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445B1 -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 Google Patents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445B1
KR100401445B1 KR10-2000-0079704A KR20000079704A KR100401445B1 KR 100401445 B1 KR100401445 B1 KR 100401445B1 KR 20000079704 A KR20000079704 A KR 20000079704A KR 100401445 B1 KR100401445 B1 KR 10040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astening
block assembly
magazin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535A (ko
Inventor
신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0-0079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4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목재용 체결장치는, 복수의 체결핀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형성되는 체결핀결합체와; 상기 체결핀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핀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낙하된 상기 체결핀의 후단을 타격하여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마루목 및 버팀목에 제1핀부 및 제2핀부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는 핀타격블럭조립체와; 상기 마루목의 상면에 면접촉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사이에 개재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내부에 상기 체결핀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바디의 핀유동로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핀매거진과; 상기 핀매거진내에 수용된 체결핀결합체를 상기 핀유동로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핀가압수단과; 일단이 상기 핀매거진으로부터 돌출된 체결핀의 상측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핀매거진으로부터 상기 핀유동로로 제공된 체결핀을 분리하여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로 낙하되도록 하는 핀공급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목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FASTENING APPARATUS AND FASTENING PIN FOR WOODEN FLOOR PANEL}
본 발명은,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목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의 시공은 바닥면으로부터 마루가 설치될 높이에 대응되게 마루목을 지지할 복수의 버팀목을 설치하고, 버팀목의 상면에 마루목을 깔고 못 등을 사용하여 마루목을 버팀목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마루의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마루목의 상측으로부터 마루목을 관통하여 마루목의 하측에 배치된 버팀목에 못으로 일일이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도중 못의 머리부가 마루목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체 또는 의복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제1단은 마루목의 측연에 결합되고, 제1단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단은 버팀목에 결합되고, 제1단의 후단에 연장된 제3단은 후속으로 배치된 마루목의 측연에 결합되는 트리포드(Tripod) 체결핀을 이용하여 체결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하고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마루목재용 체결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1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루목재용 체결장치의 사용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체결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110)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거의 “??”형상을 이루는 제1핀부(111a) 및 제2핀부(111b)와, 제1핀부(111a) 및 제2핀부(111b)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11c)와, 연결부(111c)와 제1핀부(111a)의 경계영역으로부터 연결부(111c)에 수직하고 제1핀부(111a)와 상호 내각이 135°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3핀부(111d)를 가진다. 각 핀부의 자유단부영역에는 중앙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된 첨부(111e)가 형성되어 있다.
마루목재용 체결장치는, 내부에 체결핀(110)이 상하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21)와, 바디(121)의 하측에 결합되어 바디(121)로부터 낙하되어 수용된 체결핀(110)을 결합하고자 하는 마루목(113) 및 버팀목(115)에 삽입되도록 타격하는 핀타격블럭조립체(131)와, 바디(121)와 핀타격블럭조립체(131)사이에 개재되어 저부면이 마루목(113)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마운팅플레이트(141)를 구비하고 있다.
바디(121)의 상부영역에는 체결핀(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삽입구(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구(122)의 일측에는 손잡이(124)가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바디(121)와 핀타격블럭조립체(131)사이에는 원반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된 마운팅플레이트(141)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마운팅플레이트(141)에는 바디(121)와 상호 연통되어 바디(121)로부터 하향 유동하는 체결핀(1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도시 않은 핀통과공(미도시)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핀타격블럭조립체(131)는, 내부에 체결핀(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 대면결합되는 제1블럭(132) 및 제2블럭(134)과, 제1블럭(132) 및 제2블럭(134)의 결합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체결핀(110)의 후단을 가압하여 체결핀(110)의 제1핀부(111a) 및 제2핀부(111b)가 동시에 마루목(113) 및 버팀목(115)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타격레버(13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블럭(132) 및 제2블럭(134)은 선단영역이 마루목(113) 및 버팀목(115)의 측연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면(133,135)이 45°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핀(110)의 방출방향에 대해 이들 제1블럭(132) 및 제2블럭(134)의 선단부 중앙영역에는 체결핀(110)이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구(13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타격레버(137)에는 체결핀(110)의 타격후 타격레버(137)가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139)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바디(121)의 삽입구(122)를 통해 체결핀(110)의 제1핀부(111a) 및 제2핀부(111b)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차례로 체결핀(110)을 소정량 주입한다.
다음, 바디(121)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24)를 잡고 핀타격블럭조립체(131)의 각 접촉면(133,135)이 마루목(113) 및 버팀목(115)의 측연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마운팅플레이트(141)의 하단면이 마루목(113)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다음, 망치 등의 타격구를 사용하여 타격레버(137)의 후단을 타격하면, 체결핀(110)이 방출구(136)를 통해 방출되어 제1핀부(111a)는 마루목(113)에 삽입되고 제2핀부(111b)는 버팀목(115)의 측연에 삽입결합된다. 이때, 제1핀부(111a) 및 제2핀부(111b)는 마루목(113) 및 버팀목(115)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5°방향을 따라 삽입결합되고, 제3핀부(111d)는 버팀목(115)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마루목(113)과 버팀목(115)의 결합이 완료되면 다음 결합될 마루목(114)을 버팀목(115)의 상부면에 배치하고 직전에 결합된 체결핀(110)의 제3핀부(111d)에 후속으로 결합될 마루목(114)이 결합되도록 마루목(114)의 측연을 망치 등으로 타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마루목(114)과 버팀목(115)을 체결핀(110)으로 순차적으로 체결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루목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는, 바디(121)의 상하방향을 따라 체결핀(110)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어 바디(121)의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핀(110)의 개수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된 체결핀(110)이 모두 사용될 경우 작업을 중단하고 바디(121)의 내부에 체결핀(110)을 투입하는 경우가 빈발하게 되어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시 마운팅플레이트(141)에 의해 핀타격블럭조립체(131)가 가려지게 되어 체결핀(110)이 마루목(113) 및 버팀목(115)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 체결될 수 있게 핀타격블럭조립체(131)를 대응배치시키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마운팅플레이트(141)로부터 핀타격블럭조립체(131)의 방출구(136)까지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마루목(113)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면 마루목(113)의 두께방향에 대한 중심위치에 제1핀부(111a)가 결합되지 못하게 되어 마루목(113)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마루목재용 체결핀(110)에 있어서는, 체결핀(110)의 각 자유단부에는 중앙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된 첨부(111e)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경도가 비교적 높은 마루목 또는 버팀목을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마루목 또는 버팀목이 터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목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루목재용 체결장치의 사용상태의 평면도,
도 3은 체결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핀타격블럭조립체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마운팅플레이트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의 핀매거진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체결핀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도 9에 대응된 도면,
도 11은 도 4의 핀공급레버영역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4의 마루목재용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체결핀조립체 5 : 체결핀
6e : 첨부 7 : 마루목
8 : 버팀목 11 : 바디
21 : 핀타격블럭조립체 37 : 가이드블럭
39 : 타격레버 40 : 복귀스프링
41 : 마운팅플레이트 42 : 투시창
43 : 스페이서결합부 61 : 핀매거진
62 : 매거진본체 67 : 푸셔조립체
77 : 손잡이 81 : 핀공급레버
83 : 공급레버복귀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동일 평면상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핀부 및 제2핀부와,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의 이격방향에 따른 투영시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호 내각이 둔각을 이루고 이격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핀부를 가지는 복수의 체결핀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형성되는 체결핀결합체와; 상기 체결핀이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핀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낙하된 상기 체결핀을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의 자유단부영역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핀의 후단을 타격하여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마루목 및 버팀목에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는 핀타격블럭조립체와; 상기 마루목의 상면에 면접촉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가 상기 마루목 및 버팀목의 타격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내부에 상기 체결핀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바디의 핀유동로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핀매거진과; 상기 핀매거진내에 수용된 체결핀결합체를 상기 핀유동로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핀가압수단과; 일단이 상기 핀매거진으로부터 돌출된 체결핀의 상측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로부터 노출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핀매거진으로부터 상기 핀유동로로 제공된 체결핀을 분리하여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로 낙하되도록 하는 핀공급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마루목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루목의 두께방향에 대한 상기 체결핀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평면투영시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마루목의 측연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체결핀의 상기 제1핀부 내지 제3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유단부에는 복수의 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동일 평면상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핀부 및 제2핀부와;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의 각 단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핀부 및 제2핀부중 어느 하나와 상호 내각이 둔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와 직각되게 연장된 제3핀부를 가지며, 상기 제1핀부 내지 제3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유단부에는 돌출방향에 대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의 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핀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목(113)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마루목(113)재용 체결장치는, 복수의 체결핀(5)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접촉결합된 체결핀결합체와, 내부에 체결핀(5)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핀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11)와, 내부에 체결핀(5)을 수용하여 체결핀(5)을 타격하여 체결핀(5)이 마루목(7) 및 버팀목(8)에 결합되도록 하는 핀타격블럭조립체(21)와, 저부면이 마루목(7)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바디(11)와 핀타격블럭조립체(21)사이에 개재되어 핀타격블럭조립체(21)가 마루목(7)과 버팀목(8)의 체결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마운팅플레이트(41)와, 내부에 체결핀결합체를 수용하여 바디(11)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바디(11)로 체결핀(5)이 공급되도록 하는 핀매거진과, 바디(1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핀매거진으로부터 바디(11)의 핀유동로로 돌출된 체결핀(5)을 분리되도록하는 핀공급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핀타격블럭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타격블럭조립체(21)는, 내부에 체결핀(5)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 대면접촉되는 한 쌍의 제1블럭(22a) 및 제2블럭(22b)과, 제1블럭(22a) 및 제2블럭(22b)사이에 일 영역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단은 제1블럭(22a) 및 제2블럭(22b)의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되어 체결핀(5)의 후방에서 체결핀(5)을 타격가압하는 타격레버(39)와, 타격레버(39)가 타격전 위치로 복귀되도록 타격레버(39)에 탄성력을 가하는 복귀스프링(40)을 가진다.
제1블럭(22a) 및 제2블럭(22b)의 선단영역에는 이들이 마루목(7) 및 버팀목(8)에 대해 45°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45°를 이루는 경사접촉면(2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영역에는 체결핀(5)이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구(29)가 형성되어 있다.
제1블럭(22a) 및 제2블럭(22b)에는 마운팅플레이트(41)와 가이드핀(24) 및 고정볼트(27a)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핀공(23) 및 볼트공(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블럭(22a)은 거의 “L”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2블럭(22b)은 제1블럭(22a)의 바닥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고정볼트(27b)에 의해 상호 일체로 고정결합된다.
제1블럭(22a)의 상부영역에는 체결핀(5)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회동축(3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되며 체결핀(5)이 방출구(29)로 불시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타격레버(39)의 타격시 체결핀(5)의 방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폴(32)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폴(32)의 상측에는 가이드폴(32)의 일측 단부가 하향 회동하여 체결핀(5)의 진행방향의 전방에서 체결핀(5)이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33)가 결합되어 있다.
제1블럭(22a)의 내측면에는 타격레버(39)에 결합되어 유동되는 레버핀(34)의 이동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타격레버(39)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블럭(22b)의 일측에는 제2블럭(22b)의 일측으로부터 마루목(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핀타격블럭조립체(21)가 마루목(7) 및 버팀목(8)에 대해 정확한 체결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체결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는 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블럭(37)이 고정볼트(39)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블럭(37)의 일측에는 제2블럭(22b)의 경사접촉면(26)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마루목(7)의 측연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면(38)이 45°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4의 마운팅플레이트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플레이트(41)는 거의 원반형상을 가지며, 상부면에는 바디(11)의 하단이 수용결합되어 있다.
결합된 바디(11)의 둘레에는 가이드핀(24) 및 고정볼트(27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핀공 및 볼트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바디(11)의 일측 영역에는 핀타격블럭조립체(21)의 선단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4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운팅플레이트(41)의 저부에는 마루목(7)의 두께에 대응되는 상호 다른 두께를 가지고 제1 및 제2스페이서(51a,51b)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결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스페이서(51a,51b)는 일측이 절개된 원반형상을 가지며, 판면을 관통하여 마운팅플레이트(41)의 투시창(42)과 상호 연통되게 투시창(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투시창(55)의 양 측에는 스크류(58)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스크류공(5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마운팅플레이트(41)에는 스크류(58)의 선단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47)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도 4의 핀매거진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체결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고,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의 도 9에 대응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결합체(3)는 적절한 외력을 가하면 분리될 수 있게 본딩 등에 의해 상호 연속적으로 접촉결합되는 복수의 체결핀(5)을 가진다. 체결핀(5)은,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핀부(6a) 및 제2핀부(6b)와, 제1핀부(6a) 및 제2핀부(6b)의 각 일단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6c)와, 연결부(6c)의 일단으로부터 직각되고 제1핀부(6a)와 내각이 135°를 이루도록 연장된 제3핀부(6d)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핀부(6a), 제2핀부(6b) 및 제3핀부(6d)의 자유단부영역에는 중앙영역에 비해 양측영역이 돌출된 복수의 첨부(6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핀(5)의 각 첨부(6e)는 도 10a에 도시된 첨부(6f)와 같이, 내측연부가 만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10b에 도시된 첨부(6g)와 같이, 3개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바디(11)의 일측에는 핀매거진(6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매거진결합부(12a)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매거진결합부(12a)의 일측에는 복수의 볼트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핀매거진(61)은, 내부에 체결핀결합체(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매거진본체(62)와, 매거진본체(62)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매거진본체(62)를 바디(11)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고정브래킷(64)과, 매거진본체(62)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된 체결핀결합체(3)를 가압하여 바디(11)로 제공되도록 하는 푸셔조립체(6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매거진본체(62)의 상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체결핀결합체(3)의 수용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63a)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브래킷(64)의 대향 단부영역에는 후술할 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63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브래킷(64)은 거의 “L”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측면은 매거진본체(62)의 측연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면은 바디(1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스크류(65)에 의해 결합된다.
푸셔조립체(67)는, 매거진본체(6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결합되는 푸셔(68)와, 매거진본체(62)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되고 일단이 푸셔(68)에 상대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70)와, 로드(70)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매거진본체(6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멈춤판(72)과, 일단이 멈춤판(72)에 접촉되고 타단이 푸셔(68)에 접촉되도록 로드(70)의 둘레에 배치되어 푸셔(68)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7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멈춤판(72)의 일측에는 손잡이(73)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73)의 상측에는 매거진본체(62)의 결합공(63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7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4의 핀공급레버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되도록 손잡이(77)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77)의 하측에는 일단이 바디(11)의 내부에 수용배치되고 타단은 외부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핀매거진(61)에 의해 바디(11)의 내부로 제공된 체결핀(5)을 체결핀결합체(3)로부터 분리하여 하향 낙하되도록 하는 핀공급레버(81)가 설치되어 있다.
바디(11)에는 손잡이(77) 및 핀공급레버(8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브래킷(13)이 복수의 스크류(14)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브래킷(13)의 상부영역에는 손잡이(77)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손잡이(77)의 하측에는 핀공급레버(8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레버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지지부(15)에는 핀공급레버(81)에 형성된 핀공(82)과 상호 연통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핀(84)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핀수용공(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디(11)의 측연에는 핀공급레버(81)의 일측 단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공(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핀공급레버(81)에는 일단이 지지브래킷(13)에 접촉지지되고 타단은 핀공급레버(81)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핀공급레버(81)의 노출단부가 하향되도록 가압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공급레버복귀스프링(83)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설치될 마루목(7)의 두께에 대응되는 적절한 스페이서, 여기서, 마루목(7)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스페이서를 결합하지 아니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페이서(51a)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선택된 제1스페이서(51a)를 마운팅플레이트(41)의 하측에 결합한다.
멈춤판(72)의 손잡이(73)를 잡고 멈춤판을 매거진본체(62)로부터 분리하고, 매거진본체(62)의 내부에 체결핀결합체(3)를 수용되도록 하고, 푸셔(68)를 체결핀결합체(3)의 후단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프링부재(75)가 압축되도록 손잡이(73)를 가압하여 후크를 결합공(63b)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체결핀결합체(3)의 선단에 배치된 체결핀(5)은 매거진본체(62)로부터 돌출되어 바디(11)의 내부에 위치된다.
손잡이(77)를 잡고 핀타격블럭조립체(21)의 선단부가 마루목(7)과 버팀목(8)사이의 체결위치를 향하도록 한다. 제1스페이서(51a)의 하단이 설치될 마루목(7)의 상부면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핀타격블럭조립체(21)의 선단영역이 마루목(7)과 버팀목(8)의 교차지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때, 작업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럭과 마루목(7)의 측연의 접촉상태를 보고 핀타격블럭조립체(21)가 마루목(7) 및 버팀목(8)에 대해 정확하게 45°의 각도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투시창(42,55)을 통해서 핀타격블럭조립체(21)의 선단부가 마루목(7)과 버팀목(8)의 경계영역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핀타격블럭조립체(21)의 위치가 확인되면 핀공급레버(81)의 노출단부를 손잡이(77)방향으로 당기면, 핀공급레버(81)의 대향측 단부가 핀유동로상에 위치된 하나의 체결핀(5)을 가압하여 체결핀결합체(3)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분리된 체결핀(5)은 핀유동로를 따라 낙하하여 핀타격블럭조립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핀공급레버(81)는 공급레버복귀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망치 등의 타격구로 타격레버(39)의 후단을 타격하게 되면 타격레버(39)의 선단영역은 체결핀(5)을 순간적으로 가압하여 체결핀(5)이 마루목(7) 및 버팀목(8)에 각각 삽입결합되도록 하고, 복귀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된다.
이 때, 체결핀(5)의 제1핀부(6a) 및 제2핀부(6b)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복수의 첨부(6e)가 형성되어 있어, 마루목(7) 및 버팀목(8)의 터짐현상없이 삽입결합된다.
버팀목(8)과 마루목(7)의 체결이 완료되면 후속으로 결합될 마루목을 버팀목(8)상에 결합이 완료된 마루목(7)과 나란하게 배치하고, 제3핀부(6d)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될 마루목의 측연을 타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절한 외력을 가하면 분리될 수 있도록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체결핀결합체와, 체결핀결합체를 수용하는 핀매거진과, 체결핀결합체로부터 체결핀을 분리하는 핀공급레버를 마련하여 상호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체결핀을 빈번하게 바디에 수용되도록하여 사용하던 종래와는 달리, 체결핀의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마루목재용체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루목의 두께에 대응되게 복수의 스페이서를 마련하고, 설치될 마루목의 두께에 대응되게 적절히 스페이서를 결합하여 마루목의 두께방향을 따라 체결핀이 적절한 위치에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마루목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일측에 평면투영시 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마루목의 측연에 접촉되는 가이드블럭을 마련하여 체결핀이 마루목 및 버팀목에 정확하게 45°의 각도에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위치선정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핀의 각 자유단부영역에 복수의 첨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목질이 단단한 마루목 및 버팀목의 체결시 마루목 및 버팀목의 터짐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이 제공된다.

Claims (5)

  1. 동일 평면상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핀부 및 제2핀부와,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의 이격방향에 따른 투영시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호 내각이 둔각을 이루고 이격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핀부를 가지는 복수의 체결핀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접촉되어 형성되는 체결핀결합체와; 상기 체결핀이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핀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낙하된 상기 체결핀을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의 자유단부영역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핀의 후단을 타격하여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마루목 및 버팀목에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는 핀타격블럭조립체와; 상기 마루목의 상면에 면접촉가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가 상기 마루목 및 버팀목의 타격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마운팅플레이트와; 내부에 상기 체결핀결합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바디의 핀유동로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핀매거진과; 상기 핀매거진내에 수용된 체결핀결합체를 상기 핀유동로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핀가압수단과; 일단이 상기 핀매거진으로부터 돌출된 체결핀의 상측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로부터 노출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핀매거진으로부터 상기 핀유동로로 제공된 체결핀을 분리하여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로 낙하되도록 하는 핀공급레버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두께방향을 따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하측에 상기 마루목과 접촉가능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루목의 두께방향에 대한 상기 체결핀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평면투영시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마루목의 측연에 접촉가능하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핀타격블럭조립체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의 상기 제1핀부 내지 제3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유단부의 중앙영영역이 주변영역에 비해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5. 동일 평면상에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핀부 및 제2핀부와; 상기 제1핀부 및 제2핀부의 각 단부를 상호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핀부 및 제2핀부중 어느 하나와 상호 내각이 둔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와 직각되게 연장된 제3핀부를 가지며, 상기 제1핀부 내지 제3핀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유단부에는 돌출방향에 대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복수의 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목재용 체결핀.
KR10-2000-0079704A 2000-12-21 2000-12-21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KR10040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04A KR100401445B1 (ko) 2000-12-21 2000-12-21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04A KR100401445B1 (ko) 2000-12-21 2000-12-21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535A KR20020050535A (ko) 2002-06-27
KR100401445B1 true KR100401445B1 (ko) 2003-10-11

Family

ID=2768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704A KR100401445B1 (ko) 2000-12-21 2000-12-21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4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535A (ko)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994B2 (en) 45 degree adjustable adapter for flooring nailer
US8220687B2 (en) Nailing drive guide mechanism for nailing machine
TWI600509B (zh) 具有整合安全裝置的釘槍以及衝擊一緊固件的方法
US20090250498A1 (en) Nail-driving device with safety unit
CA2735461C (en) Hammer tacker
SE429826B (sv) Indrivningsverktyg for spikbleck
US7641088B2 (en) Nail gun with nail alignment adjustment device
KR100401445B1 (ko) 마루목재용 체결장치 및 체결핀
US8807549B2 (en) Clamp for joining work pieces
JP4525585B2 (ja) フロア施工用釘打機の除釘機構
JP2007168007A (ja) フロア施工用釘打機
JP7367729B2 (ja) 打ち込み工具
US11077542B2 (en) Metal connector adaptor for a fastening tool
JPH0780782A (ja) 釘打ち機
JP2001078804A (ja) ヒール用留め金具打込み機
JP2017205836A (ja) 留め具打込み工具、および留め具打込み装置
JP4681706B2 (ja) 床、壁面施工用装置及び床、壁面の施工方法
JP5138415B2 (ja) 打ち込み工具
JPH0318146Y2 (ko)
KR20240000528U (ko) 골프클럽의 헤드 및 페럴의 착탈 장치
JP2021079462A (ja) 位置決め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固定具打ち込み方法
TW201416192A (zh) 自動適用於多種釘子之釘槍
SE504001C2 (sv) Slagredskap
JP2001225280A (ja) 釘打機の傾き保持機構
JPH081543A (ja) 床板用釘打ち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