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974B1 -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 Google Patents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974B1
KR100395974B1 KR10-2001-0019934A KR20010019934A KR100395974B1 KR 100395974 B1 KR100395974 B1 KR 100395974B1 KR 20010019934 A KR20010019934 A KR 20010019934A KR 100395974 B1 KR100395974 B1 KR 100395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toothpaste
weight
toothpaste composi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198A (ko
Inventor
구창휘
남성원
최동영
Original Assignee
부광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광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광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9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의 시린이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인산삼칼슘을 생약성분인 용골과 적절히 혼합 사용하고 케토프로펜과 같은 진통소염제 및 불소화합물을 첨가한 치약 조성물로서 잘못된 구강위생습관 또는 잇몸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염증이나 출혈, 통증 등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또한 과민성치아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ensitive teeth}
본 발명은 치과질환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민감성 치아(시린이현상 등)와 잇몸의 염증(inflammation) 및 발적(redness), 출혈(bleeding) 등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치과질환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증상으로 치아의 시린 현상,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는 현상, 치아가 흔들리는 현상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현상들이 나타나는 이유는 품질이 불량한 칫솔의 사용이나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한 치아 표면이나 잇몸조직의 손상, 부적절한 칫솔사용법 등으로 인해 형성된 치석에 의한 잇몸질환 등 잘못된 구강위생습관 등에 기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다른 어떤 원인으로 인해서 치아나 잇몸조직이 손상됨에 따라 염증이 생기거나 치아가 시리고, 심하면 치아가 흔들리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각 개인이 타고난 유전적, 체질적 원인에 따라 치과질환이 발생될 수도 있다.
치아의 과민증 현상(시린 현상 등)은 노출된 치아의 상아질 부분이 찬 공기나 자극적인 음식물 등에 접촉되었을 때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으로써 가벼운 증상에서 격렬하고 지속적인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치아의 시린 현상은 진통제나 소염제를 복용하여도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아의 시린이현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진통제 등의 약물보다는 치약 등에 함유될 수 있는 인산삼칼슘(미세결정형 수산화인회석)이나 글리세로인산칼슘,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무수인산칼슘, 함수이산화규소, 실리카류 등과 같은 성분과 질산은, 질산칼륨 등의 성분을 각각 함유하는 치약과 같은 제품을 국소적으로 흔히 사용한다. 그러나 인산삼칼슘의 경우는 치아의 치표면 이나 치경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아질세관을 수복해 줌으로써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고 시린이현상을 예방해 주는 역할은 하지만 불소화합물과의 착염 형성으로 불소화합물의 작용이 감소되기 때문에 충치예방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불소화합물과 동시에 사용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질산은(silver nitrate)은 시린 치아를 치료하는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아를 검게 변색시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실제 임상적 사용에 제한을 받을 수 있고,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의 경우에도 치아의 과민증상에 치료 효과가 있고, 그 효과도 지속적이지만 치약과 같은 파스타제와는 달리 구강청정제와 같은 포화용액에서는 그 효과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질산칼륨을 구강청정제에 같은 제제에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적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미용에 관심을 가짐에 따라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은 치석(plaque)을 제거하기 위해 스케일링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치석의 제거는 단순히 미용상의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건강한 치아와 잇몸조직을 위해서도 필요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석의 형성은 미생물과 관련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많은 연구결과에서도 보여지듯이 치주질환시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Actinomyces viscosus),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Actinomyces israelii)와 같은 그람양성균과 박테로이데스 인터메디우스(Bacteroides intermedius), 악티노바실루스(Actinobacillus)와 같은 그람음성균의 미생물이 치아의 표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⑴Socreanscky, S.S. (1977) Microbiology of periodontal disease-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iderations.Journal of Periodontology, 48, 497-504, ⑵Moore, W.E.C., Holderman, L.V., Cate, E.P., Smibert, R.M., Burmeister, J.A. Ranney, R.R. (1983) Bacteriology of moderate(chronic) periodontitis in mature adult humans,Journal of Periodontal Research, 12, 120-128). 이러한 미생물과 그 미생물들이 배출하는 각종 다당체 및 기타 다른 물질들의 복합체로 치석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치석은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과 같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은 통증 또는 출혈 등을 같이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염증을 없애기 위해 진통소염제 등의 약물 요법이 행해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을 예방하기 위해 치약이나 구강청정제에 0.05∼0.10 w/v% 농도의 불소가 자주 사용된다. 불소의 공급원으로는 주로 일불소인산나트륨이나 불화나트륨, 불화제일석, 불화아민 297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최근의 보고(US Patent 5,807,541, Aberg et al. September 15, 1998)에 의하면 치약이나 구강청정제 등에서 불소화합물의 사용이 치아의 우식증은 예방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불소화합물 사용은 잇몸에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불소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단점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잇몸조직의 염증을 제거하기 위해서 적절한 농도의 진통소염작용을 갖는 약물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의 시린이현상 등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인산삼칼슘과 생약성분, 진통소염제, 불소화합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성분들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증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방에서 용골이나 모려, 석고, 활석, 황련, 황백, 황금, 용담 등 진정작용 또는 청열작용을 갖는 각 생약들은 주로 탕제로 사용되어져 왔고,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사례는 드물다. 따라서 이들 생약을 치약 등에 첨가하여 국소적으로 사용할 경우 적절한 가공 등의 연구가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비프로펜, 메페나믹산, 에토돌락, 피록시캄, 디클로페낙소디움 등과 같은 진통소염제의 경우 대부분의 약물들은 쓴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강에 적용하는 치약이나 구강청정제에 첨가하는 경우 쓴맛을 은폐하거나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 또한 병용해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조성물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각 성분들의 적절한 형태 및 농도, 처방 구성을 갖는 조성물을 만드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음에 보여지는 실시예는 설명을 위하여 제시되는 것이며,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며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공정은 원료투입에서부터 각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완제품을 제조 완료하기까지 실시예에서 서술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삼칼슘은 1.0∼40.0 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25.0 중량%이다. 7.0 중량% 이하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린이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약하고 25.0 중량% 이상을 사용할 경우에는 치약 제조어려움이 따른다. 용골은 치약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1.0∼2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다. 진통소염제인 케토프로펜 등은 0.01∼10.0 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중량% 이다. 0.5 중량% 이하를 사용할 경우는 불소화합물 사용에 따른 염증 예방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3.0 중량% 이상 사용할 경우는 소염제의 쓴맛을 은폐하기 어렵다. 불소화합물로는 일불소인산나트륨 0.001∼0.76 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76 중량% 함유하는 것이다. 여기에 기포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0.1∼20.0 중량% 및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0.1∼15.0 중량%, 글리세린 0.1∼40.0 중량%,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0.1∼5.0 중량%,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에스텔나트륨, 삭카린나트륨 및 정제수를 적당량 함유한다.
⑴ 원료의 선택
인산삼칼슘은 로디아사로부터 구입하였고, 용골과 모려는 한약건재상에서 구입한 후 고운 가루로 하여 325메쉬의 체를 통과시킨 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121℃에서 15분간 3회 멸균한 것을 감압건조하여 원료로 사용하였고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인산삼칼슘의 함량시험(칼슘으로서)을 실시한 결과 37.9%의 함량결과가 나왔다. 용골과 모려는 각각 고운 가루로 한 후 325메쉬의 체를 통과한 원료 중 일부를 취하여 함량시험(탄산칼슘으로서)을 실시하였다.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용골과 모려 각 1g을 취하여 묽은 염산 10mL를 천천히 가한 후 물을 가해 100mL로 하였다. 이 100mL 중 10mL를 취하여 2-oxi-1-(2'-oxi-4'-sulfo-1'- naphthylazo)-3-naphthoeic acid 0.1g을 가한 후 0.05M EDTA 용액으로 적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표 1)를 얻었다.
용골 및 모려 중 탄산칼슘의 함량시험결과
용 골 모 려
함량결과(%) : 탄산칼슘으로써 55.2% 62.8%
0.05M EDTA 1mL = 3.705㎎ Ca(OH)2
종말점은 적색이 완전히 소실되고 청색으로 될 때
⑵ 제조공정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치약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치약제조용 파이롯트 장치 (제작사 : Fryma Co., VME 12 type, 스위스)를 이용하여 시험 생산하였으며, 일반적인 치약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또한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실리카류,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도디신과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사용하였다. 즉, 정제수에 글리세린을 넣어 교반기로 교반을 하면서 카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과 일불소인산나트륨, 삭카린나트륨 등을 넣은 후 VME 장치에 넣고 용골 또는 모려, 케토프로펜을 가한 후 라우릴황산나트륨과 향료를 가하여 교반하고 탈포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된 치약은 라벨링을 한 치약 튜브에 충진하였고, 다음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과 같이 연마력(세정력) 시험 및 시린이현상 억제정도시험, 불소함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치약의 제조 실시예
⑴ 실시예 1 (BK-1의 제조)
치약제조용 파이롯트 장치 (제작사 : Fryma Co., VME 12 type, 스위스)를 이용하여 시험 생산하였으며, 일반적인 치약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즉, 정제수 적당량에 글리세린 23.0그람을 넣어 교반기로 교반을 하면서 인산삼칼슘 17.0그람과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0.2그람, 일불소인산나트륨 0.76그람,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0.5그람, 삭카린나트륨 0.15그람,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1.4그람을 VME 장치에 넣고 라우릴황산나트륨 1.0그람과 향료를 가하여 교반하고 탈포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치약은 라벨링을 한 치약 튜브에 충진하였고, 다음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와 같이 연마력(세정력) 시험 및 시린이현상 억제정도의 시험, 불소시험을 각각 실시하였다.
⑵ 실시예 2 (BK-2의 제조)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치약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처방중 인산삼칼 슘 17그람 대신 인산삼칼슘 14.0그람과 용골 3.0그람을 넣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BK-2 치약을 제조하였다.
⑶ 실시예 3 (BK-3의 제조)
BK-2에서 용골 3그람 대신에 모려 3그람을 사용하여 BK-3 처방의 치약을 제조하였다.
⑷ 실시예 4 (BK-4의 제조)
BK-2의 처방에 케토프로펜 1.0그람을 넣어 이하 BK-1과 같은 방법으로 BK-4 치약을 제조하였다.
⑸ 비교예 1 (BK-5의 제조)
BK-1 처방에서 인산삼칼슘 17그람 대신에 탄산칼슘 40그람을 함유하는 영국표준세치제 처방으로 BK-5를 제조하였으며, 이하 BK-1 치약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연마력(세정력)시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대한 연마력(세정력) 시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즉, 칫솔을 사용하여 전기식 구동장치가 부착된 치아마모도측정기를 사용하여 연마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에게서 발거한 제3대구치를 치과용 고속 컷팅기로 사방 정육면체(7×7×7㎜)가 되도록 자르고 각각을 연마하여 치아고정틀에 수지로 고정시켜 치아가 2㎜ 높이로 돌출되게 한 후, 그 위에 칫솔모두부분을 끼워 500g의 압력을 가하도록 고정시켜서 왕복과 동시 회전운동이 되도록 free set counter를 설정하였다. 왕복과 동시 10,000번 운동하도록 설정된 자동기계 상태에서 인조타액 50㎖를 치아고정판 위에 고루 붓고 칫솔에 각각 위에서 제조한 조성물 일정량을 부착한 다음 같은 압력을 받도록 고정하여 번갈아 가며 각각의 조성물에 대하여 회전 동시 왕복행정운동을 시켰다. 또한 인조타액만으로 같은 조건으로 조성물을 사용치 않고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회전속도는 150rpm 왕복속도 역시 150회 분당으로 하여 동시에 자동으로 행정이 끝나도록 하였다. 이 기계장치는 전압조정으로 자유로이 회전속도 및 왕복속도를 설정할 수 있고 회전 및 왕복수를 역시 설정 가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기계이다. 일정속도, 일정회전 왕복운동의 연마행정이 끝나면 치아 절편의 연마 전후의 무게를 0.1㎎ 측정단위의 정밀 전자저울로 평량하였다. 각각의 건조조건은 치아절편을 물로 2회 세척하고, 99% 무수에탄올로 2회 세척한 다음 감압 건조기에서 감압 740㎜Hg 이하에서 계속 2시간 이상 감압 건조시키고, 항량이 될 때 무게를 정하여 각각의 차이를 연마(마모)된 양으로 정하였다. 왕복 및 회전 속도를 150rpm으로 한 것은 사람의 평균 칫솔 사용시 사용속도이며, 500g중 힘은 칫솔 위에 500g의 저울추를 올려 놓은 상태로 이것은 성인의 평균 양치시 팔힘으로 서정한 미국(미국 연방규격 FFF-D-191 D) 및 우리나라의 세치제 규격 중 경도시험으로 현미경용 슬라이드 유리에 대한 찰과상 여부 시험기준에 적용하는 무게로 하였다.
각 조성물의 치아 마모도 비교
시험군 No D1 감소량 D2 감소량 D3 감소량 D4 감소량 평균±SD 마모도
BK-5(비교예) 1차 1.6 0.7 2.0 1.5 1.550±0.54 100
2차 2.0 2.3 1.2 1.1
BK-1(실시예 1) 1차 0.4 0.3 0.5 0.4 0.363±0.07 23
2차 0.3 0.4 0.3 0.3
BK-2(실시예 2) 1차 0.7 0.3 0.5 0.3 0.475±0.14 31
2차 0.4 0.6 0.5 0.5
BK-3(실시예 3) 1차 0.4 0.3 0.8 0.7 0.538±0.18 35
2차 0.6 0.4 0.4 0.7
BK-4(실시예 4) 1차 0.6 0.9 0.4 0.5 0.500±0.20 32
2차 0.3 0.3 0.4 0.6
Blank 1차 0.0 0.2 0.1 0.0 0.063±0.07 4
2차 0.1 0.0 0.0 0.1
# 감소량 단위 : ㎎ / SD : 표준편차
# BK-5(영국 표준 세치제 처방)을 100으로 하였을 때 각 조성물의 상대적 환산값
위의 표 2에서 보여지듯이 영국 표준 세치제 처방(BK-5)을 기준으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의 연마도를 비교한 결과, 시린이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처방인 실시예 1(BK-1)은 영국 표준 세치제 처방(BK-5)에 비해 낮은 연마도가 나타난 반면 용골 또는 모려가 함유된 처방(BK-2∼BK-4)은 연마도가 다소 증가한 경향이 나타났고, 일불소인산나트륨의 함유 여부는 연마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시린이현상 억제정도 비교
2-1. 연구대상
위에서 제조한 조성물들의 시린이현상 억제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즉, 지각과민치아를 가진 사람으로 이 실험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지원자 1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연구대상 치아는 39개였다. 또한 지원자 중 남자가 10명, 여자가 5명이었고, 연령은 21세에서 55세였다. 시험군은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으며, 각 시험군은 3명으로 하였다 (G1: BK-1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2: BK-2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3: BK-3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4: BK-4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5: BK-5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영국 표준 치약, BS 5136의 조성)). 연구대상자들은 각 실험군의 치약 내용물을 알지 못하도록 하였고, 총 시험기간은 2주로 하였다.
2-2. 연구방법
온도자극을 가한 후 환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미리 각 지원자의 지각과민 치아의 과민부위를 체크하였고, 치아의 시린 부위에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한 후 2주간 각각의 조성물을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2주가 지나 다시 약 5℃의 차가운 물을 스포이드로 떨어뜨려 평점을 하였다. 자극 후 환자의 반응 평점 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0점: 아무런 불편감이 없다, 1점: 약간 불편하거나 시리다, 2점: 많이 시리다, 3점: 아프다). 통계처리는 실험실시 전과 2주 후의 자극 점수를 paired student-t test로 검정하였다.
2-3. 연구결과
2주 후의 온도자극에 대한 반응점수는 다음 표 3과 같다. 표 3에서 나타나듯이 시험군 G1, G2와 G4에서는 실험실시 전에 비해 2주 후에는 시린 현상의 정도가 유의성 (p<0.05)있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험군 G3과 G5에서는 실험실시 전과 2주 후와의 비교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조성이 비슷한 생약성분이라도 용골 대신 모려를 사용할 경우 시린이 현상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린이현상 억제 정도
시간 G1 G2 G3 G4 G5
0주 2.13±0.64 2.29±0.76 2.14±0.69 2.38±0.52 2.22±0.67
2주 1.50±0.53* 1.43±0.53* 1.71±0.49 1.38±0.52 2.00±0.71
*p<0.05 *p<0.05 p>0.05 *p<0.01 p>0.05
G1: BK-1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2: BK-2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3: BK-3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4: BK-4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5: BK-5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영국 표준 치약, BS 5136의 조성)
실험예 3. 불소 함량 시험
3-1. 시험방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성물 및 비교예로서 영국표준세치제 처방에 불소를 첨가시켜 따로 제조한 G5에 대한 불소 함량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각각의 조성물을 약 4그람을 원심분리관에 정밀히 달아 물 25미리리터를 넣고 각각의 조성물이 완전히 붕해될 때까지 실온에서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약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옮기고, 나머지 잔사에 증류수 25미리리터씩 2회 더 현탁시켜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을 100미리리터 용량플라스크에 모으고 물로 채웠다 (A 용액). 원심분리된 잔사를 추가로 추출하기 위해 비이커에 옮기고 소량의 물로 세척하여 비이커에 모아 35% 황산 40미리리터를 가해 30분간 교반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100미리리터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잔사에 물 40미리리터를 가해 세척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다시 용량플라스크에 모으고 물로 채워 100미리리터로 하였다 (B 용액).
A 용액 25미리리터를 100미리리터 용량플라스크에 취하여 넣고 묽은 염산 10미리리터를 가하고, B 용액 25미리리터를 100미리리터 용량플라스크에 따로 취하여 40%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한 후 묽은 염산 10미리리터를 가하여 각각 90℃ 수욕상에서 30분간 가열하였다. 이 A 용액 및 B 용액을 각각 냉각하여 연분홍색이 나타날 때까지 4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이 용액을 다시 실온으로 냉각하여 TISAB Ⅳ-solution Ⅱ으로 채웠다.
검액 A를 비이커에 붓고 pH meter 연결된 불소이온전근과 비교전극을 담그어 3분간 교반 후 mV를 읽었다. 다음 검액에 표준용액 10미리리터를 가하고 교반하여 2분 후에 전위를 측정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측정 전위의 차이를 구하여 표준용액의 환산계수를 구하였다.
따로 불화나트륨 일정량을 정밀히 달아 TISAB Ⅳ-solution Ⅱ에 녹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3-2. 불소 함량 시험결과
다음 표 4에서 보여지듯이 탄산칼슘은 불소화합물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으나, 인산삼칼슘은 단독으로 사용시 불소화합물과의 착염 형성으로 불소 함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용골이나 모려가 일정양 첨가된 시험군 G2 내지 G4에서는 불소의 함량 감소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인산삼칼슘의 일정 비율을 생약성분인 용골 또는 모려로 대체하였을 때 불소 화합물과의 착염 형성을 상당 부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소 함량 시험 결과
시험군 G1 G2 G3 G4 G5
함량(%) 74% 86% 85% 89% 99%
G1: BK-1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2: BK-2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3: BK-3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4: BK-4 처방의 치약을 적용한 시험군, G5: 영국 표준 치약 처방에 일불소인산나트륨을 첨가한 시험군
본 발명은 시린이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산삼칼슘을 생약성분인 용골과 적절히 혼합 사용함으로써 시린이현상 억제작용과 불소의 충치억제작용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토프로펜과 같은 소염제를 첨가함으로써 불소화합물 사용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잘못된 구강위생습관 또는 잇몸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염증이나 출혈 등의 현상을 경감시키고, 또한 과민성치아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민감성 치아, 잇몸의 염증이나 출혈 등의 증상을 경감 또는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치약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인산삼칼슘 1.0∼40.0 중량%, 용골 1.0∼20.0 중량%,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비프로펜, 메페나믹산, 에토돌락, 피록시캄, 디클로페낙소디움, 케토프로펜에서 선택되는 소염제 0.01∼10.0 중량%, 일불소인산나트륨 0.001∼0.76 중량% (불소로서 0.1% 이하), 라우릴황산나트륨 0.1∼20.0 중량%,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0.1∼15.0 중량%, 글리세린 0.1∼40.0 중량%, 소디움코코일이세치온산나트륨 0.1∼5.0 중량%,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에스텔나트륨, 삭카린나트륨 및 정제수를 적당량 함유하고 통상의 파스타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2. 제 1항 있어서, 용골은 치약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이고,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플루비프로펜, 메페나믹산, 에토돌락, 피록시캄, 디클로페낙소디움, 케토프로펜에서 선택되는 소염제는 0.5 내지 3.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골은 325 메쉬의 체를 통과한 고운 가루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KR10-2001-0019934A 2001-04-13 2001-04-13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KR100395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934A KR100395974B1 (ko) 2001-04-13 2001-04-13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934A KR100395974B1 (ko) 2001-04-13 2001-04-13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98A KR20020079198A (ko) 2002-10-19
KR100395974B1 true KR100395974B1 (ko) 2003-08-27

Family

ID=2770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934A KR100395974B1 (ko) 2001-04-13 2001-04-13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634A (ko) 2011-11-04 2013-05-14 (주)아모레퍼시픽 시린이 방지용 조성물 및 분사기
KR20170018591A (ko) 2015-08-10 2017-02-20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치아 시림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가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치아가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80B1 (ko) * 2017-05-12 2018-08-10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β-트리칼슘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498383A (zh) * 2018-05-28 2018-09-07 广东山石微量元素研究院(普通合伙) 一种含和田玉微量元素的漱口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435A (en) * 1976-08-16 1978-07-04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ilized dentrifice containing initially physically separated normally reactive components
JPS5852209A (ja) * 1981-09-19 1983-03-28 Lion Corp 歯磨組成物
JPH03218308A (ja) * 1989-11-17 1991-09-2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H0616526A (ja) * 1992-07-03 1994-01-25 Sumitomo Cement Co Ltd 抗菌性歯磨剤組成物
KR100263638B1 (ko) * 1997-11-29 2000-08-01 윤종용 모터의 온도제어 방법
KR101104118B1 (ko) * 2009-12-02 2012-01-13 정석길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435A (en) * 1976-08-16 1978-07-04 Colgate-Palmolive Company Stabilized dentrifice containing initially physically separated normally reactive components
JPS5852209A (ja) * 1981-09-19 1983-03-28 Lion Corp 歯磨組成物
JPH03218308A (ja) * 1989-11-17 1991-09-25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H0616526A (ja) * 1992-07-03 1994-01-25 Sumitomo Cement Co Ltd 抗菌性歯磨剤組成物
KR100263638B1 (ko) * 1997-11-29 2000-08-01 윤종용 모터의 온도제어 방법
KR101104118B1 (ko) * 2009-12-02 2012-01-13 정석길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9634A (ko) 2011-11-04 2013-05-14 (주)아모레퍼시픽 시린이 방지용 조성물 및 분사기
KR20170018591A (ko) 2015-08-10 2017-02-20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치아 시림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가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치아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98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52801B1 (en) Oral cavity care curative and prophylactic composition
Nathoo The chemistry and mechanisms of extrinsic and intrinsic discoloration
Al Habashneh et al. The effect of a triclosan/copolymer/fluoride toothpaste on plaque formation, gingivitis, and dentin hypersensitivity: A single-blinded randomized clinical study
JP2017510618A (ja) エナメル質の保護及び修復方法
Putt et al. Enhancement of plaque removal efficacy by tooth brushing with baking soda dentifrices: results of five clinical studies
EP1895996A1 (en) Formulation for prophylaxis of oral cavity diseases
US4915936A (en) Dental hygiene composition for reducing periodontal disease
US5158764A (en) Dentifrice
EP0486561B2 (en) Buccal composition containing s(+) ketoprofen
KR100395974B1 (ko) 민감성 치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약조성물
EP4044996A1 (en) Oral care composition
Ghassemi et al. A four-week clinical study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 baking soda dentifrice and an antimicrobial dentifrice in reducing plaque.
US1161771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care
JP2006160621A (ja) 皮膚用経口組成物
KR100704585B1 (ko) 치약 조성물
Kumar et al. Advanced materials for prevention of calculus formation on enamel: A review
Coessens et al. Plaque-inhibiting effect of bioadhesive mucosal tablets containing chlorhexidine in a 4-day plaque regrowth model
KR100482648B1 (ko) 구강 위생증진용 치약조성물
RU2068688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зубная паста &#34;фортуна&#34;
KR20050058069A (ko) 소프트 비드를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RU2188626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зубов и пародонта
Akande et al. A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a herbal dentifrice on dental caries in the rat
WO2021133191A1 (ru) Состав для реминерализации эмали зубов
KR20240030235A (ko) 하이드로 수소 치약
US20240130937A1 (en) Oral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