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188B1 - 광섬유 정렬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정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188B1
KR100401188B1 KR10-2001-0079908A KR20010079908A KR100401188B1 KR 100401188 B1 KR100401188 B1 KR 100401188B1 KR 20010079908 A KR20010079908 A KR 20010079908A KR 100401188 B1 KR100401188 B1 KR 100401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jig
moving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637A (ko
Inventor
김상호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188B1/ko
Priority to US10/306,445 priority patent/US6847766B2/en
Priority to JP2002364207A priority patent/JP3844731B2/ja
Publication of KR2003004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32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36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the mechanical coupling means being groo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642D cross sectional arrangements of the fibres
    • G02B6/36682D cross sectional arrangements of the fibres with conversion in geometry of the cross s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16Holders, macro size fixtures for mechanically holding or positioning fibres, e.g. on an optical bench
    • G02B6/362Vacuum holder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G02B6/3648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 G02B6/3652Supporting carriers of a microbench type, i.e. with micromachined additional mechanical structures the additional structures being prepositioning mounting areas, allowing only movement in one dimension, e.g. grooves, trenches or vias in the microbench surface, i.e. self aligning supporting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Active alignment, i.e. moving th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egree of coupling or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26Positioning means for moving the elements into alignment, e.g. alignment screws, deformation of the mou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Active alignment, i.e. moving the elements in response to the detected degree of coupling or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27Active alignment methods, e.g. procedures and algorith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면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블록 상에 광섬유열을 안착시키기 위한 광섬유 정렬 시스템은, 상기 광섬유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 지그와, 상기 제1 지그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용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열의 일부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그 조립체와; 상기 광섬유열을 상기 블록 상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그 조립체를 삼차원적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는 X-Y-Z-θXYZ스테이지와; 상기 광섬유열의 정렬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입사된 영상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검출기와, 상기 영상 신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 유닛과; 상기 영상 유닛을 삼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영상 유닛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정렬 시스템{OPTICAL FIBER ALIGNMENT SYSTEM}
본 발명은 광섬유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록 상에 광섬유열을 안착시키기 위한 광섬유 정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광섬유 블록은 광섬유열(optical fiber array)을 실장하기 위한 다수의 브이-홈(V-groove)을 상면에 구비하는 블록(block)과, 에폭시(epoxy)가 도포된 상기 광섬유열을 덮는 유리 평판(glass lid)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섬유 블록은 평면 도파로 소자(planar lightwave circuit)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과 리본 광섬유(optical fiber ribbon)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본 광섬유는 각각 코어(core)와 클래드(clad)로 구성된 광섬유열과, 상기 광섬유열을 둘러싸며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으로 구성된다.
상기 광섬유 블록의 제작 과정은, 리본 광섬유의 외부 피복을 일부 제거하는 과정과; 광섬유열을 다수의 브이-홈(V-groove) 상에 정렬시키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광섬유열 상에 유리 평판을 덮는 과정과; 상기 고정된 광섬유열의 단면을 원하는 각도로 연마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광섬유열을 250㎛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브이-홈들에 정렬시키는 공정은 통상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가 돋보기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상기 블록 상에 상기 광섬유열을 정렬시킨다.
또한, 광섬유열을 127㎛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브이-홈들에 정렬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250㎛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광섬유로 구성된 리본 광섬유가 사용된다. 이 때, 각각 250㎛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광섬유로 구성된 제1 및제2 리본 광섬유를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제2 리본 광섬유를 구성하는 제2 광섬유열 사이에 상기 제1 리본 광섬유를 구성하는 제1 광섬유열을 삽입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정렬 공정들에 있어서, 작업자의 숙련 및 판단 정도에 따라 제품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양산을 함에 있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자에 따라 제작된 광섬유 블록의 품질도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블록의 제작에 있어서 블록 상에 광섬유를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광섬유 정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면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블록 상에 광섬유열을 안착시키기 위한 광섬유 정렬 시스템은,
상기 광섬유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 지그와, 상기 제1 지그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용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열의 일부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그 조립체와;
상기 광섬유열을 상기 블록 상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그 조립체를 삼차원적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는 X-Y-Z-θXYZ스테이지와;
상기 광섬유열의 정렬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입사된 영상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검출기와, 상기 영상 신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 유닛과;
상기 영상 유닛을 삼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영상 유닛 이동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정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지그 조립체의 구성을 광섬유열 미장착시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지그 조립체가 제1 광섬유열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지그 조립체가 제2 광섬유열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섬유 정렬 시스템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개시된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정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지그 조립체의 구성을 광섬유열 미장착시에 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지그 조립체가 제1 광섬유열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지그 조립체가 제2 광섬유열을 장착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광섬유 정렬 시스템은 제1 및 제2 지그 조립체(jig assembly, 100)와, 제1 및 제2 수직 지지대(300 및 350)와, 제1 및 제2 X-Y-Z-θXYZ스테이지(X-Y-Z-θXYZstage, 400 및 450)와, 영상 유닛(vision unit, 500)과, 영상 표시부(display, 660)와, 영상 유닛 이동부(620)와, 이동 제어부(640)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그 조립체100는 제1 및 제2 지그(110및 120)와, 제1 수평 지지대(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그(110)는 다수의 장방형 홈(114)이 그 상면에 형성된 금속성의 기판(112)과, 상기 기판(112)의 일단과 힌지(hinge) 결합되며 자성을 갖는 커버(cover, 116)로 구성된다. 상기 각 홈(114)의 두께 및 폭은 상기 홈(114)에 실장될 제1 리본 광섬유(700)의 두께 및 폭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상기 제2 지그(120)는 다수의 장방형 홈(122)이 그 상면에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진공관(미도시)을 통하여 진공 펌프(vacuum pump, 미도시)와 연결되는 제1 배기구(126)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홈(122)을 이루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배기구(126)와 연결된 다수의 구멍(1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면, 상기 다수의 구멍(124)을 통하여 상기 제1 리본 광섬유(700) 상기 홈(122)에 흡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수평 지지대(130)는 상기 제1 및 제2 지그(110 및 120)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그(110 및 120)의 일측면들에 부착된다. 즉, 상기 제1 수평 지지대(130)와 제1 및 제2 지그(110 및 120)는 상호 고정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300)는 그 상단이 상기 제2 지그(120)의 하단면과 부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제1 X-Y-Z-θXYZ스테이지(40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X-Y-Z-θXYZ스테이지(400)는 상기 제1 수직 지지대(300)를삼차원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수직 지지대(300)를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X축, Y축 또는 Z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θX, θY또는 θZ)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지그 조립체(200)는 제3 및 제4 지그(210 및 220)와, 제2 수평 지지대(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지그(210)는 다수의 장방형 홈(214)이 그 상면에 형성된 금속성의 기판(212)과, 상기 기판(212)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며 자성을 갖는 커버(216)로 구성된다. 상기 각 홈(214)의 두께 및 폭은 상기 홈(214)에 실장될 제2 리본 광섬유(750)의 두께 및 폭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상기 제4 지그(220)는 다수의 장방형 홈(722)이 그 상면에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진공관을 통하여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제2 배기구(226)가 형성되고, 상기 각 홈(722)을 이루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2 배기구(226)와 연결된 다수의 구멍(7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공 펌프를 작동시키면, 상기 다수의 구멍(724)을 통하여 상기 제2 리본 광섬유(750)를 상기 홈(722)에 흡착-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수평 지지대(230)는 상기 제3 및 제4 지그(210 및 220)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및 제4 지그(210 및 220)의 일측면들에 부착된다. 즉, 상기 제2 수평 지지대(230)와 제3 및 제4 지그(210 및 220)는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350)는 그 상단이 상기 제4 지그(220)의 하단면과 부착되며, 그 하단은 상기 제2 X-Y-Z-θXYZ스테이지(45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X-Y-Z-θXYZ스테이지(450)는 상기 제2 수직 지지대(350)를 삼차원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2 수직 지지대(350)를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X축, Y축 또는 Z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θX, θY, θZ)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유닛(500)으로는 CCD 카메라(Charge Coupled Device camera, 52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CCD 카메라(510)는 배율 및 초점 조점을 위한 렌즈부(510)와, 영상 센서인 전하 결합 소자(CCD, 520)와, 인터페이스부(interface, 5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렌즈부(510)를 통해 내부로 입사된 영상은 상기 전하 결합 소자(520)에 의해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30)는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표시부(660)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표시부(660)는 상기 영상 유닛(500)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상기 영상 유닛 이동부(620)는 상기 이동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유닛(500)을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 제어부(640)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 광섬유열(720 및/또는 770)의 정렬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부(660)를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유닛 이동부(6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섬유 정렬 시스템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개시된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정렬 방법은 제1 광섬유열 준비 과정(910)과, 제2 광섬유열 준비 과정(920)과, 제1 및 제2 광섬유열 정렬 과정(930)과, 제1 및 제2 광섬유열과 블록 정렬 과정(9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광섬유열 준비 과정(910)은 제1 지그 조립체(100)에 제1 리본 광섬유(700)를 장착하고, 상기 제1 리본 광섬유(700)를 구성하는 제1 광섬유열(720)의 평행도(X축에 대하여) 및 끝단 위치를 상기 영상 유닛(500)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과정이다.
제2 광섬유열 준비 과정(920)은 제2 지그 조립체(200)에 제2 리본 광섬유(750)를 장착하고, 상기 제2 리본 광섬유(750)를 구성하는 제2 광섬유열(770)의 평행도 및 끝단 위치를 상기 영상 유닛(500)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과정이다.
제1 및 제2 광섬유열 정렬 과정(930)은 제1 서브 정렬 과정(932)과 제2 서브 정렬 과정(93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서브 정렬 과정(932)은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의 측정된 평행도들 및 끝단 위치들과 상기 제2 X-Y-Z-θXYZ스테이지(450)(또는 제1 X-Y-Z-θXYZ스테이지(40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광섬유열(770)의 평행도 및 끝단 위치를 상기 제1 광섬유열(720)의 평행도 및 끝단 위치에 맞추는 과정이다.
상기 제2 서브 정렬 과정(937)은 상기 제2 X-Y-Z-θXYZ스테이지(45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리본 광섬유(750)를 X축 주위로 소정 각도(θX) 회전시키고, 상기 제2 리본 광섬유(750)를 Y축을 따라 선형 이동시켜서 상기 제2 광섬유열(750)을 구성하는 각 광섬유를 상기 제1 광섬유열(720)의 서로 인접한 광섬유들 사이에 개재시키는 과정이다.
도 6에는, 상기 제1 광섬유열(720)을 구비하는 제1 리본 광섬유(700)와, 제2 광섬유열(770)을 구비하는 제2 리본 광섬유(7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광섬유열(770)은 상기 제1 광섬유열(720)과 마찬가지로 4심의 광섬유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광섬유열(720)의 서로 인접한 광섬유들 사이마다 상기 제2 광섬유열(770)을 구성하는 해당 광섬유가 개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광섬유열(770)은 상기 제1 광섬유열(720)과 사각을 이루고 있으나, 이후 상기 제2 광섬유열(770)은 상기 제1 광섬유열(720)과 나란하게 정렬된다.
도 7에는, 등간격으로 배치된 8 개의 브이-홈들(830)을 구비한 블록(80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록(800)은 등간격으로 배치된 8개의 브이-홈들(830)을 상면에 구비한 몸체부(820)와 상기 몸체부(820)로부터 연장된 지지부(81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810)와 몸체부(820)는 두께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를 갖는데, 이러한 두께차는 상기 제1 광섬유열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이 상기 브이-홈들(830)에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과 블록 정렬 과정(940)은 상기 블록(800)의 상면에 형성된 브이-홈들(830)의 평행도 및 끝단 위치를 상기 영상 유닛(500)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의 평행도 및 끝단 위치를 상기 브이-홈들(830)의 평행도 및 끝단 위치에 맞추며,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을 상기 브이-홈들(830)에 안착시키는 과정이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은 X축 주위로 소정 각도(θX)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브이-홈들(830)에 안착될 때까지 Y축을 따라 선형 이동된다.
도 8에는,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과 블록 정렬 과정(940)에 따라 블럭(800) 상에 안착된 제1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리본 광섬유(700 및 750)는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720 및 770)은 상기 블록(800) 상에 서로 나란하게 정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정렬 시스템은 X-Y-Z-θXYZ스테이지, 영상 유닛 등을 이용하여 블록 상에 광섬유를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상면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블록 상에 광섬유열을 안착시키기 위한 광섬유 정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 지그와, 상기 제1 지그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용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광섬유열의 일부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그 조립체와;
    상기 광섬유열을 상기 블록 상에 정렬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그 조립체를 삼차원적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는 X-Y-Z-θXYZ스테이지와;
    상기 광섬유열의 정렬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입사된 영상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검출기와, 상기 영상 신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 유닛과;
    상기 영상 유닛을 삼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영상 유닛 이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정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의 정렬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유닛 이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유닛 이동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유닛을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정렬 시스템.
  3. 상면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블록 상에 제1 및 제2 광섬유열을 안착시키기 위한 광섬유 정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섬유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 지그와, 상기 제1 지그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용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광섬유열의 일부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2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 지그 조립체와;
    상기 제1 광섬유열을 삼차원적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1 X-Y-Z-θXYZ스테이지와;
    상기 제2 광섬유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3 지그와, 상기 제3 지그와 이격된 위치에서 그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용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광섬유열의 일부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제4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 지그 조립체와;
    상기 제2 광섬유열을 삼차원적으로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광섬유열을 상기 제1 광섬유열의 공극들에 삽입 및 정렬시킨 후, 상기 제1 X-Y-Z-θXYZ스테이지와 함께 상기 정렬된 제1 및 제2 광섬유열을 상기 블록 상에 정렬시키는 제2 X-Y-Z-θXYZ스테이지와;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의 정렬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입사된 영상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검출기와, 상기 영상 신호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상 유닛과;
    상기 영상 유닛을 삼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영상 유닛 이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정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섬유열의 정렬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유닛 이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유닛 이동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유닛을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정렬 시스템.
KR10-2001-0079908A 2001-12-17 2001-12-17 광섬유 정렬 시스템 KR10040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08A KR100401188B1 (ko) 2001-12-17 2001-12-17 광섬유 정렬 시스템
US10/306,445 US6847766B2 (en) 2001-12-17 2002-11-27 Optical fiber alignment system
JP2002364207A JP3844731B2 (ja) 2001-12-17 2002-12-16 光ファイバ整列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908A KR100401188B1 (ko) 2001-12-17 2001-12-17 광섬유 정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37A KR20030049637A (ko) 2003-06-25
KR100401188B1 true KR100401188B1 (ko) 2003-10-10

Family

ID=1971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908A KR100401188B1 (ko) 2001-12-17 2001-12-17 광섬유 정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47766B2 (ko)
JP (1) JP3844731B2 (ko)
KR (1) KR100401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2133B2 (en) * 2003-04-24 2006-06-13 Ahura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alignment and assembly of optoelectronic components
US7189584B2 (en) * 2005-04-27 2007-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abrication alignment technique for light guide screen
US20090029141A1 (en) * 2007-07-23 2009-01-29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at-faced gypsum 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515228B2 (en) * 2009-06-23 2013-08-20 Raytheon Canada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positioning an optical fiber end
CN102436034A (zh) * 2011-12-26 2012-05-02 蚌埠道生精密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真空吸座
WO2014123873A1 (en) * 2013-02-05 2014-08-14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Methods of connectorizing multi-core fiber optic cables and related apparatus
CN104216087B (zh) * 2013-06-03 2018-01-09 泰州市润杰五金机械制造有限公司 吸取装置
TWI616691B (zh) * 2014-05-12 2018-03-01 光環科技股份有限公司 陣列透鏡裝置之主動式耦光治具
CN106707068B (zh) * 2017-02-07 2023-08-29 武汉灿光光电有限公司 Ptto交直流自动测试装置
FR3063833B1 (fr) * 2017-03-10 2019-03-29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de reglage du parallelisme d'un bloc de fibres avec une surface d'une puce
CN110560331B (zh) * 2019-08-15 2020-09-18 北京航天控制仪器研究所 一种同轴零件装配装置及方法
CN112764172B (zh) * 2020-12-28 2022-03-29 武汉光迅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的多通道预对准系统及多通道预对准方法
JP7394307B2 (ja) * 2021-05-17 2023-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学調整装置、及び、光学調整方法
CN117310890B (zh) * 2023-10-07 2024-04-16 合肥比洋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阵列耦合夹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5846A (en) * 1991-05-24 1993-02-09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alignment apparatus including guiding and securing plates
JP3833889B2 (ja) * 2000-11-29 2006-10-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ダイオード素子と光ファイバの調心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調心装置およびレーザ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US6799370B2 (en) * 2001-06-28 2004-10-05 Chiaro Networks Ltd. Manufacturing technique for optical fiber array
US6571041B2 (en) * 2001-08-02 2003-05-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optical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44731B2 (ja) 2006-11-15
US6847766B2 (en) 2005-01-25
US20030113069A1 (en) 2003-06-19
KR20030049637A (ko) 2003-06-25
JP2003195091A (ja) 200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188B1 (ko) 광섬유 정렬 시스템
CN105005131B (zh) 镜头模块、镜头模块制造方法和包括镜头模块的相机模块
US6827500B2 (en) Precision two dimensional optical fiber array
US9753221B2 (en) Optical coupler for a multicore fiber
US20110298075A1 (en) Lens Unit, Aligning Method,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Pickup Device
KR100616669B1 (ko)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CN101166283B (zh) 图像捕获装置及其制造方法
Koyabu et al. Fabrication of two-dimensional fiber arrays using microferrules
JP2006235262A (ja) 光コリメータアレイ
JP2003248142A (ja) 二次元光学部材アレイ及び二次元導波路装置
US20030152325A1 (en) Optical module
US115416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lignment
JP5185214B2 (ja) 光ファイバアレイ
JPH06214138A (ja) 光ファイバアレーおよびコリメータレンズ付き光ファイバアレー
CN1646960A (zh) 具有对准补偿的光器件
US6522813B2 (en) Alignment technique for optical fiber array
US20240060851A1 (en) Precision non-contact measurement of core-to-ferrule offset vectors for fiber optic assemblies
US20220377231A1 (en) Precision non-contact core imaging of fiber optic assemblies
JP2565124B2 (ja) アレイ光ファイバの整列構造
JP2008040086A (ja) 光ファイバアレイ
JP3211222B2 (ja) 光ファイバアレイ及び光導波路モジュールの結合方法
JP2006267585A (ja) 光モジュール
JP2003185873A (ja) 二次元光学部材アレイ及び二次元導波路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230064854A (ko)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KR100424459B1 (ko) 광섬유 블록의 정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