단면 구조가 포함되어 있는 또다른 테이프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제 3도는 변환기가 원형변환경로의 판독/기록위치에서 접촉하도록, 테이프의 세로축에 관하여 기울어져 있는 단면구조와 지지암이 포함되어 있는 또다른 테이프 지지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제 4도는 일반적으로 평면변환단면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의 투시도이다.
제 5도는 변환기경로의 판독/기록위치 및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 대한 그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제 6도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의 일부가 단면의 일체부분으로 되어 있는 다른 변환드럼의 투시도이다.
제 7도는 제 6도에 도시된 변환드럼으로서, 변환기가 단면의 외주 둘레에 있는 슬롯 내에 위치한 변환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8도는 변환기의 단면과 자기테이프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는 테이프 가이드 구조의 투시도이다.
제 9도는 곡선 테이프 지지물이 카트리지 하우징에 부착된 자기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다.
제 10도는 자기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로서, 탭퍼 또는 챔퍼테이프 지지물이 카트리지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다.
제 11도는 감압상태를 테이프에 전달하여 변환기와의 접촉을 촉진시키기 위한 중앙개구가 제공되어 있는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제 12도는 중앙개구와 통하여 있는 저압분포 슬롯을 도시한 회전변환어셈블리를 설명하는 일실시의 단면도이다.
제 13도는 단면을 통한 공기의 전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변환기캐리어의 뒤에 하나의 슬롯이 제공되어 있는 다른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제 14도는 공기가 변환기에 인접된 복수의 구멍을 통하여 유입됨으로써, 자기테이프와의 접촉이 촉진될 수 있는 다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제 15도는 자기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카트리지로서, 원통형 테이프 지지물과 곡선 랩핀이 카트리지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다.
제 16도는 예시적 호상 주사 테이프 드라이브의 투시도이다.
제 17도는 단면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테이프 지지물과 테이프 지지암이 제공되어 있는 다른 변환드럼의 측면도이다.
제 18도는 단면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테이프 지지물과 오목하게 파여있는 장착용 슬롯 내에 위치한 변환기를 갖춘 다른 변환드럼의 단면도이다.
제 19도는 오목한 테이프 지지면을 가진 다른 테이프 지지암의 측면도이다.
제 20도는 볼록한 테이프 지지면을 가진 다른 테이프 지지암의 측면도이다.
제 21도는 저압분포슬롯이 제공된 테이프 가이드구조를 갖춘 회전변환기의 단면도이다.
제 22도는 비대칭가이드가 제공되어 있는 자기테이프 지지용 카트리지의 투시도이다.
제 23도는 자기테이프의 뒤에 테이프 지지 패드가 제공되어 있는 카트리지의투시도이다.
제 24도는 테이프 카트리지용 기계적 위치결정시스템의 투시도이다.
제 25도는 테이프 카트리지용 위치결정암의 측면도이다.
제 26도는 우측구성내의 변환드럼 및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변환기가 판독/기록위치를 따라 테이프 표면내로 침투하여, 일관된 헤드-테이프 결합을 달성할 수 있도록, 테이프를 ASHA 드라이브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판독/기록존에 인접한 테이프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지지 시스템의 일실시예에는 일반적으로 가로방향으로 테이프를 가로지르는 테이프 지지면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지지물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지지면의 일부는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할 수 있다. 테이프 지지물은 판독/기록위치에 인접하게 위치한 암구조(arm structure)로 할 수 있다. 테이프 지지면은 테이프를 테이프의 세로방향장력이 일반적으로 판독/기록존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테이프를 변환기 캐리어의 형상에 대한 상보적 형상으로 구부릴 수 있다.
테이프 지지면은 변환기에 의하여 한정되는 기준면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는 변환기캐리어의 맞은편에 제 2 테이프 지지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2 테이프 지지물의 테이프 지지면은 변환기준면의 위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자기테이프는 카트리지 내에 집어넣을 수 있다.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는 카트리지에 부착된 곡선 테이프 가이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가이드는 곡선면 또는 비대칭면으로 할 수 있다. 카트리지에는 곡선형 랩핀도 부착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변환기캐리어의 회전축이 테이프평면과 비직교관계에 있기 때문에, 판독/기록위치를 랩 핀에 인접시킬 수 있다. 최적의 변환기/테이프 인터페이스를 달성하기 위하여, 판독/기록위치와 랩 핀 사이의 거리는 약 0.1" 내지 0.4"로 한다. 변환기 캐리어상의 원추형 또는 구형단면은 전술한 우측 마찰학적 형상(right-hand tribology configuration)과 결합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에는 판독/기록존내의 테이프 뒤에 위치한 테이프 지지 패드도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지지 패드는 연질 또는 경질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서, 테이프 지지 패드에는 판독/기록위치에 따라 변환기에 의해 횡단되는 경로에 대응하는 곡선 슬롯을 포함시킬 수 있다.
그외에도,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는 변환기캐리어의 단부면에, 변환기의 기준면 위로 뻗어있고, 판독/기록위치에 인접한 테이프를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는, 테이프 지지물은 곡선단면으로 되어 있다. 테이프 지지물은 변환기의 기준면 아래에 뻗어있는 또한 단면의 주변의 리지(ridge)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 테이프 지지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지지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지지물의 내표면과 외표면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테이프 지지물은 변환기 캐리어에 인접한 곡선내표면, 및 변환기 캐리어와 떨어져 마주한 직선외표면을 갖는다. 내표면은 일반적으로 변환기캐리어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만곡되고, 직선외표면은 테이프의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판독/기록존에 걸쳐 평면 테이프면이 유지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에 변환기 캐리어의 단부면과 테이프 사이에 끼어있는 테이프 지지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러한 테이프 지지 플랫폼에는 일반적으로 변환기 캐리어의 단면을 가로질러 뻗어있는 테이프 지지면이 있다. 변환기가 이동하도록 원형 변환기 슬롯이 제공된다. 변환기와 테이프가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변환기 개구가 제공된다.
테이프 지지면에는 테이프의 세로축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 전이 단부를 포함시킬 수 있다. 테이프 지지 플랫폼에는 테이프의 세로축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평행인 상하 테이프 가이드를 포함시킬 수 있다.
개시(開示)된 실시예에서는, 변환기 캐리어의 단면에 하나의 개구를 포함시킬 수 있다. 테이프와 변환기 캐리어의 단면 사이에 저압상태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압기구가 제공되어 있다. 저압상태가 단면에 걸쳐 분포되게 하기 위하여, 단면에는 개구와 통하여 있는 저압분포채널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저압분포채널은 변환기에 인접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테이프 지지 플랫폼에 테이프를 지지면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개구와 통하여 있는 저압분포채널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저압기구에는 내표면이 변환기 캐리어 둘레에 뻗어있는 덮개부를 포함시켜서, 캐리어와 덮개부의 내표면 사이에 하나의 챔버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변환기캐리어와 덮개부의 내표면 사이에 밀봉부를 배치하여, 공기가 챔버내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캐리어가 덮개부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가 중앙개구와 챔버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구와 챔버 사이에는 변환드럼통기공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드럼통기공은 전면과 반대되는 밀봉부 측면에 위치하여 있다. 공기가 중앙개구를 통하여 변환 드럼내로 흐르는 것을 촉진시켜서, 테이프와 변환기캐리어의 단면 사이에 저압상태가 생기게 하기 위하여, 변환기캐리어에 블레이드가 부착된다.
자기테이프를 판독/기록존에서 변환기와 접촉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일관성있는 헤드-테이프접촉을 달성하기 위한 개시된 테이프 지지 시스템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2개의 직교 교차축에 따라, 테이프 특히 테이프의 단부에서 구부리는 것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개시된 각종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단부와 변환기의 결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판독/기록위치에서 테이프의 장력 또는 강성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일실시예에서는, 호상 주사 테이프 드라이브에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가 들어 있는 단면을 가진 회전변환기캐리어가 제공되어 있다. 변환기는 판독/기록위치에서 테이프 내로 침투한다. 단면은 판독/기록위치에 근접된 테이프에서 제1 굴곡부(bend)를 생기게 한다. 판독/기록위치에 근접된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판독/기록위치에서 제1 굴곡부와 교차하는 테이프에 제2 직교 굴곡부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굴곡부의 교차로 인하여 판독/기록위치에서 테이프장력이 증가한다.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변환기캐리어에 인접되어 있거나, 단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대상인 테이프 드라이브에는 판독/기록존을 지나는 테이프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브 내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요소들과 함께, 개시된 테이프 지지물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드라이브에는 테이프 카트리지 상에서 테이프 가이드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는 위치결정암(registration arm)을 포함하는 테이프위치결정시스템도 포함시킬 수 있다. 끝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을 자유로이 결합시켜서 하나의 종합 테이프 지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변환드럼의 단면상에 위치한 변환기를 자기테이프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환기가 판독/기록위치를 따라 테이프표면내로 침투하도록, 테이프의 위치를 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테이프 지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호상주사기록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려면, 테이프의 폭에 걸쳐 일관성있는 헤드-테이프결합이 필요하다. 변환드럼의 단면이 테이프 표면내로 침투하기 때문에, 판독/기록존에서 웨브를 가로지르는 세로장력의 변동은 특히 테이프 단부에서 재생 신호의 진폭변동을 일으킨다. 결과적으로, 판독/기록 헤드를 테이프에 일정하게 침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침투강도(단위 테이프 편향당 힘)는 전형적으로 중앙에서 보다 테이프의 단부에서 더 낮다. 여기에서 개시된 여러 가지의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테이프의 장력을 제어하여 변환기와의 단부 결합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판독/기록위치에서 테이프의 장력을 제어하는 하나의 방법은 테이프내에 하나의 복합 굴곡부(compound bend)를 생성하는 것이다. 특히, 테이프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테이프는 가로 굴곡부와 세로 굴곡부의 교점에서는반경질적(semirigid)으로 된다. 가로 및 세로 굴곡부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각종 테이프 지지구조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호상 주사 테이프 드라이브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가 들어있는 단면이 제공된 하나의 회전변환기캐리어를 가질 수 있다. 변환기는 판독/기록위치에서 테이프 내로 침투한다. 단면은 판독/기록위치에 근접하여 있는 테이프내에 제1 굴곡부가 생기게 한다. 판독/기록위치에 근접하여 있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테이프내에, 판독/기록위치에서 제1 굴곡부와 교차하는 제2 직교 굴곡부를 생성한다. 제1 및 제2 굴곡부가 서로 교차함으로써, 판독/기록위치에서 테이프의 장력이 증대된다.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변환기 캐리어에 인접되게 하거나, 단면상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호상 주사 테이프 드라이브에 대한 모든 테이프 지지 시스템 및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자유로이 결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면내의 테이프, 변환기 및 드럼의 변위 및 각의 크기 등도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당히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변환기는 테이프 표면내로 0.0015"(0.0381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051(0.0127mm) 내지 0.001"(0.0254mm) 정도로 침투한다.
제 1도는 한쌍의 테이프 지지암(22,24)을 가진 회전 헤드 변환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테이프 지지암(22)(수동지지암)은 테이프 지지암(24)(능동지지암) 보다 약간 더 길기 때문에, 테이프(28)와 변환드럼(32)의 단면(30)중 지지암(22)에 가장 가까운 부분 사이에는 분리부(26)가 생긴다. 이에 따라, 회전변환기(34)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변환기경로의 판독/기록위치(36)에 따라서만 테이프와 접촉한다(제 4도 및 제 5도 참조). 이러한 분리부(26)는 변환경로의 비접촉 세그먼트 또는 수동 세그먼트(38)중 변환기(34)가 테이프(28)와 접촉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이 영역에서의 헤드 및 테이프의 마모를 제한한다.
능동적 테이프 지지암(24)의 기준면이 드럼(32)상의 변환기(34)의 기준면보다 약간 아래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의 물리적 단부 근방에서의 헤드-테이프접촉이 향상되고, 테이프(28)를 가로지르는 변환기(34)의 원호에 걸쳐 기록 수행이 더 일정하게 된다. 그외에도, 변환기(34)와 테이프(28) 사이의 힘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테이프와 헤드의 수명이 길어진다.
예를 들면, 변환기(34)의 기준면과 능동테이프 지지암(24)의 차는 0.025mm(0.000984인치)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5mm의 갭은 테이프(28)의 물리적 단부의 0.25mm(0.00984인치)내에서는 적당한 판독/기록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기 예는 변환드럼(32)의 단면(30)에 대하여 직선 및 평행인 테이프 지지면(44)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예는 다양한 단면 및 테이프 지지물 구성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지암(22,24)은 변환드럼(32)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나, 변환드럼(32)을 둘러싸는 외부 덮개부(40)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예: 제 4도 참조). 지지암(22,24)에는 테이프(28)의 이동방향에 따라 곡선 테이프 지지면(42,44)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면은 테이프 상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단부에서의 헤드-테이프 접촉을 향상시킨다.
지지암(22)은 테이프가 작은 각으로 변환드럼(32)으로 도입되게 하여,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되어 있는 드럼(32)의 단면(30)이 단부에서보다 테이프의 중앙으로 더 침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침투는 테이프가 신장으로 인하여 중앙에서 더 길어지게 한다.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어떤 경우에는 변환드럼(32)의 단면(30)이 비평면으로 되어 있다. 변환드럼(32)의 단면(30)은 판독/기록위치(36)에 바로 인접하여 있는 테이프에 대한 추가 지지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30)에는 변환기(34)에 인접한 테이퍼점(46)이 있다. 따라서, 테이프(28)는 판독/기록위치(36)의 일측면에서는 테이퍼점(46)에 의하여, 또다른 측면에서는 지지면(44)에 의하여 지지된다. 테이프 지지위치(46,44)의 근접성에 의하여 헤드-테이프 결합이 향상된다.
제 2도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서, 변환드럼(32')의 단면(30')에는 변환기(34')에 인접한 위치(48)에서 테이프를 지지하는 원추형 또는 구형 곡선형상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추형 또는 구형 곡선면은 회전변환드럼(32')이 테이프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줄이는 추가 장점이 있다. 제 2도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곡선을 도시하고 있으나, 비대칭곡선도 헤드-테이프 결합을 높일 수 있다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판독/기록위치에 걸쳐 테이프의 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단면(30')을 변환기(34')에 바로 인접되게 할 수 있다. 원추형 단면(30')의 일실시예에서는, 곡률반경이 약 4.5" 내지 5.0"의 범위안에 있고, 단면의 중앙에서 곡률반경이 약간 크고, 단부를 따라서는 약간 작다.
제 3도는 제 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지지암(22",24")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변환드럼(32")은 테이프에 대하여 일정한 각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변환경로의 비접촉 세그먼트(38") 가까이에 분리부(2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변환기(34")는 판독/기록위치(36")를 따라서 테이프 내로 침투한다. 테이퍼링된 또는 곡선 단면(30,30')은 제 3도에 도시된 팁 변환 드럼구조(32")와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부(26,26',26")에 의하여, 테이프(28)가 작은 각도로 변환드럼과 접촉함으로써, 테이프의 중앙에서 헤드의 침투가 더 크게 되고, 테이프를 가로지르는 세로장력을 변동시킬 수 있다. 헤드의 침투정도에 따라서는 특히, 단부에서 헤드-테이프의 결합이 일정하지 않게 될 수 있다. 곡선 또는 굽은 테이프 지지물은 테이프의 단부를 따라 세로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외에도, 굽은 지지물은 테이프를 컵 모양으로 하거나 미리 성형하여 변환드럼단면(30,30',30")과 더 유리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제 19도는 테이프(도시없음)의 중앙으로의 헤드-테이프 침투를 증대시키는 오목한 테이프 지지면(362)이 제공된 다른 테이프 지지암(36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테이프의 단부 근방에서 변환드럼(366)의 상대적인 침투가 감소됨으로써, 기록된 원호가 테이프 단부에 더 가깝게 뻗을 수 있다. 트레이드 오프는 테이프의 단부에서의 감소된 헤드-테이프 접촉압력이며, 이에 의하여 출력신호가 더 낮아지고, 오류율이 더 커진다. 그러나, 테이프 단부에서 떨어질수록 헤드-테이프 침투가 더효과적으로 되고, 접촉압력이 더 커짐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 성능이 더 양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목한 테이프 지지물(362)은 원호의 대부분에 걸쳐 기록성능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유용한 원호의 길이를 테이프 단부에 더 근접되게 확장한다.
제 20도는 볼록한 테이프 지지면(352)이 제공된 다른 테이프 지지암(35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테이프 지지면(352)은 테이프(도시없음)를 변환드럼(356)의 단면 또는 드럼(356)의 원형단부(358)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부릴 수 있게 곡선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와 같이 볼록한 지지물(352)은 드럼(356)의 단면(354)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테이프(도시없음)의 중간부분을 지지하고, 테이프의 단부를 단면(354)쪽으로 구부리는 경향이 있다. 만곡된 테이프 지지물(352)은 제 1 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비평면 단면구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때에는 매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볼록한, 오목한 또는 직선의 테이프 지지면은 단일 변환 어셈블리상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록한 테이프 지지물은 판독/기록위치에 인접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직선 테이프 지지물은 변환드럼의 반대측면에 사용할 수 있다.
제 16도는 예시적인 호상 주사 테이프 드라이브(300)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프레임(302)은 이중 릴 벨트 구동 카트리지(304)를 수용한다. 테이프 드라이브(300)에는 카트리지(304)를 받아들이고, 테이프의 커버(312)를 개방하여 테이프(308)를 노출시키고, 기록 및 재생을 위하여 테이프(308)의 위치를 정하는 종래의 카트리지 저재기구(loading mechanism)(306)가 포함되어 있다. 힘이 테이프 캡스턴 롤러(tape capstan roller)(310)에 가하여질 때, 테이프(308)는 길이방향으로 구동된다. 카트리지에는 카트리지(304)에 부착된 테이프 가이드(도시없음)가 포함되어 있다(이하의 제 9도, 제 10도 및 제 15도의 설명 참조). 테이프(308)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판독/기록존(314)을 거쳐 이동하며, 판독/기록존에서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322)의 단면(예:제 4도)에서 변환기와 접촉한다.
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진행하게 하기 위한 힘은 전송어셈블리(316)에 의하여 캡스턴 롤러(318)에 가해진다. 이 예시를 위하여, 전송어셈블리(316)에는 테이프 캡스턴(310)과 맞물려서 테이프(308)를 판독/기록존(314)을 거쳐 진행하게 하는 캡스턴 롤러(318)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는 여러 가지의 전송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테이프(308)가 판독/기록존(314)을 통하여 진행함에 따라, 데이터는 회전헤드 변환어셈블리(322)에 의하여 기록되거나 테이프로부터 판독(재생)된다.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322)는 장착 플랜지(320)에 의해 프레임(302)에 고정된다.
도 4는 단면(66)에 인접한 한쌍의 테이프 지지물(62,64)이 제공된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60)의 투시도이다. 변환드럼(68)은 외부 덮개부(70)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변환기(72)는 원형 변환경로(74)를 추종한다.
테이프 지지물(62,64)에는 테이프(28)의 길이축 "L"을 따라 뻗어 있는 곡선 지지면(76,78)이 제공되어 있다. 테이프 지지물(62,64)의 내표면 윤곽은 변환드럼(68)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 사이의 갭을 최소화한다. 제 5도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지지물(62,64)과 변환드럼(68) 사이의 갭(84)은 균일하고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지지물(62,64)의 직선 외측단부(86,88)는 테이프(28)의 길이축 "L"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이러한 직선 외측단부(86,88)는 테이프(28)가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되어 있는 변환드럼(68)의 단면(66)을 통과할 때, 테이프를 일반적으로 평면인 형상으로 유지한다. 테이프(28)는 비평면의 단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1도 및 제 2도 참조).
테이프 지지물(62)은 변환드럼(68)의 단면(66) 위로 뻗어 있기 때문에, 변환 경로(74)의 비접촉 세그먼트(92)에 근접하여 하나의 분리부(90)가 형성된다. 테이프 지지물(64)은 변환기(72)의 변환경로(74)의 판독/기록위치(94)에서 테이프(28)와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 11도 및 제 12도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변환드럼(68)에는 저압원(도시없음)에 접촉되어 있는 중앙홀(100)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홀(100)과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통하여 있는 일련의 저압분포슬롯(102)이 저압상태를 변환기(72) 가까이에 분포시켜 테이프-헤드 접촉을 높일 수 있도록, 단면(66)내에 제공되어 있다.
제 5도는 변환경로(74)의 이론적인 최대 판독/기록위치(94)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제적으로, 테이프 단부의 일부는 사용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각 단부의 0.007"(0.1778mm)는 사용되지 아니한다. 표준 쿼터인치 테이프(6.35mm)에 있어서, 미사용 부분은 테이프 폭의 6.0%이다. 이러한 사실은 테이프의 이용 결과로서 발생되며, 변환드럼을 테이프의 단부와 교차하게 하면 테이프가 손상되고, 변환기(72)가 마모될 수 있기 때문에, 변환드럼은 테이프의 단부와 직접으로 교차하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68)의 직경은 테이프(28)의 폭(96)보다 크기 때문에, 각(α)은 180도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도 사이이다. 단면(68)의 주변과 테이프 지지물(64)의 내표면(82) 사이의 갭(84)은 테이프(28)가 최대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작다. 그외에도, 갭(84)이 균일한 경우에는 크로스-웨브 장력 변동이 최소화한다.
제 6도는 단면(124)의 표면 기준면(128) 위로 뻗어 있는 테이프 지지면 또는 리지(122)가 제공된 다른 변환드럼(120)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변환기 장력 슬롯(126)이 변환기(도시없음)를 유지하기 위해 테이프 지지면(122)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변환기는 표면(122) 위로 약 0.0015"(0.0381mm) 이하만큼 돌출하여 있다. 헤드의 돌출이 표면(122)에 관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내로의 변환기의 침투도 고정되어 있어서, 변환경로중 판독/기록위치의 더 긴 부분에 걸쳐 헤드-테이프 침투가 더 양호하게 된다. 이러한 표면(122)은 평면, 곡선 또는 기타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지지면(122)은 테이프(도시없음)의 표면상에 얹혀지는 안정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변환기와 함께 회전한다. 드럼(120)이 회전하고, 표면(122)이 테이프의 평면내로 밀려가는 때에는, 테이프는 그 장력으로 인하여 표면(122)에 대해 편편하게 된다. 표면(122)은 경질재료로 만들어져 있거나, 마모와 테이프 마찰에 견딜만한 코팅이 제공되어 있다. 0.25"(6.35mm)의 넓은 테이프를 사용하는 일실시예에서는, 표면(122)의 폭은 약 0.218"(5.537mm)이고, 전체 직경은 0.70"(17.78mm)이다.
제 7도는 테이프 지지면(152)이 단면(158)의 기준면(156) 위로 뻗어 있는 변경된 변환드럼(150)을 도시한 것이다. 변환기용 장착슬롯(154)이 제공되어 있다. 0.25"(6.35mm)의 넓은 테이프를 사용하는 일실시예에서 테이프 지지면(152)의 폭은 약 0.78"(19.81mm)이고, 전체 직경은 0.56"(14.22mm)이다. 이러한 표면(152)은 평면, 곡선 또는 기타 적당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 17도는 단면(374)의 외주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능동적 테이프 지지면(372)이 제공된 다른 변환드럼(37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드럼(370)의 일측면에는 인접한 변환기(378)와의 접촉으로부터 테이프(28)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하나의 수동적 테이프 지지암(376)이 제공되어 있다. 변환기(378)는 수동적 테이프 지지암(376)에 마주하여, 판독/기록위치(379)에 따라 테이프(28)와 접촉한다. 일부 응용에 있어서는, 테이프(28)가 단면(374)상에 놓일 수도 있다.
능동적 테이프 지지면(372)의 기준면은 수 미크론(0.001 내지 0.005mm)만큼 변환기(378) 아래쪽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테이프(28)의 물리적 단부 근방에서의 헤드-테이프 접촉이 향상되고, 테이프를 가로질러 변환기의 원호에 걸쳐 더 일관된 기록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 18도는 능동적 테이프 지지면(384)이 단면(382)의 원주둘레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른 변환드럼(38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변환기(386)는 드럼(380)의 원주내에 파여있는 오목한 장착슬롯(388)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슬롯(388)은 제 7도에 도시된 것보다 더 깊기 때문에, 변환기(386)는 수동적 테이프 지지암(390)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제 8도는 외부 덮개부(70)에 부착된 테이프 지지 플랫폼(170)이 포함되어 있는 테이프 지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 테이프 지지 플랫폼(170)은 테이프(28)와 변환드럼(68)의 단면(66) 사이에 끼워져 있다. 외측 테이프 지지면(172,174)에는 테이프(28)의 길이축 "L"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테이프전이단부(176,178)가 제공되어 있다.
테이프 지지 플랫폼(170)에는 변환기(72)가 변환경로(74)를 따라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원형변환슬롯(180)이 있다. 한쌍의 내측 테이프 지지면(182,184)이 외측 테이프 지지면(172,174)에 인접하여 제공되어 있다. 하나의 변환기 개구(186)가 내측 및 외측 테이프 지지면(172,174,182,184) 사이에 위치하여 있다. 이와 같이 넓은 테이프 지지면(172,174,182,184)은 변환기(70)에 관한 테이프(28)의 기계적 안정성을 높여준다.
상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 지지면(172,182)은 테이프(28)가 변환경로(74)의 비접촉세그먼트(190)를 따라 변환기(72)와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융기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변환드럼(68)을 테이프 지지 플랫폼(170)에 관련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하 테이프 단부 가이드(196, 198)는 테이프 지지 플랫폼(170)에 기계적 안정성을 더하여 준다. 상하 테이프 단부 가이드(196, 198)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의 폭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상하 가이드(196, 198)가 실제로 테이프(28)를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감압상태를 테이프(28)에 전달하여, 변환경로(74)의 판독/기록위치(194)에서, 변환기(72)와 테이프(28) 사이의접촉을 크게 하기 위하여, 중앙홀(192)이 제공되어 있다.
테이프 지지 플랫폼(170)은 테이프(28)에 더 큰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하고, 변환기(72)와 테이프(28) 사이에 더 높은 압력을 허용하여, 실질적으로 테이프(28)의 전체 폭에 걸쳐 양호한 헤드-테이프접촉을 제공함으로써 신호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대량생산중에 발생하는 변환기 침투차에 덜 민감하고, 수직운동과 회전헤드 변환기를 연동시킬 필요를 감소시키는 테이프단부가이드를 제공한다.
제9도는 회전 헤드 변환기의 접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2)내에 유지되는 테이프(200)를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 가이드(204)와 랩 핀(206)은 판독/기록존(208)의 서로 반대되는 양측면상에서 카트리지(202)에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가이드(204)와 랩 핀(206)은 회전하지 아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지지물(204)은 테이프가 회전변환기(도시 없음)의 단면에 대한 상보적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곡선으로 할 수 있다. 제10도는 곡선중앙부분(214, 216)과 직선단부부분(218, 220)을 가진 챔퍼형 테이프 가이드(210)와 랩 핀(212)을 도시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는 테이프 가이드(204)의 윤곽은 일정하고, 가이드(204)의 중앙에서의 깊이는 0.005''(0.127mm)이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가이드(210)에 상단에서 하부플랜지까지 뻗어있는 챔퍼가 있고, 가이드의 중앙에서의 절단깊이는 0.05''(0.127mm)이다.
그러나, 테이프 가이드(204, 210)가 그 둘레에서 90도보다 더 큰 랩 각도로 결합된 테이프의 예비성형으로 인하여, 테이프내에서 유발되는 큰 변형 때문에 점점 가늘어지는 경우에는, 테이프단부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테이프 가이드(240,210)는 테이프상에 테이프 마모를 촉진시키는 복심곡선을 제공한다. 반면에, 랩 핀(206, 212) 둘레의 작은 랩 각도는 테이프의 마모를 상당히 적게 한다.
제15도는 테이프 가이드(222)에 직선단부(224)가 제공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테이프(200)를 구부리기 위한 곡선형 또는 챔퍼형의 랩 핀(226)이 제공되어 있다. 구부러진 랩 핀(226)의 장점은 핀(226)에서의 작은 랩 각도 테이프변형을 최소화한다는 점이다.
제22도는 회전하지 아니하는 비대칭테이프 가이드(41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테이프 가이드(410)에는 랩 각도의 대부분에 대하여, 테이프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직선단부(412)와 테이프(200)를 감싸거나 예비성형하여 회전변환기(도시 없음)의 단면과의 양호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독/기록존(208)에 인접한 곡선단부가 제공되어 있다. 대칭랩핀(416)은 비대칭테이프 가이드(41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제26도는 우측 마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변환드럼(460)의 편요각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제3도 참조), 판독/기록위치(462)가 테이프카트리지(468)상의 랩 핀(464)으로부터 거의 "d"의 거리에 한정되어 있다. "d"의 거리는 약 0.1" 내지 0.4"이다.
판독/기록위치(462)가 테이프 가이드(472)에 인접되도록, 변환드럼(460)의 편요각을 역전시키면, 코너테이프 가이드(472)와 단면 사이에 형성된 테이프 랩 각도가 급속히 증대된다. 양호한 변환기(466)-테이프(470)결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이프 랩 앵글의 범위를 제한한다. 제26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여, 변환기(466)는테이프(470)내로 더 깊이 침투하여 변환기-테이프계면을 향상시키고, 제조상의 변수에 대한 더 큰 공차를 허용한다. 그외에도, 판독/기록위치(462)를 테이프 가이드(472)로부터 더 이동시키면, 변환드럼(460)과 결합될 수 있는 테이프(470)의 간격이 그 만큼 더 커짐으로써, 드럼(460)이 축방향으로 런아웃(runout)된 임팩트를 최소화한다. 우측 마찰은 변환드럼(460)상에서 곡선, 원추형 또는 구형단면(474)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1도 및 제2도 참조). 판독/기록위치와 랩핀 사이의 간격 "d"이 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테이프평면내로 더 침투할 필요가 있고, 이는 테이프가 변환드럼의 비능동측면 둘레를 감싸게 할 수 있다.
제23도는 테이프 지지 패드(422)가 판독/기록존(208)내에서 테이프(200)의 뒤에 위치한 카트리지(420)를 도시한 것이다. 테이프 지지 패드(422)는 변환기가 판독/기록위치에 따라 가로지르는 경로에 대응하는 곡선 슬롯(424)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변환기에드는 테이프(200)가 변환기헤드를 둘러쌀 수 있도록 곡선 슬롯(424)내로 돌출할 수 있다. 테이프 지지 패드(422)는 예를 들면 펠트 또는 섬유 재료와 같이 유연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테이프 지지 패드(42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재료로도 구성할 수 있다.
테이프카트리지는 카트리지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테이프 드라이브상의 기계적 멈춤부재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테이프 드라이브에 대해 위치결정할 수 있다. 제24도 및 제25도는 테이프 카트리지(432)를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332)에 의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다른 테이프위치결정시스템(430)을 도시한 것이다(제16도 참조). 장착 플렌지(320)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결정암(434)(제16도 참조) 테이프 가이드(438) 상에서 하부플렌지(436)와 접촉하여 있다. 위치결정암(434)을 장착플렌지(320)상에 장착시킴으로써, 테이프 가이드(438)와 변환어셈블리(322) 사이의 공차의 증대가 최소화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위치결정암(434)을 회전 헤드 변환 어셈블리(322)에 가까운 적당한 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
위치결정암의 원단부(distal end)(440)에는 카트리지(432)상에서 하부플랜지(436)와 원활하게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구부러지거나 각이 진 면(442)이 제공되어 있다. 단면(444)에도 플렌지(436)의 원형프로필에 근사한 수직으로 향한 V자형 또는 곡선의 윤곽(452)이 제공되어 있다.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암(434)의 단면(444)은 플렌지(436)를 지나서 테이프(446)와 접촉할 만큼 충분히 멀리 뻗어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카트리지(432) 내에서의 테이프의 운동이 방해를 받지 아니한다. 위치결정암(434)의 단면(444)은 상부플렌지(450)와 접촉하거나, 2개의 플렌지(436, 450)와 동시에 접촉하게 구성할 수 있다. 위치결정시스템(430)은 카트리지(432)를 적재기구내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접촉하게 된다(제16도 참조). 적재기구는 테이프 커버(448)를 개방하여 테이프(446)를 노출시킨다. 삽입이 완료된 후, 테이프 가이드(438)의 하부플렌지(436)는 기계적으로 면(442)과 접촉한다.
제11도는 챔버(236)내로 도입되는 변환드럼통기공(234)과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통하여 있는 중앙홀(232)이 제공된 회전 헤드 변환기(23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챔버(236)내의 압력상승을 완화하기 위한 외부 덮개부 공기구멍(238)이 제공되어 있다. 외부 덮개부(242)의 내측면과 변환드럼(244) 사이에는 밀봉부(240)가 배치되어 있다. 변환드럼(244)의 외측면에는 중앙홀(232)을 통하여 공기를 화살표(248) 방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블레이드(246)가 부착되어 있다.
블레이드(246)는 단면(258)과 테이프(도시 없음) 사이의 지면에서 주위압력 보다 낮은 압력이 생기게 하기 위한 고정자로서 덮개부(242)를 이용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258)내의 저압분포슬롯(256)은 공기를 중앙홀(232)을 거쳐 흐르게 하기 때문에, 변환기(72)에 인접하여서는 주위압력 이하의 압력이 생긴다.
제12도는 변환드럼(도시 없음)의 단면(258)을 실질적으로 덮는 다른 테이프 지지 플랫폼(250)을 도시한 것이다. 단면(258)이 실질적으로 테이프 지지 플랫폼(250)에 의하여 밀봉되기 때문에, 감압상태는 일반적으로 변환기개구(254) 가까이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28)가 개구(254)쪽으로 끌려가서 지나가는 변환기(72)와 더 양호하게 접촉하게 된다.
제21도는 변환드럼(도시 없음)의 단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또다른 테이프 지지플렛폼(4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변환기개구(408)에 인접하여 있는 중앙홀(404)과 저압분포슬롯(406)은 테이프 지지 플랫폼(400)의 테이프 지지면(402) 쪽으로 파여져 있다. 저압상태는 테이프 지지면(402)으로 테이프를 끌어당겨서 변환기(72)가 변환기 개구(408)에서 테이프(28)와 밀접하게 접촉하게 한다.
제13도는 다른 회전변환드럼(270)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여기에서 변환기판(272)에는 공기(278)를 단면(272)으로부터 공기갭(276)을 통하여 끌어들이기 위하여 공기갭(276)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구멍(274)이 제공되어 있다.제14도는 8개의 변환기(280)와 이에 인접한 복수의 공기구멍(274)이 포함되어 있는 변환기판(272)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실시예에서는 변환기의 수를 여러 가지로 개시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기의 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전술한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변경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명확히 개시하는 특정한 실시예를 제공하는데 지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또는 이러한 실시예에 포함된 특정한 요소, 규격, 재료 또는 구성 등의 사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취지 및 범위 안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모든 변경 및 변형은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Claims (17)

  1. 테이프 카트리지(202)가 판독/기록 존(208)을 통하여 테이프(28)를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204, 210, 222, 410) 및 랩 핀(206, 212, 226, 416)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 및 랩 핀 양쪽의 외부 직경에 접하는 라인이 기준 라인을 형성하고, 세로축이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도록 자기 테이프(28)가 판독 및 기록 장치내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202)내에 자기 테이프(28)를 접촉시키기 위한 판독 및 기록 장치(300)로서,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한 단면(30, 30', 30")을 가지며, 회전축이 상기 기준 라인과 경사각을 형성하는 제공된 회전 변환기 캐리어(32, 32', 32"); 및
    변환기가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는 호상 변환 경로를 추종하도록 상기 회전 변환기 캐리어(32, 32', 32")의 단면(30, 30', 30")상에 배치된 테이프(28)를 측면으로 가로질러 호상 정보 트랙을 판독 및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에 가장 밀접할 때의 포인트에서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으로부터 적어도 0.1"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와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에 가장 밀접할 때의 포인트에서 0.1"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30, 30', 30")은 원뿔형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기준 라인을 통과하여 약 0.0015"이하로 침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상기 단면(30, 30', 30") 위로 0.0005" 내지 0.001" 정도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6. 테이프 카트리지(202)가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여 테이프(28)를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204, 210, 222, 410) 및 랩 핀(206, 212, 226, 416)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204, 210, 222, 410) 및 랩 핀(206, 212, 226, 416) 양쪽의 외부 직경에 접하는 라인이 기준 라인을 형성하고, 세로축이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도록 자기 테이프(28)가 판독 및 기록 장치내에 장착되는 판독 및기록 장치로서, 상기 판독 및 기록 장치(300)는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한 단면(30, 30', 30")을 가지며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서 테이프(28)를 통과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 변환 캐리어(32, 32', 32"), 및 변환기가 변환 경로의 중앙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판독/기록 존(208)을 통해 호상 변환 경로를 추종하도록 회전 변환 캐리어(32, 32', 32")의 단면(30, 30', 30")상에 배치된 테이프(28)를 측면으로 가로질러 호상 정보 트랙을 판독 및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트리지(202)내에 자기 테이프(28)를 접촉시키기 위한 판독 및 기록 장치(30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상기 판독/기록 존(208)을 따라 약 0.0015" 이하로 기준 라인을 통과하여 침투하도록 테이프(28)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한 테이프 지지 시스템(40)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지지 시스템은 상기 테이프(28)와 접촉하는 테이프 지지표면(30, 30', 30", 352, 362)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28)를 측면으로 가로질러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지지부(32, 32', 32", 350, 360)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지지표면(30, 30', 30", 352, 36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지지표면(30, 30', 30", 352, 362)의 제 1 부분이 상기 테이프 지지표면(30, 30', 30", 352, 362)의 제 2 부분보다 테이프(28) 평면쪽으로 더 뻗을 수 있도록 곡선 모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상기 단면(30,30', 30") 위로 0.0005" 내지 0.001"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상기 판독/기록 존(208)을 따라 0.0015" 이하로 기준 라인을 통과하여 침투하도록 상기 테이프(28)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한 테이프 지지 시스템(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지지 시스템(40)은 같은 양만큼 상기 기준 라인을 통과하여 뻗어있는 제 1 및 제 2 테이프 지지표면(352, 362)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단면(30, 30', 30") 위로 0.0005" 내지 0.001"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10. 세로축이 판독 및 기록 장치에서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도록 자기 테이프(28)가 장착되고, 상기 판독 및 기록 장치가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한 단면(30, 30', 30")을 가지며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서 테이프 평면을 통과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 변환 캐리어(32, 32', 32") 및 상기 변환기가 변환 경로의 중앙에 대응하는 회전축을 가진 상기 판독/기록 존(208)을 통해 원형 변환 경로를 추종하도록 회전 변환 캐리어(32, 32', 32")의 단면(30, 30', 30") 상에 배치된 테이프(28)를 측면으로 가로질러 호상 정보 트랙을 판독 및 기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를 포함하는,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서 변환기와 자기 테이프(28)를 접촉시키기 위한 판독 및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판독/기록 존(208)을 따라 기준 라인을 통과하여 침투하도록 상기 테이프(28)를 위치 설정하기 위해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하고, 상기 테이프(28)를 지지하기 위해 기준면 위로 뻗어있는 단면(30, 30', 30")상의 테이프 지지부를 구비한 테이프 지지 시스템(40)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의 회전축에 수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를 포함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지지단면(30, 30', 30")은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단면(30, 30', 30") 위로 0.0005" 내지 0.001"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
  13. 테이프 카트리지(202)가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여 테이프(28)를 가이드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204, 210, 22, 410) 및 랩 핀(206, 212, 226, 416)을 포함하고, 테이프 가이드(204, 210, 222, 410) 및 랩 핀(206, 212, 226, 416) 양쪽의외부 직경에 접하는 라인이 기준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자기 테이프(28)의 세로축이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도록 상기 카트리지(202)가 판독 및 기록 장치(300)에 장착가능한, 테이프 카트리지(202)에 자기 테이프(28)를 접촉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록 존(208)에 인접한 단면(30, 30', 30")을 가지며, 기준 라인과 경사각을 형성하는 회전축을 가진 회전 변환 캐리어(32, 32', 32")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기가 상기 판독/기록 존(208)을 통과하여 호상 변환 경로를 추종하도록 상기 회전 변환 캐리어(32, 32', 32")의 단면(30, 30', 30")상에 배치된 테이프(28)를 측면으로 가로질러 호상 정보 트랙을 판독 및 기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에 가장 밀접한 때의 포인트에서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으로부터 적어도 0.1"에 배치되는 테이프 접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와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가 상기 랩 핀(206, 212, 226, 416)에 가장 가까울 때의 포인트에서 0.1" 내지 0.4"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촉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30, 30', 30")은 원뿔형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촉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약 0.0015" 이하로 상기 테이프 표면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촉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34, 34', 34")는 상기 단면 위쪽으로 0.0005" 내지 0.001"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접촉 방법.
KR1019970703129A 1994-11-10 1995-11-08 호상주사회전헤드용테이프지지시스템 KR100402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694194A 1994-11-10 1994-11-10
US08/336,941 1994-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537A KR970707537A (ko) 1997-12-01
KR100402302B1 true KR100402302B1 (ko) 2004-02-14

Family

ID=2331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129A KR100402302B1 (ko) 1994-11-10 1995-11-08 호상주사회전헤드용테이프지지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91218B1 (ko)
JP (1) JPH11501436A (ko)
KR (1) KR100402302B1 (ko)
CN (1) CN1168735A (ko)
DE (1) DE69516895T2 (ko)
WO (1) WO199601553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2834A2 (en) * 1992-06-03 1993-12-08 Verbatim Corporation Tape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1993026005A2 (en) * 1992-06-12 1993-1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cuate scanning tape driv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2569A (en) * 1977-01-12 1979-10-30 Newell Research Corporation Tape transport system with peripheral belt drive
US4274120A (en) * 1979-01-22 1981-06-16 Bell & Howell Company Information recording methods and apparatus
US4534031A (en) * 1982-08-02 1985-08-06 News Log International Coded data on a record carrier and method for encod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2834A2 (en) * 1992-06-03 1993-12-08 Verbatim Corporation Tape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1993026005A2 (en) * 1992-06-12 1993-1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rcuate scanning tape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6895T2 (de) 2000-12-07
WO1996015532A1 (en) 1996-05-23
DE69516895D1 (de) 2000-06-15
CN1168735A (zh) 1997-12-24
EP0791218B1 (en) 2000-05-10
KR970707537A (ko) 1997-12-01
JPH11501436A (ja) 1999-02-02
EP0791218A1 (en) 199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3526A (en) Tape guides for data cartridges
KR900004760B1 (ko)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지지기구
US20040228034A1 (en) Magnetic head assembly and magnetic tape servo signal writer
KR100402302B1 (ko) 호상주사회전헤드용테이프지지시스템
KR100380781B1 (ko) 호상스캔회전헤드용테이프지지시스템
US5774306A (en) Multi-channel, high speed, tape head contour
AU638028B2 (en) Magnetic-tape cassette
US6115218A (en) Tape support system for arcuate scan rotating head
US20030001037A1 (en) Flange guide for improved tape winding
US5179486A (en) Head positioning and tape support apparatus for data recorder
JPH06508713A (ja) 螺旋状テープスキャナー
WO1996015533A1 (en) Tape support system for arcuate scan rotating head
US4156258A (en) Head positioning device for multi-track tape recorders
US5450262A (en) Magnetic-tape apparatus with pivotably mounted magnetic head
JPH0413777Y2 (ko)
JP2831513B2 (ja) 磁気ヘッド装置
JPS62154364A (ja) 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US5488517A (en) System comprising a magnetic-tape cassette and a magnetic-tape apparatus, and magnetic-tape cassette, tape-cleaning means and tape-cleaning element for use in the system
JPS621593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200339958Y1 (ko) 테이프레코더의암텐션조립체
JPH01116917A (ja) 磁気記録再生ドラム
JP2002197626A (ja) 回転ドラム及びこれを用いた磁気テープドライブ装置
EP0542997A1 (en) Magnetic tape threading and guiding system for a helical scan recorder
CN1163010A (zh) 弧形扫描转动磁头用的磁带支承系统
KR19990077242A (ko) 3 롤러식 테이프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