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490B1 -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 Google Patents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490B1
KR100399490B1 KR10-2000-0046426A KR20000046426A KR100399490B1 KR 100399490 B1 KR100399490 B1 KR 100399490B1 KR 20000046426 A KR20000046426 A KR 20000046426A KR 100399490 B1 KR100399490 B1 KR 10039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evaluation
web
reque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916A (ko
Inventor
양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털 네트워크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털 네트워크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털 네트워크그룹
Priority to KR10-2000-0046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490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에서 보고자하는 문서의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선택하여 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는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으면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에서 요청문서가 있는 사이트의 해당문서를 찾아와 요청문서를 가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가공된 요청문서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전송된 문서에 대해 유용성 평가를 하고, 문서에 대한 평가정보를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웹 검색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외에 문서의 품질에 대한 범위를 지정해주고, 여러 사이트의 문서들이 사용자들이 입력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되어 고급 웹 정보문서들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Method for usefulness measurement of web document and web document access its using}
본 발명은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웹 검색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외에 문서의 품질에 대한 범위를 지정해주고, 여러 사이트의 문서들을 분류하여 고급 웹 정보문서들을 찾을 수 있기에 적당하도록 한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이란 교육, 경제, 및 상업적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서버의 국제적인 연결망으로서, 일종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는 표준프로토콜로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수많은 다른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간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TCP/IP는 인터넷을 통해 교환되는 정보를 패킷(packet)이라고 부르는 작은 조각들로 나누고, 이들에 각각 번호를 붙인 다음 도착지 주소를 레벨링하여 도착지를 향해 내보내며, 패킷들은 도착지에 도착된 후 다시 원래대로 복원된다.
웹이란, 최근 가장 각광받는 인터넷상의 정보제공 서비스로서, 텍스트 정보는 물론이고 그래픽정보와 음성정보 등을 제공하고 교환할 수 있게 해준다.
웹의 가장 큰 특징은 하이퍼텍스트 또는 하이퍼미디어 형태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 있다. 하이퍼텍스트는 텍스트정보로서 그 내부에 다른 정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말하며, 하이퍼미디어란 단순한 문자뿐만 아니라 그림, 음성, 동화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 대한 링크까지 포함한 정보를 가리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의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링크에 특정된 URL(Uniform Resource Locater)에 있는 새로운 문서를 받아볼 수 있다.
많은 다른 인터넷서비스들과 마찬가지로 웹은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웹 클라이언트(이하 "웹 브라우저"라 함)와 웹 서버는 일종의 응용프로그램으로서 표준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교환을 한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의 표준프로토콜의 하나로서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간에 하이퍼텍스트 또는 하이퍼미디어구조의 웹 문서를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사용된다. 웹 문서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사용하여 작성된 문서로, 태그(tag)를 가지고 있는 일반 아스키(ASCII)텍스트이다. 태그란 텍스트를 화면에 보여주거나 다른 웹문서로 링크하기 위한 명령어들로서 텍스트 중간에 삽입된다.
여기서 웹 페이지는 원 작성자의 의도에 의해 프레임, 광고 등의 이미지, 팝업 윈도우(Pop-up Window), 기타 오브젝트들이 만들어진 형태대로 브라우저에게 보내진다. 그러면 브라우저가 이들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만 있으면 원래의 페이지 내용대로 그대로 표현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넷 사용자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더불어 인터넷 사이트와 문서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넘치는 정보를 분류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웹 문서들은 수많은 사이트와 사이트내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형태로 존재해 있다.
이들 문서들 중 자기가 찾고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대부분 이미 사용자가 알고 있는 사이트명을 이용하여 해당 사이트내에서 정보를 찾아보거나 검색 사이트를 통해 검색어를 기준으로 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아보게 된다.
그러나 해당 링크가 삭제된 경우도 있고, 검색결과문서가 여러 품질이기 때문에 원하는 품질의 정보를 얻기까지는 통상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봤던 정보 중 유익하다고 생각한 사이트나 웹 문서들에 대한 정보는 이를 봤던 사용자만 재사용하거나 또는 버려지게 되며, 다른 사람이 이런 타인의 평가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절차가 종래에는 없었다.
일부 사이트 내에서 이런 문서의 유익성에 대한 평가를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곳이 있으나(유머 사이트 등) 평가자가 많지 않음으로 해서 평가의 객관성이 떨어지고 검증절차도 없는 등 신뢰성에 많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현재 사이트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는 일부 사이트가 있다.
이러한 사이트에서는 평가를 위해 별도의 프레임을 설정하고, 이 프레임에 의해 평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동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트 평가의 경우에도 미리 입력이 되어있는 URL에 대해서만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즉, 웹을 서핑하다가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되는 내용을 타인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 시스템적으로 불가능한 구조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용자가 평가를 하지 않고 있으면 계속 프레임이 살아있게 되는데, 링크를 따라 움직였을 경우 현재 보고있는 웹 페이지가 원래 평가대상과 다른 사이트에 있는 문서일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처음 평가대상에 대한 평가로 이후의 다른 사이트에 대한 동일한 평가를 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검색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외에 문서의 품질에 대한범위를 지정해주고, 여러 사이트의 문서들이 사용자들이 입력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되어 고급 웹 정보문서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요청문서 가공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문서평가 갱신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2의 동작을 보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브라우저 20 :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
30 : 원 사이트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브라우저이고, 20은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이며, 30은 원래의 원 사이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서 보고자하는 문서의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선택하여 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는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ST11 ~ ST15)와; 상기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으면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서 요청문서가 있는 사이트의 해당문서를 찾아와 요청문서를 가공하는 제 2 단계(ST16)(ST17)와; 상기 가공된 요청문서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전송된 문서에 대해 유용성 평가를 하고, 문서에 대한 평가정보를 갱신하는 제 3 단계(ST18)(ST19)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 1 단계는, 입력된 URL의 신택스가 프록시 기능을 필요로 하는지판별하는 단계(ST11)(ST12)와; 상기 입력된 URL의 신택스가 프록시 기능을 필요로 하면, 요청 URL이 HTML 이외의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인지 판별하는 단계(ST13)와; 상기 요청 URL이 HTML 이외의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면, 원래의 사이트(30)의 URL로 리다이렉션(Redirection)시키는 단계(ST14)와; 상기 URL이 HTML 이외의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아니면,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T15)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3은 도 2에서 요청문서 가공단계인 제 2 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청문서의 베이스(base) URL을 변경하여 인텔리전트 프록시를 통하도록 한 다음 프레임셋 태그(Frameset tag)가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ST21)(ST22)와; 상기 프레임셋 태그가 있으면, 프레임셋 태그를 파싱하여 프레임 크기가 가장 큰 것이 실제 문서의 본문이 보여지는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소스를 찾아내는 단계(ST23)와; 상기 프레임셋 태그가 없거나 또는 프레임의 소스를 찾아낸 다음 문서의 본문에 문서에 대한 평가사항과 평가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시키는 단계(ST2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4는 도 2에서 문서평가 갱신단계인 제 3 단계를 상세히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 문서에 대해 유용성을 평가하게 하여 해당 문서에 대한 평가인지 문서그룹에 대한 평가인지 선택하게 하는 단계(ST31)(ST32)와; 상기 선택 후 해당 키에 대한 평가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ST33)와;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서 평가정보를 취합하여 그룹문서에 대한 평가정보인지를 판별하는단계(ST34)(ST35)와; 상기 평가정보가 그룹문서에 대한 평가정보이면 그룹문서의 ID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ST36)와; 상기 평가정보가 그룹문서에 대한 평가정보가 아니거나 또는 그룹문서에 대한 ID 갱신을 하였으면 해당 문서가 지정품질수준 이상 수준의 문서인지 판별하는 단계(ST37)와; 상기 문서가 지정품질수준 이상 수준의 문서이면 주기적으로 문서의 품질정보를 원 사이트(30)의 파일에 갱신하는 단계(ST38)와; 상기 문서가 지정품질수준 이상 수준의 문서가 아니면, 폐기대상문서로 설정하여 폐기하는 단계(ST39)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도 2의 동작을 보인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Intelligent Proxy Server)(20)를 통해 URL을 입력하거나 지정된 분류별로 특정 사이트의 Web 문서를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는 요청된 문서에 대해 원 사이트에서 문서를 받아와서 브라우저(10)에게 돌려주는 형태의 서비스를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HTML 문서 내에 그 문서에 대한 평가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문서내의 URL 요청에 대해서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를 통해 요청되도록 수정된 후 브라우저(10)에 내려가게 된다.
이런 절차를 통해 어떤 웹 페이지이던지 간에 본문에 평가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시키도록 하고 해당 URL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평가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본문에 대해서만 포함되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는데 멀티프레임(Multi-Frame)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가장 큰 크기의 프레임을 찾아 본문(이하 Body Frame이라 호칭)에만 평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하여 정보 네비게이션(navigation)이나 자사홍보 등 평가대상이 아닌 페이지를 분리하도록 처리하게 된다.
사용자가 해당 웹 문서를 읽고 평가를 하게되면, 해당 웹 정보의 ID와 이에 대한 평가정보가 관리 및 처리되어 다음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를 검색하거나 열어보았을 때 해당 문서에 대한 유용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평가과정에서 평가대상이 현재의 웹페이지가 아니라 현재문서를 포함하는 문서그룹일 경우 현재문서를 포함하는 상위 Index 문서 단계에서 평가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평가시에는 현재문서인지 상위 문서그룹인지 또는 현재 웹사이트인지를 선택하도록 한다.
문서그룹을 선택한 경우 최초 문서그룹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평가자에게 현 문서가 포함된 상위 인덱스(Index) 문서에서 평가해주도록 하는 메시지가 나가도록 한다. 그리고 인덱스(Index) 문서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현재 URL 경로와 같은 레벨의 문서 전체가 하나의 문서그룹으로 등록되게 한다. 문서그룹으로 평가요청이 있게 되면, 그룹멤버인 URL들에 대한 평가들은 취합되어 하나의 웹 정보문서로써 관리 및 처리된다.
일반평가가 긍정적으로 특정수치이상으로 많이 나온 문서들에 대해서는 전문가 집단(super user)의 실사과정을 통해 전문가들의 평가를 같이 포함하도록 하여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하도록 한다.
열어봤던 페이지들은 cache 형태로 관리되며 관리의 기준으로 문서에 대한 평가점수, 문서의 속성 중 시간관련성 그리고 원래 cache 자체의 평가기준(open 횟수, 디스크 공간 등)에 따라 보관할 필요가 있는 페이지들만이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 남도록 관리된다.
그리고 이들 페이지들에 대해서는 풀 텍스트(Full text) 검색, 평가점수와 연관된 검색 등 부가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풀 텍스트(Full text) 검색의 경우 일반적인 Web robot에 의한 검색방법이 아니라 캐싱(Caching)된 문서 내에서 검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검색에 대한 인덱싱(Indexing) 작업은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의 자동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좋은 평가를 받은 문서순으로 해당 웹문서의 평가정보, 문서내 링크의 마우스-오버(Mouse-over)시 보여질 링크 문서의 평가정보 등이 최종갱신일시에 대한 기록과 함께 갱신되도록 한다.
또한 원 사이트(30)에서 해당문서가 삭제되었는지를 평가점수순에 의해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의 기능인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주기적으로 실사를 받게 된다. 그래서 "404 Not found" 형태의 HTTP 에러가 나오거나 문서의 타이틀이 바뀐 경우에 원 문서가 삭제된 것으로 간주되게 된다.
또한 원 사이트(30)에 접속하지 못한 경우에는 액세스(access)가 되지 못했다는 플래그(Flag)를 달아 놓는다. 그래서 나중에 다시 요청했을 때에도 없으면 이런 관리절차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 문서에 대해서는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며 "Notfound" 형태의 에러도 없앨 수 있다.
이런 웹문서, 웹문서그룹 및 웹사이트가 평가점수에 의해 관리되어 사용자는 검색어로 검색시 검색결과에 검색어만이 아닌 평가점수가 같이 포함되는 형태로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의미있는 정보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게 된다.
웹문서를 접근하는 방법은 검색에 의한 방법과 일반 Directory Listing 형태 외에 사이트만이 아니라 문서의 타이틀 수준으로 디렉토리 서비스가 제공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서 보고자하는 문서의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선택한다.
입력된 URL 신택스(Syntax)가 프록시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것인지를 판단하여 서버에 직접 존재하는 문서이면 서비스하고 처리절차를 종료한다.
요청 URL 중 요청파일의 확장자를 이용하여 HTML이 아닌 오브젝트(Image, ActiveX, Plug-in, Flash file 등)에 대한 서비스 요청일 경우 원 사이트의 URL로 리다이렉션(redirection) 시키고 처리절차를 종료한다.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는 캐시 안에서 해당 문서를 찾고, 해당 문서가 있으면 클라이언트에게 내려준다.
그리고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는 요청문서가 있는 사이트에서 해당문서를 찾아온다.
또한 요청문서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가공처리를 한다.
즉, 문서의 base URL을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를 통하도록 변경한다. 그리고 프레임셋 태그(Frameset tag)가 있으면 프레임셋 태그를 파싱하여 프레임 크기가 가장 큰 것이 실제 문서의 본문이 보여지는 프레임으로 가정하고 이의 소스(Source)를 찾아낸다. 또한 프레임 구조가 아니거나 프레임 구조 중 본문에 해당하는 문서의 경우에 문서에 대한 평가를 위해 문서에 대한 평가사항과 평가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 부분을 페이지에 포함시키는 가공처리를 한다.
이렇게 가공된 요청문서를 클라이언트에 보내어 사용자가 가공된 요청문서를 통해 원 문서의 내용을 볼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 웹 문서에 대해 문서품질에 대한 평가를 하면 해당 문서에 대한 평가인지 문서그룹에 대한 평가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해당 키(Key)에 대한 평가정보 Update를 서버로 보낸다.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20)에서는 올라온 평가정보를 취합하여 처리한다. 단독 문서가 아닌 그룹문서일 경우 그룹의 문서 ID에 대한 Update를 대신 진행한다.
또한 관리절차에 의하여 지정 품질수준 이상수준의 문서와 폐기대상문서를 분류하고 수준이상의 문서에 대해서는 주기적으로 원 사이트에 해당문서가 존재하는 품질정보를 해당 HTML 파일 내에 평가정보가 같이 내려갈 수 있도록 파일을 Update 처리한다.
한편 웹 페이지에 점수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뷰(Page View)와 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찬성/반대에 대한 평가를 많이 할수록 유도하며,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 문서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재확인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전문가 집단을구성하여 재평가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와 URL을 연결시켜서 분석처리하는 경우 로그온을 하게 하거나 또는 로그온을 하지 않더라도 쿠키 등을 통해 이용자 정보와 URL을 연결시키는 사용패턴정보를 가공하여 소스로 삼도록 하면 된다. 성인관련 정보 등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특정 사이트나 페이지, 경품, 신용 포인트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로그온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지에 대한 카테고리를 통해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재구성한다. 그래서 문서내에 있는 링크에서 다른 링크로의 마우스-오버 시에 보여질 수 있은 짧은 텍스트 형태로 정보품질 점수를 표시하고 네비게이션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웹 페이지 내 링크들에 대한 점수를 보여주는 것은 관리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 정보품질 점수에는 항상 갱신일자가 같이 따라가도록 할 수도 있다.
더불어 문서에 대한 분류체계를 만드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해당 문서가 좋다고 생각했을 때 사용자가 문서를 작성할 경우 어느 분류에 어떤 이름으로 들어가면 좋을 지와 누구에게 적합한 문서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는 지능인식 방식으로 분류하여 문서의 제목과 내용에 의해 각각 분류될 수 있게 한다. 그러면 해당 문서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가 들어왔을 경우 손쉽게 해당 문서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웹 검색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외에 문서의 품질에 대한범위를 지정해주고, 여러 사이트의 문서들을 분류하여 고급 웹 정보문서들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은 웹 검색시 검색어에 대한 검색 외에 문서의 품질에 대한 범위를 지정해주고, 여러 사이트의 문서들이 사용자들이 입력한 평가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되어 고급 웹 정보문서들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서의 유용성에 대한 판단기준을 시스템에서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웹 문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사용자가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에서 보고자하는 문서의 URL을 입력하거나 링크를 선택하여 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는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으면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에서 요청문서가 있는 사이트의 해당문서를 찾아와 요청문서를 가공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가공된 요청문서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전송된 문서에 대해 유용성 평가를 하고, 문서에 대한 평가정보를 갱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입력된 URL의 신택스가 프록시 기능을 필요로 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URL의 신택스가 프록시 기능을 필요로 하면, 요청 URL이 HTML 이외의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 URL이 HTML 이외의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면, 원래의 사이트의 URL로 리다이렉션시키는 단계와;
    상기 URL이 HTML 이외의 오브젝트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아니면, 해당 문서가 캐시되어 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요청문서의 베이스 URL을 변경하여 인텔리전트 프록시를 통하도록 한 다음 프레임셋 태그가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셋 태그가 있으면, 프레임셋 태그를 파싱하여 프레임 크기가 가장 큰 것이 실제 문서의 본문이 보여지는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소스를 찾아내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셋 태그가 없거나 또는 프레임의 소스를 찾아낸 다음 문서의 본문에 문서에 대한 평가사항과 평가요청을 위한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사용자가 웹 문서에 대해 유용성을 평가하게 하여 해당 문서에 대한 평가인지 문서그룹에 대한 평가인지 선택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후 해당 키에 대한 평가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텔리전트 프록시서버에서 평가정보를 취합하여 그룹문서에 대한 평가정보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정보가 그룹문서에 대한 평가정보이면 그룹문서의 ID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정보가 그룹문서에 대한 평가정보가 아니거나 또는 그룹문서에 대한 ID 갱신을 하였으면 해당 문서가 지정품질수준 이상 수준의 문서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문서가 지정품질수준 이상 수준의 문서이면 주기적으로 문서의 품질정보를 원 사이트의 파일에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문서가 지정품질수준 이상 수준의 문서가 아니면, 폐기대상문서로 설정하여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 방법.
KR10-2000-0046426A 2000-08-10 2000-08-10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KR10039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26A KR100399490B1 (ko) 2000-08-10 2000-08-10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426A KR100399490B1 (ko) 2000-08-10 2000-08-10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916A KR20000063916A (ko) 2000-11-06
KR100399490B1 true KR100399490B1 (ko) 2003-09-29

Family

ID=1968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426A KR100399490B1 (ko) 2000-08-10 2000-08-10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70A (ko) * 2000-12-07 2002-06-19 양춘식 역-방향 프록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웹-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32841B1 (ko) * 2007-11-09 2009-12-21 엔에이치엔(주) 검색 문서 품질 측정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916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717B1 (en)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 owner of a website
JP4648455B2 (ja) 個人化検索方法および個人化検索システム
US70586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tive language query service
KR100567648B1 (ko) 전자 게시판 시스템 및 메일 서버
US86946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use of web content on various types of devices
JP3703080B2 (ja) ウェブコンテンツを簡略化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媒体
CA2673110C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egent processing of electronic information
JP3570154B2 (ja) データ中継装置、及びデータ中継方法
US20030110161A1 (en) Method, product,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US20080091685A1 (en) Handling dynamic URLs in crawl for better coverage of unique content
US20090112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resentation configuration file of document content
JP2003529845A (ja) ネットワーク経由の多言語翻訳を提供する方法と装置
KR20000054312A (ko) 맞춤 웹정보 구축 제공 방법
US20020099852A1 (en) Mapping and caching of uniform resource locators for surrogate Web server
JP2007128367A (ja) 情報検索ノウハウ管理システム
KR100399490B1 (ko) 웹 문서에 대한 유용성 평가 및 이를 이용한 웹 문서 접근방법
JP4194741B2 (ja) 画面読み上げソフトを使用する利用者に向けたWebページ案内サーバー及び方法
KR20030051577A (ko) 검색사이트의 검색결과 표시방법
JP2002082936A (ja) コンテンツデータ表示装置とコンテンツデータ表示システム
US20020095458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nhanced access to content over a network
KR20020017966A (ko) 단어 기반 렌더 브라우저를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웹 페이지를 대략 읽거나 속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00036909A (ko) 인터넷 기반의 검색 방법
KR100491254B1 (ko) 웹사이트 디렉토리나 웹페이지에 대해 설명하는 단어들에하이퍼링크를 적용하는 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2003345806A (ja) スケジュール関連情報の取得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78612A (ja) 情報端末装置、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