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555B1 -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555B1
KR100401555B1 KR10-2001-0047510A KR20010047510A KR100401555B1 KR 100401555 B1 KR100401555 B1 KR 100401555B1 KR 20010047510 A KR20010047510 A KR 20010047510A KR 100401555 B1 KR100401555 B1 KR 100401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sauce
cooking vessel
amount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170A (ko
Inventor
정강철
Original Assignee
정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강철 filed Critical 정강철
Priority to KR10-2001-004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5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잘게자른 닭고기에 대해 양념을 포함한 소스등을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소스층을 골고루 입히도록 한 것으로, 잘게자른 닭고기 및 양념을 포함한 소스를 수용하는 조리용기와, 닭고기의 양에 따른 소스량 및 소비자의 입맛에 따른 소스의 종류를 선택하여 계측된 양만큼 소스를 조리용기에 공급하는 소스 공급수단과, 조리용기에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수단과,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닭고기, 소스 및 식수를 제어부의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소스층을 입히는 교반기와, 닭고기의 양에 따라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대해 교반기의 블레이드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교반기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과, 단위 유닛트들이 내설되며 높이조절수단의 구동에 따라 교반기가 상승시 조리용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닭고기의 양에 따른 소스량 및 소비자의 입맛에 따른 소스의 종류가 선택되어 계측된 양만큼씩 혼합되므로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동시에 소스량의 정량화로 일정한 맛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최상의 양념통닭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mixing device for spices roast chicken and sauce}
본 발명은 잘게자른 조리된 튀김닭고기(또는 생닭고기)에 대해 양념을 포함한 소스(sauce) 등을 자동으로 교반하여 소스가 닭고기에 골고루 베이게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에 따른 구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잘게자른 조리된/비조리된 닭고기(이하에서, "닭고기" 이라함)와 투입되는 소스를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양념을 포함한 소스층을 신속하고 골고루 입혀 양념통닭 특유의 맛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 문화의 향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에 부응하기 위하여 닭고기 튀김 업소에서는 닭고기 외표면에 대해 양념을 포함하는 소스층을 입힌 소위, 양념통닭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입맛을 증가시키는 있는 것이다.
이때, 닭고기 외표면에 대해 양념을 첨가시 조리용기에 닭고기와 이와 상응하는 양의 양념을 포함한 소스를 투입하여 조리용기를 수작업에 의해 흔들거나, 닭고기를 도구로서 휘저어 소스가 닭고기 외표면에 버무려지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 닭고기와 양념이 투입된 조리용기를 흔들거나 또는 잘게자른 닭고기를 조리용기내에서 도구로서 휘젓는 경우, 양념이 닭고기에 대해 골고루 버무려지지않아 양념통닭 특유의 맛을 내기가 곤란하고,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됨은 물론, 닭고기에 대해 양념을 입히는 작업이 힘들고 번거로워 노동력이 가중되는 것이다.
또한, 업소에 많은 양념통닭의 주문량이 일시에 들어오는 경우, 수작업에 의해 닭고기에 대해 양념을 입히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소비자의 구매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조리용기에 닭고기의 양에 상응하도록 양념을 포함한 소스를 투입시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따라 주관적인 감각에 의한 판단으로 투입되는 양을 결정하게 되므로, 닭고기에 대한 소스의 양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거나 또는 과다하게 투입되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킬 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잘게자른 닭고기와 소스를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양념을 포함한 소스층을 신속하고 골고루 입혀 최상의 양념통닭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잘게자른 닭고기에 대해 소스층을 입히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일시에 많은 주문량을 처리하여 소비자가 장시간동안 기다리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를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닭고기의 양에 대하여 알맞은 양의 소스를 필요시마다 사용하므로 과다한 양의 소스를 혼합함으로서 발생되는 소스의 산패로 인한 식중독의 예방과 쓰고 남아 생활하수로 버려지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소비자의 식생활 및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닭고기의 양에 따라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소스량및 소비자의 기호도에 따라 소스의 종류가 선택되어 계측된 일정량이 투입되므로 양념통닭 특유의 맛이 베이게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의 개략적인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에서 조리용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에서 소스 저장용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의 개략적인 결합된 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조리용기
11; 조리공간
20; 소스 공급수단
30; 식수 공급수단
40; 교반기
41; 블레이드
50; 케이싱
51; 배출구
60; 이탈방지구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잘게자른 닭고기 및 양념을 포함한 소스를 수용하여 버무릴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조리공간(11)이 형성된 조리용기(10)와, 조리용기(10)에 대해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에 따른 소스량 및 소비자의 입맛에 따른 소스의 종류를 선택하여 계측된 양만큼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 공급수단(20)과,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소스에 혼합되도록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수단(30)과, 조리용기(10)내부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 소스 및 식수를 제어부(47)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소스층을 입히는 교반기(40)와,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에 따라 조리용기(10)의 바닥면에 대해 교반기(40)의 블레이드(41)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47)의 제어신호에 따라 교반기(40)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과, 단위 유닛트들이 내설되며 높이조절수단의 구동에 따라 교반기(40)가 상승시 조리용기(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51)가 형성된 케이싱(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교반기의 블레이드 상방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 회전으로 인해 조리용기로 부터 닭고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와, 이탈방지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잘게자른 닭고기를 교반시 뭉쳐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뭉침방지구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게자른 닭고기 및 양념을 포함한 소스를 수용하여 버무릴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조리공간(11)이 형성된 조리용기(10)와, 조리용기(10)에 대해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에 따른 소스량 및 소비자의 입맛에 따른 소스의 종류를 선택하여 계측된 양만큼의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 공급수단(20)과,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소스에 혼합되도록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수단(30)을 구비한다.
전술한 조리용기(10) 내부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 소스 및 식수를 제어부(47)의 제어신호에 따라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소스층을 입히는 교반기(40)와,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에 따라 조리용기(10)의 바닥면에 대해 교반기(40)의 블레이드(41)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47)의 제어신호에 따라 교반기(40)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단위 유닛트들을 함몰수용하며, 전술한 높이조절수단의 구동에 따라 교반기(40)의 상승시 조리용기(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51)가 형성된 케이싱(50)과, 잘게자른 닭고기를 전술한 블레이드(41)의 회전으로 인해 교반시 조리용기(10)로 부터 닭고기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60)와, 이탈방지구(6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잘게자른 닭고기가 교반시 뭉쳐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뭉침방지구(60a)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소스 공급수단(20)으로, 양념을 포함하는 소스를 수용하는 소스 저장용기(21)와, 제어부(47)로부터의 전기적신호 인가시 기설정된 소정시간동안 구동후 정지하는 모터(22)와, 소스의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시 소스 배출을 유도하는 임펠러(23)와, 모터(22)구동시 소스를 토출구(24)측으로 설정된 양만큼씩 배출시키는 소스반출용 기어(25)를 구비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식수 공급수단(30)으로, 수도관에 연결되어 식수를 저장하는 수조(31)와, 소스 저장용기(21)로 부터 소스를 조리용기(10)에 공급하는 슈트(26)에 수조(31)로 부터 식수를 토출시키는 토출관(32)과, 토출관(32)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어부(47)로 부터 전기신호 인가시 구동하여 토출관(32)의 토출구를 개방하는 밸브(33)를 구비한다.
전술한 조리용기(10)의 바닥면에 대해 블레이드(41)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전술한 교반기(40)가 장착된 프레임(44)을 제어부(47)의 미도시된 버튼을 조작시 구동하여 로프(45)를 권선시킴에 따라 교반기(4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용 모터(46)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술한 교반기(40)를 수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전술한 케이싱(50) 외측으로 상하조정용 레버(미도시됨)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 사용자에 의한 회전시 상하조정용 레버의 회전운동을 프레임(44)에 직선운동으로 전달하여 교반기(40)를 수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다.
미 설명부호 34는 토출관(32)의 토출구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드레인 콕, 42는 블레이드(41)를 회전축(43)을 통하여 회전시키는 모터, 4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단위 유닛트의 구동 전원 및 모터의 구동을 컨트롤하는 제어부 이다.
한편, 전술한 소스 저장용기(21)에 저장되는 소스로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당근, 양파, 생강 및 마늘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믹서기에서 분쇄시킨 기본재료에 대해 식수, 간장을 소정의 중량%로 혼합하고, 케찹 및 마요네즈를 추가로 배합하여 묽은 상태로 혼합하며, 입맛의 증진시키며 소스의 응집력을 부여하도록 끈끈한 물엿을 혼합하며, 최종적으로 고춧가루와 참기름을 혼합한 소스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리용기(10)의 조리공간(11) 내부에 양념통닭의 재료가 되는 닭고기를 투입시킨후, 전술한 제어부(47)에서 조리용기(10)에 투입된 닭고기의 양과 소비자의 입맛에 따라 선택된 양념을 포함하는 소스가 소스 저장용기(21)로 부터 조리용기(10)에 공급되도록 모터(22)를 구동시킨다.
전술한 모터(22)를 제어부(47)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구동시킴에 따라 모터(22)와 축연결된 소스반출용 기어(25)가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하게되어 각각의 소스 저장용기(21)로 부터 설정된 양만큼의 소스가 토출구(24)를 통하여 배출되어 각각의 소스를 한곳으로 집적하는 슈트(26)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제어부(47)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 인가시 토출관(32) 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밸브(33)가 개방됨에 따라 수조(33)에 저장된 식수가 토출관(32)을 통하여 슈트(26)에 공급되므로, 슈트(26)에 공급되는 소스와 식수가 일부 혼합되어 조리용기(10)에 동시에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어부(47)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술한 교반기(40) 구동용 모터(42)에 인가되어 회전축(43)을 통하여 조리공간(1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킴에 따라, 조리용기(10) 내부에 공급된 잘게자른 닭고기, 파우더, 소스 및 식수를 교반으로 인해 혼합시켜 닭고기 외표면에 골고루 버무려진 소스층을 신속하고 일정하게 입힐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교반기(40)를 구동시켜 조리용기(10)내에서 닭고기와 소스를 버무릴때 블레이드(41)상방으로 설치된 이탈방지구(60)에 의해 블레이드(41)의 회전시 잘게자른 닭고기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뭉침방지구(60a)에 의해 잘게자른 닭고기가 뭉쳐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여 닭고기와 소스를 보다 골고루 버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가 조리된 튀김닭고기일 경우에는 조리용기(10)에서 소스층을 입힘에 따라 곧바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가 비조리된 생닭고기일 경우에는 조리용기(10)에서 소스층을 입힌후 후속공정에서 닭고기를 튀김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이 많은 경우, 전술한 제어부(4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른 모터(46)의 구동으로 로프(45)를 권선시켜 블레이드(41)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조리용기(10)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놓여지는 닭고기는 소스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용기(10)에 수용되는 닭고기와 소스의 혼합이 완료되는 경우, 전술한 모터(46)구동으로 로프(45)를 통하여 교반기(40)를 조리용기(10)로 부터 들어올린후, 조리용기(10)를 손잡이(H)를 파지하여 배출구(51)를 통하여 케이싱(50)으로 부터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잘게자른 닭고기와 소스를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양념을 포함한 소스층을 신속하고 골고루 입혀 최상의 양념통닭을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구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잘게자른 닭고기에 대해 소스층을 입히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일시에 많은 주문량을 처리하여 소비자가 장시간동안 기다리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닭고기의 양에 따라 조리용기에 투입되는 소스량 및 소비자의 기호도에 따라 소스의 종류가 선택되어 계측된 일정량이 투입되므로 양념통닭 특유의 맛이 베이게되어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닭고기의 양에 대하여 꼭 필요한 일정양만의 소스를 필요시마다 사용함에 따라, 과다한 양의 소스를 혼합하여 보관시 발생되는 소스의 산패와 이로 인한 식중독으로 부터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보호하며, 쓰고 남아 버려지는 소스로 인해 발생하는 수질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환경친화적인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잘게자른 닭고기 및 양념을 포함한 소스를 수용하여 버무릴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조리공간(11)이 형성된 조리용기(10);
    상기 조리용기(10)에 대해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에 따른 소스량 및 소비자의 입맛에 따른 소스의 종류를 선택하여 계측된 양만큼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 공급수단(20);
    상기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소스에 혼합되도록 식수를 공급하는 식수 공급수단(30);
    상기 조리용기(10)내부 바닥면에 대해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 소스 및 식수를 제어부(47)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자동으로 교반하여 닭고기 외표면에 소스층을 입히는 교반기(40);
    상기 조리용기(10)에 투입되는 닭고기의 양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10)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교반기(40)의 블레이드(41)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7)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반기(40)를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단위 유닛트들이 내설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교반기(40)가 상승시 상기 조리용기(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51)가 형성된 케이싱(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41)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기(40)의 블레이드(41)회전으로 인해 잘게자른 닭고기를 교반시 상기 조리용기(10)로 부터 닭고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60) 및 상기 이탈방지구(6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닭고기를 교반시 닭고기가 뭉쳐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뭉침방지구(6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KR10-2001-0047510A 2001-08-07 2001-08-07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KR100401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510A KR100401555B1 (ko) 2001-08-07 2001-08-07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510A KR100401555B1 (ko) 2001-08-07 2001-08-07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70A KR20030013170A (ko) 2003-02-14
KR100401555B1 true KR100401555B1 (ko) 2003-10-17

Family

ID=2771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510A KR100401555B1 (ko) 2001-08-07 2001-08-07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27B1 (ko) * 2012-07-27 2013-02-04 박영호 자동 치킨 염지 장치
KR102016888B1 (ko) * 2019-07-30 2019-10-23 이광희 소스 제조 장치
KR200495216Y1 (ko) * 2020-10-29 2022-04-01 김애숙 닭발 조리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2911A (en) * 1929-02-07 1931-07-07 Iron Fireman Mfg Co Agitator for stokers
JPS61132159A (ja) * 1984-12-01 1986-06-19 Iwate Pref Gov Pan Kogyo Kumiai 脱臭いわし肉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4702929A (en) * 1984-08-30 1987-10-27 Lehn Carsten J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munchies
JPH01191632A (ja) * 1988-01-26 1989-08-01 Segawa:Goushi 麺類用ねり機
JPH0672539U (ja) * 1993-03-26 1994-10-11 有限会社ナカイ 食材の煮練り攪拌機
KR20000012572A (ko) * 1999-12-13 2000-03-06 하복진 음식물 교반기
KR200188014Y1 (ko) * 2000-01-07 2000-07-15 김연호 양념 통닭 조리장치
KR20010028796A (ko) * 1999-09-22 2001-04-06 김태훈 육류 및 양념 믹스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2911A (en) * 1929-02-07 1931-07-07 Iron Fireman Mfg Co Agitator for stokers
US4702929A (en) * 1984-08-30 1987-10-27 Lehn Carsten J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munchies
JPS61132159A (ja) * 1984-12-01 1986-06-19 Iwate Pref Gov Pan Kogyo Kumiai 脱臭いわし肉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H01191632A (ja) * 1988-01-26 1989-08-01 Segawa:Goushi 麺類用ねり機
JPH0672539U (ja) * 1993-03-26 1994-10-11 有限会社ナカイ 食材の煮練り攪拌機
KR20010028796A (ko) * 1999-09-22 2001-04-06 김태훈 육류 및 양념 믹스장치
KR20000012572A (ko) * 1999-12-13 2000-03-06 하복진 음식물 교반기
KR200188014Y1 (ko) * 2000-01-07 2000-07-15 김연호 양념 통닭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70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1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dehydrated powdered food
JPS63501617A (ja) 自動調理装置
US8334004B2 (en) Intellectualized cooking method
US20060070529A1 (en) Domestic making appliance for preparing porridges
US7421941B2 (en) Domestic porridge ma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making porridge by using the same
JP3227782U (ja) 炒め機の自動炒め装置
CN206792324U (zh) 智能分布式调味机
CN108143321A (zh) 智能分布式调味机
CN105496180B (zh) 一种全自动炒菜机
WO2005037033A1 (fr) Procede de cuisson intelligent
KR20180130709A (ko) 매운닭발 양념 자동 혼합장치
KR100401555B1 (ko) 양념통닭 및 소스 혼합장치
JPH06261831A (ja) 食品炒め調理機
US20100018412A1 (en) Machine for preparing food
KR100417679B1 (ko) 해조류 조미용 볶음장치
US20200315403A1 (en) Automated cooking machine
US20080295704A1 (en) Hot cereal maker and related methods
KR100367660B1 (ko) 해조류 볶음장치
CN210382566U (zh) 一种新型炒瓜子机
CN209966065U (zh) 烹饪器具
TWI308864B (ko)
JP2613815B2 (ja) 回転調理機
CN110916473A (zh) 一种数据化自动烹制菜肴的方法和设备
CN218959984U (zh) 自助爆米花机
KR200276024Y1 (ko) 자판기에 설치되는 죽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