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7154B1 -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 Google Patents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7154B1
KR100397154B1 KR10-1999-0032469A KR19990032469A KR100397154B1 KR 100397154 B1 KR100397154 B1 KR 100397154B1 KR 19990032469 A KR19990032469 A KR 19990032469A KR 100397154 B1 KR100397154 B1 KR 10039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lider
pushing rod
chucking
chu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119A (ko
Inventor
최현창
이후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1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94Means for exhausting the vessel or maintaining vacuum within the vessel
    • H01J2329/941Means for exhausting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크를 척킹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관상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단부가 노출된 푸싱로드와, 상기 푸싱로드에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축선방향에서 상호 대면하는 단부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틈새가 증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각각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원통형 슬라이더와, 상기 양 슬라이더 사이에 고리상으로 개재되며 상기 경사면과 대응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팽창부재와, 상기 푸싱로드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최하단의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멈춤부재와,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어 최상단의 상기 슬라이더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멈춤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분해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넥크의 종류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CHUCKING DIVICE FOR NECK SI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해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넥크의 종류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전방에 마련되어 화상이 투사되는 패널과, 모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깔때기 형상으로 플리트실링에 의해 패널의 후방에 접합되는 펀넬과, 가압융착에 의해 펀넬의 후면 모일부에 접합되는 넥크를 갖는다.
넥크는, 통상적으로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넥크(flareless)와 중공관의 단부에 확경된 깔때기부를 갖는 넥크(flare)의 2종류로 구분되며, 종래에서는 주로 후자의 넥크(flare)를 사용하여 펀넬의 후면 모일부에 접합시켰다.
펀넬의 후면 모일부에 넥크를 가압융착시키는 과정은, 우선 모일부를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하고 모일부가 절단된 절단부위로 넥크를 동축선 상방에 배치시킨 다음, 척킹장치가 넥크를 척킹한 후, 화염이 분사되는 절단부위로 넥크를 하향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있어서는, 펀넬의 후면 모일부에 융착되는 넥크가 깔때기부를 갖지 않는 넥크(flareless)일 경우, 즉,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넥크(flareless)일 경우에는 종래의 척킹장치로는 넥크를 척킹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넥크(flareless)를 척킹하기 위해서는 척킹장치를 교환해야 하는데, 종래의 척킹장치의 교환은 그 구조상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교환 후, 넥크에 대한 척킹장치의 센터링작업을 수행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넥크(flareless)와 중공관의 단부에 확경된 깔때기부를 갖는 넥크(flare)의 2종류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한 척킹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해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넥크의 종류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크융착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3은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넥크(flareless)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중공관의 단부에 확경된 깔때기부를 갖는 넥크(flare)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넥크 24 : 승강부
35 : 척킹장치 37 : 슬리브
40 : 푸싱로드 46 : 슬라이더
50 : 멈춤플랜지 52 : 스페이서
54 : 팽창부재 60 : 멈춤부재
62 : 멈춤턱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넥크를 척킹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있어서, 관상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단부가 노출된 푸싱로드와, 상기 푸싱로드에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축선방향에서 상호 대면하는 단부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틈새가 증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각각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원통형 슬라이더와, 상기 양 슬라이더 사이에 고리상으로 개재되며 상기 경사면과 대응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팽창부재와, 상기 푸싱로드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최하단의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멈춤부재와,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어 최상단의 상기 슬라이더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멈춤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푸싱로드의 외표면을 따라 상기 최하단 슬라이더의 내경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상단 슬라이더는 상기 넥크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멈춤플랜지를 갖는 것이 매우 유리하며, 상기 멈춤플랜지와 상기 멈춤턱 사이에는 상기 최상단 슬라이더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싱로드의 하단부에는 너트가 체결가능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재는, 부분 원통상의 접촉부와, 상기 각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크융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크융착장치는, 펀넬(12)이 적치되는 펀넬적치부(16)와, 펀넬적치부(16)에 적치된 펀넬(12)의 축선 상방으로 넥크(10)를 이송시키는 도시 않은 넥크이송부와, 넥크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넥크(10)를 펀넬(12)을 향해 승강이동시키는 승강부(24)와, 승강부(24)에 의해 넥크(10)가 펀넬(12)의 절단부위(14)에 접촉하면 상호 접촉영역을 가열시키는 버너(26)를 갖는다.
펀넬적치부(16)의 일측에는 컬럼(18)이 기립배치되어 있으며, 컬럼(18)의 연부면에는 컬럼(18)의 길이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20)가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20)에는 수직아암(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직아암(22)의 하부에는 길이연장되는 수직아암(22)에 의해 승강이동되는 승강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24)의 연부면은 컬럼(18)의 연부면측에 형성된 레일에 대하여 상호 도브테일형상으로 맞물려 승강구동되도록 레일블럭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승강부(24)에는 넥크(10)와 펀넬(12)의 접촉영역을 가열하는 버너(26)를 회전구동시키는 버너구동부(28)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버너구동부(28)와 버너(26) 사이에는 버너(26)를 지지하는 버너지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승강부(24)에는, 넥크(10) 내에 삽입되어 넥크(10)를 척킹하며, 승강부(24)의 중심영역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척킹장치(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척킹장치(35)의 상부에는 척킹장치(35)의 승강높이를 제어하는 서보모터(3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이루어진 넥크(10a,flareless)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크(10a,flareless)를 척킹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35)는, 넥크(10a,flareless)의 내부로 삽입되는 관상의 슬리브(37)와, 슬리브(37)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단부가 노출된 푸싱로드(40)와, 슬리브(37)의 외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슬라이더(46)와, 각 슬라이더(46) 사이사이에 배치되며 슬라이더(46)의 이동에 의해 넥크(10a,flareless)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로 팽창되어 넥크(10a,flareless)의 내벽면에 밀착접촉되는 팽창부재(54)를 갖는다.
슬리브(37)는 푸싱로드(40)의 외표면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후술할 하부슬라이더(46c)의 내경면까지 연장형성된 연장부(39)를 가지며, 슬리브(37)의 연부면에는 후술할 상부슬라이더(46a)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멈춤턱(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37)의 상측에는 도시 않은 구동수단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체결공(41)이 형성된 연결부시(38)가 마련되어 있다.
팽창부재(54)가 접촉하는 각 슬라이더(46)의 단부에는 각 팽창돌기의 경사면(56)에 접촉하도록 소정의 경사면(4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라이더(46)가 푸싱로드(40)에 결합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이 3개의 슬라이더(46) 중 최상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부슬라이더(46a), 중간슬라이더(46b), 하부슬라이더(46c)라 명명한다. 상부슬라이더(46a)에는, 넥크(10a,flare less)의 상단면에 밀착접촉됨으로써 넥크(10a,flareless)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며 넥크(10a,flareless)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멈춤플랜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멈춤플랜지(50)의 판면에는 넥크(10)와 펀넬(12)간의 융착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가스배출공(51)이 축선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멈춤플랜지(50)와 멈춤턱(62) 사이에는 넥크(10a,flareless)의 사용시, 상부슬라이더(46a)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스페이서(52)가 배치되게 된다.
팽창부재(54)는, 양측 연부로부터 푸싱로드(40)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56)을 가지고 각 슬라이더(46)의 경사면(48)에 상호 면접촉되어 넥크(10a,flareless)의 축선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팽창됨으로써 넥크(10a,flareless)의 내벽면에 접촉되는 부분 원통상의 접촉부(55)와, 각 접촉부(55)를 상호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57)를 갖는다. 여기서, 각 접촉부(55)는 넥크(10)의 내벽면에 접촉되더라도 넥크(10)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로 카본(Carbon) 재질로 성형되며, 연결부(57)는 신축변형 가능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푸싱로드(40)의 하단부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슬라이더(46c)와 접촉됨으로써 하부슬라이더(46c)의 하향이동을 억제시키는 멈춤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푸싱로드(40)의 하단부에는 너트(44)가 체결되는 수나사산(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싱로드(40)에 결합된 스페이서(52), 슬라이더(46) 및 팽창부재(54)들을 분해할 경우에는 푸싱로드(40)의 하단부에 체결된 너트(44)를 푼 후, 간단하게 이들을 분해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척킹장치(35)가 넥크(10a,flareless)내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척킹장치(35)의 작동과정과 넥크(10)의 융착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일부가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된 펀넬(12)이 넥크융착장치로 이송되면, 넥크이송부에 의해 넥크(10a,flareless)가 펀넬(12)의 절단부위(14)의 동축선 상방에 배치되게 된다. 넥크(10a,flareless)의 배치가 완료되면, 수직아암(22)이 하향 길이연장되어 승강부(24)를 소정 거리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척킹장치(35)는 넥크(10a,flareless)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척킹장치(35)가 넥크(10a,flareless)의 내부로 삽입되어 척킹장치(35)의 상부슬라이더(46a)의 멈춤플랜지(50)가 넥크(10a,flareless)의 상단면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면, 도시 않은 구동수단은 푸싱로드(40)를 소정거리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푸싱로드(40)가 상향 이동되면, 이에 연동하여 푸싱로드(40)의 연부면에 결합된 각 슬라이더(46)들 역시 소정거리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각 슬라이더(46)의 사이사이에는 각 슬라이더(46)와 경사접촉되는 팽창부재(54)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 슬라이더(46)들은 상향이동하면서 팽창부재(54)를 넥크(10a,flareless)의 내벽면, 즉, 가로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팽창부재(54)의 접촉부(55)는 넥크(10a,flareless)의 내벽면에 완전히 밀착하게 됨으로써, 척킹장치(35)에 의한 넥크(10a,flareless)의 척킹작업을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척킹장치(35)에 의한 넥크(10a,flareless)의 척킹이 완료되면, 다시 수직아암(22)의 하향 길이연장에 의해 승강부(24)가 하강함으로써 척킹장치(35)에 척킹된 넥크(10a,flareless)는 펀넬(12)의 절단부위(14)로 하향 가압되며, 이와 동시에, 상호 접촉되는 영역으로 버너(26)에 의한 화염의 분사로 말미암아 넥크(10a,flareless)와 펀넬(12)간의 융착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넥크(10a, flareless)를 사용하지 않고 중공관의 단부에 확경된 깔때기부를 갖는 넥크(10b,flare)를 사용하여 펀넬(12)의 후면 모일부에 융착시키는 경우에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척킹장치(35)를 교체하게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의 단부에 확경된 깔때기부를 갖는 넥크(10b,flar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척킹장치(35)의 푸싱로드(40) 하단에 체결된 체결용 너트(44)를 푼다.
너트(44)를 풀게되면, 슬리브(37)의 외측에 배치된 각 슬라이더(46) 및 팽창부재(54), 그리고 멈춤부재(60)는 푸싱로드(40)의 축선방향으로부터 하향 이탈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슬라이더(46a)만을 교체하고 다른 구성들,즉, 각 슬라이더(46) 및 팽창부재(54), 그리고 멈춤부재(60)는 순차적으로 다시 재배치시키게 된다. 이 때, 넥크(10b,flare)에 사용되는 척킹장치(35)는 넥크(10b,flare)의 길이상, 상부슬라이더(46a)의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스페이서(52)의 사용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상부슬라이더(46a)의 교체시, 스페이서(52) 역시 체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너트(44)를 푼 다음, 스페이서(52)를 빼고 상부슬라이더(46a)만을 교체한 후, 다른 구성들은 다시 원위치 시키고 너트(44)를 체결함으로써 깔때기부가 형성된 넥크(10b,flare)에 사용되는 척킹장치(35)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교체된 척킹장치(35)로 넥크(10b,flare)를 척킹하여 펀넬(12)에 넥크(10b,flare)를 융착시키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44)를 분리하고 상부슬라이더(46a)만을 간단히 교체함으로써, 넥크(10)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척킹장치(35)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해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넥크의 종류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한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넥크를 척킹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에 있어서,
    관상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내에 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하단부가 노출된 푸싱로드와,
    상기 푸싱로드에 축선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축선방향에서 상호 대면하는 단부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틈새가 증대하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각각 갖는 적어도 한 쌍의 원통형 슬라이더와,
    상기 양 슬라이더 사이에 고리상으로 개재되며 상기 경사면과 대응 접촉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팽창부재와,
    상기 푸싱로드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최하단의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멈춤부재와,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어 최상단의 상기 슬라이더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멈춤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푸싱로드의 외표면을 따라 상기 최하단 슬라이더의 내경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슬라이더는 상기 넥크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멈춤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플랜지와 상기 멈춤턱 사이에는 상기 최상단 슬라이더의 상향이동을 저지하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로드의 하단부에는 너트가 체결가능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부분 원통상의 접촉부와, 상기 각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KR10-1999-0032469A 1999-08-07 1999-08-07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KR10039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469A KR100397154B1 (ko) 1999-08-07 1999-08-07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469A KR100397154B1 (ko) 1999-08-07 1999-08-07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119A KR20010017119A (ko) 2001-03-05
KR100397154B1 true KR100397154B1 (ko) 2003-09-06

Family

ID=1960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469A KR100397154B1 (ko) 1999-08-07 1999-08-07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054B1 (ko) * 2002-09-13 2004-12-04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779U (ko) * 1996-12-14 1998-09-15 한용희 펀넬과 넥크 융착장치
KR100191932B1 (ko) * 1996-11-04 1999-06-15 조태현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KR100285681B1 (ko) * 1998-12-29 2001-04-02 박영구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932B1 (ko) * 1996-11-04 1999-06-15 조태현 브라운관용 네크 융착장치
KR19980037779U (ko) * 1996-12-14 1998-09-15 한용희 펀넬과 넥크 융착장치
KR100285681B1 (ko) * 1998-12-29 2001-04-02 박영구 음극선관용 훤넬의 네크융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119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858B2 (en) Pipetting device, pipette tip coupler, and pipette tip: devices and methods
CN101168216B (zh) 加工头和喷嘴更换装置以及激光加工装置
US11020738B2 (en) Pipetting device, pipette tip coupler, and pipette tip: devices and methods
JP2008260293A (ja) ブロー成形または延伸ブロー成形によって熱可塑性樹脂製の容器を製造する成形装置
KR100397154B1 (ko)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CN109500533A (zh) 一种用于环缝焊接的装夹设备
KR100460054B1 (ko)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WO2022025920A1 (en) Pipetting device, pipette tip coupler, and pipette tip: devices and methods
KR100397155B1 (ko) 넥크융착장치용 척킹장치
GB2367785B (en) Apparatus for conjoining tubular end portions
CA2515134C (en) Plunger with annular exterior seals and method of installing annular seals on an exterior surface of a plunger
JP4171915B2 (ja) リングの組付け方法およびリング組付け装置
CN101479201A (zh) 用于光学元件的成型设备和用于光学元件的成型方法
KR100304352B1 (ko) 가스용기
KR19980012432U (ko) 진공 보온용기의 용접장치
CN103157634B (zh) 膨胀管内环空循环清洗装置
KR19990022983U (ko) 연소관 정비용 고정구
JP2000255692A (ja) 生ビール樽用フィッティングにおけるダウンチューブとリテイニングディスクとの固定方法および固定装置
JPH04331399A (ja) 燃料集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