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609B1 -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패킷 교환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패킷 교환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609B1
KR100395609B1 KR10-2002-7004736A KR20027004736A KR100395609B1 KR 100395609 B1 KR100395609 B1 KR 100395609B1 KR 20027004736 A KR20027004736 A KR 20027004736A KR 100395609 B1 KR100395609 B1 KR 100395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group
user terminal
packet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608A (ko
Inventor
도이도쿠로
나카노마사토모
다무라모토시
니와데루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2004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04L2012/5624Path aspects, e.g. path bu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04L2012/5632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04L2012/5632Bandwidth allocation
    • H04L2012/5634In-call negot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ATM 전송로에 있어서, 대역 보증을 행하는 개별 VP내의 대역을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복수의 유저에서 다중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저 트래픽·유저용에 대역 보증을 행하지 않는 공유 VP를 존재시켜, 이하의 조건에 의해서, 공유 VP로부터 개별 VP 또는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할 수 있다.
(1) 개별 VP에서 통신 중에, 일정 시간마다 유저·트래픽량을 감시하고, 어느 문턱값을 하회한 경우,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한다.
(2) 공유 VP에서 통신 중에, 일정 시간마다 유저·트래픽량을 감시하여, 어느 문턱값을 넘는 경우,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 전환한다.
(3) (2)의 조건에 더하여, 공유 VP 내의 대역에 부족이 생긴 경우에 높은 트래픽·유저 단말을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 전환한다.

Description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PACKET DATA BAND CONTROL METHOD IN PACKET EXCHANGE NETWORK AND PACKET EXCHANG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망에서의 패킷 전송 기술은,
[1] 공통 패스 다중 통신 방법,
[2] 개별 패스 통신 방법
의 2 종류의 패킷 통신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공통 패스 다중 통신 방법은, 패킷 교환 노드간에 복수의 패킷·유저에 공통의 전송 링크를 미리 설정해 두고, 각 유저의 패킷을 유저 개별의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여 공통 링크 내에 다중하고, 노드 사이를 전송시킨다. 다음에 수신 노드에서는, 공통 링크로부터 패킷을 꺼내어, 각 유저 개별의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그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출력 전송로의 공통 링크에 다시 다중하여 보냄으로써, 순차로 유저·패킷이 목적 노드로 보내져, 최종적으로, 목적 상대방 단말에 도달한다.
공통 패스 다중 통신 방법의 예로서는, 일반적으로 패킷 교환이나 프레임·릴레이와 같이, 어떤 대역량을 지닌 물리 링크 내에 유저·패킷을 다중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 모드) 전송에서는 어느 대역을 지닌 VP(Virtual Path) 링크나 또는 AAL(ATM Adaptation Layer: ATM 어댑테이션 층) 형태 2와 같이 VC(Virtual Channel) 링크 내의 유저·패킷을 다중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통상, 공통 링크로의 다중부에서는 대역 보증을 행하지 않고 FIFO를 이용한다.
개별 패스 통신 방법은, 패킷 교환 노드간에 각각의 패킷·유저에 개별로 대역 보증된 전송 링크를 설정하고 루팅하여 가는 방법이다.
각 패킷 교환 노드에서는, 각 유저용으로 노드간에 개별로 설정된 링크를 연결하도록 교환 처리를 행함으로써, 목적의 상대방 단말에 도달한다.
개별 패스 통신 방법의 예로서는, 주로 STM(Synchronous Transfer Mode: 동기 전송 모드) 전송이나 대역 보증형의 ATM 전송을 이용한 패킷 통신을 들 수 있다.
상기 2개의 패킷 통신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면, 공통 패스 다중 통신 방법의 이점은, 복수의 유저가, 어떤 일정의 공통 패킷·링크의 대역을 통계 다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송 효율이 좋다는 점이다. 그러나, 동일 공통 패킷·링크에 다중되는, 다른 유저·패킷의 통신 상황에 의해, 개개의 유저 패킷 통신 속도가 제약되므로, 베스트·에포트형 서비스(best-efforts services)만을 제공할 수 있다.
개별 패스 통신 방법은 공통 패스 다중 통신 방법과 정반대이고, 각 유저에 개별 패킷·링크가 주어지므로, 개개의 유저의 통신 대역을 보증함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단 그 경우에는, 개개의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다른 유저가 사용할 수 없으므로, 특히 가변 속도 통신의 경우에, 개개의 유저에 최대 대역에서 리소스를 나누어 준 경우에는 분할 손해가 생기어, 전송 효율이 나빠지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통 패스 다중 통신 방법에서는, 동일 공통 패킷·링크에 다중하므로, 다른 유저·패킷의 통신 상황에 의해서 개개의 유저의 패킷 통신 속도가 제약을 받았다. 또한, 종래의 개별 패스 통신 방법에서는, 개개의 유저의 통신 대역을 보증하지만, 어느 유저에게 할당된 리소스를 다른 유저가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전송 효율이 나빠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 대역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과 대역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을 전환함으로써, 유저에게 주어지는 대역을 보증하면서, 또 효율 좋은 망 내 전송로를 운용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발명은,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교환망에서, 해당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커넥션을 전환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의 상기 패킷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는 감시 단계와,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 커넥션을,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에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과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 사이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 교환망은 ATM 교환망이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은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에 설정된 커넥션이고, 상기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에 설정된 커넥션이고, 상기 감시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ATM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 사이에서,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 단계는,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커넥션이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인 경우, 상기 측정 단계에 의해 얻은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1 소정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1 소정 문턱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부터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고, 상기 사용하는 커넥션이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인 경우, 상기 측정 단계에서 얻은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2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2 소정의 문턱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하는 지시를 하는 단계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 단계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통신 중인 유저의 총 트래픽량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가용 용량을 측정하는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단계에 의해 조사한 결과,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의 대역에 압박이 생긴 경우에는, 공유 VP내에서 비교적 트래픽이 많은 유저의 커넥션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ATM 교환망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과 해당기지국에 접속한 교환국과 해당 교환국에 접속한 관문국과 해당 관문국에 접속하는 다른 망측의 단말 장치를 갖는 이동망이고,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에서 발호하는 경우,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재권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교환국을 거쳐서 관문국 사이에서,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커넥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이 착호하는 경우, 해당 유저 단말 장치의 위치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한 유저 단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관문국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 사이에서,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커넥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재권 기지국이 변경한 경우에 새로이 측정을 개시하는 단계일 수도 있다.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에서 발호하는 경우 또는 다른 ATM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발명은,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교환망에서, 해당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커넥션을 전환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의 상기 패킷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 커넥션을,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과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 사이에서 전환하는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킷 교환망은 ATM 교환망이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은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이고, 상기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이고,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ATM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를 처리하는 패킷 교환 수단에 있어서, 상기 통신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 사이에서 전환하는 패킷 교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VP 또는 VC군의 종별을 해당 유저 단말 장치마다 갖는 상태 관리 수단과, 상기 상태 관리 수단이 지니고 있는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의 종별이 개별 VP 또는 개별 VC군인 경우,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1의 소정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1 소정 문턱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의 설정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부터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고, 상기 상태 관리 수단이 지니고 있는 커넥션의 종별이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인 경우,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2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2 소정의 문턱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의 설정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통신 중인 유저의 총 트래픽량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가용 용량을 측정하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상기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수단에 의해 조사한 결과,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에 압박이 생긴 경우에는, 공유 VP내에서 비교적 트래픽이 많은 유저의 커넥션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TM 교환망과 다른 ATM 교환망을 접속하고, 해당 ATM 교환망의 유저 단말 장치를 해당하는 다른 ATM 교환망으로부터 보내온 패킷·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관문국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위치 등록을 하는 서비스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해당 서비스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위치에 의해,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과 상기 ATM 교환망 내의 상기 관문국 사이에서 커넥션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수단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재권 기지국이 변경된 경우에 새로이 측정을 개시하는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에서 발호하는 경우 또는 다른 ATM교환망으로부터 착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고정 패킷 교환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이동 패킷 교환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이동 패킷 통신망에서의 전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패킷망이 고정망인 경우와 이동망인 경우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형태 1(고정망인 경우)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고정망인 경우의 ATM 교환망에서의 망 내 채널 제어 절차에 대해서, 망 구성, 통신 설정 및 전환 방법의 순서로 설명한다.
(망 구성)
도 1은, 고정 패킷 교환망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패킷 교환부(210, 220) 등은, 유저 단말(205)로부터의 패킷·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고, ATM 교환망(290, 295)에 이용되는 ATM 전송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 패킷 교환부(210, 220) 등의 기능의 일부로서 패킷·데이터량을 특정하는 트래픽 측정부(250, 260) 등의 기능과, 개별/공유 VP 전환부의 기능(후술함)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술한 패킷·데이터량의 단위에 관해서는, 단위 시간당 유저·패킷·데이터량 등의 정상적으로 트래픽을 측정할 수 있는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지시부(270)는, 패킷 교환부(210, 220) 등으로부터의 결과와, 상태 관리부(280)에 존재하는 유저의 상태의 비교에 의해서 사용하는 VP의 판정·지시기능을 갖는다. 사용하는 VP에는, ATM 전송로에 있어서 대역 보증을 행하는 개별 VP와 대역 보증을 하지 않는 공유 VP가 있고, 조건에 의해서 유저마다 공유 VP로부터 개별 VP 또는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할 수 있다. 유저마다 어느 VP를 현재 사용 중인가는 상태 관리부(280)에 기록되어 있다.
지시부(270)는, 각 패킷 교환부(210, 220) 등에 대해서 유저마다의 트래픽량 측정 및 사용하는 VP 종별의 지시를 행하여, 지시부(270)의 일부인 시간 계측부(275)에 대해서는 타이머의 스타트 및 리세트의 지시를 행하고, 상태 관리부(280)에 대해서는 유저 상태의 문의 및 변경 기입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태 관리부(280)는, 각 유저마다 사용되고 있는 VC, VP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지시부(270)의 지시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의 로드 및 갱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 설정)
망 내에서 사용하는 통신 설정 절차에 대해서는, 미리 유저가 통신 설정을 완료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통신 설정 단계에서 초기값으로서 사용하는 VP 종별은, 미리 설정해 둘 필요가 있고, 망 내 트래픽의 특징 또는 유저·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을 포착하여, 초기값으로서의 개별/공유 VP를 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초기에 사용하는 VP 종별을 공유 VP로 한다.
(통신 중에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의 전환)
통신 중에 지시부(270)는 시간 측정부(275)로부터 타이머 만료의 지시에 의해, 패킷 교환부(210, 220) 등에 속하는 트래픽 측정부(250, 260) 등에 대해서 유저·패킷·트래픽의 측정의 지시를 준다. 트래픽 측정부(250, 260) 등은 측정 결과를 지시부(270)에 돌려준다. 지시부(270)는 상태 관리부(280)에 대해서 유저의 상태를 문의한다.
유저 사용 VP가 개별 VP인 때에, 트래픽 결과와 유저 상태를 비교하여, 유저가 개별 VP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이 문턱값을 하회한 경우, 사용하는 VP를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변경한다.
공유 VP를 이용할 때에는, 1 VP 내에 복수 유저의 ATM 패킷을 송수신하므로, 그 전송 커넥션의 식별은 VC에서 한다. 또 공유 VP의 특수 형태로서 AAL 형태 2와 같이 1 VC 내에 복수 유저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경우는, 전송 커넥션의 식별에 유저 개별의 ID(CID: 콤포지트·유저 ID)에서 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개별 VP에서 사용하고 있던 전송 커넥션의 식별자 VCd(dedicated VC)와, 공유 VP로 전환된 때에 사용하는 전송 커넥션 식별자 VCm(multiplexing VC) 또는 AAL 형태 2 등을 이용한 경우의 유저 식별자 CID와의 전환은, 어떤 변환 로직 또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행한다.
가장 단순한 예로서는, 개별 VP에서도 공유 VP에서도 VCd와 VCm(또는 CID)의 값은 동일하게 하여 두면, VP의 값의 전환(형태 2로의 전환 시에는 형태 2용 등의 VC를 추가하여, VCd를 CID에 적용한다) 만으로,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할 수 잇다.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도 마찬가지이다.
(통신 중의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
통신 중에 지시부(270)는 시간 측정부(275)로부터의 타이머 만료의 지시에 의해, 패킷 교환부(210, 220) 등에 속하는 트래픽 측정부(250, 260) 등에 대해서 유저·패킷·트래픽의 측정을 지시한다. 트래픽 측정부(250, 260) 등은 측정 결과를 지시부(270)에 돌려준다. 지시부(270)는 상태 관리부(280)에 대해서 유저의 상태를 문의한다.
유저 사용 VP가 공유 VP인 때에, 트래픽 결과와 유저 상태를 비교하여, 유저가 공유 VP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이 문턱값 이상이 된 경우, 사용하는 VP를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 변경한다.
또한,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 트리거로서, 공유 VP내에 통신 중 유저의 트래픽량의 증가에 의한 공유 VP의 대역의 압박이 생긴 것을 이용할 수가 있고, 이 경우 공유 VP 가운데에서 보다 많은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2(이동망의 경우)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이동망인 경우의 ATM 교환망에서의 망 내 채널 제어 절차에 대해서, 망 구성, 통신 설정 및 전환 방법의 순서로 설명한다.
(망 구성)
도 2는 이동 패킷 통신망을 나타낸다. 도 2의 이동 패킷 통신망은 도 1의 고정 패킷 교환망과는 달리, 유저의 위치 등록을 행하는 기능(이것에는 수신 대기 상태만이 아니라, 통신 중의 통신 경로의 변경에 따른 위치 등록도 포함된다)을 갖고, 서비스 제어 장치(Service Control Point: SCP)(397)가 부가된다. 또한, 이동 패킷 통신망 외에서부터 수신되는 다른 IP 패킷과, 이동 패킷 통신망 내에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이동기(예를 들어 이동기(305))의 번호의 산출부(NIM)(393)도 부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이 서비스 제어 장치(397)에,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한 상태 관리부(280)와 같은 기능을 갖는 상태 관리부(396)를 포함한다.
(초기 통신 설정과 이동측 발호)
이동국(309)은, 재권 기지국(Base Station: BS)(312)을 통해서 교환국(MSC)(317)에 대해서 패킷 통신 개시 요구 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이동국(309)은, 유저 단말(301), 어댑터(303) 및 이동기(305)를 갖는다. MSC(317)에서 수신한 신호에 의해, 착신 목적지를 분석·판정하고, 상대방에 접속되어 있는 관문국(PGW)(322)까지의 패스를 설정한다. 착신 목적지의 분석·판정은, MSC(317)에 있어서 분석을 위한 장소 데이터를 지님으로써 해결하여도 되고, 또는 그 장소 데이터를 SCP(397)에 설치해 두어, MSC(317)이 SCP(397)에 문의하는 형태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 준비하는 ATM 망에서의 VP 종별은, 초기값으로서 구성되는 망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BS(312)∼MSC(317)간에서의 전송 대역은 적으므로, VP 자원을 보다 절약하고 싶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공유 VP를 초기 설정으로서 채용한다. 반대로, 유저에 대한 트래픽 압박을 주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별 VP를 초기로서 채용하는 것이 좋다.
(초기 통신 설정과 이동국 착호)
이동국(309)이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BS(312)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출되는 페이징·채널을 감시하여, 수신 상태가 가장 좋은 BS(312)가 속하는 로케이션·에어리어를 인식한다. 이동국(309)은 새로운 로케이션·에어리어에 들어갈 때에 SCP(397)에 재권 BS(312), MSC(317)을 통해서 위치 등록 요구를 송출한다.
관문국(322)으로부터 통신 개시 요구 신호를 수신한 때에는, 관문국(322)에 있어서 수신한 패킷·어드레스로부터 이동기(305)의 번호를 산출하여, SCP(397)에 대해서 이동국(309)이 속하는 로케이션·에어리어를 문의한다. 그 결과, MSC(317), BS(312)을 통해서 이동국(309)의 호출을 행할 수 있다.
ATM 교환망(390, 395)내에서 이용되는 VP 종별은, 초기값으로서 구성되는 망의 특징을 포착한 것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BS(312)∼MSC(317)간에서의 전송 대역은 적으므로, VP 자원을 보다 절약하고 싶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공유 VP를 초기 설정으로서 채용한다. 반대로, 유저에 대한 트래픽 압박을 주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별 VP를 초기 설정으로서 채용하면 좋다.
(통신 중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의 전환)
통신 중에 지시부(370)는 시간 계측부(375)로부터의 타이머 만료의 지시에 의해, 패킷 교환부(310, 315, 320) 등에 속하는 트래픽 측정부(350, 355, 360) 등의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해서 유저·패킷·트래픽 측정을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트래픽 측정부(350, 355, 360) 등은 측정 결과를 지시부(370)로 돌려보낸다. 지시부(370)는 상태 관리부(396)에 대해서 유저의 상태를 문의한다. 이동국(309)의이동에 의해 재권 BS(312)가 변경된 경우, 이행 목적지의 새로운 패스에서의 트래픽 상황에 의해 VP의 전환을 판단할 필요가 있으므로, 사용하는 ATM 망(390)에서의 패스의 변경을 트리거로서, 트래픽 측정의 요구를 송출하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것은 구성되는 망에 의존한다.
유저 사용 VP가 개별 VP인 때에, 트래픽 결과와 유저 상태를 비교하여, 유저가 개별 VP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 사용하는 VP를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변경한다.
공유 VP를 이용할 때에는, 1 VP내에 복수 유저의 ATM 패킷을 송수신하므로, 그 전송 커넥션의 식별은 VC에서 행한다. 또 공유 VP의 특수 형태로서 AAL 형태 2와 같이 1 VC내에 복수 유저의 패킷을 송수신하는 경우는, 전송 커넥션의 식별에 유저 개별의 ID(CID: 콤포지트·유저 ID)로 행하는 것도 고려된다. 개별 VP에서 사용하고 있던 전송 커넥션의 식별자 VCd(dedicated VC)와, 공유 VP에 의해 전환된 때에 사용하는 전송 커넥션의 식별자 VCm(multiplexing VC) 또는 AAL 형태 2 등을 이용한 경우의 유저 식별자 CID의 전환은, 어떤 변환 로직 또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행한다. 가장 단순한 예로서는, 개별 VP에서도 공유 VP에서도 VCd와 VCm(또는 CID)의 값은 동일하게 해두면, VP 값의 전환(형태 2로의 전환 시에는 형태 2용 등의 VC를 추가하고, VCd를 CID에 적용한다)만으로,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할 수 있다.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도 마찬가지이다.
(통신 중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
통신 중에 지시부(370)는 시간 계측부(375)로부터의 타이머 만료 지시에 의해, 패킷 교환부(310, 315, 320) 등에 속하는 트래픽 측정부(350, 355, 360) 등의 적어도 1개에 대해 유저·패킷·트래픽의 측정 지시를 한다. 지시를 받은 트래픽 측정부(350, 355, 360) 등은 측정 결과를 지시부(370)에 돌려준다. 지시부(370)는 상태 관리부(396)에 대해서 유저의 상태를 문의한다. 이동국(309)의 이동에 의해 재권 BS(312)가 변경된 경우의 사용하는 ATM 교환망(390)에서의 패스의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트래픽 측정의 요구를 송출하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것은 구성되는 망에 의존한다.
유저 사용 VP가 공유 VP인 때에, 트래픽 결과와 유저 상태를 비교하여, 유저가 공유 VP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래픽이 문턱값을 넘는 경우, 사용하는 VP를 공유 VP에서 개별 VP로 변경한다.
또,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의 전환 트리거로서, 공유 VP내에 통신 중 유저의 트래픽량의 증가에 의한 공유 VP의 대역 압박이 생긴 때에, 공유 VP 중에서 보다 많은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로부터 개별 VP로 전환된다.
도 3은, 상술한 실시 형태 2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유저 호(乎)의 요구가 있으면(S10), 먼저 공유 VP내의 VC를 할당한다(S20). 즉, 통신 상태는 대역 공유형이 된다(S30). 여기서, 어느 일정 기간이 지나서, 타이머가 만료되면(S40), 트래픽량의 감시가 행해져(S50), 트래픽량<문턱값이면 단계(S40)로 돌아와 다시 한번 타이머 만료를 기다리지만, 트래픽량>문턱값이 되면, 개별 VP내의 VC를 할당한다(S60). 즉, 통신 상태는 대역 보증형이 된다(S80). 또한, 타이머 만료와는 별개로, 공유 VP내의 대역 압박을 트리거로, 특정유저를 개별 VP로 격하시켜도 된다(S70). 여기서, 어느 일정 기간이 지나서, 타이머가 만료되면(S90), 트래픽량의 감시가 행해져(S100), 트래픽량>문턱값이면 단계(S90)로 돌아가서 다시 타이머 만료를 기다리지만, 트래픽량<문턱값이 되면, 공유 VP내의 VC를 할당한다(S20). 단계(S50)에 있어서, 트래픽량=문턱값인 경우는 단계(S40)로 돌아가 기다리는 것도, 단계(S60)로 천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단계(S100)에 있어서, 트래픽량=문턱값인 경우는 단계(S90)로 돌아가서 기다리는 것도, 단계(S20)로 천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계(S50)에서의 개별 VP로의 이행의 문턱값 A에 대해 단계(S100)에서의 공유 VP로의 이행 문턱값 B를 낮추어, 전환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ATM 전송로에 있어서, 대역 보증을 행하는 개별 VP내의 대역을 일정 트래픽량 이상의 복수의 유저에게 다중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 트래픽·유저용으로 대역 보증을 행하지 않는 공유 VP를 존재시켜, 이하의 조건에 의해서, 공유 VP로부터 개별 VP 또는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할 수 있다.
(1) 개별 VP에서 통신 중에, 일정 시간마다 유저·트래픽량을 감시하여, 어느 문턱값을 하회한 경우, 개별 VP로부터 공유 VP로 전환한다.
(2) 공유 VP에서 통신 중에, 일정 시간마다 유저·트래픽량을 감시하여, 어느 문턱값을 넘는 경우,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 전환한다.
(3) (2)의 조건에 더하여, 공유 VP내의 대역에 부족이 생긴 경우에 높은 트래픽·유저를 공유 VP로부터 개별 VP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공유 VP내의 저 트래픽·유저에게 실효적인 대역 보증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 2의 도 2에 있어서, 시간 계측부(375), 지시부(370)는 교환국(MSC)(317)에 배치되어 있도록 나타내었으나, 서비스 제어 장치(SCP)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의 지시부(270, 370), 시간 계측부(275, 375), 상태 관리부(280, 396)는, 각 트래픽 측정부(250, 260, 350, 355, 360)에 분산 배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각 트래픽 측정부가 독립하여 타이머 관리, 측정 관리, 상태 관리를 행하여, 개별 VP, 공유 VP의 전환을 판단한 경우에는, 각 노드의 커넥션 관리부와 통신을 행하여, 유저마다 노드간의 사용 VP의 의식적으로 맞춰본다.
각 실시 형태의 트래픽 측정부(250, 260, 350, 355, 360)는, 커넥션을 설정하는 각 링크 단위로, 상하 커넥션별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노드간의 링크에 의해서, 설정되는 공유 VP의 대역이나, 공유 VP내에 다중되는 유저가 다르므로, 링크마다 공유 VP의 핍박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 유저가 상하 비대칭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하 커넥션에서 트래픽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각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공유/개별의 대역은, VP만이 아니라 VP내를 몇 개인가 다른 대역으로 나누어, 그 하나를 대역 보증하는 VC군(개별 VC군)으로 하고, 어느 하나를 대역 보증을 행하지 않는 VC군(공유 VC군)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유/개별 대역 제어는 이 VC군을 대상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 의하면, 대역 보증을 하는 전송 커넥션과 대역 공유를 하는 전송 커넥션의 2 루트를 유저·트래픽에 의해서 통신 중에 전환함으로써, 트래픽량에 따라서, 유저에게 적절한 대역을 줄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망 내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교환망에서, 해당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커넥션을 전환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패킷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는 감시 단계와;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전송 커넥션을,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과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망은 ATM 교환망이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은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에 설정된 커넥션이고, 상기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에 설정된 커넥션이고,
    상기 감시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ATM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와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와의 사이에서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전환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계는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커넥션이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인 경우, 상기 측정 단계에 의해 얻은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1 소정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1 소정의 문턱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부터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고,
    상기 사용하는 커넥션이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인 경우, 상기 측정 단계에 의해 얻은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2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2 소정의 문턱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하는 지시를 하는 단계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계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통신 중인 유저의 총 트래픽량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가용 용량을 측정하는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환 단계는 상기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단계에 의해 조사한 결과,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의 대역에 압박이 생긴 경우에는, 공유 VP내에서 비교적 트래픽이 많은 유저의 커넥션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TM 교환망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과 해당 기지국에 접속한 교환국과 해당 교환국에 접속한 관문국과 해당 관문국에 접속하는 다른 망측의 단말 장치를 갖는 이동망이고,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에서 발호하는 경우,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재권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교환국을 거쳐서 관문국 사이에서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커넥션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이 착호하는 경우, 해당 유저 단말 장치의 위치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한 유저 단말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관문국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 사이에서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커넥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재권 기지국이 변경된 경우에 새로이 측정을 개시하는 단계인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에서 발호하는 경우 또는 다른 ATM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를 사용하는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7.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킷 교환망에서, 해당 패킷·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커넥션을 전환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패킷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전송 커넥션을,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과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망은 ATM 교환망이고,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유저 단말 장치마다 통신 대역의 보증을 행하는 전송 커넥션은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이고, 상기 보증을 행하지 않는 전송 커넥션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이고,
    상기 패킷 교환망 시스템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상기 ATM 교환망에서의 통신 트래픽량을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를 처리하는 패킷 교환 수단 - 여기서, 상기 패킥 교혼 수단은 상기 통신 트래픽량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 사이에서 전환함 - 을 더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패킷·데이터의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VP 또는 VC군의 종별을 해당 유저 단말 장치마다 갖는 상태 관리 수단과;
    상기 상태 관리 수단이 지니고 있는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의 종별이 개별 VP 또는 개별 VC군인 경우,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1의 소정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1 소정의 문턱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의 설정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부터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고, 상기 상태 관리 수단이 지니고 있는 커넥션의 종별이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인 경우, 상기 통신 트래픽량과 제2 소정의 문턱값을 비교하여 상기 통신 트래픽량이 제2 소정의 문턱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의 설정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지시를 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커넥션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통신중인 유저의 총 트래픽량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가용 용량을 측정하는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상기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 대역 감시 수단에 의해 조사한 결과, 공유 VP 또는 공유 VC군의 대역에 압박이 생긴 경우에는, 공유 VP내에서 비교적 트래픽이 많은 유저의 커넥션을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부터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로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TM 교환망은 이동망이고,
    상기 ATM 교환망과 다른 ATM 교환망을 접속하고, 해당 ATM 교환망의 유저 단말 장치를 해당하는 다른 ATM 교환망으로부터 보내온 패킷·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관문국과;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위치 등록을 하는 서비스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해당 서비스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위치에 의해 상기 유저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기지국과 상기 ATM 교환망 내의 상기 관문국 사이에서 커넥션을 개별 VP내 또는 개별 VC군내의 VC 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로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수단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의 이동에 의해 상기 재권 기지국이 변경된 경우에 새로이 측정을 개시하는 수단인
    패킷 교환망 시스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수단은 상기 유저 단말 장치 측에서 발호하는 경우 또는 다른 ATM 교환망으로부터 착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공유 VP내 또는 공유 VC군내의 VC를 사용하는
    패킷 교환망 시스템.
KR10-2002-7004736A 1997-10-30 1998-10-30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패킷 교환망 시스템 KR100395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922097A JP3471588B2 (ja) 1997-10-30 1997-10-30 パケット交換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の帯域制御方法およびパケット交換網システム
JPJP-P-1997-00299220 1997-10-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922A Division KR100421200B1 (ko) 1997-10-30 1998-10-30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608A KR20020045608A (ko) 2002-06-19
KR100395609B1 true KR100395609B1 (ko) 2003-08-25

Family

ID=178697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736A KR100395609B1 (ko) 1997-10-30 1998-10-30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패킷 교환망 시스템
KR10-1999-7005922A KR100421200B1 (ko) 1997-10-30 1998-10-30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922A KR100421200B1 (ko) 1997-10-30 1998-10-30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 패킷 교환망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97370B1 (ko)
EP (1) EP0967755B1 (ko)
JP (1) JP3471588B2 (ko)
KR (2) KR100395609B1 (ko)
CN (1) CN1120597C (ko)
CA (1) CA2276417C (ko)
DE (1) DE69834905T8 (ko)
WO (1) WO1999023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765B2 (ja) 1999-07-09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方法及びシステム
US7120934B2 (en) * 2000-03-30 2006-10-10 Ishikawa Mark M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dentifying and responding to fraudulent requests on a network
EP1244256A3 (de) * 2001-03-21 2004-03-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ynamischen Regelung der Ressourcenaufteilung in einem Kommunikationsnetz
JP3779673B2 (ja) 2002-10-30 2006-05-31 株式会社東芝 中継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1516045B (zh) * 2003-02-03 2011-07-27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信息传送网络系统、分组交换机以及分组线路交换机
JP4069818B2 (ja) * 2003-07-17 2008-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帯域監視方法及び帯域監視機能を備えたパケット転送装置
DE102005053686B3 (de) * 2005-11-10 2007-05-31 Musictrac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Datensenders
JP2008098798A (ja) * 2006-10-10 2008-04-24 Nec Corp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状況判定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11114632A (ja) * 2009-11-27 2011-06-09 Hitachi Ltd 帯域制御システム、負荷分散装置及び帯域制御装置
KR20130017058A (ko) * 2011-08-09 201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hec 연결 방법
CN111599228A (zh) * 2020-04-29 2020-08-28 滨州学院 一种在线教育培训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837A (ja) * 1990-11-26 1992-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Atmセル速度調整方式
JP3278865B2 (ja) * 1991-06-28 2002-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ラヒック制御方法
JPH05304541A (ja) 1992-04-27 1993-11-16 Fujitsu Ltd 端末装置
JP2987258B2 (ja) * 1992-07-13 1999-12-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非同期転送モード通信網におけるトラヒック監視方式
KR960002684B1 (ko) * 1992-12-29 1996-02-24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비동기 전달 모드(atm)망에서 평균 셀 전송 속도를 감시하는 사용 파라미터 제어 장치 및 방법
WO1995003657A1 (fr) * 1993-07-21 1995-02-02 Fujitsu Limited Central mta
JPH07154397A (ja) * 1993-11-26 1995-06-16 Nec Corp セル廃棄低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60004709B1 (ko) * 1993-11-30 1996-04-12 한국전기통신공사 비동기 전송모드(atm)망에서 공용 대역을 이용한 전송 대역 할당 및 관리 방법
EP0690596B1 (en) * 1994-06-28 2002-05-15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he transmission of cells of guaranteed-bandwidth virtual channels
JP2625388B2 (ja) 1994-08-24 1997-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間接続装置
KR970002749B1 (ko) * 1994-11-23 1997-03-10 양승택 적응제어 대역관리 방법
JP3155164B2 (ja) * 1995-03-09 2001-04-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マルチクラス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交換機およびデータ端末
JP3327315B2 (ja) * 1995-07-25 2002-09-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Atm通信網
EP0839420A4 (en) 1995-07-19 2001-07-18 Fujitsu Network Communications ASSIGNED AND DYNAMIC BANDWIDTH MANAGEMENT
JPH1028123A (ja) 1996-07-11 1998-01-27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のデータ通信方式
US5982748A (en) * 1996-10-03 1999-11-0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dmission of connection requests
US6097722A (en) * 1996-12-13 2000-08-01 Nortel Networks Corporation Bandwidth management processes and systems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networks using variable virtual paths
US6148001A (en) * 1997-06-12 2000-11-14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ultipoint-to-point system which multiplexes complete packets comprised of ATM cells on to a single virtual channel connection
US6075772A (en) * 1997-08-29 2000-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data flow for guaranteed bandwidth connections on a per connection basis
US6141329A (en) * 1997-12-03 2000-10-31 Natural Microsystems, Corporation Dual-channel real-tim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200B1 (ko) 2004-03-04
EP0967755A4 (en) 2003-06-18
CA2276417C (en) 2003-10-21
KR20000069783A (ko) 2000-11-25
CN1120597C (zh) 2003-09-03
CA2276417A1 (en) 1999-05-14
JPH11136255A (ja) 1999-05-21
CN1244985A (zh) 2000-02-16
EP0967755A1 (en) 1999-12-29
DE69834905T8 (de) 2007-12-13
EP0967755B1 (en) 2006-06-14
WO1999023788A1 (fr) 1999-05-14
KR20020045608A (ko) 2002-06-19
US6697370B1 (en) 2004-02-24
DE69834905T2 (de) 2007-05-24
DE69834905D1 (de) 2006-07-27
JP3471588B2 (ja) 200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7417B1 (en) Management of packet switched connec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100429182B1 (ko) 비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및이동통신패킷데이터서비스제공방법
US5659544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in wireless cellular and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JP3529621B2 (ja) ルータ装置、データグラム転送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FI102713B (fi) Menetelmä radioyhteyden muodostamiseksi osana ATM-verkkoa
US7656830B2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enhanced fault tolerance
JP2000295276A (ja) 通信制御システム
JP2000115200A (ja) Atmネットワ―クにおいて呼設定レ―トを減らす方法および装置
KR100395609B1 (ko) 패킷 교환망에서의 패킷·데이터의 대역 제어 방법 및패킷 교환망 시스템
US20030112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dia gateways that interconnect disparate networks
KR100804289B1 (ko) 통신 스위칭 시스템에서 세션들을 설정 또는 수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네트워크 노드
EP0976268A2 (en) Path optimization for avoiding loops in a packet-based telecommunication network
US6563811B2 (en) Routing decision in connection-oriented packet network
KR20000058768A (ko) 범용스위치제어 기술을 적용한 개방형 통신 시스템
US6282211B1 (en) Packet multiplexer with automatic communication path optimization based on loop detection
CA2274395C (en) Packet multiplexer with automatic communication path optimization based on loop detection
KR100418872B1 (ko) 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구현방법
KR20020084517A (ko) 비동기 전송 모드 적응 계층 2 프로토콜을 이용한 목적지그룹핑에 의한 자원할당 방법
KR20040054120A (ko) 비동기 전송 모드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위치가상 연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