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702B1 -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02B1
KR100394702B1 KR10-2002-0053175A KR20020053175A KR100394702B1 KR 100394702 B1 KR100394702 B1 KR 100394702B1 KR 20020053175 A KR20020053175 A KR 20020053175A KR 100394702 B1 KR100394702 B1 KR 100394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er
tractor
vertical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574A (ko
Inventor
진랑규
Original Assignee
진랑규
윤옥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랑규, 윤옥분 filed Critical 진랑규
Priority to KR10-2002-005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7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76Graders, bulldozers, or the like with scraper plates or ploughshare-like elements; Levelling scarifying devices
    • E02F3/7636Graders with the scraper blade mounted under the tractor chassis
    • E02F3/764Graders with the scraper blade mounted under the tractor chassis with the scraper blade being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627Devices to connect beams or arms to tractors or similar self-propelled machines, e.g. driv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되, 후방에 연결설치하므로써 전진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 전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전용 연결체를 구성하므로써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수시로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부에서 가로부재(111)들과 세로부재(112)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110), 그리고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121)들과 세로부재(122)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120)을 형성한 후, 상기한 수평 프레임(110)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113)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115)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114)을 구비하여 트랙터(130)의 좌, 우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120)은 그 중단에 종간부재(123)를 형성하여 그레이더 좌, 우 회동용 유압실린더(142)의 로드(143)를 연결할 수 있도록하고, 그 하단에서 내측으로 센터 연결부재(125)를 구비하여 그레이더(140)의 중앙 힌지부(14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GRADER CONNECTING STRUCTURE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트랙터의 후방에 그레이더를 설치하여 사용하되, 제설작업이나 땅고르기 작업을 할 때 그레이더를 앞세우고 전진하는 것이 아니라 끌면서 전진하여 사용효과가 우수하도록 개량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 그레이더라 하면, 땅을 깎거나 고르는 블레이드(blade:날)와 땅을 파 일구는 스캐리파이어(scarifier)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2∼4km/h로 주행하면서 작업한다.
예컨대, 도로공사 때는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토공작업의 마무리로서의 땅고르기, 측구(側溝)의 굴착, 노반(路盤)이나 경사면을 형성하는 작업을 한다. 또한 기성도로의 노반을 파 일구거나 깎아내리는 작업 등에는 스캐리파이어를 사용한다.
특히 자갈길을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그레이더가 필요하다. 자갈길은 노면을 고르게 하고 배수가 잘되도록 해야 하므로, 매월 몇 번씩 노면정형(路面整形)을 위하여 그레이더를 사용한다.
이 밖에 그레이더는 제설작업에도 사용된다. 적설량이 30cm까지의 처음 내린 눈에는 블레이드로 제설을 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일 때에는 그레이더에 플라우(plough:제설용 쟁기)를 단다. 시일이 지나 굳어 버린 눈은 스캐리파이어로먼저 파쇄(波碎)한 다음에 블레이드로 제설한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그레이더를 약식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트랙터의 전방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트랙터용 그레이더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트랙터용 그레이더들은 일부 개량된 형태이기 때문에 온전한 모터 그레이더와 달리 연결구조에 문제가 있으며, 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완충장치가 미흡하기 때문에 땅고르기를 하는 도중에 지면으로 일부가 노출된 돌뿌리에 블레이드가 걸릴 경우, 그 충격이 메인 프레임을 통해 차체 전체에 전달되므로 잦은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연결 및 설치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되는 트랙터에서의 신속한 분해 조립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되, 후방에 연결설치하므로써 전진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 전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전용 연결체를 구성하므로써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연결하는데 있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부에서 가로부재들과 세로부재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 그리고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들과 세로부재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을 형성한 후, 상기한 수평 프레임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을 구비하여 트랙터의 좌, 우 체결편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은 그 중단에 종간부재를 형성하여 그레이더 좌, 우 회동용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연결할 수 있도록하고, 그 하단에서 내측으로 센터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그레이더의 중앙 힌지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와 그레이더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수평 프레임 111 : 가로부재
112 : 세로부재 113 : 수직단부
114 : 수직봉 115 : 연결핀
120 : 수직 프레임 121 : 가로부재
122 : 세로부재 123 : 종간부재
124 : 로드 연결편 125 : 센터 연결부재
130 : 트랙터 131 : 메인 실린더
132 : 로드 133 : 체결편
140 : 그레이더 141 : 중앙 힌지부
142 : 회동용 유압실린더 143 : 로드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수평 프레임(110)과 수직 프레임(120)으로 이루어 진다.
수평 프레임(110)은 트랙터(130)의 후방에 직접 연결하되, 트랙터의 후방으로 그레이더(140)가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임의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수직 프레임(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가로부재(111)들과 세로부재(112)들로써 대략적인 정방형을 이루며, 그 상부에 수직단부(113)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115)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114)을구비하여 트랙터(130)의 좌, 우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수직 프레임(120)은 그레이더(140)의 후방을 연결하여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레이더(140)의 후방에는 통상적으로 좌, 우 회동용 유압실린더(142)와, 이들의 중앙에 중앙 힌지부(14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110)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역시 가로부재(121)들과 세로부재(122)들로써 형성하고, 중단에 로드 연결편(124)을 가진 종간부재(123)를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종간부재(123)의 로드 연결편(124)을 이용하여 그레이더(140)의 후방에서 이미 부착 설치된 좌, 우 회동용 유압실린더(142)의 로드(143)를 연결할 수 있도록하고, 또 그 하단에서 내측으로는 센터 연결부재(125)를 구비하여 그레이더(140)의 중앙 힌지부(141)를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그레이더(140)를 수직 프레임(120)에 먼저 연결하고, 2차적으로 수평 프레임(110)을 트랙터에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며, 1차, 2차 작업 순서를 바꾸어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1차 작업은 그레이더(140)의 후방에 구비된 중앙 힌지부(141)를 수직 프레임(120)의 하부 중앙에 마련한 센터 연결부재(125)에 축착한다. 그리고 이어서 그레이더(140)의 후방 좌, 우에 구비된 회동용 유압실린더(142)의 로드(143)를 종간부재(123)에 형성한 로드 연결편(124)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그레이더(140)는 중앙 힌지부(141)를 지점으로 회동 가능하며, 회동 동력은 좌, 우 회동용 유압실린더(142)로써 제공한다.
2차 작업은 트랙터를 본 발명의 수평 프레임(110) 가까이 근접시킨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110)의 좌, 우 수직봉(114)에 구비된 연결핀(115)들을 트랙터의 좌, 우 양쪽에 구비된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하고, 이어서 트랙터의 상측에 구비된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수직단부(113)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체결편(133)을 지점으로 상, 하 회동이 가능하며, 회동 동력은 메인 실린더(131)로써 제공한다.
분해 순서는 상기와 같은 조립순서의 역순이다.
즉, 트랙터로부터 분리할 때는 트랙터(130)의 메인 실린더(131)를 수직단부(113)로부터 분해 하고, 체결편(133)으로부터 수직봉(114)의 연결핀(115)들을 분해하여 쉽게 격리 시킬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그레이더(140)를 수직 프레임(120)으로부터 분해하지 않고, 조립된 상태로 보관하면 필요시 즉시 트랙터에 연결하기 쉽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후방에 연결설치하기 때문에 전진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 전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수직 프레임에 연결된 상태로써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더를 트랙터에 연결하고 분리하는데 있어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어 수시로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상부에서 가로부재(111)들과 세로부재(112)들로써 형성한 수평 프레임(110), 그리고 이 수평 프레임의 후단에서 아래로 연결하되, 여기 가로부재(121)들과 세로부재(122)들로써 형성한 수직 프레임(120)을 형성한 후,
    상기한 수평 프레임(110)은 그 상부에 수직단부(113)를 형성하여 트랙터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실린더(131)의 로드(132)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선단 하부에는 연결핀(115)을 가진 좌, 우 각각의 수직봉(114)을 구비하여 트랙터(130)의 좌, 우 체결편(133)에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수직 프레임(120)은 그 중단에 종간부재(123)를 형성하여 그레이더 좌, 우 회동용 유압실린더(142)의 로드(143)를 연결할 수 있도록하고, 그 하단에서 내측으로 센터 연결부재(125)를 구비하여 그레이더(140)의 중앙 힌지부(14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KR10-2002-0053175A 2002-09-04 2002-09-04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KR100394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175A KR100394702B1 (ko) 2002-09-04 2002-09-04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175A KR100394702B1 (ko) 2002-09-04 2002-09-04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458U Division KR200298432Y1 (ko) 2002-09-04 2002-09-04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74A KR20030024574A (ko) 2003-03-26
KR100394702B1 true KR100394702B1 (ko) 2003-08-21

Family

ID=2772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175A KR100394702B1 (ko) 2002-09-04 2002-09-04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005A (ko) 2017-09-15 2019-03-25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005A (ko) 2017-09-15 2019-03-25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74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8555C (en) Plow for motor grader
US4655297A (en) Convertible spreader grader assembly
CA2505708C (en) Cutting edge for a v-blade snowplow
US5794714A (en) Finish dirt scraper
US4463507A (en) Grader blade attachment
EP1828493A2 (en) Excavating machine for rocky and other soils
US4679857A (en) Mounting frame for linear impact ripper assembly
US2948973A (en) Ditch clearing attachment for bulldozer blades
KR100394702B1 (ko)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KR200298432Y1 (ko) 트랙터용 그레이더 연결장치
KR100526322B1 (ko) 트랙터용 그레이더
US3206879A (en) Ditching plow having movable sections
KR200311573Y1 (ko) 트랙터용 그레이더
CA1210931A (en) Mobile rotary crusher for land reclamation, open mining, rock spoils and similars
JP4653878B2 (ja) サブソイラ作業機
CN111877425B (zh) 用于刀片的耐磨板
JP4653879B2 (ja) サブソイルディガープラウ作業機
US3776317A (en) Earth excavating apparatus
CN205153008U (zh) 推土机
US4175341A (en) Subsurface cutting tool for a tractor ripper shank
JP2006342664A (ja) 掘削兼用整地・整形用バケット
JPS5936978Y2 (ja) 掘取装置
JP4653927B2 (ja) サブソイルディガープラウ作業機
US5737859A (en) Earth leveling apparatus
CN114277869B (zh) 推土铲装置和工程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