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125B1 - 와이어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125B1
KR100398125B1 KR10-2000-0080808A KR20000080808A KR100398125B1 KR 100398125 B1 KR100398125 B1 KR 100398125B1 KR 20000080808 A KR20000080808 A KR 20000080808A KR 100398125 B1 KR100398125 B1 KR 10039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wire
clip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218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1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 H02G15/182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on a removable hollow core, e.g. a tube
    • H02G15/183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held in expanded condition in radial direction prior to installation on a removable hollow core, e.g. a tube formed of helically wound strip with adjacent windings, which are removable b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a strip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구경부 및 소구경부로 이루어진 2중 고정구조의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굵기의 와이어를 프레임 등에 적절히 고정하여 호환성을 높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이 클립은 패널(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걸림턱(24)을 지니며, 이 걸림턱(24)과 일체로 형성된 대구경부(22) 및 이 대구경부(22)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연결부(28)를 통해서 대구경부(22)와 연결되어 있는 소구경부(29)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용 클립{CLIP FOR FIXING A WIRE TO A FRAME}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구경부 및 소구경부로 이루어진 2중 고정구조의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굵기의 와이어를 프레임 등에 적절히 고정하여 호환성을 높이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통상, 차량에서는 각종 기계장치 및 유압장치로 사용되는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거나 헤드램프와 같은 각종 전장품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와이어 하네스(이하, 와이어라 약칭함)를 통해서 밧데리의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는 밧데리나 각종 제어유닛을 해당 작동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반대로 차량의 각부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승용차량의 경우에는 대부분 와이어가 각종 패널이나 트림에 의해서 은폐되어 있으나, 트럭과 같은 상용차량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상 와이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2)를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스틸재의 고정용 클립(14)을 사용한다. 즉, 클립(14)의 파지부(14b)로 와이어(12)를 감싼 다음에, 클립(14)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14a)에 볼트나 나사를 체결하여 프레임(10)에 대해 와이어(12)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을 사용하는 경우에, 무게가 무겁고 볼트나 나사의 체결작업에 의해 작업공정수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여러 종류의 클립을 필요로 한다. 또한,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서 파지부의 굵기를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는 클립도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트나 나사에 의한 체결작업을 삭제함으로써 작업 공정수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소구경부와 대구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와이어라도 간단히 고정하여 호환성을 높을 수 있는 와이어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클립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2, 12':와이어
20:클립 22:대구경부
24:걸림턱 26:탄성 가압편
28:연결부 29:소구경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용 클립은 패널 등의 부품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걸림턱을 지니며, 이 걸림턱과 일체로 형성된 대구경부 및 이 대구경부 보다는 작은 직경을 지니며 연결부를 통해서 대구경부와 연결되어 있는 소구경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 부품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클립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고정용 클립(20)은 별도의 체결용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와이어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걸림턱(2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림턱(24)이 프레임(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후에도 홀에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 가압편(26)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용 클립(20)을 손으로 잡고 걸림턱(24)을 프레임(10)에 삽입하기만 하면 별도의 체결작업 없이도 고정클립(20)을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와이어(12)는 걸림턱(24)과 일체로 형성된 대구경부(22)의 체결홀(22a)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한편, 대구경부(22)에는 연결부(28)를 통해서 소구경부(29)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12)의 고정시에는 대구경부(22)에 와이어(12)를 삽입한 다음에, 걸림턱(24)을 프레임(10)에 형성된 홀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때, 걸림턱(24)은 프레임(1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직후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팽창됨으로써 홀로부터 이탈이 제지되는 한편, 탄성 가압편(26)에 의해 프레임(10)쪽으로 가압되어 있어 걸림턱(24)의 걸림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소구경부(29)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와이어(12')를 끼울 수 있도록 대구경부(22)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지니며, 일측이 개구되어 있어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하였다.
따라서, 대구경부(22)에 삽입하게 되면 이탈될 정도로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어(12')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직경이 작은 와이어(12')를 일측 개구를 통해서 소구경부(29)에 삽입한 다음, 소구경부(29)를 대구경부(22)의 홀(22a)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대구경부(22)의 홀(22a)에 삽입된 소구경부(29)는 자체 탄성력에의해 확장됨으로써 대구경부(22)로부터의 이탈이 제지되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큰 직경의 와이어를 끼울 수 있는 대구경부와, 이 대구경부 보다는 작은 직경의 와이어를 끼울 수 있는 소구경부로 이루어진 2중 구조의 고정용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굵기의 와이어를 하나의 클립을 통해서 프레임 등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호환성이 높다. 또한, 종래의 볼트나 나사에 의한 체결방식 대신, 걸림턱을 패널에 형성된 홀에 끼우기만 하면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패널 등의 부품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패널(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걸림턱(24)을 지니며, 이 걸림턱(24)과 일체로 형성된 대구경부(22) 및 이 대구경부(22)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연결부(28)를 통해서 대구경부(22)와 연결되어 있는 소구경부(29)로 이루어지되, 상기 소구경부(29)는 상기 대구경부(22)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 후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팽창되어 대구경부(22)로부터의 이탈이 제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용 클립.
  3. 삭제
KR10-2000-0080808A 2000-12-22 2000-12-22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10039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08A KR100398125B1 (ko) 2000-12-22 2000-12-22 와이어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08A KR100398125B1 (ko) 2000-12-22 2000-12-22 와이어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218A KR20020051218A (ko) 2002-06-28
KR100398125B1 true KR100398125B1 (ko) 2003-09-19

Family

ID=2768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808A KR100398125B1 (ko) 2000-12-22 2000-12-22 와이어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72Y1 (ko) * 2016-06-20 2017-09-25 김성철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콘센트용 접지단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23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저장탱크의 주입구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23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저장탱크의 주입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72Y1 (ko) * 2016-06-20 2017-09-25 김성철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콘센트용 접지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218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8899A3 (en) Flexible retaining leg for clamping means
MX9603695A (es) Sujetador tipo presilla, sostenido mediante abertura.
CA2336040A1 (en) Connecting assembly
EP1084908A3 (en)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MY127976A (en) Mounting structure of a plastic sheet for a vehicular exterior component
US20090134304A1 (en) Fastening system
ES2164502A1 (es)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una instalacion de limpiacristales de un vehiculo automovil.
CA2162190A1 (en) Roof Panel Attachment Clip with Centering Feature
KR100398125B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PT1687164E (pt) Suporte de agregados com fixação de fechadura integrada para uma porta de automóvel
WO1999061806A3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teile
EP0976618A3 (en) Grommet holder and method of bending a wiring harness
KR100737577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클립
KR200156428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체결구조
KR200178355Y1 (ko) 마운팅 부 너트 고정장치
JPH0745339A (ja) 通信ケーブルコネクタ
KR100514842B1 (ko) 배선 고정클립
JPH05330453A (ja) ストライカの取付構造
KR0127716Y1 (ko) 자동차 데쉬 판넬 관통용 클립
KR200322231Y1 (ko) 자동차 도어래치에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체결클립
JP3018210U (ja) キャリア用バー固定具
JP3259955B2 (ja) 電気装置用取付金具、および電気装置
JP2814811B2 (ja) 絶縁トロリー線の移動防止装置
JPH0833541A (ja) フック金具
JPH0588107U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における補助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