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745B1 -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 Google Patents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745B1
KR100398745B1 KR10-2001-0062864A KR20010062864A KR100398745B1 KR 100398745 B1 KR100398745 B1 KR 100398745B1 KR 20010062864 A KR20010062864 A KR 20010062864A KR 100398745 B1 KR100398745 B1 KR 10039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deflection
current
distortion correc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639A (ko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7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발진/왜곡보정부, 수평출력/귀선발생부, 수평 편향 요크, 전류 감지 저항, 전원용 콘덴서 및 전류 궤환부를 구비한다. 수평발진/왜곡보정부는 입력된 수평 편향 펄스로부터 수평 편향 요크에 인가될 톱니파를 발생시켜 출력하며, 수평출력/귀선발생부는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상기 톱니파에 귀선 펄스를 혼합시켜 수평 편향 요크로 출력한다. 전류 감지 저항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를 감지하며, 전류 궤환부는 상기 전류 감지 저항과 상기 수평 편향 요크가 접속된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전류 감지 저항에 의해 감지된 상기 수평 편향 전류를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로 피드백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는 상기 전류 궤환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수평 편향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톱니파의 왜곡을 보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큰 편향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편향 방식에 가장 적합하며,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왜곡 보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NON-RESONANT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본 발명은 화면의 종횡비가 4:3 혹은 16:9인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3:4 혹은 9:16으로 편향 주사하는 편향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공진형 전류 궤환 방식을 채택한 편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 1a 및 도 1b는 종횡비가 4:3 및 16:9인 화면에서 각각 수평 주사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 편향 방식에 따르면, 수평 주사 기간이 횡축으로 길어지게 되고, 그 결과 수평 편향 회로는 큰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수평 편향 방식에 따르는 경우, 수평 편향 코일에 콘덴서를 공진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큰 전압을 귀선 신호로 이용하고 또한 공진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빔을 편향시키게 된다.
도 2는 전술된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의 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종래의 영상 표시 기기의 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210)는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Q1), 다이오드(D1), 콘덴서(Cr), 수평 편향 코일(H-DY) 및 수평 리니어리티 코일(H-linearity Coil)을 포함한다.
동기화된 수평 편향 펄스(HD)는 수평 발진/드라이브부(200)를 통해 수평 편향 회로(210)의 수평 편향 출력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입력되며, 또한 상기 수평 편향 펄스는 왜곡 보정 파형 발생기(220)로 접속된다. 상기 왜곡 보정 파형 발생기(22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와 Eb는 F/V 변환기 및 왜곡 보정 혼합기(230)에서 혼합되어 수평 편향 회로의 주 전원이 된다.
상기 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210)의 수평 리니어리티 코일은 수평 주파수별로 수평 리니어리티(직선성)를 보정하기 위한 다단의 콘덴서(CS0-CSn)로 이루어지는 보정 회로(240)와 접속된다.
이하, 전술한 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면이 종횡비가 4:3 또는 16:9와 같이 화면의 가로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종래의 수평 주사 방식에 따르면 수평 주사 기간이 횡축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수평 주사 동안 큰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 편향 회로(210)의 수평 편향 코일에 콘덴서(Cr)를 공진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큰 전압을 귀선 신호로 이용하고 또한 공진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빔을 편향시키게 된다.
이때, 편향 방식이 공진형이기 때문에 수평 주파수별로 공진 시정수가 달라지게 되므로, 수평 리니어리티 코일 및 보정 회로(240)내의 콘덴서(CS)는 수평 주파수별로 콘덴서(CS)를 절환하여 수평 리니어리티를 보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수평 주파수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수평 주파수별로 보정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그 결과 회로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또한 전력 손실도 크고 왜곡 보정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큰 편향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수평 편향 방식에 적합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왜곡 보정이 용이하며,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의 종횡비가 4:3인 화면상에서의 수평 주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종래의 종횡비가 16:9인 화면상에서의 수평 주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공진형 편향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종횡비가 4:3인 화면상에서의 수평 주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종횡비가 16:9인 화면상에서의 수평 주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0 : 수평 발진부 및 드라이브부
210 : 수평 편향 회로
220 : 왜곡 보정 파형 발생기
230 : F/V 변환기 및 왜곡 보정 혼합기
400, 500 : 수평 발진부 및 왜곡 보정부
410, 510 : 수평 출력부 및 귀선 발생부
420, 520 : 전류 궤환부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수평발진/왜곡보정부, 수평출력/귀선발생부, 수평 편향 요크, 전류 감지 저항, 전원용 콘덴서 및 전류 궤환부를 구비한다.
수평발진/왜곡보정부는 수평 편향 펄스가 입력되고, 수평 편향 요크에 인가될 톱니파를 발생시켜 출력하며, 수평출력/귀선발생부는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상기 톱니파에 귀선 펄스를 혼합시켜 수평 편향 요크로 출력한다. 전류 감지 저항은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를 감지하며, 전류 궤환부는 상기 전류 감지 저항과 상기 수평 편향 요크가 접속된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전류 감지 저항에 의해 감지된 상기 수평 편향 전류를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로피드백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는 상기 전류 궤환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수평 편향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톱니파의 왜곡을 보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큰 편향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편향 방식에 가장 적합하며,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왜곡 보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종횡비가 4:3 및 16:9인 화면에서 각각 수평 주사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의 일실시예로서, 단일전원이 사용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단일전원이 사용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수평 편향 펄스가 입력되는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 수평출력/귀선발생부(410), 수편편향요크(H-DY), 전원용 콘덴서(Cs), 전류 감지 저항(Rs) 및 전류 궤환부(420)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는 동기화된 수평 편향 펄스(HD)가 입력되고, 이를 이용하여 수평 편향 요크에 인가할 수 있는 파형인 톱니파(P)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이때 화면상에 나타나는 왜곡 등을 제어하여 출력한다. 도 6은 펄스의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서,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로 입력되는 구형파의 수평 편향 펄스(HD)와,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P)가 도시되어있다.
한편,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는 후술될 전류궤환부(420)를 통해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를 피드백시켜 왜곡을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수평 편향 전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P)는 수평출력/귀선발생부(410)로 입력되어 수평 편향 요크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으로 증폭되어 수평 편향 요크(H-DY)로 출력된다. 상기 수평출력/귀선발생부(410)는 구동 전원으로서 +Vcc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수평출력/귀선발생부(410)는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귀선전압을 제공받아 귀선 펄스를 발생시키고, 증폭된 상기 톱니파에 상기 귀선 펄스를 혼합(k)시켜 상기 수평 편향 요크로 출력시킴으로써, 화면에 수평 주사한 후 리트레이스(retrace)되는 동안에 필요한 큰 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톱니파는 여러 가지 형태로 파형을 변환시킴으로써 왜곡을 보정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수평 편향 요크(H-DY)로 입력되는 톱니파(P)에 귀선 펄스가 혼합된 형태의 톱니파(k)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 상기 수평출력/귀선발생부(4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수평 편향 요크(H-DY)는 전원용 콘덴서 및 전류 감지 저항과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전류 감지 저항의 일단은 접지된다. 상기 수평 편향 요크(H-DY)는 수평출력/귀선발생부(410)로부터 인가되는 톱니파(k)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는 전원용 콘덴서(Cs)를 통해 전류 감지 저항(Rs)으로 흐른다.
전원용 콘덴서(Cs)의 양단은 전류 궤환부(420)와 접속되고, 상기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전류는 전류 감지 저항에 의해 감지되고, 이는 전류 궤환부(420)를 통해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로 피드백된다.
수평발진/왜곡보정부(400)는 피드백된 수평 편향 전류의 왜곡등을 보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의 다른 실시예로서, 양 전원이 사용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양 전원이 사용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수평발진/왜곡보정부(500), 수평출력/귀선발생부(510), 수평 편향 요크(H-DY), 전류 감지 저항(Rs) 및 전류 궤환부(520)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수평발진/왜곡보정부(500)로부터 톱니파(P)가 입력되는 수평출력/귀선발생부(510)는 구동전원으로서 +Vcc와 -Vcc의 양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수평출력/귀선발생부(510)는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500)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P)에 귀선펄스를 혼합한 톱니파(k)를 출력한다.
수평출력/귀선발생부(5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편향 요크는 수평출력/귀선발생부(510)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k)에 의해 구동되며, 수평 편향 요크의 타단에는 전류 감지 저항(Rs)이 접속되어 있다. 전류 감지 저항(Rs)는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궤환부로 출력한다.
전류 궤환부(520)는 수평 편향 요크(H-DY)와 전류 감지 저항 사이의 접점에 접속되어, 전류 감지 저항에 의해 감지된 전류 파형을 수평발진/왜곡보정부(500)로 피드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수평 주파수별로 보상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큰 편향 전류가 필요치 않는 편향 방식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는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왜곡 보정이 용이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5)

  1. 수평 편향 펄스가 입력되고, 수평 편향 요크에 인가될 톱니파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수평발진/왜곡보정부;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상기 톱니파에 귀선 펄스를 혼합시켜 출력하는 수평출력/귀선발생부;
    상기 수평출력/귀선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톱니파가 인가되는 수평 편향 요크;
    상기 수평 편향 코일의 일단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 편향 요크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 저항; 및
    상기 전류 감지 저항에 의해 감지된 상기 수평 편향 전류를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로 피드백시키는 전류 궤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발진/왜곡보정부는 상기 전류 궤환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수평 편향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톱니파의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출력/귀선발생부는 구동 전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전원은 +Vcc와 -Vcc의 양전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진 수평 편향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궤환부는 상기 전류 감지 저항과 상기 수평 편향 요크가 접속된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출력/귀선발생부는 구동 전원을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전원은 단일 전원을 사용하며, 전원용 컨덴서가 상기 수평 편향 요크와 상기 전류 감지 저항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진 수평 편향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궤환부는 상기 전원용 콘덴서의 양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KR10-2001-0062864A 2001-10-12 2001-10-12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KR10039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64A KR100398745B1 (ko) 2001-10-12 2001-10-12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864A KR100398745B1 (ko) 2001-10-12 2001-10-12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39A KR20030030639A (ko) 2003-04-18
KR100398745B1 true KR100398745B1 (ko) 2003-09-19

Family

ID=2956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64A KR100398745B1 (ko) 2001-10-12 2001-10-12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7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2590A (ja) * 1990-10-04 1992-05-15 Nec Corp 線形補正ディスプレイ装置
KR960026038U (ko) * 1994-12-29 1996-07-22 주식회사 씨.티.아이 평판 crt 사이드 핀크션 보정회로
JP2000295490A (ja) * 1985-08-14 2000-10-20 Rca Thomson Licensing Corp ビデオ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490A (ja) * 1985-08-14 2000-10-20 Rca Thomson Licensing Corp ビデオ表示装置
JPH04142590A (ja) * 1990-10-04 1992-05-15 Nec Corp 線形補正ディスプレイ装置
KR960026038U (ko) * 1994-12-29 1996-07-22 주식회사 씨.티.아이 평판 crt 사이드 핀크션 보정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39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745B1 (ko) 비공진형 수평 편향 회로
KR19990003850A (ko) 모니터용 수평 라스터의 센터 조정회로
US6515439B2 (en) Vertical deflection driving circuit
KR200179722Y1 (ko) 스텝업 방식의 수평화면크기 조정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375153B1 (ko) 편향 장치 및 편향 방법
KR200244058Y1 (ko) 수평편향 회로의 방전회로
KR100490341B1 (ko)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에스 보정회로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JP2606295Y2 (ja) 水平偏向回路
KR100260886B1 (ko) 수평편향회로의 에스자 직선성 보정회로
US20020044146A1 (en) Broadband switching drive compensating circuit for a video display device
KR200296043Y1 (ko) 수평편향회로의 에스자 직선성 보정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JP3223485B2 (ja) 偏向回路
KR19990037738U (ko) 수평편향회로의 에스자 직선성 보정회로
KR100299172B1 (ko) 모니터의s보정회로
KR920006760Y1 (ko) 수평 편향 회로
KR950009011Y1 (ko) 광스크린 티브이(tv)의 디스플레이장치
JP2522293Y2 (ja) 垂直偏向回路
KR19990012287U (ko)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보호회로를 갖는 수평편향회로
JPH11146223A (ja) 水平偏向装置
KR980010734A (ko)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의 전압 보상 회로
KR19980068222U (ko) 화면 크기 보상 기능을 갖는 수평 편향 장치
KR19990037259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회로
KR19990037258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