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713B1 -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713B1
KR100399713B1 KR10-2000-0019100A KR20000019100A KR100399713B1 KR 100399713 B1 KR100399713 B1 KR 100399713B1 KR 20000019100 A KR20000019100 A KR 20000019100A KR 100399713 B1 KR100399713 B1 KR 10039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il
drain pipe
form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760A (ko
Inventor
김경량
Original Assignee
푸른나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른나래(주) filed Critical 푸른나래(주)
Priority to KR10-2000-001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7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하여 각종용도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금속재의 판체를 정해진 폭으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공정과, 상기 소재를 성형장치에서 파이프형태로 성형하는 보강파이프 성형공정과, 상기 보강파이프의 외면에 수지를 적층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공정과, 상기 코팅된 보강파이프를 코일로 성형하기 위한 코일성형공정과, 상기 코일형의 보강파이프 내외면에 수지를 투입하여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한 완제품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서 고강도의 배수관을 제조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PLASTICS DRAINING PIPE AND A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하여 각종 용도로 사용되는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배수관의 내구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나선형 보강파이프를 매입하여서된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및 상수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합성수지재의 배수관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배수관은 땅에 매설하였을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력이 요구된다.
근래에는 상기한 종래의 배수관에 내구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관체를 이중으로 형성하거나 별개의 보강대를 형성하는 등의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종래, 내구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배수관으로서, 관체를 이중으로 형성한 것이 있으며, 이러한 배수관은 이중으로된 관체의 전체가 합성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내구성의 증대에 한계가 있었다. 즉 관체의 단면형상이형 또는등과 같이 형성된 것으로서, 매설된 배수관의 상면에 차량이 통과되는 등 충격이 가해지면 일부분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배수관의 관체에 금속재의 보강판을 매입하여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는 관체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는 내구성이 유지되나,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 및 하중에는 약하여 균일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보강판은 일정간격으로 매입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보강판 사이에는 강도가 취약한 부위가 되며, 이러한 취약한 부위에 충격이나 하중이 집중되면 쉽게 균열이 발생되었다. 더욱이 상기 보강판을 관체에 매입하기 위하여는 제조공정이 복잡하여제품원가의 상승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재의 배수관을 제조함에 있어, 나선형의 보강파이프를 배수관의 관체내부에 매입하므로서 고강도의 내구성이 구비된 배수관을 제조하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합성수지재의 배수관에 있어서, 나선형의 보강파이프를 관체에 매입하여서 고강도의 내구성이 구비된 배수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소재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소재를 절곡하여 보강파이프로 성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에 수지를 코팅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취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를 이용하여 배수관을 제조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을 보인 단면도.
도 7 (가)는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의 단면도.
(나)는 보강파이프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박판 P : 보강파이프 C : 코팅층
L : 코일 R : 배수관 r : 관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금속재로된 판체형의 소재를 정해진 폭으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공정과; 상기 소재를 성형장치에 의하여 보강파이프로 형성하기 위한 보강파이프 성형공정과; 상기 보강파이프의 표면에 수지층을 피복하기 위한 코팅공정과; 상기 공정에서 코팅된 보강파이프를 권취하여 나선형으로 성형하기 위한 코일성형공정과; 상기 나선형의 코일의 내외면에 수지를 적층하여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한 완제품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조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배수관은 합성수지재의 관체 내부에 나선형의 보강파이프가 매입되고 보강파이프의 외면에 수지층의 피복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소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소재를 절곡하여 보강파이프로 성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에 수지를 코팅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취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를 이용하여 배수관을 제조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 (가)는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나)는 보강파이프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재절단공정과, 보강파이프 성형공정과, 코팅공정과, 코일성형공정과, 완제품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서, 각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재절단공정>
소재절단공정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길이가 긴 금속재의 박판(T)의 박판을 정해진 폭(W)으로서 절단한다.
상기 박판(T)은 그 두께를 0.4∼0.8mm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4mm미만이 되면 내구성이 약하고 0.8mm를 초과하게 되면 성형성이 불량하다.
또한, 좌우길이는 그 치수에 제한을 받지않고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재의 폭(W)은 다음공정에서 성형할 보강파이프의 외경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다.
<보강파이프 제조공정>
보강파이프 제조공정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소재절단공정에서 제조된 소재를 원형으로 절곡하여서 원통형의 보강파이프(P)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형공정은 소재가 원통형으로 절곡된 후에 양끝단부(a)가 절첩고정되면서 원통형의 보강파이프(P)가 제조되는 것이며, 성형장치에 소재가 입구 측에 투입되면 절곡과 절첩과정등이 일률적으로 진행되어 출구측에 보강파이프(P)가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파이프(P)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의 사용용도등에 따라 그 단면형상을 원형 뿐 아니라,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육각형, 팔각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코팅공정>
본 코팅공정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파이프 제조공정에서 성형된 보강파이프(P)의 외면에 수지층을 코팅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코팅방법은 폴리에틸렌수지액을 보강파이프(P) 외면에 노즐로 분사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수지액에 보강파이프(P)를 함침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그 방법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보강파이프의 외면에 코팅된 두께, 즉 코팅층(C)은 1∼2.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mm미만이 되면 제조과정이 어렵고 다음공정인 코일성형 작업중에 코팅층이 벗겨질 염려가 있으며, 또한 2.5mm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시 여러차례에 걸쳐 코팅하여야 되고 다음공정인 코일성형 작업중에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코팅공정에서 코팅층이 경회된 상태에서 다음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코일성형공정>
본 공정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공정에서 코팅된 보강파이프(P)를 나선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즉, 성형장치의 입구측에 보강파이프(P)가 유입되면 가압구에 의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보강파이프(P)가 나선형의 코일(L)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파이프(P)의 코일(L)성형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공지된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으며, 보강파이프(P)의 두께나 재질등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하므로서 원하는 형태의 코일이 성형된다.
<완제품제조공정>
본 공정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성형공정에서 제조된 코일(L)을 수지로 적층하여 배수관을 제조하는 것이다.
즉, 코일(L)의 내외측에서 액상의 수지가 공급되도록 하여서 코일(L) 내외측에 일정두께의 관체(r)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며, 이때 보강파이프(P) 외면에 수지로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으로 공급되는 수지와의 접착력이 양호하여 불량발생율없이 원만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인 배수관(R)의 단면은 일체형으로된 관체(r) 내부에 코일형의 보강파이프(P)가 매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수관의 관체 내부에 코일형의 보강파이프가매입되므로 높은 내구성이 유지될 뿐 아니라, 외부에서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 전체적으로 충격이나 하중이 분산되므로 어느 일정부위가 취약한 부분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파이프를 관체에 매입하기 전에, 보강파이프 외면에 수지로된 코팅층을 형성하므로서 보강파이프를 벽체에 매입할때에 코팅층과 벽체가 친화력 양호하여 접착력이 증대되므로 불량발생율없이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공정이 일률적으로 진행되도록 전체장치를 구성하면 자동으로 배수관의 제조가 이루어지며, 배수관의 용도나 형태에 관계없이 모든 분야의 배수관에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의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금속재의 박판을 정해진 폭으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공정과, 상기 소재를 성형장치에서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는 보강파이프 성형공정과, 상기 보강파이프의 외면에 수지를 적층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공정과, 상기 코팅된 보강파이프를 코일로 성형하기 위한 코일성형공정과, 상기 코일형의 보강파이프의 외면에 수지를 투입하여 배수관을 제조하기 위한 완제품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공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강파이프(P)는 이를 구성하는 박판(T)의 두께를 0.4~0.8mm로 하고 원통형으로 절곡하며 양끝단부(a)를 절첩고정하며, 상기 코팅공정은 그 코팅층(C)을 1~2.5mm로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배수관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00-0019100A 2000-04-11 2000-04-11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39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100A KR100399713B1 (ko) 2000-04-11 2000-04-11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100A KR100399713B1 (ko) 2000-04-11 2000-04-11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760A KR20010095760A (ko) 2001-11-07
KR100399713B1 true KR100399713B1 (ko) 2003-09-29

Family

ID=1966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100A KR100399713B1 (ko) 2000-04-11 2000-04-11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753A (ko) * 1991-09-06 1993-04-20 시로오 가나오 내압합성 수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00010115U (ko) * 1998-11-16 2000-06-15 김주환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753A (ko) * 1991-09-06 1993-04-20 시로오 가나오 내압합성 수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20000010115U (ko) * 1998-11-16 2000-06-15 김주환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760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886B1 (ko) 환형으로 권취가 용이한 금속 수지 복합관 및, 그 제조방법
WO2000046005A8 (en) Pip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461927A1 (en) Medical device with polymer coated inner lumen
KR100865470B1 (ko) 삼중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31570Y1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관
KR100399713B1 (ko) 합성수지재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DK1347114T3 (en) Reinforcing bar for concrete constructio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inforcing bars
KR20060091045A (ko) 배수관 및 그 제조방법
US625819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 fitting, and pipe fitting
WO2002065011A2 (en) A rigid reinforced tubular manufactured artic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646491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urved hose
JP3142394B2 (ja) 強化プラスチック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1168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89330A (ko) 배수로관용 거푸집 제조장치
WO2008065055A1 (en) Rigid tubular article
RU220873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CA2607642C (en) Method for making a shaped flexible tube and the shaped flexible tube made thereby
RU221667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RU2208733C2 (ru) Труба
JPH0699552A (ja) 耐食性繊維強化樹脂管
KR950009038A (ko) 보강금속판이 매립된 유공관
JPH03251432A (ja) 耐食性強化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方法
DE502006003359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eitstreckwalze
KR101314180B1 (ko) 강보강 다중 복합 frp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0255351A (ja) 横抜き排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