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029B1 -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029B1
KR100402029B1 KR10-2001-0074173A KR20010074173A KR100402029B1 KR 100402029 B1 KR100402029 B1 KR 100402029B1 KR 20010074173 A KR20010074173 A KR 20010074173A KR 100402029 B1 KR100402029 B1 KR 100402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blast furnace
thrust
cok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149A (ko
Inventor
김부영
박상현
김석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0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풍구상에서 연소대(Race way) 안쪽의 노심내 코크스 충진층의 난 투과층 크기를 측정 랜스(Lance) 진입시의 추력에 대응하는 저항정도를 통해 확인하고, 난 투과층의 측정정도에 따라서 노심 코크스 상태를 개선하도록 조업 작동을 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노심코크스 난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휠을 장착하여 이동가능한 대차; 상기 대차상에서 고로의 풍구를 통하여 진입가능한 랜스를 전,후이동시키는 랜스 구동부;및, 상기 랜스의 후단에는 고로 내부로의 랜스 진입저항을 검출하는 로드셀을 장착하여 랜스 진입시의 추력저항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값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어 컴퓨터를 갖는 추력 측정부;를 구비하여 고로의 풍구 앞에서 발생되는 노심 코크스의 난 투과층(Bird's nest) 형성여부를 랜스의 추력저항이 변화됨에 따라서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 확인장치{AN APPARATUS FOR MONITORING BIRDS NEST IN BLAST FURNACE BY MEASURING THRUST FORCES}
본 발명은 고로의 풍구 앞 연소대(Race way) 끝 부분의 노심(爐芯)코크스
(Dead man coke)의 난 투과층(Bird's nest) 형성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로 풍구상에서 연소대(Race way) 안쪽의 노심내 코크스 충진층의 난 투과층 크기를 측정 랜스(Lance) 진입시의 추력에 대응하는 저항정도를 통해 확인하고, 난 투과층의 측정정도에 따라서 노심 코크스 상태를 개선하도록 조업 작동을 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노심코크스 난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장입된 철광석과 코크스를 하부에서 풍구(205)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환원 용융 시킴으로써 용선을 생산하는 고온고압의 반응기이다.
이러한 고로(200) 조업은, 고로(200) 하부의 통기 및 통액성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경제적 조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생산량을 증가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고로(200)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 고로(200)는 경제적인 조업수행을 위하여 값비싼 코크스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미분탄 사용비율을 증가하고 있으며, 고로(200)에서의 생산량 증가는 후 공정의 경제적 조업 수행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가능한 증산하는 조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 미분탄 취입, 코크스(Coke) 사용량의 저감, 저 품위 광석의 사용 등은 모두 고로(200)의 하부 통액성을 저해하는 조건들을 제공하여 노황 불안정 및 용선온도 편차발생 등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용선의 품질이 변동되고, 또한 비경제적 조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제1도는 고로(200) 조업시의 내부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와 같은 고로(200)에서는 용선온도를 1510±10℃로 관리하고 있는데, 고로(200)의 하부측 둘레에 다수개가 형성된 출선구(210)에서는 때로 어떤 출선구(210)에서 타 출선구(210) 보다 용선온도가 수십도 이상 높거나 혹은 낮게 나타나는 용선온도 편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일단 이러한 출선구(210)별 용선온도가 불균일한 현상이 발생하면, 이는 용선의 품질을 현격하게 저하시키므로, 이를 회복하는 데는장시간이 소요되며, 심한 경우 고로(200) 조업을 중단시키기 까지도 한다.
현재는 이러한 용선온도의 편차 발생시, 가장 낮은 용선온도를 기록한 출선구(210)를 기준으로 하여 용선온도를 높이기 위한 노열상승 조치를 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고로(200)의 연료비를 증대시켜 용선원가를 높이며, 또한 노 하부의 전체적인 열 레벨(Heat Level)을 높여 내화물침식을 진전시키는 등 고로(200) 조업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고로(200) 조업에서 고 출선비, 고 미분탄 취입 지향조업을 하는 경우, 고 출선비 조업시 노내 용융물(220)의 레벨이 상승하고, 고 미분탄 취입 조업시에는 미연소 석탄(COAL)이 노심(225)에 축적되어 노심내의 용융물 통액성이 악화되며, 그에 따라서 노 하부의 용융물 배출불량 및 출선구(210)별 용선온도 편차가 발생되어 노 하부의 양호한 통액성 확보를 위한 제어방안의 도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고로(200) 조업에 장입되는 코크스는 입경이 35∼55mm 정도이고, 광석과 함께 장입 수순에 의해 노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장입하여 고로(200) 상부에서 안정된 가스흐름을 유도하여 통기성 및 가스 이용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고로(200)의 중앙부근에서는 중심부 온도가 높고, 중간부 및 벽부의 가스흐름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연화융착대(230)를 형성한다.
그리고, 고로(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용선 및 슬래그는 4방향에서 교대로 출선구(210)를 통하여 약 120분 간격으로 고로 원주방향의 33도, 147도, 213도, 327도의 방향으로 용융물 배출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고로(200)의 연화 융착대(230)에서 생산된 용융물(220)은 고로(200) 하부의 노심 코크스(225)를 통과하여 노저 바닥부로 고이고 상기의 출선작업으로 노외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노심 코크스(225)의 입경 크기가 용융물(220)의 원활한 배출여부를 지배하는 요인이 되며, 노심 코크스(225)의 입경이 작으면 작을수록 노심 코크스(225)층 내에 용융물(220)이 혼합되는 량이 많으므로 인하여 노심코크스(225) 입경 내에 통기성 및 통액성이 극히 불량해져 노황불안정의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미분탄을 다량으로 취입하는 고로(200)에서는 풍구(205)앞의 연소대(Race way)(232) 끝 부위에서 열풍이 노심 코크스(225)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는 난 투과층(Birds nest)(24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 연소 석탄(COAL)에 의해 축적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난 투과층(240)은 미분탄을 다량 취입하는 고로(200)에서 이러한 현상은 확인되고 있으나, 난 투과층(Birds nest)(240)의 크기나 그 정도는 파악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첫째,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정기수리시 풍구(205) 에서 코크스 샘플링을 실시하여 코크스 입경을 판단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샘플을 채취하고 분석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종래에는 노심의 미연소 석탄(COAL)의 축적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수단이 언급되지 않아서 고로(200) 하부의 풍구(205) 앞의 연소대(Race way)(232)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난 투과층(Birds nest)(240)의 크기나 그 부피를 확인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로 풍구 상에서 연소대(Race way) 안쪽의 노심내 코크스 충진층, 즉 난 투과층(Birds nest)의 크기를 측정랜스(Lance) 진입시의 진입거리에 따른 저항정도, 즉 추력을 확인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심 코크스 상태를 개선하도록 하는 조업 작동을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된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일반적인 고로 조업 내부 상황을 나타낸 설명도;
제 2도는 송풍시와 휴풍시의 고로 내부 상황을 표시한 개념도로서,
a)도는 송풍시의 내부 상황도,
b)도는 휴풍시의 내부 상황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 확인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 확인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5도는 일반적인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발생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 확인장치를 통한 추력측정 결과를 비교 표시한 그래프도로서,
a)도는 난 투과층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그래프도,
b)도는 난 투과층이 존재하는 경우의 그래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휠 10..... 이동 대차
15.... 랜스 구동부 18..... 에어 모터
23.... 피니언 기어 27..... 래크 기어
30.... 가이드 35..... 로드 셀
40.... 추력 측정부 42..... 제어 컴퓨터
60.... 진입 거리 측정부 62..... 엔코더
65.... 롤러 200.... 고로
205... 풍구 220.... 하부 송풍지관
225... 노심 코크스 240.... 난 투과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로의 풍구 앞 연소대 끝 부분의 노심(爐芯) 코크스(Dead man coke)의 난 투과층(Bird's nest) 형성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휠을 장착하여 이동가능한 대차; 상기 대차상에서 고로의 풍구를 통하여 진입가능한 랜스를 전,후이동시키는 랜스 구동부;및, 상기 랜스의 후단에는 고로 내부로의 랜스 진입저항을 검출하는 로드셀을 장착하여 랜스 진입시의 추력저항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값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어 컴퓨터를 갖는 추력 측정부;를 구비하여 고로의 풍구 앞에서 발생되는 노심 코크스의 난 투과층(Bird's nest) 형성여부를 랜스의 추력저항이 변화됨에 따라서 검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1)는 도 3에 상세히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휠(5)을 장착하여 이동가능한 대차(10)를 구비하는 바, 상기 대차(10)는 작업자가 탑승가능한 대차(10)이거나, 혹은 리모콘(미도시) 작동에 의해서 그 주행이 제어되는 무인 탑승식 대차(10)일 수 있으며, 그 하부에 장착된 휠(5)은 단순한 원형 바퀴이거나, 혹은 무한 궤도식의 휠(5)을 장착할 수 있고, 레일(미도시)상에서 이동가능한 궤도차량일 수 있으며, 이러한 대차(10)는 당업계에서 중량물을 이송하는 통상적인 차량이면 되므로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대차(10)상에서 고로(200)의 풍구(205)를 통하여 진입가능한 랜스(12)를 전,후이동시키는 랜스 구동부(15)를 갖는 바, 상기 랜스 구동부(15)는 측정랜스(12)의 진입을 위하여 에어모터(Air motor)(18)가 이동대차(10)의 상판(10a)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모터(18)에는 에어공급라인(19a)과 에어배출라인(19b)이 설치된다. 또한, 에어모터(18)의 동작시 에어모터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23)의 회전에 의해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이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이동대차(10)의 상판에는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구동 베이스 가이드(30)가 장착되고, 그 위에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과 래크기어(27)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베이스 상판(25)은 구동 베이스 가이드(30)상이 활주이동가능 하도록 얹혀져 장착되고, 그 일측으로는 래크기어(27)가 장착되고, 상기 래크기어(27)에는 에어모터(18)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피니언 기어(23)가 치차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의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된다. 즉, 래크기어(27)는 구동 베이스 상판(25)에 장착되고, 에어모터(18)는 이동대차(10)의 상판(18a)에 장착됨으로써 에어모터(18)의 작동으로 상기 구동 베이스 상판(25)은 구동 베이스 가이드(30)를 따라서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랜스(12)의 후단에는 고로(200) 내부로의 랜스(12) 진입저항을 검출하는 로드셀(35)을 장착하여 랜스(12) 진입시의 추력저항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값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어 컴퓨터(42)를 갖는 추력 측정부(40)를 갖추는 바, 상기 추력 측정부(40)는 구동 베이스 상판(25)위에 지지봉(45)이 고정되어 그 선단에 로드 셀(35)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로드 셀(35)은 구동 베이스 상판(25)과 일체로 전,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셀(35)의 전단에는 랜스(12)의 후단이 연결되며, 상기 랜스(12)는 대략 6미터(m) 정도의 길이를 갖춘 고로(200)의 출선구(210) 굴착용 개공 비트(Bit)를 적용하고, 대차(10)의 전방측에는 랜스(12)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랜스 유도관(47)과 유도관 지지대(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추력 측정부(40)는 로드셀(35)과 랜스(12)의 연결을 위하여 로드 셀(35)의 전단에는 랜스 연결용 중공 소켓(Socket)(52)이 설치되고, 상기 소켓(52)의 일측으로는 에어퍼지라인(Air purge line)(54)이 내측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소켓(Socket)(52)의 전단 내측으로는 랜스(12)의 후단에 형성된 숫나사부(12a)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랜스(12)는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소켓(52)에 결합되는 경우, 에어퍼지 라인(54)으로 부터의 냉각용 공기가 랜스(12)의 내부로 진입하여 랜스(12)를 냉각시킴으로써 고로(200)의 고온으로 부터 랜스(12)가 보호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의 뒤쪽 끝 부위에는 진입거리 측정부(60)가 설치되어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이 구동 베이스 가이드(Base Guide)(30)를 따라 전진시 그 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진입거리 측정부(60)는 엔코더(Encorder)(62)를 갖추고, 상기 엔코더(62)의 축(62a)에는 롤러(65)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65)는 구동 베이스 가이드(Base Guide)(30)의 상부 일면에 밀착되어 구동 베이스 상판(25)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엔코더(62)는 롤러(65)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추력 측정부(40)는 이동대차 상판(10a)에서 상기 측정 랜스(12)의 노내 노심코크스 진입시, 그 진입거리 연산과 추력측정결과의 수집을 위해 상기 로드 셀(35)과 케이블(35a)로 연결되고, 또한 진입거리 측정부(60)의 엔코더(62)에 케이블(62a)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 컴퓨터(42)를 일측에 구비하는 것이다.
마 설명 부호(70)는 대차(10)및 동력 제어용 콘트롤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풍구(205) 앞의 연소대 끝 부위의 노심 코크스(Dead man coke)(225) 영역에 존재하는 난 투과층(Birds nest)(240)의 확인을 위해 정기수리시나 임시 휴풍시 사용되며,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하부송풍지관(242)을 교체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풍구(205)와 열풍 환상관(270)을 이어주는 하부송풍지관(242)의 교체는 2~3개씩 실시하게 되고, 노심 코크스(Dead man coke)(225) 영역에 존재하는 난투과층(Birds nest)(240)의 확인을 위한 추력측정은 본 발명의 구조상 상기의 취외된 하부송풍지관(242)의 자리에서만 가능하게 된다.
먼저, 추력측정을 할 해당영역이 결정되고, 하부송풍지관(242)이 취외되면, 본 발명은 대차(10)를 이용하여 해당장소까지 이동하게 되고, 풍구(205) 안쪽의 노심 코크스(225) 영역으로 측정랜스(12)가 진입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대차(10)의 위치 고정이 완료되면, 측정랜스(12)를 풍구(205)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거리 측정부(60)의 엔코더(62)의 "0"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에어모터(18)의 에어공급라인(19a)과 측정랜스(12)의 에어공급라인(54)에는 에어(Air)를 연결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용 제어 컴퓨터(42)등에 콘트롤(Control) 전원을 투입하게 됨으로써 측정 준비과정이 끝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추력측정이 시작되면, 에어가 공급되면서 에어모터(18)가 가동되고, 동시에 측정랜스(12)측으로 냉각용 에어가 공급된다. 따라서, 에어모터(18)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23)의 회전력이 구동베이스 가이드(Guide)(30)의 일측에 위치한 구동베이스 상판(25)의 래크기어(27)로 전달되어 구동베이스 상판(25)이 전진하게 되고, 추력 측정용 로드 셀(35)이 장착된 구동베이스 상판(25)이 구동베이스 가이드(30)를 따라 전진하게 되며, 측정랜스(12)는 풍구(205)의 선단으로부터 노심 코크스(225) 영역으로 진입되면서, 노심 코크스 충진층을 지나면서 받는 저항력을 추력 측정용 로드 셀(35)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베이스 상판(25)의 뒤쪽 끝 부분에는 거리 측정부(60)의 롤러(Roller)(65)가 구동 베이스 가이드(30)의 상부 일면에 밀착되면서 회전하여측정랜스(12)의 진입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한 추력측정 결과와, 진입거리 측정결과는 제어 컴퓨터(42)로 보내지고 수치화되어 조업자에게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5도에서는 고 미분탄 조업중 풍구(205) 앞 연소대(Race way)(232) 끝 부분에서의 난 투과층(Birds nest)(240) 발생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미분탄 취입량이 많아질수록 심화되는 것을 실험결과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풍구(205) 앞의 연소대(Race way)(232) 끝 부분에 난 투과층(Birds nest)(240) 존재시에, 풍구(205)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의 가스기류 변화를 표시하였다.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류가 난 투과층(Birds nest)(240)을 뚫지 못하여 노심 코크스(225) 안쪽까지 충분하게 열 전달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즉, 난 투과층(Birds nest)(240)이 없을 경우에는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심 코크스(225) 안쪽까지 충분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지만, 난 투과층(Birds nest)(240)으로 인하여 열풍이 차단되는 것이다.
한편, 도6에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추력측정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도에서 도시된 측정결과에서 보여 주듯이 풍구(205)의 선단으로부터 2.5미터 진입시점까지의 추력(진입시 저항력)이 0.2ton 미만으로, 이는 난 투과층(Birds nest)(240)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이때의 노황 상태는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그 측정결과에서 보여 주듯이 풍구(205)선단으로부터 1미터 진입시점부터 추력(진입시 저항력)이 0.3ton 을 넘어서 최고 0.5ton까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풍구(205) 선단으로부터 1미터 지점부터 2.5미터 지점까지의 1.5미터 구간이 난 투과층(Birds nest)(240)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실제 이때의 노황 상태는 용선온도 편차의 발생, 출선시간 감소, 노 하부 통기저항의 증가 등 불량한 수준으로 나타 났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200)에서의 고 미분탄 취입작업시에 풍구(205)앞 연소대 끝 부위의 노심 코크스 영역에서 존재하는 난 투과층(Bird nest)의 크기와 분포영역의 결과치를 조업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하여, 난 투과층(Bird nest)(240)의 영역이 더 이상 증가하기 전에 미분탄 취입량의 일시적인 저감, 풍구(205) 유속의 상승등의 사전 조치작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용선온도의 편차 발생방지, 노내 통기저항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부가적으로 노황안정을 통한 용선 생산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고로의 풍구 앞 연소대 끝 부분의 노심(爐芯) 코크스(Dead man coke)의 난 투과층(Bird's nest) 형성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휠(5)을 장착하여 이동가능한 대차(10);
    상기 대차(10)상에서 고로의 풍구를 통하여 진입가능한 랜스(12)를 전,후이동시키는 랜스 구동부(15);및,
    상기 랜스(12)의 후단에는 고로 내부로의 랜스 진입저항을 검출하는 로드셀(35)을 장착하여 랜스 진입시의 추력저항값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값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어 컴퓨터(42)를 갖는추력 측정부(40);를 구비하여,
    고로의 풍구 앞에서 발생되는 노심 코크스의 난 투과층(Bird's nest) 형성여부를 랜스(12)의 추력저항이 변화됨에 따라서 검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 구동부(15)는 측정랜스(12)의 진입을 위하여 에어모터(Air motor)(18)가 이동대차(10)의 상판(10a)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모터(18)의 동작시 에어모터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23)의 회전에 의해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이 전, 후진 할 수 있도록 이동대차(10)의 상판에는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구동 베이스 가이드(30)가 장착되고, 그 위에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과 래크기어(27)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에어모터(18)의 작동으로 상기 구동베이스 상판(25)은 구동 베이스 가이드(30)를 따라서 전,후이동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 측정부(40)는 구동 베이스(Base) 상판(25)의 뒤쪽 끝 부위에 진입거리 측정부(60)가 설치되고, 상기 진입거리 측정부(60)는 엔코더(Encorder)(62)를 갖추고, 상기 엔코더(62)의 축(62a)에는 롤러(65)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65)는 구동 베이스 가이드(Base Guide)(30)의 상부 일면에 밀착되어 구동 베이스 상판(25)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엔코더(62)는 롤러(65)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그 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상기 엔코더(62)가 케이블(62a)을 통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 컴퓨터(42)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 측정부(40)는 로드셀(35)과 랜스(12)의 연결을 위하여 로드 셀(35)의 전단에는 랜스 연결용 중공 소켓(Socket)(52)이 설치되고, 상기 소켓(52)의 일측으로는 에어퍼지라인(Air purge line)(54)이 내측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소켓(Socket)(52)의 전단 내측으로는 랜스(12)의 후단에 형성된 숫나사부(12a)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52a)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랜스(12)는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것이고, 상기 연결 소켓(52)에 결합되는 경우, 에어퍼지 라인(54)으로 부터의 냉각용 공기가 랜스(12)의 내부로 진입하여 랜스(12)를 냉각시킴으로써 고로(200)의 고온으로 부터 랜스(12)가 보호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노심코크스 난 투과층(Birds nest) 확인장치.
KR10-2001-0074173A 2001-11-27 2001-11-27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KR10040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73A KR100402029B1 (ko) 2001-11-27 2001-11-27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73A KR100402029B1 (ko) 2001-11-27 2001-11-27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49A KR20030043149A (ko) 2003-06-02
KR100402029B1 true KR100402029B1 (ko) 2003-10-17

Family

ID=2957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73A KR100402029B1 (ko) 2001-11-27 2001-11-27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0602B (zh) * 2020-08-20 2022-04-01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高炉布料角度双编码器检测的实现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9109A (ja) * 1990-03-16 1991-11-29 Shiyouichi Yamada 合成樹脂製の箔状物若しくは線状物の集合物又は綿状物の製造方法
JPH0673420A (ja) * 1992-06-29 1994-03-15 Kawasou Denki Kogyo Kk 高炉の炉芯状況測定装置
JPH10317028A (ja) * 1997-05-14 1998-12-02 Nippon Steel Corp 炉内状況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9109A (ja) * 1990-03-16 1991-11-29 Shiyouichi Yamada 合成樹脂製の箔状物若しくは線状物の集合物又は綿状物の製造方法
JPH0673420A (ja) * 1992-06-29 1994-03-15 Kawasou Denki Kogyo Kk 高炉の炉芯状況測定装置
JPH10317028A (ja) * 1997-05-14 1998-12-02 Nippon Steel Corp 炉内状況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49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46335B (zh) 一种炼钢转炉炉门自动测温取样方法
CN101078653B (zh) 焦炉燃烧室温度测量系统及其测量方法
US20110193274A1 (en) Resident measurement system for charge level of blast furnace
CN110066901B (zh) 一种转炉炉门自动测温取样装置
CN105223332B (zh) 焦炭反应性试验自动化控制系统
CN111152236A (zh) 一种矿用带式输送机安全检测用巡检机器人
CN106141375A (zh) 一种大型支撑辊堆焊工作站及其操作方法
CN113832276B (zh) 一种高炉出铁智能化堵铁口自动控制方法
CN113201617A (zh) 一种高炉风口平台综合巡检装置及方法
KR100402029B1 (ko) 추력 측정에 의한 고로의 풍구 앞 노심코크스 난 투과 층확인장치
AU2018376727B2 (en) Translationally mobile charger
CN111627128A (zh) 适用于具有风口结构炉体的巡检方法及其智能巡检系统
CN212749927U (zh) 适用于具有风口结构炉体的智能巡检系统
CN219016166U (zh) 一种链箅机上罩耐火材料内衬移动巡检系统
KR940009664B1 (ko) 고로취입 미분탄의 역류 방지 자동제어 방법
CN110926885B (zh) 高炉风口带风取送机及取送方法
KR20110071733A (ko) 출강구 폐쇄기 투입장치
CN100587379C (zh) 单喷枪结构的rh精炼炉浸渍管喷补机
CN215953427U (zh) 一种回转窑热成像结圈检测装置
CN201027207Y (zh) 炼钢转炉碳温氧检测探头自动投放装置
JPH0832925B2 (ja) トピードカー内張耐火物の侵食寿命診断方法
CN204325412U (zh) Aod炉精炼系统
CN110669898B (zh) 一种120吨转炉溜槽的更换方法
CN216483541U (zh) 无接触式转炉连续测温装置
CN113804308A (zh) 无接触式转炉连续测温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