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854A -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854A
KR20230064854A KR1020210150399A KR20210150399A KR20230064854A KR 20230064854 A KR20230064854 A KR 20230064854A KR 1020210150399 A KR1020210150399 A KR 1020210150399A KR 20210150399 A KR20210150399 A KR 20210150399A KR 20230064854 A KR20230064854 A KR 2023006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dhesive member
lens module
lens barrel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854A/ko
Publication of KR2023006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은 렌즈 모듈을 석션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석션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 모듈이 배치된 상기 석션부 내의 석션 환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석션 환경 내에서,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LENS MODULE OF CAMERA}
실시 예는 카메라 렌즈 검사 장치 및 이의 렌즈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센서의 픽셀사이즈가 소형화되고 모듈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에 대한 관리와 렌즈 광축의 틸트(tilt)나 시프트(Shift) 등의 카메라 모듈의 기구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마운트 구조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렌즈 배럴과 보빈이 나사산 결합을 하는 카메라 모듈은 포커싱 조정작업시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마찰에 의하여 이물이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이물에 의해서 화상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무나사 타입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렌즈 배럴 조립을 위해 에폭시 등을 사용함에 있어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에 침투된 에폭시가 하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화상영역으로 전이됨으로써 이물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에폭시의 양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렌즈 배럴이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에폭시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상 동작 수행 시에, 상기 렌즈 배럴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상기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렌즈의 해상력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수축에 의해 렌즈 배럴의 형상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의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렌즈의 만곡이나, 상기 렌즈 배럴과 렌즈 사이의 조립 구조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렌즈의 광축의 틀어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 내에 수용된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액추에이터와의 결합을 위한 에폭시의 양에 따라 렌즈 만곡 등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이 제조된 이후에, 상기 렌즈 모듈의 단품에 대해 진행한 신뢰성 결과(예를 들어, 렌즈의 만곡 상태나 해상력 변화 등) 는 상기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진행한 신뢰성 결과와 차이를 가진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렌즈 모듈 단품에 대해 진행한 신뢰성 결과에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최종 제품에서의 렌즈 모듈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는 액추에이터에 렌즈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모듈에 대한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최종적인 신뢰성 평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의 원인 분석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를 결합한 상태에서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해야 하고, 상기 신뢰성 평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불량인 경우),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과 결합된 액추에이터를 모두 불량 처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는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과정이 복잡하면서, 렌즈 모듈의 불량 분석 비용이나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의 단품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간편한 신뢰성 평가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의 독립적인 신뢰성 평가가 가능한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에 장착된 상태와 같은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사전 진행된 신뢰성 평가 결과에 대응하게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을 진행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사전 진행된 신뢰성 평가 결과에 대응하게 접착 부재의 양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은 렌즈 모듈을 석션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석션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 모듈이 배치된 상기 석션부 내의 석션 환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석션 환경 내에서,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석션 압력은,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정도와 상기 석션 압력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수축 정도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조건별로 각각 진행된다.
또한, 상기 렌즈 모듈은,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은, 상기 렌즈 배럴의 복수의 단차부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제1 및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1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2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2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조건별로 각각 진행된 신뢰성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대한 최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모듈에 수용된 렌즈의 MTF 및 만곡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는 기준 차트를 제공하는 차트부; 상기 차트부와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렌즈 모듈이 수용되는 석션부; 상기 석션부 내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MTF 및 만곡 상태를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여, 상기 렌즈 모듈이 수용된 석션부의 석션 환경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석션 환경 내에서 진행된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정도와 상기 석션 압력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수축 정도의 조건별로, 상기 석션 환경 형성 및 이에 대한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또한, 상기 렌즈 모듈은,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은, 상기 렌즈 배럴의 복수의 단차부에 따라 구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제1 및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1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석션 압력을 결정하고,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2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2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석션 압력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조건별로 각각 진행된 신뢰성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대한 최적 범위를 결정한다.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석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석션부는 접착부재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정도에 따른 석션 조건으로 렌즈 모듈을 수축시키는 공압 지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가 상호 결합된 조건에 대응하는 신뢰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 평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모듈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렌즈 모듈만을 폐기처분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 및 이와 결합된 액추에이터를 모두 폐기처분하는 종래 기술 대비,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석션부의 석션 조건을 조절해가며, 상기 렌즈 모듈의 최적 성능을 낼 수 있는 최적 석션 압력에 대한 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 압력은 추후 액추에이터와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획득한 최적 석션 압력에 대한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 변화없이 상기 액추에이터와 렌즈 모듈의 결합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정된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대응하게, 접착부재의 도포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의 렌즈 모듈의 렌즈 배럴은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도포량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된 제1 단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제1 플랜지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와 같은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부재의 양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착부재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상 동작 수행 시에, 상기 렌즈 배럴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상기 접착부재를 구성하는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렌즈의 해상력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수축에 의해 렌즈 배럴의 형상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의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렌즈의 만곡이나, 상기 렌즈 배럴과 렌즈 사이의 조립 구조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렌즈의 광축의 틀어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 제1 단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차부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차부는 복수의 단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 부분만을 덮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덮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덮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도포된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보빈은 내측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의 양의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에는 3개의 단차 부분으로 구분된 제1 단차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3개의 단차 부분을 기준으로, 접착부재의 도포량 및 확인을 3단계에 걸쳐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제품 사향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 및 확인이 4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빈에 제2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내측부와 단차를 가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단차를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단차부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렌즈 배럴에 형성된 제1 단차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부의 상기 제1 부분의 최하단은, 상기 렌즈 배럴의 제1 단차부의 제3 부분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단차부의 제1 부분을 통해 추가적인 접착부재의 도포량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의 조절 오차로 인해, 상기 접착부재의 일부가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렌즈 배럴의 정상적인 구동이 불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빈의 상기 제2 단차부는 복수의 단차 부분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구동 장치 내부로 상기 접착부재가 넘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A'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렌즈 배럴의 외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빈의 내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A' 방향으로의 단면도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B-B' 방향으로의 단면도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제1 단차부와 렌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의 결합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도포 량에 따른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Optical Axis) 방향은 카메라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에 결합되는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CLAF, closed-loop auto focus) 제어는 포커스 조절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렌즈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되먹임) 제어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은 광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A' 방향으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110), 렌즈 배럴(120), 렌즈 구동 장치(130), 필터(140), 홀더(150), 회로 기판(160), 보강 플레이트(170), 이미지 센서(180) 및 접착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촬상기 또는 촬영기로 대체하여 표현할 수 있고, 홀더(150)는 센서 베이스(sensor base)로 대체하여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는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필터(140) 상에 배치되는 차단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은 홀더(150)와 필터(14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은 회로 기판(160) 상에 배치되는 모션 센서(미도시), 제어소자(미도시) 및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10) 또는 렌즈 배럴(120)은 렌즈 구동 장치(130)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렌즈(110)는 렌즈 배럴(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배럴(120)은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는 보빈(추후 설명)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 배럴(120)은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의 보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의 내측면 사이에는 접착부재(19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 배럴(120)은 상기 접착부재(190)를 통해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의 보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120) 및 상기 렌즈 배럴(120)에 수용된 렌즈(110)를 포함하는 구성을 '렌즈 모듈'이라고도 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30)는 상기 렌즈(110)가 수용된 렌즈 배럴(120),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
렌즈(110)는 3매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적층된 광학계일 수 있다. 렌즈(110)는 5매 이상의 렌즈들이 적층된 광학계일 수 있다. 렌즈(110)는 8매 이상의 렌즈들이 적층된 광학계일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상기 렌즈(110)가 8매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렌즈(110)는 8매 미만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다르게 9매 이상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유리 재질의 렌즈와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110)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가 유리 재질의 렌즈보다 많거나, 2매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110)는 플라스틱 렌즈들 또는/및 유리 렌즈(들)로 적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유리 재질의 열 팽창계수(CTE)에 비해 5배 이상 높고, 온도의 함수에 따른 굴절률의 변경 값(|dN/Dt|)은 유리 재질보다 플라스틱 재질이 10배 이상 높을 수 있다. 여기서, dN은 렌즈의 굴절률의 변경 값이며, dT는 온도의 변경 값을 나타낸다.
카메라 모듈(100)은 AF(Auto Focus)용 카메라 모듈, OIS(Optical Image Stabilizer)용 카메라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F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OIS용 카메라 모듈은 오토 포커스 기능 및 OIS(Optical Image Stabiliz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렌즈 구동 장치(13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이거나 또는 OIS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 있으며, 여기서 "AF용" 및 "OIS용"의 의미는 AF용 카메라 모듈 및 OIS용 카메라 모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 구동 장치(130)는 OIS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30)는 하우징(131) 및 상기 하우징(131) 내에 배치되고, 렌즈 배럴(120)과 결합되는 보빈(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는 상기 보빈(132)에 배치되는 제1 코일(미도시), 하우징(131)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코일과 대향되는 마그네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상기 하우징(131)의 상부와 상기 보빈(132)의 상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탄성 부재(미도시)와, 상기 보빈(132)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131)의 하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상기 보빈(132) 또는 상기 하우징(131)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코일(미도시)과, 상기 제2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구동 기판(미도시)과, 상기 구동 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빈(132)은 렌즈 배럴(120)이 결합되는 '홀더'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함께 렌즈 구동 장치(130)의 구성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구동 기판과 상부 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하우징(131)을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과 제2 코일 각각은 구동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구동 기판으로부터 구동 신호(구동 전류)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탄성 부재는 복수의 상부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부재는 상부 스프링들과 연결되는 지지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스프링들 및 지지 부재를 통하여 제1 코일은 구동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판은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제1 코일 및/또는 제2 코일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의 렌즈 구동 장치(130)는 제1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132) 및 이에 결합된 렌즈 또는 렌즈 배럴(12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빈(132), 상기 보빈(132)에 결합된 렌즈 배럴(120) 및 상기 렌즈 배럴(120)에 수용된 렌즈(110)의 광축 방향으로의 변위가 제어되어 AF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제2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하우징(131)이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손떨림 보정 또는 OIS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렌즈 구동 장치(130)는 보빈(132)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미도시), 및 하우징(131)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되고 AF 위치 센서가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AF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30)는 센싱 마그네트에 대응하여 보빈(132)에 배치되는 밸런싱 마그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F 위치 센서는 보빈(132)의 이동에 따른 센싱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부 탄성 부재(또는 하부 탄성 부재) 또는/및 지지부재를 통하여, AF 위치 센서는 구동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판은 AF 위치 센서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은 구동 기판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렌즈 구동 장치(130)는 AF용 렌즈 구동 장치일 수도 있으며, AF용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보빈, 보빈에 배치되는 코일, 하우징에 배치되는 마그네트(magnet), 보빈과 하우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보빈(또는/및 하우징)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부재는 상술한 상부 탄성 부재 및 하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에는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류)가 제공될 수 있고, 코일과 마그네트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빈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코일은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네트는 보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AF 피드백 구동을 위하여, AF용 렌즈 구동 장치는 보빈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sensing magnet), 하우징에 배치되는 AF 위치 센서(예컨대, 홀 센서(hall sensor), 및 AF 위치 센서가 배치되고 하우징 또는/및 베이스에 배치 또는 장착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AF 위치 센서가 보빈에 배치되고, 센싱 마그네트가 하우징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1의 렌즈 구동 장치(130) 대신에 렌즈 또는 렌즈 배럴(120)과 결합되고, 렌즈 또는 렌즈 배럴(120)과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우징은 홀더(150)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홀더(150)에 부착 또는 고정된 하우징은 이동되지 않을 수 있고, 홀더(150)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코일과 AF 위치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회로 기판을 통하여 코일 및 AF 위치 센서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의 출력이 회로 기판으로 전송될 수 있다.
홀더(150)는 렌즈 구동 장치(13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40)는 홀더(150)에 장착되며, 홀더(150)는 필터(140)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홀더(150)와 필터(140) 사이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 구동 장치(130)에 홀더(150)를 결합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부재는 렌즈 구동 장치(130)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하면과 홀더(15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이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홀더(150)와 렌즈 구동 장치(130)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는 렌즈 구동 장치(1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 부재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필터(140)는 홀더(150)의 안착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50)의 안착부는 홀더(15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50)의 안착부는 홀더(15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홈(recess), 캐비티(cavity), 또는 홀(hole)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홀더(150)의 안착부는 렌즈(110) 또는 렌즈 배럴(120)의 하단이 필터(140)와 접촉 또는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홀더(150)의 돌출부는 필터(140)의 측면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150)의 돌출부는 필터(140)의 측면을 감싸도록 필터(140)의 측면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150)의 돌출부의 내측면은 필터(140)의 측면과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양자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는 필터(140)를 홀더(150)의 안착부 내측에 용이하게 실장하기 위한 가공 공차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홀더(150)의 돌출부의 상면은 필터(140)의 상면보다 광축 방향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렌즈(110) 또는 렌즈 배럴(120)이 렌즈 구동 장치(130)에 장착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필터(14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110) 또는 렌즈 배럴(120)의 하단이 필터(140)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측에서 바라본 안착부의 돌출부의 형상은 필터(140)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안착부의 돌출부의 형상은 필터(140)의 형상과 유사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홀더(150)는 필터(140)가 실장 또는 배치되는 부위에 필터(14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180)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는 홀더(150)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관통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개구는 홀더(150)의 중앙을 관통할 수 있으며, 안착부 내에 마련될 수 있고, 개구의 면적은 필터(14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홀더(150)는 회로 기판(160) 상에 배치되며, 내부에 필터(140)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150)는 상측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 장치(130)를 지지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30)의 베이스의 하면은 홀더(1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구동 장치(130)의 베이스의 하면은 홀더(150)의 상면에 접할 수 있고, 홀더(15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40)는 홀더(150)의 안착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40)는 렌즈 배럴(120)을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18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4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필터(140)는 광축(OA)과 수직한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홀더(150)의 하부에 배치되고, 홀더(150)는 회로 기판(16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 부재에 의하여 홀더(150)는 회로 기판(160)의 상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는 홀더(150)의 하면과 회로 기판(16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홀더(150)의 개구에 대응하는 캐비티(161)를 구비할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161)는 광축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을 관통하는 관통 홀 형태일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161) 내에는 이미지 센서(180)가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회로 기판(160)의 아래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161)에 대응하고 이미지 센서(180)가 실장되기 위한 돌출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71)는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돌출부(171)의 상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161)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의 상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180)는 와이어(21)를 통하여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21)는 이미지 센서(180)의 단자(181)와 회로 기판(160)의 단자(16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는 기설정된 두께와 경도를 갖는 판재형 부재로서, 이미지 센서(1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 또는 접촉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컨대, SUS,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보강 플레이트(170)는 글라스 에폭시,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70)는 회로 기판(160)의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ESD(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그라운드(Ground)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필터(14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광이 포함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일 수 있다.
회로 기판(160)은 이미지 센서(18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160)에는 이미지 센서, 및 각종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50)는 제1 홀더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고, 회로 기판(160)은 제2 홀더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렌즈 구동 장치(13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140)와 이미지 센서(180)는 광축(OA)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필터(140)의 상면에는 차단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 부재는 "마스킹부"로 대체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는 필터(140)의 상면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렌즈(110) 또는 렌즈 배럴(120)을 통과하여 필터(140)의 가장 자리 영역을 향하여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가 필터(140)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는 필터(140)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140)는 광축 방향으로 보아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단 부재는 필터(140)의 상면의 각 변을 따라 필터(140)에 대하여 대칭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 부재는 필터(140)의 상면의 각 변에서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부재는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 부재는 필터(140)에 도포되는 불투명한 재질의 접착성 물질로 구비되거나 또는 필터(140)에 부착되는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140)와 이미지 센서(180)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차단 부재는 광축 방향으로 회로 기판(160)에 배치된 단자(162) 및/또는 와이어(2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와이어(21) 및 단자(162)는 도전성 물질, 예컨대, 금, 은, 동, 동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도전성 물질은 광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필터(140)를 통과한 광은 회로 기판(160)의 단자(162) 및 와이어(21)에 의하여 반사될 수 있고, 이러한 반사광에 의하여 순간적인 번쩍임, 즉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플레어 현상은 이미지 센서(18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왜곡시키거나 이미지 화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차단 부재는 광축 방향으로 단자(162) 및/또는 와이어(21)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렌즈(110) 또는 렌즈 배럴(120) 통과한 광 중에서 회로 기판(160)의 단자(162), 또는/및 와이어(21)로 향하는 광을 차단하여 상술한 플레어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180)에 결상되는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로 기판(160) 상에는 모션 센서(미도시)가 실장 또는 배치되며, 모션 센서는 회로 기판(160)에 마련되는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제어소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카메라 모듈(1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모션 센서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소자는 회로 기판(160)에 실장 또는 배치된다.
회로 기판(160)은 렌즈 구동 장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은 렌즈 구동 장치(130)의 구동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160)을 통하여 렌즈 구동 장치(130)의 제1 코일 및 제2 코일 각각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고, AF 위치 센서(또는 OIS 위치 센서)에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F 위치 센서(또는 OIS 위치 센서)의 출력은 회로 기판(16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커넥터(190)는 회로 기판(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의 하면과 보강 플레이트(170)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175)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접착 부재(175)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180)는 보강 플레이트(170) 상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17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1 영역(S1) 및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180)와 광축 방향(OA)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S1)은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161)와 광축 방향(OA)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180)가 부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S2)은 제2 접착 부재(165)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S2)은 광축 방향(OA)으로 회로 기판(160)과 오버랩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71)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의 상기 제1 영역(S1)에 위치한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170)와 돌출부(171)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단일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180)는 상기 돌출부(171)의 상면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180)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171)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서의 제1 접착 부재(1750)는 상기 제1 영역(S1) 중 상기 돌출부(171)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적어도 제1 부분은 상기 돌출부(171)와 직접 접촉하고, 적어도 제2 부분은 상기 제1 접착 부재(175)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180)은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접착 부재(175)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와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휨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8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의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면적은 상기 제1 접착 부재(175)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면적 중 일부분만이 상기 제1 접착 부재(1750)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 센서(180)의 하면의 제1 부분은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와 접촉하고, 상기 제1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부분은 상기 제1 접착 부재(175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75)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접착 필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회로 기판(160)의 하면과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상면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165)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착 부재(165)에 의하여 회로 기판(160)은 보강 플레이트(170)에 부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 부재(165)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접착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돌출부(171)의 상면의 면적은 이미지 센서(180)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하면의 제1 부분만이 상기 돌출부(171)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71)의 상면의 면적은 상기 이미지 센서(180)의 하면의 면적보다 작다.
한편,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상면에서 돌출부(171)의 상면까지의 제1 높이(H1)와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에서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의 상면까지의 제2 높이(H2)의 비율(H1:H2)은 1: 0.67 ~ 1: 2.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높이를 제1 높이로 나눈 값(H2/H1)이 0.67 미만인 경우에는 보강 플레이트(170)가 회로 기판(160)을 지지할 수 없을 정도로 휘어지거나 변형되기 쉽다.
또한, 제2 높이를 제1 높이로 나눈 값(H2/H1)이 2.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출부(171)의 돌출된 높이가 미미하여 보강 플레이트(170)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없고, 이미지 센서(180)의 상면과 회로 기판(160)의 상면 간의 광축 방향으로의 단차를 줄이는 효과가 감소되어 양자 간의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예컨대, H1는 80[㎛] ~ 150[㎛]일 수 있고, H2는 100[㎛] ~ 17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보강 플레이트(170)의 하면을 기준으로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의 상면의 높이는 보강 플레이트(170)에 배치된 회로 기판(16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는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역(S1)은 이미지 센서(180)가 부착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2 영역(S2)은 회로 기판(160)이 부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S1)은 제1 접착 부재(175)가 배치되는 제1-1 영역(S1-1)과, 상기 돌출부(171)가 배치되는 제1-2 영역(S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 영역(S1-1)은 상기 제2 영역(S2)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 영역(S1)에는, 제1-1 영역(S1-1)을 기준으로, 보강 플레이트의 하면에서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 방향을 돌출되는 돌출부(171)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180)는 돌출부(17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 영역(S1) 중 제1-2 영역(S1-2)은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1 영역(S1-1) 및 제2 영역(S2)보다 돌출되는 돌출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2 영역(S1-2)의 두께(T1)는 제1-1 영역(S1-1) 및 제2 영역(S2)의 두께(T2)보다 두껍다(T1>T2). 그리고, T1>T2이므로,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의 상면의 왜곡이 억제될 수 있고, 돌출부(171)의 상면의 평탄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 예는 돌출부(171)의 상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18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광학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2 영역(S2)은 일정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실시 예는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80)는 돌출부(171)의 상면에, 상기 돌출부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160)의 상면과 이미지 센서(180)의 상면 사이의 높이 차이가 줄어들어 회로 기판(160)과 이미지 센서(180) 간의 와이어 길이가 짧아지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의 측면과 회로 기판의 캐비티의 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100[㎛] ~ 250[㎛]일 수 있다. D1이 100[㎛] 미만인 경우에는 회로 기판(160)을 보강 플레이트(170)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공차가 작아져서 회로 기판(160)의 캐비티(161)와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 사이의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고, 회로 기판(160)과 돌출부(171) 간의 충돌에 의하여 회로 기판(160)이 파손될 수 있다.
D1이 250[㎛] 초과인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와 회로 기판 간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여 와이어 본딩의 신뢰성이 나빠질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보강 플레이트(170)의 돌출부(171)는 보강 플레이트(170)의 제1 영역(S1)에서, 상기 제1-1 영역(S1-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돌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의 렌즈(110)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120)과 렌즈 구동 장치(130)의 보빈(132)은 무나사산 구조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을 요구하는 추세에 따라, 광축 정렬의 오차 범위가 더욱 엄격하게 요구되므로, 나사산 결합 방식보다 무나사산 결합 방식이 더욱 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무나사산 결합 방식은, 상기 보빈(132)의 중공부에 렌즈 배럴(120)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삽입한 후, 접착부재(190)를 이용하여 상기 보빈(132)에 렌즈 배럴(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과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 사이에 접착부재(190)를 도포하여, 상기 보빈(132)과 렌즈 배럴(120)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190)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부재(190)가 열경화성 에폭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보빈(132)과 렌즈 배럴(120)을 오븐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직접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경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190)가 UV(자외선) 에폭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접착부재(190)에 자외선을 가하여 경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190)는 열경화와 자외선 경화가 혼용될 수 있는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경화나 자외선 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재(190)는 에폭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보빈(132)에 렌즈 배럴(120)을 고정할 수 있는 접착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120), 보빈(132) 및 이들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렌즈 배럴의 외측면의 확대도이다.
이의 설명에 앞서,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는, 상기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명확하게, 렌즈 구동 장치)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상태와 같은 신뢰성 평가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에 의해 발생하는 렌즈 모듈의 신뢰성 검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의 최적 성능을 위한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사전에 결정하고, 추후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상기 결정된 도포량에 대응하게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에에서의 렌즈 배럴(12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 및 도포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사전 결정된 상기 렌즈 모듈의 해상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도포량 범위에 대응하게,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 및 도포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렌즈 배럴(1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120)은 광축 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121)는 상기 렌즈 배럴(120) 내부에 수용된 렌즈(110)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20)은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20)의 측면부는 영역별로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의 렌즈 배럴(12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110)의 외경과 무관하게,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의 결합을 위한 외경을 가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은 제1 플랜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122)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122)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전체 영역에서 외경이 가장 큰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부(122)는 상기 렌즈 배럴(120)이 상기 보빈(132)에 조립될 때,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32)과 렌즈 배럴(120)의 결합 시, 상기 렌즈 배럴(120)은 상기 보빈(132)의 상단부에 유입되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랜지부(122)는 상기 보빈(132) 내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132)에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에 대응하는 제2 플랜지부(추후 설명)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132) 내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이 하측 방향으로 최대 이동한 경우,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는 상기 보빈(132)의 제2 플랜지부와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서로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폭의 에어 갭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갭을 채우며 상기 접착부재(1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플랜지부(122)는 상기 보빈(132)의 제2 플랜지부와 실질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플랜지부(122)에는 돌출부(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플랜지부(122)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제1 플랜지부(122)의 외측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2-1)는 광축을 중심으로, 상기 광축과 수직한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2-1)는 광축을 중심으로,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제1 플랜지부(122)의 스토퍼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132)에 렌즈 배럴(120)의 조립 시,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보빈(132) 내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이 하측으로 최대 이동한 경우, 상기 보빈(132)의 함몰부(추후 설명)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플랜지부(122)와 함께,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19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190)는 상기 보빈(132)의 함몰부(132-4)의 내부를 채우며,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돌출부(122-1)를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2-1)는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접착부재(19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렌즈 배럴(120)이 상기 보빈(1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190)는 상기 돌출부(122-1)의 하면, 측면 및 상면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22-1)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예 대비, 상기 접착부재(190)와 상기 렌즈 배럴(12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상기 접착부재(190)에 의한 렌즈 배럴(120)과 보빈(132)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복수의 돌출부(122-1)에는 각각 서로 다른 인디케이터(미도시)가 각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돌출부(122-1)에는 서로 다른 문자가 각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빈(132)과 상기 렌즈 배럴(120)의 결합 시, 상기 렌즈 배럴(120)의 결합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빈(132)과 렌즈 배럴(120)의 결합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20)은 상기 제1 플랜지부(122)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플랜지부(122)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단부(123) 및 상기 제1 플랜지부(12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단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단부(123)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하단부(123)에 대응하는 수용부 내에 수용된 렌즈(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단부(124)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상단부(124)에 대응하는 수용부 내에 수용된 렌즈(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단부(124) 및 하단부(123)의 각각의 외측면은, 광축 방향으로 일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단부(124)의 외경은 상기 제1 플랜지부(122)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단부(124)의 외경은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단부(123)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단부(123)의 외경은 상기 제1 플랜지부(122) 및 상기 하단부(123)의 각각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플랜지부(122)와 상기 상단부(124) 사이에는 제1 단차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부(125)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플랜지부(122)와 상기 상단부(124) 사이에 형성되고, 광축 방향으로 일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외측면은 광축 방향으로 일정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외측면은 제1 경사각을 가지는 제1 부분(125-1), 상기 제1 경사각과 다른 제2 경사각을 가지는 제2 부분(125-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의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외측면은 제2 경사각과 다른 제3 경사각을 가지는 제3 부분(125-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된 제1 단차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차부(125)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상측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190)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와 같은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부재(190)의 양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상기 렌즈 배럴(120)이 상기 보빈(132)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상 동작 수행 시에, 상기 렌즈 배럴(120)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상기 접착부재(190)를 구성하는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렌즈(110)의 해상력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수축에 의해 렌즈 배럴(120)의 형상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렌즈(110)의 만곡이나, 상기 렌즈 배럴(120)과 렌즈(110) 사이의 조립 구조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렌즈(110)의 광축의 틀어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 제1 단차부(12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차부(125)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차부(125)는 복수의 단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125)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단차부(125)를 구성하는 단차 부분은 3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차부(125)를 구성하는 단차 부분은, 제1 부분(125-1),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125-1),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가 상기 제1 부분(125-1)만을 덮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부분(125-1) 및 제2 부분(125-2)을 덮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부분(125-1),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을 덮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에 도포된 접착부재(190)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190)를 도포할 때,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경화 시에 상기 렌즈 배럴(120)의 변형이나 렌즈(110)의 해상력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양을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렌즈 배럴이나 보빈의 경우, 상기 접착 부재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얼마만큼의 양의 도포되었는지, 그리고 얼마만큼의 양이 도포되어야 하는지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서, 상기 접착부재(190)가 도포되는 부분에 제1 단차부(125)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차부(125)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125)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제1 부분(125-1),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125-1),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의 최상단의 위치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190)가 상기 제1 부분(125-1)까지 도포된 경우 이에 대한 접착부재(190)이 도포량이 "A"이고, 상기 제2 부분(125-2)까지 도포된 경우 이에 대한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이 "B"이고, 상기 제3 부분(125-3)까지 도포된 경우 이에 대한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이 "C"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카메라 모듈(10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과 보빈(132) 사이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렌즈 배럴(120)의 변형이나 렌즈(110)의 해상력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이 "A"인 경우, 상기 접착부재(190)를 상기 제1 부분(125-1)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하는 것으로,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이 "A"인 경우, 상기 접착부재(190)에 의해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상기 제1 부분(125-1)이 모두 덮임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제1 부분(125-1)의 외측면이 보고,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의 외측면은 외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차부(125)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확인 및 조절하여, 상기 결정된 도포량에 대응하게 상기 접착부재(19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의 확인 및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의 결합 공정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기결정된 양만큼 상기 접착부재(190)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경화에 의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변형이나 렌즈(110)의 해상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의 결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검사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의 제1 경사각, 상기 제2 부분(125-2)의 제2 경사각 및 제3 부분(125-3)의 제3 경사각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렌즈 배럴(120)의 내측을 향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2 부분(125-2)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3 부분(125-3)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외부에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따라, 상기 제1 부분(125-1)의 외측면, 상기 제2 부분(125-2)의 외측면 및 상기 제3 부분(125-3)의 외측면의 노출 여부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가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경우, 외부에서 상기 제1 단차부(125)의 확인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제1 단차부(125)는 3개보다 많은 단차 부분을 가질 수 있으나, 상기 렌즈 배럴(120)에 단차 부분의 수를 늘리는 경우, 상측 방향으로 갈수록 렌즈 배럴(120)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고, 이에 따라 내부에 상기 렌즈(110)가 안정적으로 배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단차부(125)가 3개의 단차 부분을 포함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렌즈 배럴(120) 내에 수용되는 렌즈 배럴(120)의 매수의 증감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120)에 형성되는 단차 부분의 수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단차부(125)의 각각의 단차 부분의 외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의 평균 외경은,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2 부분(125-2)의 평균 외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3 부분(125-3)의 평균 외경은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 및 제2 부분(125-2)의 각각의 평균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외부에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보빈의 내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렌즈 구동 장치(130)는 보빈(132)을 포함한다.
상기 보빈(132)은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120)이 수용되는 중공부(132-1)를 포함한다.
상기 보빈(132)은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보빈(132)은 제2 플랜지부(1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렌지부(132-2)는 상기 렌즈 배럴(120)이 상기 중공부(132-1) 내에서 하측 방향으로 최대 이동한 경우,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와 함께, 상기 렌즈 배럴(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보빈(132)은 상기 제2 플랜지부(132-2) 상에 내측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132)의 상기 내측부(132-3)는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 중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 및 제1 단차부(125)와 마주보는 내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보빈(132)의 내측부(132-3)에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에 형성된 돌출부(122-1)에 대응하는 함몰부(13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32-4)는 상기 렌즈 배럴(120)이 상기 보빈(132)의 중공부 내에서 하측 방향으로 최대 이동한 경우, 상기 렌즈 배럴(120)의 돌출부(122-1)와 접촉하여,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빈(132)의 내측부(132-3)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단차부(125)와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32)의 내측부(132-3)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단차부(125)와 마주보는 영역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상기 내측부(132-3)의 일 영역에는 상기 함몰부(132-4)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측부(132-3)에서 상기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은 상기 함몰부(132-4)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와 마주보는 상기 보빈(132)의 내측부(132-3)에 단차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조절할 시, 상기 렌즈 배럴(120)의 단차부에서의 도포량 확인 및 상기 내측부(132-3)의 단차에서의 도포량 확인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정확한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서, 상기 보빈(132)의 내측부(132-3)에서, 상기 함몰부(132-4)를 제외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와 마주보는 제1 영역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은 상기 렌즈 배럴(120)에 형성된 제1 단차부(125)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단차부(125)는 상기 렌즈 배럴(120) 내에 수용되는 렌즈(1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형성 영역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빈(132)은 상기 내측부(132-3)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1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부(132-5)는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양의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120)에는 3개의 단차 부분으로 구분된 제1 단차부(125)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3개의 단차 부분을 기준으로,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및 확인을 3단계에 걸쳐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제품 사향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및 확인이 4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빈(132)에 제2 단차부(132-5)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부(132-5)는 상기 내측부(132-3)와 단차를 가지는 제1 부분(132-51) 및 상기 제1 부분(132-51)과 단차를 가지는 제2 부분(132-5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단차부(132-5)의 상기 제1 부분(132-51)은 상기 렌즈 배럴(120)에 형성된 제1 단차부(125)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부(132-5)의 상기 제1 부분(132-51)의 최하단은,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3 부분(125-3)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단차부(132-5)의 제1 부분(132-51)을 통해 추가적인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의 조절 오차로 인해, 상기 접착부재(190)의 일부가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정상적인 구동이 불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32)의 상기 제2 단차부(132-5)는 복수의 단차 부분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 내부로 상기 접착부재(190)가 넘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A-A' 방향으로의 단면도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1의 B-B' 방향으로의 단면도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의 접착부재(190)는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은 제1 플랜지부(122) 및 제1 단차부(12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빈(132)의 내측면은 상기 제1 플랜지부(122) 및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부(132-3)를 포함한다.
이때, 실시 에에서는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 및 상기 제1 단차부(125)와, 상기 보빈(132)의 내측부(132-3) 사이에 접착부재(190)를 도포하는 경우, 상기 접착부재(190)가 상기 제1 단차부(125)를 모두 노출하는 제1 단계(제1 플랜지부의 최상단까지만 도포되는 경우),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까지 도포되는 제2 단계, 제1 단차부(125)의 제2 부분(125-2)까지 도포되는 제3 단계,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3 부분(125-3)까지 도포되는 제4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 과정에서, 상기 제1 단차부(125)의 각각의 단차 부분의 외측면이 노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가 너무 과다하게 도포됨에 따라, 상기 렌즈 구동 장치(130)로 넘치는 경우나,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추가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보빈(132)에 제2 단차부(132-5)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의 결합은, 결합 지그(미도시)를 가지고 상기 렌즈 배럴(120)을 상기 보빈(132)의 중공부 내의 일정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접착부재(190)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1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일정 에어 갭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에어 갭 사이로 상기 접착부재(190)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돌출부(122-1)와 상기 보빈(132)의 함몰부(132-4)가 서로 직접 접촉할 수 있지만, 실시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22-1)와 함몰부(132-4) 사이에 일정 공간의 에어 갭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190)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돌출부(122-1)의 상면, 외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며 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와 상기 렌즈 배럴(12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렌즈 배럴(120)과 상기 보빈(1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서, 상기 보빈(132)의 제2 플랜지부(132-2)와 상기 렌즈 배럴(120)의 하단부(123) 사이의 영역(A)에도 에어 갭이 존재하며, 상기 접착부재(190)는 상기 영역(A)에도 도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제1 단차부와 렌즈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20)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짐에 따라 단차를 가진 제1 단차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렌즈 배럴에도 외측면이 복수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렌즈 배럴의 단차는 실시 예에서와 같은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을 위한 용도가 아니라,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렌즈 배럴의 외측면의 단차는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매수의 렌즈의 두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렌즈 배럴의 외측면의 단차는 상기 렌즈 배럴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렌즈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가 제1 렌즈, 제2 렌즈 및 제3 렌즈를 포함하는 경우, 종래의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렌즈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 단차, 상기 제2 렌즈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 단차 및 상기 제3 렌즈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3 단차를 가지게 된다.
이와 다르게, 실시 예에서의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는 상기 렌즈 배럴(120) 내에 수용되는 렌즈(110)와 무관하게,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을 위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 내에 수용되는 렌즈(110)는 제1 렌즈(11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 제2 부분(125-2) 및 제3 부분(125-3)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렌즈(110a)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렌즈 배럴에서는 하나의 렌즈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H)에는 1개의 단차 부분만이 형성될 수 있지만,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렌즈와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H)에 복수의 단차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실시 예에서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에는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분된 제1 단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차부는 상기 렌즈 배럴의 제1 플랜지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와 같은 무나사 타입의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 조립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부재의 양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상기 렌즈 배럴이 상기 보빈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착부재의 양이 기준량보다 적으면, 오토 포커싱 또는 손떨림 보상 동작 수행 시에, 상기 렌즈 배럴의 이동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이 기준량보다 많으면, 상기 접착부재를 구성하는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렌즈의 해상력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폭시의 경화 과정에서 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수축에 의해 렌즈 배럴의 형상이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의 형상이 변화함에 따라, 렌즈의 만곡이나, 상기 렌즈 배럴과 렌즈 사이의 조립 구조가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렌즈의 광축의 틀어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 제1 단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차부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단차부는 복수의 단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차부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 부분만을 덮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덮도록 하거나,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덮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도포된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하면서, 상기 접착부재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의 상기 보빈은 내측부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보빈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의 양의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배럴에는 3개의 단차 부분으로 구분된 제1 단차부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3개의 단차 부분을 기준으로, 접착부재의 도포량 및 확인을 3단계에 걸쳐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제품 사향에 따라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 및 확인이 4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보빈에 제2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부는 상기 내측부와 단차를 가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단차를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단차부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렌즈 배럴에 형성된 제1 단차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차부의 상기 제1 부분의 최하단은, 상기 렌즈 배럴의 제1 단차부의 제3 부분의 최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단차부의 제1 부분을 통해 추가적인 접착부재의 도포량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의 조절 오차로 인해, 상기 접착부재의 일부가 상기 렌즈 구동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렌즈 배럴의 정상적인 구동이 불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빈의 상기 제2 단차부는 복수의 단차 부분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렌즈 구동 장치 내부로 상기 접착부재가 넘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렌즈 배럴과 보빈 사이의 결합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서의 case 1은 접착부재(190)가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까지 도포된 경우이고, case 2는 접착부재(190)가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2 부분(125-2)까지 도포된 경우이며, case 3은 접착부재(190)가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3 부분(125-3)까지 도포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case 1의 경우, 탈거력 측정 결과, 기준 수치인 15kgf보다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case 2 및 3의 경우, 탈거력 결과가 기준 수치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case 2의 경우가 case 3보다 더 높은 탈거력 수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 및 도 14는 실시 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도포 량에 따른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는 도 12의 case 1에 대응하는 경화 과정에서의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렌즈 미수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의 (b)는 도 12의 case 2에 대응하는 경화 과정에서의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렌즈 미수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의 (c)는 도 12의 case 3에 대응하는 경화 과정에서의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렌즈 미수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se 1에 대해서는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가 0.02672mm 정도이고, case 2에 대해서는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가 0.02660mm 정도이며, case 3에 대해서는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가 0.02619mm 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case 1 내지 3에 대응하는 접착 부재를 도포하는 경우에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도 14는 렌즈 배럴에 렌즈가 수용된 상태에서, case 2에 대응하는 접착부재(190)가 도포된 경우에서의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를 보여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20) 내에 렌즈(11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가 더욱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 예의 카메라 모듈의 제품 스펙의 경우, 탈거력이 일정 수준 이상을 가지면서, 렌즈 배럴의 변형 정도가 낮은 case 2에 대응하게 접착부재(190)를 도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토대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착부재(190)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상기 렌즈 배럴(120)의 제1 단차부(125)의 제2 부분(125-2)의 외측면이 상기 접착부재(190)에 의해 모두 덮이도록 하면서, 제3 부분(125-3)의 외측면이 모두 노출되는 높이까지 상기 접착부재(190)를 도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접착부재(190)는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제1 부분(125-1)의 외측면 및 제2 부분(125-2)의 외측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3 부분(125-3)의 외측면은 노출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부재(190)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상기 제1 단차부(125)의 상기 제2 부분(125-2)의 상단까지만 도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적의 결합력을 가지면서, 렌즈 배럴의 변형이나 렌즈의 해상력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A, 이하 "단말기"라 한다.)는 몸체(850), 무선 통신부(710), A/V 입력부(720), 센싱부(740), 입/출력부(750), 메모리부(760), 인터페이스부(770), 제어부(780), 및 전원 공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몸체(850)는 바(bar)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서브 몸체(sub-body)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swing) 타입, 스위블(swirl) 타입 등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몸체(8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850)는 프론트(front) 케이스(851)와 리어(rear) 케이스(85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851)와 리어 케이스(85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단말기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710)는 단말기(200A)와 무선 통신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A)와 단말기(200A)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이동통신 모듈(712), 무선 인터넷 모듈(713), 근거리 통신 모듈(714) 및 위치 정보 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7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721) 및 마이크(7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1)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40)는 단말기(200A)의 개폐 상태, 단말기(200A)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기(200A)의 방위, 단말기(200A)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기(200A)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기(200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A)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7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7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입/출력부(7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입력 또는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입/출력부(750)는 단말기(200A)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200A)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750)는 키 패드부(730), 디스플레이 모듈(751), 음향 출력 모듈(752), 및 터치 스크린 패널(753)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부(730)는 키 패드 입력에 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751)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복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7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752)은 호(call)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71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부(7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753)은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부(760)는 제어부(7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사진,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부(760)는 카메라(72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예컨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70)는 단말기(200A)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7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A)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A)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7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및 이어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780)는 단말기(20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781)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7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7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7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790)는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의 렌즈 모듈에서, 렌즈 배럴(120)은 외측면에 복수의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차부를 이용하여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 및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에 렌즈 모듈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접착부재(190)를 도포한 후에 경화하는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190)를 경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따라 서로 다른 수축 정도가 발생하고, 상기 발생하는 수축 정도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의 해상도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되지 이전에, 상기 렌즈 모듈의 해상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의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단차부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전 결정된 범위에 대응하게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7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접착부재(190)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조건에 대응하는 신뢰성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실시 예의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는, 석션부(1010), 차트부(1020), 콜리미터 렌즈(1030), 검증부(1040), 메모리(1050) 및 제어부(1060)를 포함한다.
석션부(1010)는 렌즈 모듈이 수용되는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션부(1010)는 렌즈(110) 및 상기 렌즈(110)가 수용된 렌즈 배럴(120)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션부(1010)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렌즈 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부(1010)는 흡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부(1010)의 흡입부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부(1010)의 흡입부는 상기 렌즈 배럴(120)의 단차부와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부(1010)는 기설정된 석션 압력에 대응하는 석션 조건을 가지고, 상기 렌즈 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션부(1010)는 상기 렌즈 모듈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에 액추에이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결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에 의한 수축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렌즈 모듈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단순히 상기 렌즈 모듈에 대한 신뢰성 평가(예를 들어, 렌즈의 MTF 검사 및 만곡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신뢰성 평가의 결과는 상기 렌즈 모듈의 단품에 대한 결과이며, 상기 렌즈 모듈이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최종 완제품의 결과는 아니다. 이에 따라, 렌즈 모듈의 단품에 대한 신뢰성 평가가 좋게 나왔다 하더라도, 최종적인 완제품에서의 렌즈 모듈의 MTF 검사 및 만곡 검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석션부(1010)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된 것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주고, 이에 따라 상기 환경에서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조건, 예를 들어 석션 압력은 제어부(1060)의 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은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따른 수축 정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석션부(1010)를 통해 형성된 환경에서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추후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액추에이터에 결합됨에 따라 발생하는 수축 조건에서도,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가 정상적으로 나오는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석션부(1010)를 통해 형성된 환경에서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을 최적으로 낼 수 있는 최적 석션 압력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적 석션 압력의 범위는 추후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차트부(1020)를 포함한다. 상기 차트부(1020)는 렌즈 모듈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 제공되는 차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트부(1020)는 그리드 차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트부(1020)는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기준 차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기준 차트를 이용하여 상기 석션부(1010)를 통해 제공된 환경에서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는 콜리미터 렌즈(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리미터 렌즈(1030)는 상기 차트부(1020)의 차트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차트부(1020)와 상기 석션부(10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트부(1020)와 상기 석션부(1010)는 일정 거리 조건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테스트는 상기 차트부(1020)와 상기 석션부(1010)가 1m 정도 이격된 위치에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석션부(1010)와 상기 차트부(1020)가 1m 정도 이격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게 상기 차트부(1020)를 통해 제공되는 기준 차트의 크기도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검사 라인에서 이와 같은 조건을 만들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트부(1020)와 상기 석션부(1010) 사이에 콜리미터 렌즈(103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콜리미터 렌즈(1030)를 이용하여, 상기 차트부(1020)와 상기 석션부(1010)가 실제 테스트 거리(예를 들어, 1m)만큼 이격되지 않았어도, 상기 테스트 거리만큼 이격된 것과 같은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다.
검증부(1040)는 상기 석션부(1010)를 통해 제공되는 환경에서, 상기 석션부(1010) 내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하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증부(1040)는 상기 센싱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에 대한 MTF 검사 및 만곡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메모리(1050)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동작 중에 발생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1050)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따른 수축 정도 및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60)는 상기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단, 제어부(1060)는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따른 수축 조건으로,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경화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 또는 수축 정도를 기준으로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결정된 석션 압력에 대응하는 조건으로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환경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60)는 상기 형성된 석션 환경에서 진행되는 상기 검증부(1040)의 검증 결과를 토대로 상기 렌즈 모듈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단차부에 대응하게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차이가 발생하고, 상기 도포량에 따라 수축 정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60)는 제1 조건으로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렌즈 모듈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단차부 중 제1 단차부까지만 접착부재가 도포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제1 조건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제2 조건으로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렌즈 모듈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단차부 중 제2 단차부까지 상기 접착부재가 도포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0)는 각각의 단차부에 대응하는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대응하게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가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신뢰성 평가가 종료되면, 이에 대응하는 평과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최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이 증가할수록 이에 대응하는 수축 정도도 커지고,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을 조절해가며,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석션 압력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결정된 석션 압력의 범위를 상기 렌즈 모듈과 상기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190)의 도포량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션 압력은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대응하는 수축 정도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석션 압력과 접착부재의 도포량의 관계를 기준으로, 상기 결정된 최적 석션 압력 범위에 대응하는 접착부재의 도포량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결정된 도포량을 기준으로, 추후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 예에서는 석션부를 포함한다. 상기 석션부는 접착부재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정도에 따른 석션 조건으로 렌즈 모듈을 수축시키는 공압 지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가 상호 결합된 조건에 대응하는 신뢰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신뢰성 평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실시 예에서는 상기 렌즈 모듈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상기 렌즈 모듈만을 폐기처분하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 및 이와 결합된 액추에이터를 모두 폐기처분하는 종래 기술 대비,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석션부의 석션 조건을 조절해가며, 상기 렌즈 모듈의 최적 성능을 낼 수 있는 최적 석션 압력에 대한 범위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 압력은 추후 액추에이터와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획득한 최적 석션 압력에 대한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 변화 없이 상기 액추에이터와 렌즈 모듈의 결합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는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석션부(1010) 내에 상기 렌즈 모듈을 위치시킨다(S1010).
이후, 제어부(1060)는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 및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수축 정도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060)는 상기 접착부재(190)의 도포량에 대응하는 수축 조건에 대응하게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환경을 조성한다(S1020).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검증부(1040)를 통해, 상기 조성된 석션 환경에서 상기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의 센싱에 따른 MTF 및 만곡 상태의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30).
이후, 제어부(1060)는 상기 검증 결과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0).
그리고, 제어부(1060)는 상기 검증 결과가 정상이면, 상기 신뢰성 평가를 진행한 렌즈 모듈을 양품으로 처리한다(S1050).
또한, 제어부(1060)는 상기 검증 결과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신뢰성 평가를 진행한 렌즈 모듈을 불량으로 처리한다(S1060).
또한,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수축 조건 및 상기 석션부(1010)의 석션 압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S1110).
이후, 제어부(1060)는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별(예를 들어, 각각의 단차부에 대응하는 접착부재의 도포량)별로 석션부(1010)의 석션 환경을 조성하고, 각각의 석션 환경에서의 렌즈 모듈의 신뢰성 평가가 진행되도록 한다(S1120).
이후, 상기 제어부(1060)는 상기 신뢰성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석션 압력의 범위,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접착부재의 도포량의 범위를 결정한다(S1130).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정된 접착부재의 도포량의 범위에 대응하게, 추후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접착부재(190)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렌즈 모듈을 석션부 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석션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 모듈이 배치된 상기 석션부 내의 석션 환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석션 환경 내에서, 상기 렌즈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신뢰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압력은,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정도와 상기 석션 압력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정도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조건별로 각각 진행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은,
    상기 렌즈 배럴의 복수의 단차부에 따라 구분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제1 및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1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2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2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조건별로 각각 진행된 신뢰성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대한 최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렌즈 모듈에 수용된 렌즈의 MTF 및 만곡 검사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방법.
  8. 기준 차트를 제공하는 차트부;
    상기 차트부와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렌즈 모듈이 수용되는 석션부;
    상기 석션부 내에 수용된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한 광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MTF 및 만곡 상태를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하여, 상기 렌즈 모듈이 수용된 석션부의 석션 환경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석션 환경 내에서 진행된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렌즈 모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즈 모듈과 액추에이터의 결합 시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수축 정도와 상기 석션 압력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석션부의 석션 압력을 결정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부와 상기 석션부 사이에 배치된 콜리미터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수축 정도의 조건별로, 상기 석션 환경 형성 및 이에 대한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재의 도포량은,
    상기 렌즈 배럴의 복수의 단차부에 따라 구분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차부는 제1 및 제2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1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1 조건에 대응하는 제1 석션 압력을 결정하고,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제2 단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포되는 제2 조건에 대응하는 제2 석션 압력을 결정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따른 조건별로 각각 진행된 신뢰성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접착 부재의 도포량에 대한 최적 범위를 결정하는,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KR1020210150399A 2021-11-04 2021-11-04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KR20230064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99A KR20230064854A (ko) 2021-11-04 2021-11-04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99A KR20230064854A (ko) 2021-11-04 2021-11-04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54A true KR20230064854A (ko) 2023-05-11

Family

ID=8637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399A KR20230064854A (ko) 2021-11-04 2021-11-04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8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7967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omprising same
KR10249262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WO2007111100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7563037B2 (en) Digital camera module and lens used therein
EP3770678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EP3859419B1 (en) Optical zoom camera module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KR20230064854A (ko) 카메라의 렌즈 모듈 검사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KR2023003346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4003456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4003456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4003456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US20230314663A1 (en) Protective sheet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4003455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US20230371170A1 (en) Camera module
US20230300437A1 (en) Camera module
US20230309235A1 (en) Camera module
KR101038792B1 (ko) 카메라 모듈
EP4270923A1 (en) Camera module
KR101208600B1 (ko) 카메라 모듈과 그 제조방법
KR20230000361A (ko) 보호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36828A (ko) 렌즈 구동 장치
KR2023012987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30172217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KR20220136827A (ko) 렌즈 구동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