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962B1 - 판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962B1
KR100396962B1 KR10-2000-0036311A KR20000036311A KR100396962B1 KR 100396962 B1 KR100396962 B1 KR 100396962B1 KR 20000036311 A KR20000036311 A KR 20000036311A KR 100396962 B1 KR100396962 B1 KR 10039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guide
rotary saw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349A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00-003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96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22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 B27B5/222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the work-table; Guiding arrangements for the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arranged underneath a station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29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 B27B5/30Details; Component parts; Accessories for mounting or securing saw blades or saw spi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Y축 안내홈(16)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우징(12)이 설치된 작업대(10); 상기 Y축 안내홈(16)을 따라 Y축으로 이동되어 판재를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20); 상기 작업대(10)의 X축변을 따라 이동되면서 판재를 X축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직각안내부(30);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설치되어 구동부재(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톱(50)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회전톱(5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톱조절부(60); 상기 회전톱(50)의 속도를 다단계로 선택하고 속도가 점진적으로 가속되도록 상기 구동부재(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톱(50)의 높이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각종 판재의 두께를 감안하여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면의 각도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고, 가공되는 판재를 직각은 물론 다양하고 정확한 치수 및 각도로 안내하여 가공할 수 있으며, 판재의 모서리부를 가공할 수 있고, 또한, 회전톱의 속도를 재료에 적합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회전톱이 저속에서 고속으로 점차 가속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판재 가공장치{A PLAT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판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판재를 절단가공하되, 회전톱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회전톱의 높이등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판재를 다양하게 절단 가공할 수 있고, 판재의 모서리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판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 가공장치는 목재, 아크릴, 연질의 철판 등을 절단가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판재 가공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톱이 작업대의 중앙부에 노출된 상태로 회전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회전톱에 가공할 판재를 통과시킴으로써, 판재가 절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재 가공장치는 상기 회전톱의 높이나 각도가 작업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각종 판재의 두께나 각목 또는 합성수지재 파이프 등의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회전톱의 노출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각종 판재의 두께를 감안하여 가공할 수 있고, 회전톱의 각도를 조절하여 절단면의 각도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며, 각종판재의 모서리를 가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공되는 판재를 직각은 물론 다양하고 정확한 치수 및 각도로 안전하게 안내하여 가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가공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다각안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직각안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회전톱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모서리가공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7b는 도 2에 도시된 다각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직각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8a는 X축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8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a,9b는 도 4에 도시된 회전톱조절부에 의해 회전톱이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10은 도 4에 도시된 회전톱조절부에 의해 회전톱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10a는 높이가 조절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10b는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모서리가공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 11a는 각도가 조절되기 전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11b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대 12 : 하우징
14 : 관통공 16 : Y축 안내홈
20 : 다각안내부 30 : 직각안내부
40 : 구동부재 50 : 회전톱
60 : 회전톱조절부 64 : 각도조절수단
65 : 회전톱지지부재 66 : 높이조절수단
70 : 제어수단 80 : 모서리가공수단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장방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좌우측에는 Y축 안내홈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우징이 설치된 작업대; 상기 Y축 안내홈을 따라 Y축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판재를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 상기 작업대의 X축변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판재를 X축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직각안내부; 상기 작업대의 저면에 설치되어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톱이 상기 관통공으로 출몰되도록 높이조절하고, 상기 회전톱을 설정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회전톱조절부; 상기 회전톱이 저속에서 점차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톱이 다단계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회전톱조절부는 상기 작업대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고, 각 내측에 원호형의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홈과 근접되는 위치에 안내장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원호형의 랙기어가 형성된 각도안내부재와, 상기 각 안내홈에 결합되는 원호형의 안내돌기가 각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각 안내장공을 관통한 결합볼트가 상기 각 안내돌기에 근접하게 결합되는 각도지지부재와, 상기 일측의 안내장공을 관통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결합볼트에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는 잠금레버를 구비하여 상기 각도지지부재를 설정된 범위의 각도내에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노브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수단; 상기 각도지지부재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되도록 제 1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설치되며, 회전톱이 결합되는 회전축이 상기 구동부재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톱지지부재; 상기 회전톱지지부재와 상기 각도지지부재가 별도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톱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톱지지부재를 제 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는 판재의 가장자리를 가공하기 위한 모서리가공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가공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다각안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직각안내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회전톱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모서리가공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판재 가공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가공장치는 회전톱(50)이 노출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되고 Y축 안내홈(16)이 형성된 작업대(10)와, 판재를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20)와, 판재를 X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직각안내부(30)와, 회전톱(5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톱조절부(60)와, 상기 회전톱(50)이 저속에서 고속으로 점차 가속되도록 제어함은 물론, 상기 회전톱(50)이 가공할 재료의 속성에 적합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동부재(40)를 다단계의 속도로 제어하는 제어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판재 가공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10)는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중앙에 Y축 방향으로 장방형의 관통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의 좌우측에는 Y축 안내홈(16)이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우징(12)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작업대(10)의 하우징(12) 저면에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흡수부재(18)가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흡수부재(18)는 고무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2)의 전면판에는 상기 회전톱(50)의 각도 또는 높이 등을 조절하는 위한 각도조절노브(63C) 또는 높이조절핸들(66D) 등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기 위한 원호형의 설치공 및 장공과 상기 구동부재(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스위치 또는 다단계 속도조절노브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재(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호형의 설치공 가장자리에는 상기 각도조절노브(63C)가 움직이는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노브(63C)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톱(50)의 각도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공(14)에는 하부 일측이 확대되도록 경사면(15B)이 형성된 출몰공(15A)을 갖는 톱날커버(15)가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톱(50)은 상기 출몰공(15A)을 통하여 상기 작업대(1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이고, 회전톱(50)의 각도가 조절될 때 각도가 조절되는 회전톱(50)이 출몰공(15A)의 내측면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기울어져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상기 출몰공(15A)의 내측면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5B)은 출몰공(15A)의 내측면 하부를 확장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출몰공(15A)의 내측면 하부가 경사면(15B)에 의해 확장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태의 회전톱(50)이 각도조절수단(64)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져 각도가 조절될 때 회전톱(50)이 출몰공(15A)의 내측면에 간섭되지 않고 경사면(15B)에 의해 확장된 공간으로 기울어져 설정된 각도로 조절되는 것이다.이러한 경사면(15B)은 상기 출몰공(15A)에 경사면(15B)이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에, 각도 조절시 기울어지는 회전톱(50)의 측면이 출몰공(15A)의 내측면에 간섭되어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한편, 상기 다각안내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상면에 Y축 방향으로 형성된 Y축 안내홈(16)을 따라 판재와 같은 가공재료를 Y축으로 안내하면서 가공재료를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Y축 안내홈(16)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이동구(21)와, 상기 이동구(21)의 상면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안내면(23)이 형성된 분도기(24)와, 상기 이동구(21)의 상면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기준눈금(25)을 구비하여 상기 분도기(24)의 각도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조임부재(26)로 구성된다.
즉, 상기 분도기(24)의 일면에는 가공재료가 밀착되는 안내면(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도기(24)는 상기 조임부재(26)에 의해 조절된 각도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안내면(23)에 가공재료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구(2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공재료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Y축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구(21)의 일단부 측면에는 제 1경사면(21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21)의 단부에는 상기 제 1경사면(21A)에 접촉되는 제 2경사면(22A)을 구비하여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고정구(22)가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구(21)가 Y축 안내홈(16)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22)를 이동구(21)의 일단부 측면에 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상기 제 2경사면(22A)이 상기 제 1경사면(21A)에 안내되어 상기 Y축 안내홈(16)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이동구(2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22)의 단부에 장공을 형성하여 볼트로 상기 이동구(21)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각안내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X축변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판재 즉, 가공재료를 X축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작업대(10)의 밑면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에 X축 안내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32)와, 상기 X축 안내홈(31)에 삽입되는 이동단(33A)과 상기 안내레일(32)의 일측면을 감싸는 지지단(33B)이 수평단(33C) 양측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33)와, 상기 이동부재(33)의 위치를 고정/해제시키도록 상기 지지단(33B)에 설치되는 위치고정수단(34)와, 상기 이동부재(33)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저면이 상기 작업대(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안내바(3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32)의 상면에는 상부로 개구된 설치홈(3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2A)에는 눈금자(32B)가 설치된다. 이러한 눈금자(32B)는 상기 설치홈(32A)에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설치홈(32A)의 상부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상기 설치홈(32A)의 측단면을 보면, 그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양측에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눈금자(32B)의 측단면에서 양단을 상기 끼움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눈금자(32B)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눈금자(32B)는 상기 안내레일(3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33)의 수평단(33C)에는 상기 설치홈(32A)과 일치되는제 1투시공(33D)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단(33C)에 결합되는 상기 안내바(35)의 일단에는 상기 제 1투시공(33D)을 통하여 상기 설치홈(32A)에 설치되는 눈금자(32B)의 눈금이 확인되도록 제 2투시공(35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투시공(33D)과 제 2투시공(35A)을 일치시켜, 사용자가 이를 통하여 상기 눈금자(32B)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할 판재와 같은 재료를 정확한 치수로 가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3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상기 위치고정수단(34)은 상기 지지단(33B)을 관통하여 체결된 고정노브(34A)와, 상기 지지단(33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노브(34A)의 나사부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노브(34A)의 작동으로 안내레일(32)의 일측면에 밀착/이격되는 위치고정구(34B)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고정수단(34)은 가공할 재료가 상기 안내바(35)에 안내될 때, 미리 설정한 치수의 변동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톱조절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설치되어 구동부재(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톱(50)이 상기 관통공(14)으로 출몰되도록 높이조절하고, 상기 회전톱(50)을 설정된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톱조절부(60)는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고, 각 내측에 원호형의 안내홈(61A)이 형성되며, 상기 각 안내홈(61A)과 근접되는 위치에 안내장공(61B)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원호형의 랙기어(61C)가 형성된 각도안내부재(61)와, 상기 각 안내홈(61A)에 결합되는 원호형의 안내돌기(62A)가 각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각 안내장공(61B)을 관통한 결합볼트(62B)가 상기 각 안내돌기(62A)에 근접하게 결합되는 각도지지부재(62)와, 상기 일측의 안내장공(61B)을 관통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결합볼트(61B)에 상기 랙기어(61C)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3A)가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63A)에는 잠금레버(63B)를 구비하여 상기 각도지지부재(62)를 설정된 범위의 각도내에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노브(63C)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63)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수단(6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각도안내부재(61)는 각각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원호형의 안내홈(61A)이 형성되고, 원호형의 안내장공(61B)이 형성되며, 일측의 각도안내부재(61)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63A)에 맞물리는 랙기어(61C)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각도조절노브(63C)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각도조절수단(64)의 각도조절 범위를 일방향으로 대략 90°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양방향으로 보다 넓은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톱조절부(60)는 상기 각도지지부재(62)의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67)의 제 1설치부(67A)에 상,하로 회동되도록 제 1힌지축(65B)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40)가 설치되며, 회전톱(50)이 결합되는 회전축(65A)이 상기 구동부재(40)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부재(4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회전톱지지부재(65)를 구비한다.
즉,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는 상기 연결부재(67)에 제 1힌지축(65B)으로 결합되어 후술할 높이조절수단(66)에 의해 상기 제 1힌지축(65B)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톱(50)이 구동부재(40)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그 연결수단은 기어 또는 V벨트, 체인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톱조절부(60)는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와 상기 각도지지부재(62)의 저면에 설치된 연결부재(67)의 제 2설치부(67B)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전톱(5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를 제 1힌지축(65B)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66)을 구비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66)은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의 일측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공(66B)을 구비한 제 1지지구(66A)와, 상기 제 1지지구(66A)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설치부(67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지지구(66C)와, 상기 제 2지지구(66C)에 중간부가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관통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 1지지구(66A)에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는 높이조절핸들(66D)이 결합되는 작동봉(66E)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지지구(66C)에는 상기 작동봉(66E)이 제자리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베어링과 스냅링이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핸들(66D)은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핸들(66D)을 작동시킬 경우에 상기 작동봉(66E)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나, 그 끝단부가 상기 제 1지지구(66C)의 나사공(66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지지구(66C)가 설치된 회전톱지지부재(65)가 상기 제 1힌지축(65B)을 중심으로 상,하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회전톱(5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톱(50)은 상기 작업대(10)의 상면에 대하여 그 노출정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구동부재(40)를 제어하되, 상기 회전톱(50)이 저속에서 고속으로 점진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이러한 제어수단(70)은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설치되는 다단계 속도조절노브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가공장치에는 판재의 가장자리를 모따기 모깍기 하기 위한 모서리가공수단(80)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모서리가공수단(80)은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서 내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설치부(19)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측의 브라켓에는 원호형의 장공(81)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82)와, 내경에는 면취공구(83)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수단(70)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부재(84)가 결합되어 상기 각 지지브라켓(82)에 회동가능하게 제 2힌지축(85)으로 결합되는 작동부재지지구(86)와, 나사부가 상기 장공(81)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에 결합되는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에는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기되고, 상기 지지브라켓(82)에는 상기 눈금에 일치되는 지침돌기(82A)가 돌설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모서리가공수단(8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면취공구(83)의 사용함으로써, 판재의 모서리부분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고, 상기 모서리각도조절노브(88)를 이용하여 상기 작동부재(84)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모서리부분의 가공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7a,7b는 도 2에 도시된 다각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직각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8a는 X축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8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9a,9b는 도 4에 도시된 회전톱조절부에 의해 회전톱이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10은 도 4에 도시된 회전톱조절부에 의해 회전톱의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회전톱(50)이 작업대(10)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톱조절부(60)의 각도조절수단(64)을 작동시킨다.
즉,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레버(63B)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각도조절노브(63C)의 회전이 자유롭게 한 후에, 상기 각도조절노브(63C)와, 상기 하우징(12)의 원호형 설치공 가장자리에 형성된 각도눈금을 참조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피니언기어(63A)가 랙기어(61C)에 맞물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각도지지부재(62)에 결합된 각도조절노브(63C)는 물론 회전톱지지부재(65)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각도안내부재(6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회전톱(50)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각도안내부재(61)는 반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원호형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각도안내부재(61)에 상기 각도지지부재(62)가 원호형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볼트(61B)가 상기 원호형의 안내장공(61B)을 관통하여 각도지지부재(6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도조절노브(63C)을 회전시켜 피니언기어(61A)가 랙기어(61C)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각도지지부재(62)는 상기 각도조절노브(63C)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회전톱(50)이 결합된 회전톱지지부재(65)가 상기 각도지지부재(62)의 저면에 설치된 연결부재(67)의 제 1설치부(67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톱(50)의 중심점이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도조절노브(63C)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각도지지부재(53)와 회전톱지지부재(65)가 상기 각도안내부재(61)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톱(50)은 작업대(10)의 상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톱(50)이 노출(출몰)되는 관통공(14)에는 출몰공(15A)의 내측면 일측에 경사면(15B)이 형성된 톱날커버(1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톱(50)은 폭이 좁은 출몰공(15A)에서 용이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톱(50)이 기울어질(각도조절 될 때) 때, 상기 회전톱(50)의 일측면이 상기 출몰공(15A)의 내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출몰공(15A)의 내측면 일측에 경사면(15B)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톱(50)은 상기 톱날커버(15)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기울어져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판재의 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칩이 상기 출몰공(15A)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노브(63C)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톱(50)이 작업대(10)의 상면에 대하여 직각상태에서 점차 작은 각도로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상기 각도지지부재(62)의 설치위치를 변형함으로써, 그 각도조절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톱(5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전면에 설치된 다단계 속도조절노브를 이용하여 재질에 적합한 속도를 선택하고, 메인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구동부재(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시키기되, 상기 회전톱(50)이 저속에서 점진적으로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재(4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톱(50)의 각도가 조절되고 구동부재(40)가 작동되어 판재가 절단 가공되면, 판재의 절단면은 일정한 각도 즉, 예를들면 상기 회전톱(50)이 작업대(10)의 상면에 대하여 30°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판재가 절단되었다면 그 절단면은 평면에 대하여 30°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판재를 어느 한 면에 대하여 다른 면을 평행하게 절단하고자 한다면, 상기 직각안내부(30)를 이용한다.
즉, 도 8a,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각안내부(30)의 이동부재(33)에 결합된 위치고정수단(34)의 고정노브(34A)를 풀어 상기 위치고정구(34B)가 안내레일(32)을 따라 Y축으로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2투시공(33D,35A)을 통하여 눈금자(32B)의 눈금을 확인하여 상기 안내바(35)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고정노브(34A)을 조여 상기 위치고정구(34B)가 상기 안내레일(32)의 일측면에 밀착시켜 안내바(35)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공(절단)할 판재의 일측면을 상기 안내바(35)의 일면에 밀착시킨 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톱(50)에 의해 절단되는 면은 상기 안내바(35)의 일면에 밀착되는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절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작업대(10)의 X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직각안내부(30)는 상기 안내레일(32)의 상면이 상기 작업대(1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기 때문에 판재의 이동이나 가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판재의 절단면이 다른 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각안내부(20)를 이용한다.
즉, 도 7a,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각안내부(20)의 분도기(24)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에, 상기 조임부재(26)를 이용하여 각도가 조절된 분도기(24)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공할 판재의 일면을 상기 분도기(24)의 안내면(23)에 밀착시키고, 상기 분도기(24)를 Y축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분도기(24)는 이동구(21)가 Y축 안내홈(16)을 따라 이동하는 관계로 판재를 Y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도기(24)에 의해 이동되는 판재의 절단면은 상기 안내면(23)에 밀착된 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22)를 결합시킨 볼트를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구(22)의 제 2경사면(22A)이 상기 제 1경사면(21A)에 안내되어 상기 고정구(22)의 외측면이 상기 Y축 안내홈(16)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 상기 이동구(21)의 이동이 방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공할 판재의 두께가 두껍거나 각목이나 파이프와 같은 재료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톱(50)의 노출정도를 조절하여 두꺼운 재료가 충분히 절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얇은 두께의 판재는 상기 회전톱(50)이 판재의 두께만큼만 노출되면 만족하나, 두꺼운 재료는 상기 회전톱(50)이 재료의 두께이상으로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톱(50)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수단(66)의 높이조절핸들(66D)을 작동시켜 상기 회전톱(50)의 노출정도 즉, 높이를 조절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높이조절핸들(66D)을 일방향(예를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봉(66E)은 상기 제 2지지구(66C)에 복수개의 베어링과 스냅링으로 결합된 관계로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봉(66E)의 끝단부가 나사 결합된 제 1지지구(66A)는 상기 작동봉(66E)의 나사산을 따라 제 2지지구(66C)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 1지지구(66A)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톱지지부재(65)가 상기 각도지지부재(62)의 저면에 설치된연결부재(67)의 제 1설치부(67A)에 제 1힌지축(65B)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핸들(66D)의 작동으로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가 제 1힌지축(65B)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회전톱(50)은 작업대(10)의 상면으로 많이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톱(50)이 많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핸들(66D)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 1지지구(66C)가 작동봉(66E)의 끝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회전톱(50)의 높이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다양한 경도를 갖는 판재나 각목, 파이프와 같은 재료를 그에 적합하도록 회전톱(50)의 속도를 선택하여 가공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를 갖는 재료를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되는 재료의 절단면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판재의 가장자리 모서리부위를 모따기 모깍기 가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설치된 모서리가공수단(80)을 이용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의 모서리부위를 45°정도의 각도로 모깍기 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를 회전시켜 조임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를 취부하여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가 45°정도 기울어지도록 이동시키고, 다시 상기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를 조여 그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에 형성된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에 일치되는 상기 지지브라켓(82)에 형성된 지침돌기(82A)를 참조하여 상기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의 작동으로 작동부재(84)가 설치된 작동부재지지구(86)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가 한쌍의 지지브라켓(82) 사이에 제 2힌지축(85)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있고, 모서리각 조절노브(88)의 나사부가 상기 장공(81)을 관통하여 작동부재지지구(86)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의 조임상태를 해제한 후에 그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의 각도는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84)가 작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면취공구(83)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면취공구(83)가 회전되면, 판재의 모서리부가 상기 면취공구(83)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직각안내부(30)를 이용하여 판재를 Y축으로 이동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작동부재(84)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판재를 접촉시켜 Y축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판재의 모서리부는 45°각도로 면취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면취공구(83)를 모깍기용으로 교체한다면 판재의 모서리부는 부드럽게 모깍기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 가공장치는 회전톱의 높이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각종 판재의 두께를 감안하여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면의 각도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고, 가공되는 판재를 직각은 물론 다양하고 정확한 치수 및 각도로 안내하여 안전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판재의 모서리부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회전톱의 속도를 재료에 적합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회전톱이 저속에서 고속으로 점차 가속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중앙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통공(14)에는 하부 일측이 확대되도록 경사면(15B)이 형성된 출몰공(15A)을 구비한 회전톱커버(15)가 설치되고, 상기 관통공(14)의 좌우측에는 Y축 안내홈(16)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에는 진동흡수부재(18)를 구비한 하우징(12)이 설치되며, 일측에는 보조작업대(90)가 접철되도록 설치된 작업대(10);
    상기 Y축 안내홈(16)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제 1경사면(21A)이 형성되는 이동구(21), 상기 제 1경사면(21A)에 접촉되는 제 2경사면(22A)을 구비하여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구(21)에 설치되는 고정구(22), 상기 이동구(21)의 상면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안내면(23)이 형성된 분도기(24), 상기 이동구(22)의 상면에 조임과 풀림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기준눈금(25)을 구비하여 상기 분도기(24)의 각도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조임부재(26)로 이루어져 판재를 다각도로 안내하기 위한 다각안내부(20);
    상기 작업대(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X축 안내홈(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레일(32), 상기 X축 안내홈(31)에 삽입되는 이동단(33A)과 상기 안내레일(32)의 일측면을 감싸는 지지단(33B)이 수평단(33C)의 저면 양측에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33), 상기 이동부재(33)의 위치를 고정/해제시키도록 상기 지지단(33B)에 설치되는 위치고정수단(34), 상기 이동부재(33)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저면이 상기 작업대(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안내바(35)로 이루어져 판재를 X축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직각안내부(30);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수단(64), 상기 각도조절수단(64)의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67), 상기 연결부재(67)에 설치되는 회전톱지지부재(65),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와 연결부재(67)에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수단(66)으로 이루어져 구동부재(4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톱(50)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톱조절부(60);
    상기 회전톱(50)이 저속에서 점차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톱(50)이 다단계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재(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7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안내부(30)의 안내레일(32) 상면에는 상부로 개구되고 만곡진 설치홈(3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2A)에는 눈금자(32B)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단(33C)에는 상기 설치홈(32A)과 일치되는 제 1투시공(33D)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수단(34)은 상기 지지단(33B)을 관통하여 체결된 고정노브(34A), 상기 지지단(33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노브(34A)의 나사부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노브(34A)의 작동으로 안내레일(32)의 일측면에 밀착/이격되는 위치고정구(3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바(35)의 일단에는 상기 제 1투시공(33D)을 통하여 눈금자(32B)의 눈금이 확인되도록 제 2투시공(3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가공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톱조절부(60)의 각도 조절수단(64)은 상기 작업대(10)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고 각 내측에 원호형의 안내홈(61A)이 형성되며 하부에 안내장공(61B)이 형성되고 일측의 외측면에는 원호형의 랙기어(61C)가 형성된 한쌍의 각도안내부재(61)와, 상기 각 안내홈(61A)에 결합되는 원호형의 안내돌기(62A)가 각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각 안내장공(61B)을 관통한 결합볼트(62B)가 결합되는 각도지지부재(62)와, 상기 일측의 안내장공(61B)을 관통 하여 외부로 노출된 결합볼트(61B)에 상기 랙기어(61C)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3A)가 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63A)에는 잠금레버(63B)를 구비하여 상기 각도지지부재(62)를 설정된 범위의 각도내에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노브(63C)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6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67)의 일측면에는 제 1설치부(67A)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로는 제 2설치부(67B)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는 상기 제 1설치부(67A)에 상,하로 회동되도록 제 1힌지축(65B)으로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재(40)가 설치되며 회전톱(50)이 결합되는 회전축(65A)이 상기 구동부재(40)와 타이밍벨트로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부재(4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66)은 상기 회전톱지지부재(65)의 일측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공(66B)을 구비한 제 1지지구(66A)와, 상기 제 1지지구(66A)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설치부(67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지지구(66C)와, 상기 제 2지지구(66C)에 중간부가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관통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 1지지구(66A)에 나사결합되며, 타단부에는 높이조절핸들(66D)이 결합되는 작동부재(66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가공장치.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는 판재의 가장자리를 가공하기 위한 모서리가공수단(80)을 설치하되,
    상기 모서리가공수단(80)은 상기 작업대(10)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부(18) 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일측의 브라켓에는 원호형의 장공(81)이 형성되며, 지침돌기(82A)가 돌설된 한쌍의 지지브라켓(82);
    상기 각 지지브라켓(82)에 회동가능하게 제 2힌지축(85)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면취공구(83)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수단(70)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부재(84)가 결합되며, 눈금이 형성된 작동부재지지구(86);
    나사부가 상기 장공(81)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부재지지구(86)에 결합되는 모서리각도 조절노브(8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가공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0-0036311A 2000-06-29 2000-06-29 판재 가공장치 KR10039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311A KR100396962B1 (ko) 2000-06-29 2000-06-29 판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311A KR100396962B1 (ko) 2000-06-29 2000-06-29 판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349A KR20000063349A (ko) 2000-11-06
KR100396962B1 true KR100396962B1 (ko) 2003-09-02

Family

ID=1967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311A KR100396962B1 (ko) 2000-06-29 2000-06-29 판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466B1 (ko) * 2001-04-23 2003-08-02 김정곤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KR101994330B1 (ko) * 2019-03-20 2019-06-28 신동철 상판 이동식 자재 자동 절단장치
CN111391007A (zh) * 2020-04-27 2020-07-10 瑞安市晨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程控液压拆标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907A (en) * 1983-02-28 1984-06-26 Bassett Alvin L Table saw having laterally adjustable saw
US4599927A (en) * 1985-05-08 1986-07-15 Emerson Electric Co. Tool elevation and bevel adjustment for direct drive power tool
US4677920A (en) * 1985-06-03 1987-07-07 Emerson Electric Co. Adjustable side extensions for work t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907A (en) * 1983-02-28 1984-06-26 Bassett Alvin L Table saw having laterally adjustable saw
US4599927A (en) * 1985-05-08 1986-07-15 Emerson Electric Co. Tool elevation and bevel adjustment for direct drive power tool
US4677920A (en) * 1985-06-03 1987-07-07 Emerson Electric Co. Adjustable side extensions for work 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349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006B2 (en) Movable fence for a machine tool
US6688203B2 (en) Circular sawing machine having indication device
US4281694A (en) Cutting guide for a router or similar tool
US4805505A (en) Multi-stop
CA1121696A (en) Power tool apparatus and method
EP1577065B1 (en) Blade and motor carrier with height/angle adjustment mechanism
US5768966A (en) Woodworking machinery jig and fixture system
US5533556A (en) Router guide apparatus
US4977938A (en) Cutting guide for portable router
US7287453B2 (en) Woodworking table with an auxiliary device
US5901763A (en) Working bench equipped with cutting rail alignment for electric circular saw
AU2005229769B2 (en) Table for band saw
US11247279B2 (en) Corner profiling guide
US5950999A (en) Support device having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US20030066573A1 (en) Radial overarm router
JP2533681Y2 (ja) 継手用溝掘り機
US20080257453A1 (en) Micro-Adjustment Device for the Angle Stop Plank of a Planar
US3853160A (en) Router
KR100396962B1 (ko) 판재 가공장치
KR101944995B1 (ko) 둥근톱기계장치
EP1545845B1 (en) Mitre saw with adjustable fence
US4986323A (en) Adjustable stop apparatus
RU2278005C1 (ru) Электродрель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овышения точности сверления
US4576075A (en) Circular saw machine
US20240139831A1 (en) Pocket hole drill guide with angled 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