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232B1 -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232B1
KR100394232B1 KR10-2000-0052212A KR20000052212A KR100394232B1 KR 100394232 B1 KR100394232 B1 KR 100394232B1 KR 20000052212 A KR20000052212 A KR 20000052212A KR 100394232 B1 KR100394232 B1 KR 10039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p
memory alloy
shape memor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909A (ko
Inventor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대한뉴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뉴팜(주) filed Critical 대한뉴팜(주)
Priority to KR10-2000-005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2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6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1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이 부착된 스토퍼를 구비시켜 냉장보관시인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제 2형상을 유지하여 캡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의 상온에서는 제 1형상을 유지하여 캡의 이탈을 제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캡 보호장치는 마개(22)의 이탈을 막기 위해 주사약병(20)의 상부의 부착되는 캡(30)과, 외력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캡(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32)와, 이 스토퍼(32)에 결합되어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캡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하는 형상기억합금(5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DEVICE FOR PROTECTING CAP FROM OPEN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METHOD OF MAKING IT}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온도에 따라 제 1형상 또는 제 2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토퍼를 주사약병과 같이 저온에서 밀봉상태를 요하는 용기의 캡에 설치함으로써 냉장보관시에는 스토퍼가 제 2형상을 유지하여 주사약병 캡의 제거를 가능케 하는 반면에, 상온에서는 스토퍼가 제 1형상을 유지하여 주사약병과 같은 캡의 이탈을 제지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령, 주사약제가 들어있는 주사약병과 같은 각종 약제의 보관용기에는 보관중인 약제의 누출 및 변질을 막고 외부에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마개가 상부의 입구에 끼워져 있으며, 마개에는 보관 및 운반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개봉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캡이 씌워져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주사액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주사약을 저장하게 되는 주사약병(10)과, 이 주사약병(10)의 상부 입구에 끼워지는 마개(12)와, 마개(12)의 이탈을 막기 위한 것으로 통상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슬리브(14) 및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재의 커버(16)로 이루어져 있다. 조립시에는 주사약병(10)의 내부에 액상의 약제를 정량 주입한 다음에, 약병의 입구에 고무재의 마개(12)를 끼운다. 다음에, 마개(12)위에는 커버(16)가 압입 고정되어 있는 슬리브(14)를 씌운 다음에, 슬리브(14)의 하단을 주사약병(10)의 입구 가장자리에 압착시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주사약병 캡은 주변 온도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보관상태를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없으며 그로 인해 주사약병을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약제의 변질이 우려된다. 또한, 캡의 개방여부를 육안으로 명확히 확인할 수 없으므로 주사약병에 들어있는 약제가 정품인지를 쉽게 판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주사약병에 보관중인 약제가 정품인지를 표시하는 주사약병 캡이 미국특허 제 5,555,988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주사액병 또는 수액병에는 정품인지를 표시하는 캡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의 가장자리가 내측방향으로 접혀서 캡이 유지부분과 시일 사이에 배치되며, 시일에는 캡을 지지하는 주변 비드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특허 '988호에 개시된 주사약병 캡의 경우에는 시일이 변형되어 미끄러지면서 병의 네크부 안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나, 이것 역시, 캡의 개방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없으며, 냉장보관 중인지 또는 상온보관 중인지를 육안으로는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약제의 변질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약병이 보관되어 있는 주변 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캡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온에서는 캡의 분리를 방지하는 한편, 냉장보관시나 임계온도 이하의 환경하에서만 캡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제지수단이 구비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진 캡에 부착된 스토퍼의 형상이 주변온도에 따라서 제 2형상과 제 1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주사약병의 보관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보관온도 표시수단이 구비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임계온도 이상의 상온에서는 캡의 분리를 제지함과 동시에, 소정임계온도 이하의 냉장 보관시에는 캡의 분리를 가능케 하는 스토퍼 기능을 갖는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온도에 따라서 소정의 제 1형상 및 제 2형상으로 변형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주사약병의 주변 보관온도를 외부에 나타낼 수 있는 표시기능을 갖는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사약병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 보호장치가 적용된 주사약병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캡핑 전의 캡의 평면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캡이 주사약병에 제 2형상을 유지하도록 캡핑하여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사약병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캡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형상기억합금의 제 2형상을 유지한 캡의 저면도,
도 8은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 스토퍼가 제 1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주사약병의 내부 단면도,
도 10은 주사약을 사용하기 위하여 스토퍼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주사약병의 내부 단면도,
도 12는 스토퍼가 주사약병으로부터 완전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보호장치의 형상기억합금이 제 2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3b는 이 형상기억합금이 제 1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주사약병 22:마개
24:슬리브 30:캡
32:스토퍼 34:관통공
35:플랩 40:돌기
50, 60:형상기억합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는 주사약 등의 약제가 저장되고 상부 입구에는 주사약의 누출을 막는 마개가 끼워지는 주사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주사약병의 상부의 부착되는 캡과, 외력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어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캡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분리 제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는 주사약 등의 약제가 저장되고 상부 입구에는 주사약의 누출을 막는 마개가 끼워지는 주사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주사약병의 상부의 부착되는 캡과, 주변 온도에 따라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어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를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제조방법은 주사약 등의 약제를 저장하는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을 지니며 이 관통공을 둘러싸는 원주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를 갖도록 캡을 성형하는 단계와, 양단의 플랩이 외력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성형된 캡의 브리지를 절단하여 스토퍼를 형성하는 캡핑단계와,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캡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분리 제지수단을 캡핑된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분리 제지수단이 부착된 상기 캡을 원통형 슬리브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은 주사약 등의 약제를 저장하는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을 지니며 이 관통공을 둘러싸는 원주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를 갖도록 캡을 성형하는 단계와, 양단의 플랩이 주변 보관온도에 의해서 소정임계온도 이상의 제 1형상과 소정임계온도 이하의 제 2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캡의 브리지를 절단하여 스토퍼를 형성하는 캡핑단계와,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를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수단을 캡핑된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표시수단이 부착된 상기 캡을 원통형 슬리브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는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캡 보호장치가 설치된 주사약병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관중인 주변의 온도에 따라서 캡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함과 동시에, 현재의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 캡의 형상이 가변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이를 위해서, 주사약병(20)의 상단 입구에 끼워지는 마개(22)의 이탈을 제지하기 위한 캡(30)을 원통형 슬리브(24)와 분리하여 구성하되, 이 캡(30)에는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위치가 가변되어 선택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32)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 스토퍼(32)에는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을 제 1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을 제 2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캡(30)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분리 제지수단을 부착하였다.
여기에서, 분리 제지수단은 스토퍼(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부착되며, 그의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이 제 2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소정의 제 2형상을 갖고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이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제지하도록 소정의 제 1형상을 갖는 형상기억합금(50)을 이용하였다.
통상 금속재료는 탄성한도 이상에서 소성변형되고 소성변형된 후에는 외력을 제거하여도 영구적으로 변형된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반면에, 형상기억합금은 항복점에서 변형하여 인식 가능한 정도로 변형을 일으키고, 가열하거나 변형원인이 소실되면 변형전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형상기억합금은 현재에 이르러 그 용도가 다양하여 산업의 전반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온도와 관련하여 소정의 목적에 따라 형상 기억 열처리를 하므로 소정 특성의 소자로 될 수 있으며, 부여된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형상기억합금(50)을 스토퍼(32)에 일체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주사약병(20)을 보관중인 주변의 온도가 가령, 냉장 또는 냉동온도와 같이 임계온도 이하일 경우에, 형상기억합금(50)은 제 2형상을 지니게 된다. 그로 인해,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은 제 2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플랩(35)의 하부에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온 등과 같이 주변 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일 경우에, 형상기억합금(50)은 제 1형상으로 지니게 된다. 그로 인해,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은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플랩(35)의 하부에 집어넣을 수 없게 되며, 결과적으로 플랩(35)을 잡고 스토퍼(32)를 캡(30)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스토퍼(32)는 캡핑시에 캡(30)에 회동할 수 있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스토퍼(32)의 중앙에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은 캡핑시에 캡(30)의 원주벽(33) 일부가 절단되어 만들어지게 된다.
주변 온도에 따라 스토퍼(32)를 제 1위치와 제 2위치로 회동시키는 형상기억합금(50)은 그 중앙에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 스토퍼(32)의 중앙 관통공(34)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형상기억합금(50)의 연장부(54)는 중앙 돌출부(52)로부터 스토퍼(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조립시에는 스토퍼(32)의 하부면에 부착 고정된다. 형상기억합금(50)이 부착되어 있는 캡(30)은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31)를 통해서 통상 알루미늄등으로 제조되는 원통형 슬리브(24)의 상단 결합 플랜지(24a)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 보호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성형한 캡부재의 평면 사시도로, 캡핑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주조 또는 프레스 가공 등의 성형과정을 거쳐 캡부재의 중앙 원형부(32a)에는 형상기억합금(50)의 중앙 돌출부(52)가 관통되는 관통공(34)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34)이 형성된 스토퍼(32)의 중앙 원형부(32a)의 양측면에는 지지돌기(38)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돌기(38)는 원주벽(33)의 내벽면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형상기억합금(50)의 작용에 의해서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주사액의 주입시에는 원주벽(33)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토퍼(32)를 캡(30)에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32)의 양단에 플랩(35)을 제공하기 위해서, 원주벽(33)의 일부에는 브리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브리지(36)는 캡핑 과정에서 절단되어 플랩(35)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캡핑 후에도 지지돌기(38)는 원주벽(33)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이 형상기억합금(50)에 의해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 브리지(36)는 상온에서 제 1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상처리된 형상기억합금을 기억하여 제지하고 상온 유통시에도 제 2형상을 유지하고 있고 냉동·냉장상태에서 캡핑과정에 이 브리지(36)가 절단되어도 제 2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를 요약하여 보면, 중앙에 관통공(34)을 지니며 이 관통공(34)을 둘러싸는 원주벽(33)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36)를 갖도록 캡(30)을 성형하는 단계와, 양단의 플랩(35)이 외력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성형된 캡(30)의 브리지(36)를 절단하여 스토퍼(32)를 형성하는 캡핑단계와,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캡(30)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형상기억합금(50)으로 이루어진 분리 제지수단 및 표시수단을 캡핑된 스토퍼(32)의 하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분리 제지수단이 부착된 캡(30)을 원통형 슬리브(24)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캡핑 과정을 거쳐 완성된 캡(30)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슬리브(24)위에 조립한다. 여기에서 보면, 약액이 들어있는 주사약병(20)의 상단에는 마개(22)가 끼워져 있으며, 이 마개(22)의 외곽에는 원형의 슬리브(24)가 배치되어 있고 슬리브(24)의 상부에는 스토퍼(32)를 지닌 캡(30)이 배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목적상 캡(30)과 분리하여 슬리브(24)를 별도의 부품으로설명하고 있으나, 실제로 슬리브(24)와 캡(30)이 조립된 상태의 부품을 통상의 캡이라고 보면 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50)은 고정편(40)에 의해서 스토퍼(32)에 고정되는데 그에 대한 결합상태가 도 6과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에 원통형 슬리브(24)의 하단(24b)은 주사약병(20)의 상단 플랜지(20a)에 압착되며, 상단의 결합플랜지(24a)에는 본 발명의 캡(30)이 결합 고정된다. 이 캡(3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스토퍼(32)가 지지돌기(38)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32)의 하부에는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고정편(40)에 의해서 형상기억합금(50)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편(40)은 스토퍼(32)의 중앙 원형부(32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형상기억합금(50)을 양 고정편(40)의 사이에 배치시킨 다음에, 이들 고정편(40)을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상기억합금(50)을 고정시킨다. 이때,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부착되는 형상기억합금(50)은 도면에서 스토퍼(32)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설정임계온도 및 형상기억합금의 두께나 폭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이는 주사약액의 사용을 위해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을 위로 강제로 젖힐 경우 원주벽(33)의 단턱에 의해 상부로의 젖힘은 가능하나 하부로 원 위치로 복귀되면 단턱이 파괴된다. 이로써 주사약액의 사용여부를 확인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캡 보호장치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도 8과 도 9는 스토퍼(32)가 상온이거나 임계온도이상에서 소정시간 방치되어서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50)은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제 1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50)의 양단 연장부(54)는 중앙 돌출부(52)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형상기억합금(50)이 부착된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은 하방으로 하강되어 있는 제 1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양단 플랩(35)의 하부에는 손가락이나 기타 도구를 집어넣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며, 그로 인해 임계온도 이상의 상온에서는 스토퍼(32)를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토퍼(32)는 형상기억합금(50)에 의해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토퍼(32)의 위치를 보고 육안으로 보관중인 주변온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캡 보호장치는 표시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토퍼(32) 양단 플랩(35)의 위치를 보고 약액의 사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과 도 11은 스토퍼(32)가 냉동·냉장온도이거나 임계온도 이하에서 보관된 약액을 사용하기 위한 스토퍼(32)의 플랩(35)을 제거하는 사시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상기억합금(50)은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제 2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형상기억합금(50)의 양단 연장부(54)는 캡핑시에 중앙 돌출부(52)를 중심으로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양단 플랩(35)의 하부에 손가락 등을 집어넣을 수 있으며, 손가락으로 플랩(35)을 잡은 상태에서 스토퍼(32)를 잡아당기면 된다. 그에 따라, 스토퍼(32)는 도 12에 도시한바와 같이 캡(30)으로부터 완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스토퍼(32)가 형상기억합금(50)에 의해 제 2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토퍼(32)의 위치를 보고 육안으로 주사약병의 냉장 보관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 스토퍼(32)는 캡(30)으로부터 완전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환경보호 및 재활용 차원에서 지지돌기(38)의 한쪽을 다른쪽보다 폭 또는 두께를 크게 형성하여 제거시에는 양단의 지지돌기(38)중에서 폭 또는 두께가 작은 쪽은 분리되고 반대쪽은 그대로 부착되어 있어 제거후에도 스토퍼(32)가 캡(30)에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보호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보호장치의 형상기억합금이 제 2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3b는 이 형상기억합금이 제 1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막대형 형상기억합금 대신에 원형의 형상기억합금 링(60)을 예시하였다. 이 형상기억합금 링(60)은 일부에 스토퍼(32')가 형성되는 원주벽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의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소정의 제 2형상을 갖는 한편,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축되면서 링(60')이 스토퍼(32')의 양단 플랩(35')의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제지하도록 수축된 제 1형상을 갖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약병 캡에 보관온도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약제의 보관상태를 눈으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주사액이 담겨져 있는 주사약병 캡에 형상기억합금이 부착된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어, 냉장보관시인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제 2형상을 유지하여 캡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의 상온에서는 제 1형상을 유지하여 캡의 이탈을 제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에는 캡으로부터 스토퍼를 완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캡의 개방상태를 육안으로 확실하게 구분함으로써 사용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주사약 등의 약제가 저장되고 상부 입구에는 주사약의 누출을 막는 마개가 끼워지는 주사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주사약병의 상부의 부착되는 캡과,
    외력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어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에 따라서 캡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분리 제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제지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부착되며, 그의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2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제지하도록 소정의 제 2형상을 갖고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제지하도록 소정의 제 1형상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양단이 원주벽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의 작용에 의해 그의 양단이 제 1위치와 제 2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상기 스토퍼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에 의해서 스토퍼와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은 일부에 상기 스토퍼가 형성되는 원주벽을 감싼 상태로 배치되며 그의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스토퍼를 제거하도록 확장된 제 2형상을 갖고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스토퍼를 제거할 수 없도록 수축된 제 1형상을 갖는 원형의 형상기억합금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6. 주사약 등의 약제가 저장되고 상부 입구에는 주사약의 누출을 막는 마개가 끼워지는 주사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이탈을 막기 위해 주사약병의 상부의 부착되는 캡과,
    주변 온도에 따라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결합되어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를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부착되며, 그의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2위치에 유지되어 소정의 임계온도 이하에서 정상 보관 중이었음을 나타내도록 소정의 제 2형상을 갖고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임계온도 이상에서 소정시간 방치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소정의 제 1형상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에는 양단이 원주벽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의 작용에 의해 그의 양단이 제 1위치와 제 2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그의 하면에는 스토퍼가 일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9. 주사약 등의 약제를 저장하는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을 지니며 이 관통공을 둘러싸는 원주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를 갖도록 캡을 성형하는 단계와,
    양단의 플랩이 외력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성형된 캡의 브리지를 절단하여 스토퍼를 형성하는 캡핑단계와,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임계온도에 따라서 캡의 분리를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분리 제지수단을 캡핑된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분리 제지수단이 부착된 상기 캡을 원통형 슬리브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제지수단은 그의 임계온도 이하에서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2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소정의 제 2형상을 갖고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유입을 제지하도록 소정의 제 1형상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이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상기 스토퍼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이용하여 스토퍼와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제조방법.
  11. 주사약 등의 약제를 저장하는 주사액 용기의 캡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공을 지니며 이 관통공을 둘러싸는 원주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를 갖도록 캡을 성형하는 단계와,
    양단의 플랩이 주변 보관온도에 의해서 소정임계온도 이하의 제 2형상과 소정임계온도 이상의 제 1형상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캡의 브리지를 절단하여 스토퍼를 형성하는 캡핑단계와,
    소정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2위치에 유지시키고 소정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을 제 1위치에 유지시켜 주변 보관온도를 나타내도록 하는 표시수단을 캡핑된 상기 스토퍼의 하부에 부착하는 단계와,
    표시수단이 부착된 상기 캡을 원통형 슬리브의 상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부착되며, 그의 임계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1위치에 유지되어 상온에 노출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소정의 제 1형상을 갖고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스토퍼의 양단 플랩이 제 2위치에 유지되어 냉장 보관중임을 나타내도록 소정의 제 2형상을 갖는 형상기억합금이며,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상기 스토퍼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편을 이용하여 스토퍼와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제조방법.
KR10-2000-0052212A 2000-09-04 2000-09-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9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212A KR100394232B1 (ko) 2000-09-04 2000-09-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212A KR100394232B1 (ko) 2000-09-04 2000-09-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09A KR20020018909A (ko) 2002-03-09
KR100394232B1 true KR100394232B1 (ko) 2003-08-09

Family

ID=1968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212A KR100394232B1 (ko) 2000-09-04 2000-09-04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2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62A (ja) * 1994-11-02 1996-05-28 Shiseido Co Ltd 破裂防止機構付きエアゾール容器
KR19990065686A (ko) * 1998-01-16 1999-08-05 김남영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불로 따는 병뚜껑
JP2001002073A (ja) * 1999-06-15 2001-01-09 Daiwa House Ind Co Ltd 容 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362A (ja) * 1994-11-02 1996-05-28 Shiseido Co Ltd 破裂防止機構付きエアゾール容器
KR19990065686A (ko) * 1998-01-16 1999-08-05 김남영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불로 따는 병뚜껑
JP2001002073A (ja) * 1999-06-15 2001-01-09 Daiwa House Ind Co Ltd 容 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909A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354B1 (ko) 유리병용 안전 용기
US7878351B2 (en) Cap arrangements
BR0313498B1 (pt) Sistema de fecho para um frasco, frasco farmacêutico, métodos para fechar um frasco e para encher um frasco farmacêutico, e, fecho de frasco
ES2641529T3 (es) Cierre de dispensación, recipiente con un cierre de dispensación y método para fabricar un cierre de dispensación
ES2362146T3 (es) Dispositivo de cierre antimanipulación para botellas y en particular para botellas de bebidas alcohólicas o licores.
WO2014128322A1 (es) Tapones de material plástico
US6264052B1 (en) Screw-type cap including an expandable tamperproof strip
KR100394232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캡 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
ES2893802T3 (es) Cápsula para cerrar un recipiente
RU2000109262A (ru) Упаковка
US20110127280A1 (en) Container with sleeve
KR20020061977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보관 상태 판별장치
SK44499A3 (en) Screw-type cap with safety and guarantee band
US4391383A (en) Oversealing caps
KR200288527Y1 (ko) 앰플병 절단용 안전캡
KR20030096846A (ko) 앰플병 절단용 안전캡
KR870001844Y1 (ko) 병 포장용 갑
KR20037122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ES1300971U (es) Tapón de cierre para envases contenedores de líquidos
JP2584753Y2 (ja) 弁体の保護カバー
KR20030015187A (ko) 고무마개를 일체로 갖고 있는 액체용기용 배출대의 뚜껑구조
KR20030015188A (ko) 고무마개를 일체로 갖고 있는 액체용기용 배출대의 뚜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