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119B1 - Crt 표시 장치 및 컷오프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Crt 표시 장치 및 컷오프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119B1
KR100400119B1 KR10-2001-0065644A KR20010065644A KR100400119B1 KR 100400119 B1 KR100400119 B1 KR 100400119B1 KR 20010065644 A KR20010065644 A KR 20010065644A KR 100400119 B1 KR100400119 B1 KR 10040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voltage
cathode
green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360A (ko
Inventor
야스이히로노부
헤이시아키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2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i-Gm 관을 이용한 CRT의 컷오프 조정 방법을 제안함과 동시에, Gm 전극,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의해, Gm 전극에 인가하는 Gm 전압이 변동하여 표시 화면의 휘도가 변화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Hi-Gm 관의 컷오프 조정은 Gm 전극(5)에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8)의 Gm 전압값과, 흑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서 캐소드(2)에 인가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Hi-Gm 관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는 Gm 전극 전압원(8)의 출력 측에, Gm 전극 전압원(8)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변동을 측정하는 전압 검지 회로(14)를 마련하고, 전압 검지 회로(14)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Gm 전극 전압원(8)은 Gm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CRT 표시 장치 및 컷오프 조정 방법{CRT DISPLAY AND CUT-OFF ADJUSTMENT METHOD}
본 발명은 저전압의 구동 전압으로 종래와 같은 전자총을 얻을 수 있는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종래의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17은 CRT, 참조 부호 2는 캐소드, 참조 부호 3은 G1 전극, 참조 부호 4는 G2 전극, 참조 부호 6은 G3 전극, 참조 부호 7은 애노드, 참조 부호 9는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 참조 부호 10은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 참조 부호 11은 영상 입력, 참조 부호 13은 조정 입력, 참조 부호 18은 플라이백 변압기, 참조 부호 19는 저항이다. 형광면에 전자빔을 조사하는 전자총은 캐소드(2), G1 전극(3), G2 전극(4), G3 전극(6)으로 구성된다. 캐소드(2)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면에 향하는 빔을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가 마련된다.
다음에 도 5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상 신호 입력(11)은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10)에서 반전 증폭되어, 용량 결합된다. 그리고,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10)에서 조정 입력(13)에 따른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이 출력되어 캐소드(2)에 입력된다. 애노드(7)에는 플라이백 변압기(18)에 의해 승압된 약 25kV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 CRT 애노드 고압은 플라이백 변압기(18)를 이용하여, 수평 편향 출력 회로에서 발생하는 수평 귀선 펄스를 승압하고 정류하여 생성되고 있다. 또한, G2 전극(4)에는, 플라이백 변압기(18)에 의해 25kV 정도로 승압된 전압을 저항(19)으로 분압한 약 700V에서 1000V 정도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 종래의 CRT 표시 장치에서는 G2 전극(4)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특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을 분압하기 위한 저항(19)은 100 MΩ 정도이다.
G1 전극(3), G2 전극(4), G3 전극(6), 애노드(7)에 인가되는 전압을 각각 일정하게 하고, 캐소드(2)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화시키면, 캐소드 전압이 임의 레벨보다 작게 되었을 때 캐소드(2)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스크린 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한다. 이 캐소드(2)로부터 스크린 방향으로의 전자빔의 흐름을 빔 전류라고 부른다. 빔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하는 상태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를 구비한 형광면에 빔이 조사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화면이 발광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빔 전류가 많이 흐르면, 형광면에 도달하는 전자빔이 많아지기 때문에 화면의 휘도가 높아진다. 빔 전류가 거의 흐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의 휘도가 낮아져 표시되는 영상은 어둡게 된다. 어두운 화면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영상의 표시 레벨을 흑 레벨이라고 하고, 흑 레벨을 표시시키기 위하여 캐소드(2)에 인가하는 전압을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 또는 컷오프 전압이라고 한다.
종래의 CRT 표시 장치에서는, 캐소드(2)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컷오프 조정이라고 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캐소드의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은, CRT의 제조 과정에 따라서, R, G, B 각 전자총(캐소드)에서, 예컨대, 80∼110VDC의 편차가 있다. 이러한 편차를 보정하지 않으면, 화면상에서 규정된 흑색을 표시할 수가 없다. 컷오프 조정이란, 화면상에서,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과 영상 신호의 흑 레벨을 일치시키는 조정으로, 화상의 검은 부분 및 어두운 부분을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R, G, B 각 전자총의 컷오프 전압에 대하여 각 신호의 흑 레벨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G2 전극 전압을 조정하여 어느 정도의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을 조정하여 대략 조정을 실시한다(또는, G2 전위 고정이라 함). 그리고, R, G, B 각각의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전압의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조정하여, CRT 스크린 상의 영상과 흑색의 휘도를 일치시킨다.
그런데,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24618호 공보에는,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변조 전극(이하, Gm 전극이라 기재한다)을 더 마련한 고휘도 CRT(이하, Hi-Gm 관이라 기재함)가 개시되어 있다. 도 6은 Hi-Gm 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은 G1 전극, 참조 부호 21은 G2 전극, 참조 부호 22는 G3 전극, 참조 부호 23은 캐소드, 참조 부호 24는 캐소드의 표면에 마련된 전자 방사 물질이며, 참조 부호 25는 새롭게 마련된 Gm 전극이다. G3 전극(22) 이후의 전극이나 전체의 구성은 종래의 전자총과 마찬가지이다.
도 7은 Hi-Gm 관의 캐소드 근방에서의 회전 대칭축 상의 전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서 횡축은 캐소드(23)로부터의 위치(mm)를 나타내고, 종축은 전위(V)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참조 부호 26은 전위(전계), 참조 부호 27은 Gm 전극이 존재하는 범위, 참조 부호 28은 전위가 낮은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점선은 캐소드(23)의 전위, 즉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을 나타낸다. Hi-Gm 관은 캐소드(23)로부터의 거리가 약 0.5mm부근, 참조 부호 27로 나타내는 영역에 Gm 전극(25)이 마련된다. 이 Gm 전극(25)이 마련된 위치(27)의 전위(26)는 Gm 전극(25)의 직류 전압(DC 전위)을 소정의 전압값, 예컨대, 80V로함으로써 결정된다. 이 Gm 전극 전압을 80V로 고정한 상태에서, 캐소드 전압(점선 부분)을 변화시키면, 스크린을 향하는 전자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점선이 나타내는 캐소드의 전위가 전위보다 작게 되면 전자가 통과하고, 캐소드의 전위가 커지면 전자가 통과하지 않게 된다. 또, Gm 전극(25)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화하면 전위는 변화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Gm 전극(25)의 캐소드(23) 측에는 캐소드의 동작 범위에서 전자가 항상 풍부하게 존재한다. 그리고, Gm 전극(25)을 통과한 후의 전위 구배는 종래의 캐소드와 G1 전극간의 전위 구배에 비하여 1자리수 정도로 크다. 즉, 전자가 Gm 전극(25)의 근방을 통과한 후는, 공간 전하 효과의 영향을 받지 않아, 많은 전자가 스크린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으로의 전류는 Gm 전극(25)이 존재하는, 전위가 가장 낮은 곳을 통과할 수 있는 전자의 양에 의해서 좌우된다. 이것으로부터, 종래와 같이 빔 전류를 흘릴 경우, 캐소드(23)의 전위차를 절반 이하로 흘릴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전위차이면, 2배 이상의 큰 빔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도 8은 Hi-Gm 관의 캐소드 전압에 대한 각 전류의 관계를 도시한다. 참조 부호 29가 캐소드 전류, 참조 부호 30이 빔 전류, 참조 부호 31이 G2 전극 전류, 참조 부호 32가 Gm 전극 전류이다. 도 8에 나타내는 각 전극의 전압값은, G1 전극 전압이 0V, G2 전극 전압이 500V, Gm 전극 전압이 80V, G3 전극 전압이 5.5 kV인 경우의 값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소드 전압이 내려 갈수록, 빔 전류(30)가 흘러 화면의 휘도는 높아진다. 또한, 빔 전류에 비례하여, Gm 전극 전류나 G2 전극 전류도 흐른다. 그리고, 캐소드 전압이 80V일 때, 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에도, 캐소드 전류가 G2 전극에 유입되고 있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의 캐소드 전류(29)와 빔 전류(30)의 차이가 G2 전극과 Gm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합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Hi-Gm 관을 사용한 CRT 표시 장치의 경우, 종래 CRT의 전자총과 비교하고 새롭게 Gm 전극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Hi-Gm 관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 Gm 전극 전위를 이용한 컷오프 조정 방법을 새롭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Hi-Gm 관은 종래와 같은 캐소드 전압 진폭으로 2배 이상의 큰 전류를 흘릴 수 있고, 또한,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영역의 감도가 크기 때문에, Gm 전압이 변동하면 시각적으로 크게 휘도가 변동한다. 예컨대, Gm 전극의 전위가 내려가면,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이 내려간다. 즉, 화면상의 흑 레벨이 내려가서, 흑색이 바랜 것처럼 보인다. 한편, Gm 전극의 전위가 올라가면,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이 올라가서, 화면은 흑색이 떠 있는 것처럼 되어 노이즈같이 보인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에 전자가 흐르고 있을 때, 즉, 빔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Hi-Gm 관의 Gm 전극에 전류가 유입된다. 그리고, 휘도에 따라서 빔 전류는 변동된다. 이러한 경우, Gm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원은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가 변동하면, 이 전류 변동의 영향을 받아 출력 전압(Gm 전극 전압)이 변동할 가능성이 있다. 전압원이 Gm 전극에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이 변동하면, 상대적으로 3색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레벨이 변동하여, 흑색 측의 색 온도 변화 및 휘도 변동이 나타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작은 전위차에서 큰 빔 전류를 흘릴 수 있는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휘도 변화에 의해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Gm 전극에 인가되는 공급 전압을 일정하게 하는 전압원이 필요하다.
또한, Hi-Gm 관의 G2 전극에는, Gm 전극과 마찬가지로, 스크린에 전자가 흐르고 있을 때에도 전류가 유입된다. 또한, 휘도에 따라서 전류값이 변동하는 것도 Gm 전극과 마찬가지다. Hi-Gm 관을 이용하면, G2 전극에는 정상 상태에서 약 0.몇 mA 정도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플라이백 변압기로 승압한 전압을 저항으로 분압하는 방식에서는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가 커진다. 또한, 애노드 전압, 포커스 전압도 변동하게 된다. G2 전극 전위가 변동하면, 스크린으로의 전자의 흐름인 빔 전류가 변화하여, 휘도가 변화된다. 또한, G2 전극 전위가 변동하면 포커스 특성에도 약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휘도 변화에 의한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G2 전극에 인가하는 공급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전압원이 필요하다.
또한,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서는, 종래의 캐소드 진폭을 부여함으로써, 빔 전류를 2배 이상 흘릴 수 있지만, G2 전극이나 Gm 전극에 전류가 흐르고, 또한, 휘도에 따라 전류가 변하기 때문에, 수배 이상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이 필요하게 된다.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의 능력을 초과한 과전류가 G2 전극을 거쳐서 유입된 경우,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의 출력 진폭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주파수 특성이 열화하여 영상 품질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Hi-Gm 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컷오프 조정을 행하는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Gm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는 전압원을 구비하며, Gm 전극 전압의 변동에 의해 표시 영상의 색 온도 변화 및 휘도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G2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는 전압원을 구비하며, G2 전극 전압의 변동에 의해 표시 영상의 휘도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또한, G2 전극을 거쳐서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에 유입된 경우에,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의 출력 진폭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주파수 특성이 열화하여 영상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CRT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또한, Hi-Gm 관의 컷오프 조정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제 5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종래의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Hi-Gm 관을 채용한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Hi-Gm 관을 구성하는 Gm 전극 근방의 전위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Hi-Gm 관의 캐소드 전압에 대한 각 전류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Hi-Gm관 2 : 캐소드
3 : G1 전극 4 : G2 전극
5 : Gm 전극 6 : G3 전극
7 : 애노드 8 : Gm 전극 전압원
9 :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 10 :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
11 : 영상 신호 입력 12 : 대략 조정 입력
13 : 조정 입력 14 : 전압 검지 회로
15 : G2 전극 전압원 16 : 전압 검지 회로
17 : CRT 18 : 플라이백 변압기
19 : 저항 20 : G1 전극
21 : G2 전극 22 : G3 전극
23 : 캐소드 24 : 전자 방사 물질
25 : Gm 전극 26 : 전위
27 : Gm 전극이 존재하는 범위 28 : 전위가 낮은 범위
29 : 캐소드 전류 30 : 빔 전류
31 : G2 전극 전류 32 : Gm 전극 전류
본 발명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배치된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한 CRT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원과, 이 변조 전극 전압원이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전압값을 설정하고, 또한,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흑색이 소정의 흑색과 일치하도록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마다 전압값을 미세 조정하는 컷오프 조정에 의해 결정된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전압원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하며, 작은 캐소드 진폭으로 많은 전자를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CRT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원과,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G2 전극 및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전압을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 및 애노드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하며, 작은 캐소드 진폭으로 많은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CRT와, 애노드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애노드 전극 전압원과,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G2 전극에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G2 전극 및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전압을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컷오프 조정 방법은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배치된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응답하여,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에 실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흑 레벨과, 캐소드로부터의 전자가 형광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인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일치시키는 컷오프 조정 방법에 있어서,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결정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 결정 단계와,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변조 전극 전압값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전압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했을 때에, CRT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흑색이 되도록,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마다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미세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Hi-Gm 관을 사용한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Hi-Gm관, 참조 부호 2는 캐소드, 참조 부호 3은 G1 전극, 참조 부호 4는 G2 전극, 참조 부호 5는 Gm 전극, 참조 부호 6은 G3 전극, 참조 부호 7은 애노드, 참조 부호 8은 Gm 전극 전압원, 참조 부호 9는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 참조 부호 10은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 참조 부호 11은 영상 신호 입력, 참조 부호 12는 대략 조정 입력, 참조 부호 13은 조정 입력이다.
도 1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상 신호 입력(11)은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9)에서 반전 증폭되어, 용량 결합된다. 그리고,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10)에서 조정 입력(13)에 따른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이 출력되어 캐소드(2)에 입력된다. 애노드(7)에는 플라이백 변압기(18)에 의해 승압된, 예컨대, 25kV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 CRT 애노드 고압은 플라이백 변압기(18)를 이용하여 수평 편향 출력 회로에서 발생하는 수평 귀선 펄스를 승압하고 정류하여 생성된다. G1 전극(3), G2 전극(4), G3 전극(6)에는, 예컨대, 0V, 500V, 5.5kV의 전압이 각각 인가되는 것으로 한다.
Gm 전극 전압원(8)은 대략 조정 입력(12)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Gm 전압을 Gm 전극(5)에 인가하는 전압원이다. Gm 전극 전압원(8)에 입력되는 대략 조정 입력(12)은 볼륨 저항 등으로 제어된다. 또한,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10)에 입력되는 조정 입력(13)은 볼륨 저항, DAC(직류 교류 변환기),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제어되는 흑 레벨 설정 조정값이다. Hi-Gm 관에서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이 일정한 경우, Gm 전극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Gm 전극(5) 근방의 전위가 결정되고, Gm 전극(5) 근방의 전위가 낮은 영역을 통과하는 전자의 양이 결정된다. 즉, 캐소드 전압이 일정하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을 Gm 전극(5)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Gm 전극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컷오프 조정을 할 수 있다.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서의 컷오프 조정의 상세한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단계로서, Gm 전극 전압원(8)이 Gm 전극(5)에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값을 대략 조정 입력(12)으로 결정한다. 다음에, 제 2 단계로서, 흑레벨의 영상 신호를 표시할 때에 캐소드(2)에 인가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대략 조정 입력(12)에 의해 결정된 Gm 전극 전압값과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제 3 단계로서, R, G, B 각 색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위를 미세 조정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흑색이 규정된 흑색이 되도록, 흑색의 색 조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미세 조정을 실시한 결과, 예컨대, Gm 전극 전압이 80V일 때, R, G, B에 각각 81V, 80V, 79V를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인가했을 때에는, 화면에는 규정된 흑색이 표시되게 된다.
Hi-Gm 관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를 실행함으로써 컷오프 조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총을 이용한 흑 레벨 바이어스 전위는 수십 V의 조정 범위가 필요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Hi-Gm 관의 컷오프 조정에서는 Gm 전극 전위를 중심으로 수V 정도로 어긋나는 정도여서, 인가하는 전압의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서는, 캐소드 전압을 종래와 동일한 진폭으로 한 경우, 2배 이상의 빔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종래의 CRT에서는 캐소드 전류와 빔 전류는 거의 동등하며, 즉, 캐소드 전류는 어느쪽의 전극에도 유입되는 경우는 없었다. 그러나, Hi-Gm 관에서는, 예컨대, G1 전극에 0V, G2 전극에 500V, Gm 전극에 80V, G3 전극에 5.5kV, 애노드 전극에 25kV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소드 전류는 빔 전류와 G2 전극 전류와 Gm 전극 전류의 합으로 되어 있다. 즉, 캐소드 전류와 빔 전류 차이만큼의 전류가 G2 전극, Gm 전극에 유입된다. 따라서, Hi-Gm 관을 이용하여 빔 전류를 2배 흐르도록 하여, 휘도를 2배 밝게 했다고 하면, 캐소드 전류가 2배 흐르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으로 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CRT를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 비하여 수배의 캐소드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Hi-Gm 관을 이용하여, 캐소드 진폭을 절반으로 하고, 종래 CRT를 이용한 CRT 표시 장치와 동등한 휘도를 갖는 CRT 표시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종래에 비하여, 빔 전류는 동일하지만, G2 전극, Gm 전극에 전류가 유입되기 때문에, 캐소드 전류를 두 배 가까이 흘릴 수 있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9)의 뒤에, 용량 결합으로 직류 성분을 제거하여,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10)에서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과 캐소드 전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9)의 전단에서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고, 직류 성분을 포함해서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9)에서 증폭하여,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10)을 생략한다고 하는 구성도 고려될 수 있다. 이 때에도 비디오 캐소드 증폭기는 종래에 비하여 수배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서는, 새롭게 Gm 전극(5)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Gm 전극(5)에 전압을 인가하는 Gm 전극 전압원이 필요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빔 전류에 비례하여, Gm 전극에 전자가 유입된다. 이 때문에, Gm 전극 전압원은, 0.몇 mA 정도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구성으로 해야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Hi-Gm 관을 사용한 CRT 표시 장치를 변형한 것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참조 부호 14는 Gm 전극 전압원(8)의 출력 측에 구비된 전압 검지 회로이다. 또,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검지 회로(14)는 Gm 전극 전압원(8)으로부터의 전압 변동을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Gm 전극 전압원(8)으로 피드백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소드 전위에 따라 Gm 전극(5)에 전류가 흐른다. 캐소드 전압, 즉 영상 신호에 의해서 전류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흑색의 영상으로부터 백색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와 같은 빔 전류량이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 Gm 전극(5)에 유입되는 전류량도 급격히 변화되는 것에 기인하여 전압 변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Hi-Gm 관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는 Hi-Gm 전자총의 특성상 빔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영역의 감도가 크기 때문에, Gm 전압이 변동한 경우에 변동이 영상에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m 전극 전압이 변동하면, Gm 전극(5) 근방의 전위가 변화되기 때문에, 컷오프 조정으로 결정한 흑 레벨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을 캐소드(2)에 인가하여도 표시 화면에 규정된 흑색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Gm 전극 전압원(8)의 출력 측에 전압 검지 회로(14)를 마련하여 출력 전압을 측정하고, 급격한 전압 변동이 있어도 피드백 제어를 행함으로써 Gm 전극 전압을 일정 전압으로 함으로써 Gm 전극 전압의 변동에 의해 표시 영상의 색 온도 변화 및 휘도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Hi-Gm 관을 사용한 CRT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참조 부호 15는 G2 전극 전압원(15)이다. 또,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의 CRT 표시 장치에서는, G2 전극에는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았다. 그러나,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빔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을 때에도, G2 전극에는 약 0.1mA 정도의 전류가 흐른다. 또한, 빔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에는, 빔 전류에 비례하여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는 커지게 된다. 종래, G2 전극에는, 플라이백 변압기에서 승압되어 애노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저항으로 분압하고, 이 분압된 전압이 인가되고 있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 빔 전류가 커지면, 즉, 표시 영상의 휘도를 높이면, G2 전극에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이 변동한다. 또한, G2 전극 전류가 0.몇 mA 흐르면, 분압 저항값이 100MΩ정도이기 때문에, 애노드에 인가하는 전압도 변동한다. 또한, 애노드 전압의 저항 분압에서 추출되고 있는 포커싱 전압도 변동하여, 포커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G2 전극 전압이 변동하면, 스크린 방향으로 흐르는 전자빔의 양이 변동하여, 표시 화면의 휘도가 변하게 된다. 또한 G2 전극 전압의 변동은 포커스에도 약간의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Hi-Gm 관을 사용한 CRT 표시 장치에서는, G2 전극 전압원을 종래와 같이 플라이백 변압기로 승압한 전압을 저항 분압하는 회로가 아니라, 0.몇 mA정도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전원 회로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 G2 전극 전압원(15)을 구비하고, 이 G2 전극 전압원(15)으로부터 G2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G2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G2 전극 전압의 변동에 의해 표시 영상의 휘도 변동이 발생하여, 포커스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플라이백 변압기로부터의 고압을 저항 분압하는 전압원이 아니라, G2 전극 전압원(15)을 구비함으로써, 빔 전류의 변동에 의해 애노드 전압이 변동한다고 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Hi-Gm 관을 사용한 CRT 표시 장치를 변형한 것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참조 부호 16는 전압 검지 회로이다. 또, 도 4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것으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압 검지 회로(16)는 G2 전극 전압원(15)의 출력 측에 마련된 것으로, G2 전극 전압원(15)으로부터의 전압 변동을 측정하여, 그 측정 결과를 G2 전극 전압원(15)으로 피드백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소드 전위에 따라 G2 전극(4)에 전류가 흐른다. 캐소드 전압, 즉 영상 신호에 의해서 전류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흑색의 영상으로부터 백색의 영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와 같은, 빔 전류가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도 변동하여, 전압 변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G2 전압이 변동한 경우, 빔 전류가 변화되어 휘도가 변동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또한, 포커싱에도 영향이 있다.
이러한 전압 검지 회로(16)를 마련하여, 피드백에 의해 G2 전극 전압원(15)을 제어함으로써,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G2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G2 전극 전압의 변동에 의해 표시 영상의 휘도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구성을 채용한 Hi-Gm 관 표시 장치에, 실시예 1에 있어서 설명한 Gm 전극 전압원(8)과 전압 검지 회로(14)를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효과와 더불어, Gm 전극(5)에 유입되는 전류의 변동에 관계없이, Gm 전극(5)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Gm 전극 전압의 변동에 의해 표시 영상의 색 온도 변화 및 휘도 변동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배치된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한 CRT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원과, 이 변조 전극 전압원이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전압값을 설정하고, 또한,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흑색이 소정의 흑색과 일치하도록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마다 전압값을 미세 조정하는 컷오프 조정에 의해 결정된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전압원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Gm 전극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스크린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을 조절할 수 있는 Hi-Gm 관의 컷오프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하며, 작은 캐소드 진폭으로 많은 전자를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CRT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원과,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G2 전극 및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전압을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을 구비했기 때문에, Gm 전극 및 G2 전극에 캐소드 전류의 일부의 전류가 유입되는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더라도, Gm 전극에 유입된 전류에 의해 Gm 전극 전압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Gm 전극 및 G2 전극을 거쳐서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에 유입된 전류에 의해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CRT 표시 장치는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 및 애노드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하며, 작은 캐소드 진폭으로 많은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CRT와, 애노드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애노드 전극 전압원과,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G2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G2 전극에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G2 전극 및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전압을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을 구비했기 때문에, Gm 전극 및 G2 전극에 캐소드 전류의 일부의 전류가 유입되는 Hi-Gm 관을 이용한 CRT 표시 장치더라도, G2 전극에 유입된 전류에 의해 G2 전극 전압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Gm 전극 및 G2 전극을 거쳐서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에 유입된 전류에 의해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G2 전극 전압원을 애노드에 전압을 인가하는 애노드 전압원과 독립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G2 전극에 유입된 전류에 의해 애노드에 인가하는 전압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컷오프 조정 방법은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배치된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G2 전극과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응답하여,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에 실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흑 레벨과, 캐소드로부터의 전자가 형광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인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일치시키는 컷오프 조정 방법에 있어서,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결정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 결정 단계와,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변조 전극 전압값 결정 단계에 있어서 결정된 전압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했을 때에, CRT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흑색이 되도록,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마다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미세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Gm 전극 전압을 소정의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스크린이 발광하기 시작하는 점을 조절할 수 있는 Hi-Gm 관의 컷오프 조정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4)

  1.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배치된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상기 G2 전극과 상기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상기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한 CRT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원과,
    이 변조 전극 전압원이 상기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전압값을 설정하고, 또한,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표시되는 표시 영상의 흑색이 소정의 흑색과 일치하도록 상기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마다 상기 전압값을 미세 조정하는 컷오프 조정에 의해 결정된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상기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전압원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2.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상기 G2 전극과 상기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상기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하며, 작은 캐소드 진폭으로 많은 전자를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CRT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원과,
    상기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상기 G2 전극 및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전압을 상기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3.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G3 전극 및 애노드 전극, 상기 G2 전극과 상기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상기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하며, 작은 캐소드 진폭으로 많은 전자를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CRT와,
    상기 애노드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애노드 전극 전압원과,
    상기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상기G2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전압값의 전압을 상기 G2 전극에 인가하는 G2 전극 전압원과,
    상기 캐소드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형광면 방향을 향하는 전자 중에서 상기 G2 전극 및 Gm 전극에 유입되는 전자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따른 전압을 상기 캐소드에 인가하는 캐소드 바이어스 전압원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표시 장치.
  4. 인가된 전압에 따른 양(量)의 전자를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배치된 형광면 방향으로 각각 방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 이 캐소드로부터 상기 형광면 방향으로 마련되고, 또한 각각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계를 형성하는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 상기 G2 전극과 상기 G3 전극 사이에 마련되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따라서, 상기 G1 전극, G2 전극 및 G3 전극이 형성한 전계를 변화시키는 변조 전극을 갖는 전자총을 구비한 CRT 표시 장치에 실시하는,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흑 레벨과, 상기 캐소드로부터의 전자가 상기 형광면에 도달하지 않도록 상기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인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일치시키는 컷오프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변조 전극에 인가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결정하는 변조 전극 전압값 결정 단계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영상 신호가 흑 레벨일 때, 상기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입력되는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상기 변조 전극 전압값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전압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에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을 입력했을 때에, 상기 CRT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사전에 정해진 소정의 흑색이 되도록, 상기 적색, 녹색, 청색용 캐소드마다 흑 레벨 바이어스 전압값을 미세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오프 조정 방법.
KR10-2001-0065644A 2000-10-25 2001-10-24 Crt 표시 장치 및 컷오프 조정 방법 KR100400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6039A JP2002135798A (ja) 2000-10-25 2000-10-25 Crt表示装置およびカットオフ調整方法
JPJP-P-2000-00326039 2000-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360A KR20020032360A (ko) 2002-05-03
KR100400119B1 true KR100400119B1 (ko) 2003-09-29

Family

ID=1880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644A KR100400119B1 (ko) 2000-10-25 2001-10-24 Crt 표시 장치 및 컷오프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95978B2 (ko)
JP (1) JP2002135798A (ko)
KR (1) KR100400119B1 (ko)
CN (1) CN120351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571B1 (ko) 2006-08-31 2007-12-28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779644B2 (en) * 2007-08-08 2017-10-03 Landmark Screens, Llc Method for computing drive currents for a plurality of LEDs in a pixel of a signboard to achieve a desired color at a desired luminous intensit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419A (en) * 1976-06-22 1978-05-23 Rhee Dennis W Combination contrast/brightness control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112460A (en) * 1977-05-02 1978-09-05 Admiral Corporation Simplified bias and gain adjust system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4881016A (en) * 1988-12-09 1989-11-14 Margolis Arthur A Active shadow mask color CRT
JPH09331542A (ja) * 1996-06-10 1997-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原色映像信号出力回路と映像受像機と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994841A (en) * 1996-10-25 1999-11-30 Welch Allyn, Inc. Circuit for biasing display device by compensating for a varying leakage current
KR100230424B1 (ko) * 1997-04-30 1999-11-15 윤종용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컷-오프 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3515C (zh) 2005-05-25
KR20020032360A (ko) 2002-05-03
US20020047656A1 (en) 2002-04-25
CN1350318A (zh) 2002-05-22
US6495978B2 (en) 2002-12-17
JP2002135798A (ja)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14253A (ja) 表示装置及び陰極線管
US5714842A (en) Automatic cutoff control for a DC coupled CRT video drive
KR100400119B1 (ko) Crt 표시 장치 및 컷오프 조정 방법
GB2049989A (en) Cathode ray tube having low voltage focus and dynamic correction
US6404147B1 (en) Display apparatus monitoring a threshold level for controlling a dynamic focusing circuit
KR100355504B1 (ko) Crt용 전자총
KR100386350B1 (ko) Crt 표시 장치
US6384536B1 (en) CRT display apparatus
JP2748901B2 (ja) 冷陰極駆動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ビーム装置
KR100440526B1 (ko) Crt 표시 장치
KR100418941B1 (ko) Crt 표시 장치
US6605898B2 (en) CRT device with improved resolution
KR100588139B1 (ko) 영상표시기기의 포커스 전압 자동조절방법 및 자동조절장치
US20010008429A1 (en) Gamma correction circuit for imaging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uch gamma correction circuit
JPH0446308Y2 (ko)
JP2002110066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48233B2 (en) Control circuit and process for a cathode ray tube display control apparatus
JP4169980B2 (ja) 受像管装置
KR940005876B1 (ko) 칼라 콘버젼스 자동 보상회로
JPS61277136A (ja) カラ−受像管用ラスタ−エ−ジング装置
US20060043958A1 (en) Beam current measurement
JPH09298034A (ja) カラーブラウン管のg2カットオフ電圧測定回路
JP2004127650A (ja) カラーcrt用電子銃
JP2003060930A (ja) 表示装置
KR20020061055A (ko) 모니터의 자동 휘도 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