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241B1 - 영상데이타기록장치및재생장치와그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데이타기록장치및재생장치와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241B1
KR100397241B1 KR1019960020922A KR19960020922A KR100397241B1 KR 100397241 B1 KR100397241 B1 KR 100397241B1 KR 1019960020922 A KR1019960020922 A KR 1019960020922A KR 19960020922 A KR19960020922 A KR 19960020922A KR 100397241 B1 KR100397241 B1 KR 10039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pression
frame
video data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865A (ko
Inventor
주니찌 오기쿠보
타다시 카타기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223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71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223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7447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이 블럭 단위로,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한다. 또,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블럭 단위로,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길이 부호화함으로써 복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한다.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킨다. 또,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제1 압축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이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에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본 발명은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에 독립해서 압축 부호화된 인트라 프레임 데이타와 다른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부호화된 인터프레임 데이타로 이루어지는 압축 영상 데이타를 기록 ·재생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데이타 재생 방법 및 이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프레임마다 이들 소정수의 프레임 중 1개 이상을 다른 프레임과 독립으로 복호가능한 인트라 프레임 데이타(I 프레임 데이타)와 다른 1개 이상을 바로앞 또는 양쪽이웃 프레임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인터 프레임 데이타(P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 이하 이들을 총칭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B 프레임 데이타」로 기록함)로 압축 부호화하는 MPEG 방식 등이 영상 데이타를 압축하는 방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프레임을 각각 소정수의 화소(예를 들면, 16 x 16)를 갖는 매크로 블럭으로 분할하고, 2 프레임마다 한쪽을 다른 프레임과 독립으로 매크로 블럭 단위로 이산 코사인 변환(DCT) 및 가변 길이 부호화 등을 행하여 압축 부호화하고, 매크로 블럭 각각에 대응하는 I 프레임 데이타 DC, AC1, ···, DC', AC1' ···를 생성한다. 이들 인트라 프레임 데이타 DC, AC1, ···, DC', AC1', ···은 직류 성분 및 저주파수의 성분으로부터 차례로 1열로 늘어서고, 이 순번으로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되어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등에 기록된다. 또, B 프레임 데이타는 I 프레임 데이타 후에 늘어서 기록된다.
그런데,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생성한 I 프레임 데이타 등을 단순하게 일렬로 늘어서 기록한 경우, 예를 들면 I 프레임 데이타 AC1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I 프레임 데이타는 가변 길이 부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I 프레임 데이타 AC1 이후의 I 프레임 데이타 AC2, ···DC', AC1' ···은 전부 재생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한편, DCT 등에 의해 압축 부호화한 영상 데이타를 재생한 경우, 재생 영상의 품질에 제공하는 영향은 저주파수의 성분만큼 커진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다시 말하면, 압축 부호화한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고주파수 성분이 다소 누락해도, 실용상 문제가 없는 재생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 I 프레임 데이타 없이 B 프레임 데이타로부터 영상을 재생할 수 없지만, B 프레임 데이타 없이 I 프레임 데이타로부터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실에 착안한 것으로, 압축 부호화 후의 영상 데이타의 도중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해도, 압축 부호화 후의 영상 데이타의 저주파수 성분의대부분을 구제할 수 있는 영상 데이타 기록 방법, 영상 데이타 재생 방법 및 이들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는,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을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프레임을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하며, 상기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및 상기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를 복수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시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와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늘어선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수단; 상기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늘어선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수단;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인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상기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는 기록용 프레임 생성 수단; 및 상기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는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늘어선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늘어선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기록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의 단위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생성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제1 추출 수단과,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영역 중 상기 제1 추출 수단에 의해 데이타가 추출된 부분이외의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제2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 추출 수단 및 상기 제2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음성 신호의 기록 재생이 가능한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VTR 장치 : 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TR 장치(1)는 압축 부호화 장치(10), 오류 정정 부호 인코더(ECC 인코더 : ECCE : 12), 주 메모리(16), 내부호 디코더(20), ECC 디코더(22), 죠그셔틀용 메모리(24), 신장 복호 장치(26) 및 프레임 메모리(28)로 구성된다. 또, 제1도에서는 음성에 관한 데이타를 처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해 생략하고 있다.
또, ECC 인코더(12)는 팩 회로(14), 외부호 인코더(122), 제1 FIFO 회로(124), 제2 FIFO 회로(126) 및 내부호 인코더(128)로 구성된다.
또, ECC 디코더(22)는 트랙킹 회로(220), 메모리 회로(222), 외부호 디코더(224), 죠그 메모리 제어 회로(226) 및 디팩 회로(30)로 구성된다.
이상의 각 구성 부분에 의해, VTR 장치(1)는, 예를 들면 MPEG 방식 등에 의해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한쪽을 독립으로 원래의 영상에 관한 데이타(이하, 영상 데이타라 기록함)를 재생가능한 인트라 프레임 데이타(I 프레임 데이타)에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쪽을 재생 후의 양쪽 이웃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이용함으로써재생가능한 양방향 예측 부호화 데이타(B 프레임 데이타, 인트라 프레임 데이타 중 한 종류)에 압축 부호화하고, 이들 데이타를 음성에 관한 데이타(이하, 음성 데이타라 기록함)와 함께 비디오 테이프(40)에 기록하고, 기록한 음성 · 영상 데이타를 비디오 테이프(40)로부터 판독하여 재생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압축 부호화 장치(10) 및 팩 회로(14)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A도 ∼ 제3D도는 압축 부호화 장치(10)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제3A도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매크로 블럭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3B도는 생성되는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도시하며, 제3C도는 제3B도에 도시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제3D도는 제3B도, 제3C도에 도시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로부터 구성되는 픽처 그룹 GOP를 도시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기록용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제4A도는 기록용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4B도는 기록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록 단위(동기 블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부호화 장치(10)는 동작 보상 회로(MEP : 102), 이산 코사인 변환 회로(DCT 회로 ; 104), 및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VLC ; 106)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 부분에 의해, 압축 부호화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콤포넌트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데이타(휘도 데이타 Y, 색차 데이타 Cr, Cb)로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타 VI의 2개의 프레임의 한쪽을 I 프레임 데이타에, 다른쪽을 B 프레임 데이타에 압축 부호화한다.
동작 보상 회로(102)는 상기 2개의 프레임 각각을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휘도 데이타 Y 및 색차 데이타 Cr, Cb각각에 대응하는 16 × 16의 매크로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다른쪽에 대해 시간적으로 직전 및 직후 프레임 사이에 매크로 블럭 단위로 동작 보상 처리를 행하며, 검출한 동작 벡터를 동작 보상 회로(102)에 대해 출력한다.
DCT 회로(104)는 동작 보상 회로(102)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시간 영역의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한쪽의 영상 데이타에 포함되는 매크로 블럭 각각과, 다른쪽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매크로 블럭 각각에 대해 검출된 동작 벡터를 이산 코사인 변환(DCT)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데이타로 변환하고, 또 소정의 양자화 등급으로 양자화하고, 각각 상기 2개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매크로 블럭 각각에 대응하는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생성하고, 직류 성분 및 저주파수 성분으로부터 차례로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106)에 대해 출력한다.
또, 실제로는 제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CT 회로(104)는 휘도 데이타 Y에 대응하는 16 × 16 화소의 매크로 블럭을 또 4개의 8 × 8 화소로 구성되는 블럭으로 분할하고, 색차 데이타 Cr, Cb에 대응하는 16 × 16 화소의 매크로 블럭을 각각 2개의 8 × 8 화소의 블럭으로 분할하며, 분할 후의 블럭 단위로 DCT 처리를행한다.
또, DCT 회로(104)는 제3B도,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상의 동작이 커서 B 프레임 데이타의 데이타량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I 프레임 데이타에 대한 양자화 등급을 크게 하여 I 프레임 데이타를 작게 하며, 반대로 영상의 동작이 작은 경우에는 I 프레임 데이타에 대한 양자화 등급을 작게하여 I 프레임 데이타의 양을 증가하고, 모든 픽처 그룹 GOP의 데이타량도 동일 정도가 되도록 양자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양자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DCT 회로(104)는 각 픽처 그룹 GOP의 데이타량을 기록용 프레임이 수용가능한 데이타량 이하로 하고, 또 각 픽처 그룹 GOP의 데이타량을 평균화한다.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106)는 DCT 회로(104)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가변 길이 부호화하고, 제3B도 ∼ 제3D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 프레임이 각각 1440개 또는 1710개의 매크로 블럭으로 구성되는 상기 2 프레임분의 영상 데이타로부터 각각 1개의 I 프레임 데이타와 1개의 B 프레임 데이타로 구성되는 픽처 그룹(GOP : Group OF Pictures)을 동기 신호 SGOP의 1주기마다 1개씩 포함하는 압축 영상 데이타 RED로서 팩 회로(14)에 대해 출력한다.
또,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106)는 매크로 블럭의 최후에, 이들 종료를 도시하는 종료 식별자 EOB를 부가한다.
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팩 회로(14)는 데이타 길이 검출 회로(140), 메모리 기록 제어 회로(142), 어드레스 발생 회로(144, 146), 나머지 데이타 길이 계산 회로(148), 서브메모리 기록 제어 회로(150), 서브메모리 기록제어 회로(152) 및 서브 메모리(154)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 부분에 의해, 팩 회로(14)는 영상 데이타 VI에 동기한 동기신호 SF에 동기하여 동작하고, 압축 부호화 장치(10)로부터 입력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 및 음성 데이타 AI를 제4A도에 도시하는 PAL 방식에서는 36개, NTSC 방식에서는 30개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한다. 단,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이하, 음성 데이타 AI에 관한 처리를 생략하여 기술한다.
또, 이 기록용 프레임은 제4B도에 도시하는 기록 단위(동기 블럭) 1440개(또는 1710개)로 구성되어 있고, 이 동기 블럭 각각에서, 선두 2 바이트에는 동기 신호 SYNC가 배열되고, 이어서 4 바이트에는 식별 부호 ID가 배열되며, 이어서 108 바이트에는 압축 부호화 장치(10)에 의해 생성된 픽처 그룹 GOP 또는 외부호 인코더(122)에 의해 생성되는 외부호가 배열되고, 최후의 12 바이트에는 내부호 인코더(128)에 의해 생성되는 내부호가 배열된다.
동기 블럭은 각각 영상 데이타의 프레임의 매크로 블럭 각각 및 이들 매크로 블럭으로부터 생성된 픽처 그룹 GOP 각각에 대응하고 있고, 선두에서 1440개(NTSC 방식인 경우) 또는 1710개(PAL 방식인 경우)까지는 대응하는 매크로 블럭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I 프레임 데이타(1 프레임 데이타의 데이타 길이가 108 바이트 이상인 경우에는 선두에서 108 바이트째까지)가 배열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I 프레임 데이타의 109 바이트째 이후의 부분과 B 프레임의 데이타가 배열된다.
또, 이 기록용 프레임에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의 배열에 대해서는 제5A도 ∼ 제5C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5A도 ∼ 제5C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팩 회로(14)에 의해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제5A도 ∼ 제5C도에서는 도시 및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동기 블럭 수가 8인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팩 회로(14)에 의한 픽처 그룹 GOP의 기록용 프레임으로의 배열은 제5A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제5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용 프레임에 주입하는 것에 상당한다.
다시 말하면, 이상 설명한 동작에 의해, 팩 회로(14)는 I 프레임 데이타(I 프레임 데이타가 109 바이트 이상인 경우에는 선두에서 108 바이트째까지)를 대응하는 동기 블럭에 배열하고, 오버플로우 데이타(데이타 길이 109 바이트 이상의 I 프레임 데이타의 109 바이트째 이후)를 I 프레임 데이타를 배열한 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배열하고, 또 이들 데이타를 배열한 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B 프레임 데이타를 배열한다.
또, 제5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팩 회로(14)의 동작에 의해 I 프레임 데이타가 배열된 동기 블럭의 선두에는 매크로 블럭(제3A도) 각각으로부터 생성된 I 프레임 데이타의 직류 성분(DC) 및 저주파 성분(AC1, AC2 ···)으로부터 차례로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재생시에는 도중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서도 각 동기 블럭 각각을 선두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영상의 재생에 중요한 I 프레임 데이타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외부호 인코더(122 : 제1도)는 동기 신호 SF에 동기하여 동작하고,주메모리(16)에 기억된 기록용 프레임에 제4A도에 도시하는 오류 정정용 외부호를 부가한다.
FIFO 회로(124)는 동기 신호 SF에 동기하여 주 메모리(16)에 기억된 기록용 프레임을 판독하여 버퍼링하고, FIFO 회로(126)에 대해 출력한다.
FIFO 회로(126)는 FIFO(124)로부터 입력된 기록용 프레임을 버퍼링하여 비디오 테이프(40)로의 데이타의 기록에 이용되는 동기 신호 RF에 동기하여 내부호 인코더(128)에 대해 출력한다.
내부호 인코더(128)는 동기 신호 RF에 동기하여 동작하고, 제3A도에 도시하는 오류 정정용 내부호를 생성하여 기록용 프레임에 부가하며, 기록용 프레임을 완성시켜 기록 헤드를 통해 비디오 테이프(40)에 기록한다.
비디오 테이프(40)에 기록된 기록용 프레임은 재생 헤드를 통해 판독되고, 내부호 디코더(20)에 입력된다.
내부호 디코더(20)는 제3A도에 도시하는 내부호를 이용하여 동기 블럭 각각에 대해 오류 정정을 행하고, ECC 디코더(22)에 대해 출력한다.
트래킹 회로(220)는 메모리 회로(222)를 이용하여 재생 헤드가 정확한 비디오 테이프(40) 상의 트랙을 트레이스하도록 제어한다.
외부호 디코더(224)는 제4A도에 도시하는 외부호를 이용하여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픽처 그룹 GOP의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에 대해 오류 정정을 행하고, 죠그 메모리 제어 회로(226)에 대해 출력한다.
죠그 메모리 제어 회로(226)는 외부호 디코더 (224)로부터 입력된 I 프레임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메모리(24)에 기억하고,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판독하고, 소위 죠그셔틀 등의 특수 재생에 관한 처리를 행하고, 디팩 회로(30)에 대해 출력한다.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팩 회로(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제6도에서는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디팩 회로(30)와 메모리(24) 사이의 죠그 메모리 제어 회로(226)를 생략하고 있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팩 회로(30)는 데이타 길이 에러 검출 회로(300), 어드레스 발생 회로(302), 판독 제어 회로(304), 출력 버퍼 회로(306) 및 출력 제어 회로(308)로 구성되고,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하여 신장 복호 장치(26)에 대해 출력한다.
신장 복호 장치(26)은 디팩 회로(30)로부터 입력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에 대해 압축 부호화 장치(10)에 대응하는 처리, 다시 말하면 가변 길이 부호화 회로(106)에 대응하는 가변 길이 복호 처리, DCT 회로(104)에 대응하는 이산 코사인 역변환(IDCT) 처리 및 동작 보상 회로(102)에 대응하는 B 프레임 데이타에 대한 동작 보상 처리를 행하여, 원래의 영상 데이타 VI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타 VO 및 음성 데이타 AO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하, VTR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 부호화 장치(10)에 입력된 영상 데이타 VI는 압축 부호화 장치(10)에 의해, 2프레임씩, 매크로 블럭마다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에 압축 부호화되고, ECC 인코더(12)에 대해 출력된다.
ECC 인코더(12)는 압축 부호화 장치(10)로부터 입력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각각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하고, 또 외부호 및 내부호를 부가하여 제4A도에 도시한 기록용 프레임을 완성하고 비디오 테이프(40)에 기록한다.
내부호 디코더(20)는 비디오 테이프(40)에 기록된 기록용 프레임에 포함되는 I 데이타 및 B 데이타를 기록용 프레임에 포함되는 내부호를 이용하여 오류 정정하고, ECC 디코더(22)에 대해 출력한다.
ECC 디코더(22)는 외부호를 이용하여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오류 정정한다.
또, 디팩 회로(30)는 동기 블럭에 배열가능한 데이타 길이(108 바이트) 이하의 I 프레임을 그대로 취출하고, 또 109 바이트 이상의 I 프레임의 선두에서 108 바이트째까지의 부분 각각에 이것에 대응하는 I 프레임의 109 바이트째 이후의 부분 각각을 부가하여 원래의 I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하고, 또 B 프레임 데이타를 취출하여 분리하고, 제3B도에 도시한 원래의 픽처 그룹 GOP의 매크로 블럭의 배열에 복귀하여 신장 복호 장치(26)에 대해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TR 장치(1)에 의하면, 항상 기록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동기 블럭의 선두로부터 재생시에 중요한 I 프레임 데이타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 성분을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용 프레임에 포함되는 I 프레임 데이타에서, 내부호 디코더(20)및 외부호 디코더(224)에 의한 정정이 불가능한 데이타 오류가 발생해도, 그 부분으로부터 동일 동기 블럭의 최후의 데이타까지만 손실된다. 다시 말하면, 데이타 오류가 생성해도 I 프레임 데이타의 저주파 부분은 손실되지 않고, 또 그 이후의 동기 블럭보다 우선되는 매크로 블럭의 고주파 성분(1개의 동기 블럭에 수납되지 않은 부분)과 B 프레임 데이타는 손실되지 않는다.
또, 영상의 재생을 위해, B 프레임 데이타보다 중요한 I 프레임 데이타를 B 프레임 데이타에 우선하여 구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타 오류가 생성한 경우에서도 재생후의 영상에 제공하는 영향을 적게 종료할 수 있다.
또, ECC 디코더(22)에서, 죠그 메모리 제어 회로(226) 및 메모리(24)를 이용한, 소위 죠그셔틀이라 칭해지는 변속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록용 프레임에 포함되는 동기 블럭 각각의 전방의 일부만이 비디오 테이프(40)로부터 재생되지만, 이 경우에도 항상 I 프레임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측의 성분이 재생되고, 손실되는 것은 비교적, 영상 재생시에 누락해도 영향이 적은 I 프레임의 고주파 성분과 B 프레임 데이타이기 때문에, 변속 재생시의 재생 영상의 품질이 향상한다.
또, 변속 재생시에 각 동기 블럭의 선두에서 종료 식별자 EOB까지, 또는 각 블럭 최후까지 판독함으로써, I 프레임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 성분을 취출시키기 때문에, 변속 재생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이상과 같은 효과를 예로 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부가해야 할 하드웨어량이 적다.
또,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용 프레임을 이용하는 외에, 예를들면기록용 프레임에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기록시의 클럭으로서,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용 프레임을 이용하는 경우의 동기 신호의 1/N(N은 2 이상의 정수)의 주파수의 동기 신호를 이용하고, 기록용 프레임의 동기 블럭 각각을 N개로 분할하여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동기 블럭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디팩을 행함으로써, I 프레임 데이타 또는 B 프레임 데이타를 취출할 수 있다.
또, 제7도에, 1개의 동기 블럭에 1개의 I 프레임을 대응시키는 경우의 매크로블럭의 조각의 예를 도시한다.
제7A도 및 제7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6 × 16 화소의 매크로 블럭을 I 프레임으로부터 45 × 32(1440개 ; NTSC 방식인 경우) 또는 45 × 38개(1710개 ; PAL 방식인 경우)로 나누어 제4도에 도시한 동기 블럭 각각에 1대1 대응시킨다.
1440 : 1710 ≒ 10 : 12의 관계가 되기 때문에, 이 비율은 그대로 비디오 테이프(40) 상의 데이타량의 비율이 된다.
따라서, VTR 장치(1)에서, NTSC 방식인 경우 10개의 트랙을 1조로 하여 1 GOP분의 영상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고, PAL 방식인 경우에는 12개의 트랙을 1조로 하여 1 GOP분의 영상 데이타의 기록을 행함으로서, VTR 장치(1)의 기계 부분 및 비디오 테이프(40)의 기록 포맷을 변환하지 않고, 동일한 장치를 이용하여 이들 2 방식의 데이타에 따른 죠그셔틀 재생 등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한 VTR 장치(1)에서, 팩 회로(14) 및 디팩 회로(30)의 동작을 개량하고, 비디오 테이프(40)으로부터 데이타를 재생할 때에 기록용 프레임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서도, I 프레임 데이타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 성분만이 아니고, B 프레임 데이타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 성분도 구제가능한 것이다.
제8A도 ∼ 제8E도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팩 회로(14)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8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팩 회로(14)는 상술일 실시예에서 제5B도에 도시한 기록용 프레임을 I 프레임용 영역과 B 프레임용 영역으로 나누어 이용하고, 이들 영역 각각에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방법으로 팩한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서의 팩 회로(14)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팩 회로(14)는 제8A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 데이타 중, 프레임 길이가 제8E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용 영역의 데이타 길이 a이하인 것(제8A도에 도시하는 I1, I3 ∼ I6, I8),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 이상인 것(제8A도에 도시하는 I2, I7)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a까지의 부분을 각각 대응하는 동기 블럭의 I 프레임용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한다(제8E도에 도시하는 I1-0 ∼ I8-0 : 처리 1).
또, 팩 회로(14)는 B 프레임 데이타에 대해 처리 1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먼저, 팩 회로(14)는 제8B도에 도시하는 B 프레임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제8E도에 도시하는 B 프레임용 영역의 데이타 길이 b이하인 것(제8B도에 도시하는 B1 ∼ B3, B6, B7),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 이상인 것(제8B도에 도시하는B4, B5, B8)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b까지의 부분을 각각 대응하는 동기 블럭의 B 프레임용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한다(제8E도에 도시하는 B1-0 ∼ B7-0 : 처리 1').
다음에, 팩 회로(14)는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 이상인 I 프레임 데이타(제8A도에 도시하는 I2, I7)의 데이타 길이 a 이후의 부분(오버플로우 데이타)을 상기 처리 1의 종료 후의 I 프레임용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배열한다(제8E도에 도시하는 I2-1, I2-2, I7-1~I7-3) : 처리 2).
다음에, 팩 회로(14)는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 이상의 B 프레임 데이타(제8B도에 도시하는 B4, B5)의 데이타 길이 b 이후의 부분(오버플로우 데이타)을 상기 처리 1'의 종료 후의 1 프레임 영역 및 B 프레임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배열한다(제8E도에 도시하는 B4-1, B5-1, B5-2, B8-1∼B8-4) : 처리 2').
이상 설명한 팩 회로(14)의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팩 회로(14)의 처리를 I 프레임용 영역에서 I 프레임 데이타에만 행하고, B 프레임용 영역에서 B 프레임 데이타만에 대해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8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I 프레임용 영역 및 B 프레임용 영역에 배열된 영상 데이타는 비디오 테이프(40)에 기억된다.
이하, 디팩 회로(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디오 테이프(40)로부터 재생된 영상 데이타는 제8E도에 도시한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되어 디팩 회로(30)로 입력된다.
디팩 회로(30)는 제8E도에 도시한 동기 프레임의 I 프레임 영역 각각으로부터 각각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이하인 I 프레임 데이타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 이상인 I 프레임 데이타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a까지의 부분을 취출한다.
또, 디팩 회로(30)는 취출한 이들 I 프레임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오버플로우 데이타를 부가하여, 제8A도에 도시하는 원래의 I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한다.
디팩 회로(30)는 B 프레임용 영역에 대해서도 I 프레임용 영역과 마찬가지인 처리를 행하여 B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한다.
다시 말하면, 디팩 회로(30)는 제8E도에 도시한 동기 프레임의 B 프레임 영역 각각으로부터 각각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이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 이상의 B 프레임 데이타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b까지의 부분을 취출한다.
또, 디팩 회로(30)는 취출한 이들 B 프레임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오버플로우 데이타를 부가하여 제8B도에 도시하는 원래의 B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한다.
이상과 같이 디팩 회로(30)의 처리를 변경함으로써, 제8E도에 도시되도록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영상 데이타로부터 원래의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디팩 회로(30)의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디팩 회로(30)의 처리를 I 프레임용 영역에서 I 프레임 데이타에만 행하고, B 프레임용 영역 및 I 프레임 데이타를 취출한 후의 I 프레임용 영역의 나머지 부분에서 B 프레임 데이타에만 대해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전송용 프레임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할 때에, 제8C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단순하게 기록용 프레임의 선두로부터 배열하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위치 이후의 데이타가 전부 재생불가능하게 된다. 제8D도에 도시하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배열하는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는 I 프레임 데이타의 소정 부분만을 구제가능하다.
이들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으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배열하면, 각각 동기 블럭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I 프레임 데이타의 소정의 부분과 B 프레임 데이타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수의 성분을 구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으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배열하면, 일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과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지는 것에서, 전송용 프레임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할 때에 일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으로 영상 데이타를 기록한 경우보다도 더욱 재생 후의 영상의 품질이 높게 된다.
또, 기록용 프레임에서 I 프레임용 영역의 데이타 길이 a와 B 프레임용 영역의 데이타 길이 b는, 예를 들면 통상의 화상 데이타를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에 압축 부호화할 때의 평균적인 데이타량의 비로부터 구할 수 있다. 평균적인 데이타량으로부터 데이타 길이 a, b를 구한 경우에는 픽처 그룹 GOP 각각의 실제의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I 프레임용 영역 및 B 프레임용 영역에 각각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8E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I 프레임용 영역을 크게 하거나, I 프레임용 영역의 나머지 영역을 이용하여 B 프레임 데이타의 여분을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데이타 길이 a, b는 반드시 고정 길이가 아니어도 좋고, 픽처 그룹 GOP마다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의 데이타량의 비를 산출하고, 이 데이타량의 비에 기초하여 픽처 그룹마다 정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픽처 그룹 GOP가 더욱 많은 수의 I 프레임 데이타, B 프레임 데이타 및 전방 예측 부호화 데이타(P 프레임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하여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팩 회로(14) 및 디팩 회로(30)의 동작을 개량한 것이다.
이하, 또 다른 제8 실시예에서 팩 회로(14)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9A도 ∼ 제9C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팩 회로(14)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 제9A도 ∼ 제9C도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동기 블럭이 5개인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픽처 그룹 GOP는 I 프레임 데이타, 3개의 B 프레임 데이타(B, B', B'') 및 P 프레임 데이타의 5 종류로 구성되고, 이들 5 종류의 데이타 각각은 제9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록용 프레임을 분할한 5개 영역 각각에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으로 배열된다.
먼저, 팩 회로(14)는 제9A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제9C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용 영역의 데이타 길이 a 이하인 것(제9A도에 도시하는 I2, I3, I5),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 이상인 것(제9A도에 도시하는 I1, I4)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a까지의 부분을 각각 대응하는 동기 블럭의 I 프레임용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한다(제9E도에 도시하는 I1-0 ∼ I5-0).
다음에, 팩 회로(14)는 제9B도에 도시하는 B 프레임 데이타(B', B, B") 및 P 프레임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제9C도에 각각 도시하는 B 프레임용 영역의 데이타 길이 b', b, b" 및 P 프레임 영역의 데이타 길이 p 이하인 것(제9B도에 도시하는 B'1, B'3 ∼ B'5, B2 ∼ B4, B"1, B"3 ∼ B"5, P1, P3, P5)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 b, b", p 이상인 것(제9B도에 도시하는 B'2, B1, B5, B"2, P2, P4)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b', b, b", p 각각까지의 부분을 각각 대응하는 동기 블럭의 3개의 B 프레임용 영역 및 P 프레임 영역 각각의 선두로부터 배열한다(제9C도에 도시하는 B'1-0 ∼ P5-0).
다음에, 팩 회로(14)는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하는 I 프레임 데이타, 3 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의 오버플로우 데이타(I1-1 ∼ I1-5, I4-1 ∼ I4-5, B'2-1, B1-1, B1-2, B5-1, B"2-1, P2-1, P4-1)를 I 프레임용 영역, 3개의 B 프레임용 영역 및 P 프레임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차례로 제9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열한다.
이상 설명한 팩 회로(14)의 처리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팩 회로(14)의 처리를 I 프레임용 영역, 3개의 B 프레임용 영역, P 프레임용 영역에서,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에 대해 행하고, 이들 5개 영역의 빈 영역에서 이들 5개의 데이타의 오버플로우 데이타에 대해 행함으로써 실현가능하다.
제9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I 프레임용 영역, 3개의 B 프레임용 영역 및 P 프레임 영역에 배열된 영상 데이타는 비디오 테이프(40)에 기억된다.
이하, 디팩 회로(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비디오 테이프(40)로부터 재생된 영상 데이타는 제9C도에 도시한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되어 디팩 회로(30)로 입력된다.
디팩 회로(30)는 제9C도에 도시한 동기 프레임의 I 프레임 영역, 3종류의 B 프레임 영역 및 P 프레임 영역 각각으로부터 각각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이하의 I 프레임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a 이상의 I 프레임 데이타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a까지의 부분, 각각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 b, b" 이하의 B 프레임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b', b, b" 이상의 I 프레임 데이타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b', b, b"까지의 부분, 및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p 이하의 P 프레임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데이타 길이 p 이상의 P 프레임 데이타의 선두에서 데이타 길이 p 까지의 부분을 취출한다.
또, 디팩 회로(30)는 취출한 이들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오버플로우 데이타를 부가하여 제9A도, 제9B도에 도시하는 원래의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를 재생한다.
이상 설명한 디팩 회로(30)의 동작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디팩 회로(30)의처리를 I 프레임용 영역, 3개의 B 프레임용 영역 및 P 프레임용 영역 각각에서,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 각각에 대해 반복하여 행하고, 이들 데이타를 취출한 후의 기록용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에서,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 각각의 오버플로우 데이타에 대해 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으로,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를 배열하면, 각각의 선두 부분이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알려져 있는 위치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기록용 프레임에 데이타 오류가 생성하고 있는 경우이어도, I 프레임 데이타, 3종류의 B 프레임 데이타 및 P 프레임 데이타 각각의 직류 성분 및 저주파수의 성분을 구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에 의하면, 제2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을 픽처 그룹 GOP가 2종류 이상의 데이타로 구성되고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타가 3 종류 이상의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어도, 영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전송용 프레임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때에, 상술한 일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에서 영상 데이타를 기록한 경우보다도 더욱 재생후의 영상의 품질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또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에 대해서도 다른 실시예에 도시한 방법과 마찬가지인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 부호화 후의 영상 데이타의 도중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해도, 압축 부호화 후의 영상 데이타의 저주파수 성분의 대부분을 구제할 수 있다. 또, 압축 부호화 후의 영상 데이타 도중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인터 프레임 데이타에 우선하여 영상의 재생을 위해 보다 필요성이 높은 인트라 프레임 데이타를 구제할 수 있다.
또, 압축 부호화 후의 영상 데이타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해도, 보다 고품질인 재생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소위 죠그셔틀 재생 후의 변속 재생을 행해도 고품질인 재생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VTR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VTR 장치의 압축 부호화 장치 및 팩 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제2도에 도시한 압축 부호화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기록용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5A도 내지 제5C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팩 회로에 의해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I 프레임 데이타 및 B 프레임 데이타를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VTR 장치의 디팩 회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7A도 및 제7B도는 1개의 동기 블럭에 1개의 I 프레임을 대응시키는 경우의 매크로 블럭 조각의 예를 도시함.
제8A도 내지 제8E도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도에 도시한 팩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9A도 내지 제9C도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팩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VTR장치 10 : 압축 부호화 장치
12 : 오류 정정 부호 인코더 16 : 주 메모리
20 : 내부호 디코더 22 : ECC 디코더
24 : 죠그셔틀용 메모리 26 : 신장 복호 장치
28 : 프레임 메모리

Claims (11)

  1.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을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프레임을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하며, 상기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및 상기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를 복수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수단과;
    상기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상기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는 기록용 프레임 생성 수단; 및
    상기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타의 2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그 2 프레임 중 한쪽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압축 부호화하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타의 상기 2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그 2 프레임 중 다른 쪽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압축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3.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고, 적어도 1 프레임을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프레임을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하며, 상기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및 상기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를 복수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서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으로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테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상기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방법.
  4.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며,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기록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의 단위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생성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길이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제1 추출 수단과;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영역 중 상기 제1 추출 수단에 의해 데이타가 추출된 부분이외의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제2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 추출 수단 및 상기 제2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
  5.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며,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기록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의 단위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생성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단계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영역 중 상기 스텝에서 데이타가 추출된 부분이외의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방법.
  6.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을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프레임을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하며, 상기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및 상기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를 복수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 단위를 각각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수단과;
    상기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인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수단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배열시키며,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상기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는 기록용 프레임 생성 수단; 및
    상기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타의 2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그 2 프레임 중 한쪽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압축 부호화하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수단은 상기 영상 데이타의 상기 2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그 2 프레임 중 다른 쪽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압축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8.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을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프레임을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하며, 상기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및 상기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를 복수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 단위를 각각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단과;
    상기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수단과;
    상기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 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수단과;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인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배열시키며,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빈 영역 또는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상기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는 기록용 프레임 생성 수단; 및
    상기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장치.
  9. 영상 데이타의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적어도 1 프레임을 프레임내 압축 부호화하고, 다른 프레임을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하며, 상기 프레임내 압축부호화된 영상 데이타 및 상기 프레임간 압축 부호화된 영상 데이타를 복수의 기록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 단위를 각각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 함으로써, 상기 복수 블럭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블럭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2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에서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상기 기록용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용 프레임에 배열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기록 방법.
  10. 복수의 기록 단위를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생성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영역의 나머지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제1 추출 수단과;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2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제2 추출 수단; 및
    상기 제1 추출 수단 및 상기 제2 추출 수단에서 추출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장치.
  11. 복수의 기록 단위를 각각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1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 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는 독립으로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다른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를 소정수의 화소 데이타를 포함하는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상기 블럭 단위로 상기 블럭내의 영상 데이타를 인접하는 프레임의 영상 데이타와의 상관을 이용하여 압축 및 가변 길이 부호화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저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로부터 고주파수 성분을 도시하는 부호화 데이타에 차례로 나열한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수단에 의해 상기 복수의 블럭의 각각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중,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고,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까지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키며, 상기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빈 영역의 선두로부터 배열시켜 생성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재생하는 단계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제1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1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1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 이하의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와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선두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까지의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각 상기 기록 단위의 제2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의 상기 기록 단위의 상기 제2 영역의 데이타 길이를 초과하는 부분의 데이타를 각각 상기 재생된 기록용 프레임의 상기 제2 영역의 나머지 영역의 선두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상기 제1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 및 상기 제2 압축 부호화 영상 데이타를 상기 영상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타 재생 방법.
KR1019960020922A 1995-06-08 1996-06-07 영상데이타기록장치및재생장치와그방법 KR100397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223895A JP3307163B2 (ja) 1995-06-08 1995-06-08 符号化方法と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方法と復号化装置
JP95-142238 1995-06-08
JP95-142237 1995-06-08
JP14223795A JP3277447B2 (ja) 1995-06-08 1995-06-08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そ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65A KR970002865A (ko) 1997-01-28
KR100397241B1 true KR100397241B1 (ko) 2003-11-20

Family

ID=2647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922A KR100397241B1 (ko) 1995-06-08 1996-06-07 영상데이타기록장치및재생장치와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52706A (ko)
KR (1) KR100397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1162A (en) * 1994-06-24 2000-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ording video signals by storing digital video data into DCT blocks for a digital VCR
KR0183927B1 (ko) * 1996-09-20 199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호화장치
JP3206468B2 (ja) * 1996-12-25 2001-09-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
JP3809719B2 (ja) * 1998-01-05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再生装置、復号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6515715B1 (en) * 1998-03-06 2003-02-04 Divio, Inc. Method and system for code packing in a digital video system
US6542693B2 (en) * 1998-05-29 2003-04-01 Lucent Technologies Inc. Digital video playback with trick play features
JP2000078573A (ja) * 1998-09-03 2000-03-14 Hitachi Ltd 階層符号化データ配信装置
US6678590B1 (en) * 2000-10-17 2004-01-13 Bbnt Solutions Llc Vehicle navigation system with vision system preprocessor using MPEG encoder
US7958532B2 (en) * 2001-06-18 2011-06-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Method of transmitting layered video-coded information
JP3775265B2 (ja) * 2001-08-16 2006-05-1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458878B1 (ko) * 2002-05-03 2004-12-03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Fec 코딩 방식에 기초한 가변길이 패킷 송수신 방법
US20040264932A1 (en) * 2003-02-18 2004-12-30 Hui Li Method for storing additional data relating to menu data
US8565321B2 (en) * 2004-03-29 2013-10-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packing of data across queue blocks in a satellite
FR2989550B1 (fr) * 2012-04-16 2015-04-03 France Brevets Procede de quantification dynamique pour le codage video
US8855466B2 (en) * 2012-05-01 2014-10-07 Eldon Technology Limited Separate video file for I-frame and non-I-frame data to improve disk performance in trick play
US9894421B2 (en) * 2012-10-22 2018-0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representation and transpor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8997B2 (ja) * 1988-07-22 1998-1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適応型変換符号化装置
DE69126396T2 (de) * 1990-10-25 1997-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für Videosignale
AU2304492A (en) * 1991-06-24 1993-01-25 Intel Corporation Modular video subsystem partitioning
JP2664112B2 (ja) * 1992-01-17 1997-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のディジタル記録及び再生装置
JP2708312B2 (ja) * 1992-03-05 1998-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5440345A (en) * 1992-07-17 1995-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High efficient encoding/decoding system
US5532837A (en) * 1992-12-18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TE183047T1 (de) * 1993-05-14 1999-08-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ordnung zur aufzeichnung und wiedergabe von datenreduzierter videoinformation
JP3312074B2 (ja) * 1994-01-24 2002-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のディジタル記録及び再生装置
US5706386A (en) * 1994-05-24 1998-01-06 Sony Corporation Imag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image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2706A (en) 1998-12-22
KR970002865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857B1 (ko) 고능률 부호화 기록 재생 장치
CA2115976C (en) Digital high definition television video recorder with trick-play features
US5751893A (en) Variable length cod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KR100284450B1 (ko) 디지탈 비디오신호 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KR100397241B1 (ko) 영상데이타기록장치및재생장치와그방법
US7536080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0121328B1 (ko)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KR100676093B1 (ko) 비디오 데이터 기록 장치, 비디오 데이터 기록 방법,비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비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비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 장치, 및 비디오 데이터 기록및 재생 방법
GB2341509A (en) Syntax error correction in an MPEG data stream
JP3277713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
JPH089319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KR100796885B1 (ko) 신호 프로세서
KR100739262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과,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KR970010213B1 (ko) 영상신호 기록장치
KR100195074B1 (ko) 동화상데이타의 기록방법
JP3307163B2 (ja) 符号化方法と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方法と復号化装置
KR100207630B1 (ko) 오류정정능력이 향상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KR100681992B1 (ko) 기록 장치 및 방법
JP3240737B2 (ja) 画像信号符号化方法、装置、復号化方法及び装置
JP3277447B2 (ja) 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47475B2 (ja) 可変長符号の記録再生装置
KR100268489B1 (ko) 비디오정보기록및재생방법과장치와그에따른디지탈비디오카세트레코더
KR0138368B1 (ko) 디지탈 기록을 위한 서플링과 보간을 적용한 변환코더/디코더
JP4069823B2 (ja) 特殊再生用データ作成装置
JPH0898142A (ja) 画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