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192B1 -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192B1
KR100394192B1 KR10-2001-0055404A KR20010055404A KR100394192B1 KR 100394192 B1 KR100394192 B1 KR 100394192B1 KR 20010055404 A KR20010055404 A KR 20010055404A KR 100394192 B1 KR100394192 B1 KR 10039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edal
medals
rod
pr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452A (ko
Inventor
전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리스
Priority to KR10-2001-005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192B1/ko
Priority to US10/115,639 priority patent/US6708977B2/en
Publication of KR2003002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이스틱 또는 상하 버튼을 조작하여 끌이장치를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주어진 시간내 메달 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많은 메달을 긁어내리는 방식의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인을 투입하는 단계와; 경품 획득 메달 범위의 목표 메달 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조이스틱 또는 UP/DOWN 버튼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에 부어진 메달을 긁어 내리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아래로 메달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 또는 부어진 메달에 의해 봉이 쓰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봉이 쓰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정해진 게임 시간 동안을 부어진 메달을 플레이트 아래로 계속하여 긁어 내리는 단계와; 상기 정해진 게임 진행시간이 경과 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진행시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플레이트 아래에 떨어진 메달의 수를 카운팅 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메달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면 게임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품획득 메달범위에 해당하는 경품교환카드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메달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지 못하게 되면 게임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어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아래로 메달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 또는 부어진 메달에 의해 봉이 쓰러졌다고 판단되면, 남은 게임 시간에 관계없이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경품 게임의 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어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전통 놀이(깃발 쓰러트리기)를 게임화 함으로서 전통 놀이를 계승함은 물론 침체된 아케이드 게임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An arcade premium game method and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이스틱 또는 상하버튼을 조작하여 끌이장치를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주어진 시간내에 메달 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많은 메달을 긁어내리는 방식의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케이드(업소용) 게임기는 슈팅 게임, 스포츠 게임, 바둑 게임 등 그 종류가 대단히 많이 있으며, 사용자가 정해진 이용요금을 지불하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케이드 게임기 중에는 게임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게임중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게임자에게 다양한 경품이 제공되는 경품 지급장치를 설치하여 게임자들의 게임 이용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즉, 경품 지급장치는 게임기에 구비되어 게임의 점수 또는 승률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점수 또는 승률에 해당되는 경품을 걸고, 게임자가 게임을 하는도중 경품 제공에 해당되는 점수 또는 승률이 되면 경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게임자가 100,000점, 300,000점, 500,000점 등으로 세분화되어 각 점수에 따른 경품이 걸린 경품 지급장치가 구비된 게임기를 통해 게임을 하는 도중, 해당되는 점수가 되면 게임자에게 각 점수에 따른 경품이 지급되는 것이다.
이 때, 경품 지급장치가 구비된 게임기 주변에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게임중 해당되는 점수가 되어 경품이 지급될 때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게임자는 게임을 하는 도중 우연히 경품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되므로 경품이 걸려 있는 특정 게임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경품 지급장치가 구비된 게임기의 이용이 크게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업소의 수입이 늘어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최근 국내 아케이드의 게임 시장은 댄스/음악 시뮬레이션 게임이 그 주류를 형성해 왔다. 그러나 댄스/음악 시뮬레이션 게임의 급격한 인기 하락과 더불어 "포스트 DDR" 의 대안을 찾지 못하여 개발사를 비롯한 유통상과 게임장 운영주들은 심각한 시장침체를 겪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여러 종의 경품 게임기가 제작되었으나 크레인 또는 펀치류의 일률적인 게임 스타일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게임자들은 더 이상 똑 같은 게임의 변형을 즐기려고 하기 보다는 새로운 게임을 원하고 있다.
즉, 기존 게임기의 변형이 아닌 완전히 색다른 개념의 게임 창출이 필요하였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경품 게임의 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게임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자가 기계 안의 크레인을 조정하여 메달 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아래로 긁어 내리는 게임 방식으로 목표치의 메달을 긁었을 경우 경품을 획득하게 하는 새로운 형태의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게임 방법에 의해 메달 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발명은
코인을 투입하는 단계와;
경품 획득 메달 범위의 목표 메달 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조이스틱 또는 UP/DOWN 버튼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에 부어진 메달을 긁어 내리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아래로 메달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 또는 부어진 메달에 의해 봉이 쓰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봉이 쓰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정해진 게임 시간 동안을 부어진 메달을 플레이트 아래로 계속하여 긁어 내리는 단계와;
상기 정해진 게임 진행시간이 경과 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진행시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플레이트 아래에 떨어진 메달의 수를 카운팅 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메달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면 게임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품획득 메달범위에 해당하는 경품교환카드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메달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지 못하게 되면 게임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어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아래로 메달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 또는 부어진 메달에 의해 봉이 쓰러졌다고 판단되면, 남은 게임 시간에 관계없이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게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게임 진행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12 : 조이스틱
14 : 버튼 20 : 센서/스위치부
22 : 끌이 장치 24 : 봉
30 : 제어부 40 : 모터구동부
42 : 위치구동부 44 : 끌이장치 구동부
46 : 봉세우기 구동부 50 : 표시부
52 : 목표 메달수 표시창 54 : 현재 메달수 표시창
56 : 타임 표시창 60 : 메달
62 : 플레이트 64 : 코인투입구
66 : 경품진열대 68 : 카드배출구
70 : 스피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달 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아케이드 게임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를 살펴보면, 게임 진행을 위한 각종 키입력 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10)와; 끌이 장치(22)의 움직임 상태와 봉(峯)(24)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스위치부(20)와; 상기 키입력부(10) 및 센서/스위치부(2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22)의 움직임과 봉(2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22) 및 봉(24)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부(4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임 진행 상태를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구동부(40)에는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22) 및 봉(24)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위치구동부(42)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22)를 구동하기 위한 끌이장치 구동부(44)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쓰러진 봉(24)을 일으켜 세우도록 구동하기 위한 봉세우기 구동부(46)가 더 포함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키입력부(10)에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며 게임 진행을 위한 키입력 수단으로 조이스틱(12)과; 업(UP), 다운(DOWN), 스타트(START) 등의 각종 버튼(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50)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경품획득 메달 범위가 표시된 목표 메달수 표시창(52)과; 현재의 메달 수가 표시된 현재 메달수 표시창(54)과; 주어진 게임 시간을 나타내는 타임 표시창(5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 외에 게임 장치에는 플레이트(62) 상에 쌓여있는 메달(60)과; 코인을 투입하기 위한 코인투입구(64)와; 메달의 목표치 획득에 따라 지급되는 경품이 진열된 경품진열대(66)와; 경품과 교환할 수 있는 경품교환카드가 배출되는 카드배출구(68) 및; 각종 게임 진행에 따른 음향 및 안내 멘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7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게임 장치의 구성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임자의 키입력부(10) 조작에 따른 조이스틱의 상하좌우 값 또는 각종 버튼의 온/오프(on/off) 값이 제어부(3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30)에서는 끌이 장치(22)가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모터구동부(40)의 끌이장치 구동부(44)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장치 구동부(44)가 구동되어 끌이 장치(22)가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그 상태에서, 봉(24)이 쓰러졌을 경우 제어부(30)에서는 쓰러진 봉(24)이 세우지도록 모터구동부(40)의 봉세우기 구동부(46)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센서/스위치부(20)에서는 끌이 장치(22)의 위치나 봉(24)의 쓰러짐 유무상태를 제어부(30)로 전달하게 된다.
그 후, 게임 진행 상태에 따라 제어부(30)에서는 메달의 갯수나 남은 시간 등을 LED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50)로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게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게임 시작버튼을 눌러 떨어뜨릴 메달수(경품 획득 메달범위)가 결정이 되면 게임자(USER)가 직접 조이스틱(12)과 UP/DOWN 버튼(14)을 이용하여 끌이 장치(22)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여서 봉(24)을 쓰러뜨리지 않고 쌓여 있는 메달(60)을 끌이 장치(22)를 이용하여 주어진 시간 내에 많은 메달(60)을 플레이트(plate; 60) 아래로 떨어뜨리는 방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메달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게임 진행의 전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게임 장치의 코인투입구(64)로 코인을 투입한 후(단계 S100) 시작 버튼을 누른다.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되면 목표 메달수 표시창(52)에는 경품획득 메달 범위를 나타내는 목표 메달 수가 표시된다.
이 때, 상기 경품획득 메달 범위의 목표치는 게임 시작의 진행 시간에 따라 임의로 변경되어 제시된다.(단계 S110)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조이스틱(12) 또는 위/아래로 움직이는 UP/DOWN 버튼(14)을 이용하여 플레이트(62)에 부어진 메달(60)을 긁어 내린다.
이 때, 플레이트(62)에 부어진 메달(60) 사이에는 봉(24)이 세워져 위치하며 끌이 장치(22)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메달(60)을 긁어 내리게 되며, 아래로 떨어진 메달 수를 카운팅하게 된다.(단계 S120)
그 상태에서 끌이 장치(22)를 이용하여 아래로 메달(60)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22) 또는 메달(60)에 의해 봉(24)이 쓰러졌는지의 여부를 제어부(30)에서 판단하게 된다.(단계 S130)
만약, 봉(24)이 쓰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정해진 게임 시간동안을 조이스틱(12) 또는 UP/DOWN 버튼(14)을 이용하여 부어진 메달(60)을 아래로 계속하여 긁어 내린다.
이 때, 상기 봉(24)이 쓰러졌다고 판단되면 남은 게임 시간에 관계없이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단계 S170)
한편, 정해진 게임 진행시간이 종료되면(단계 S140) 플레이트(62) 아래에 떨어진 메달(60)의 수를 카운트 하게 된다.(단계 S150)
이 때, 카운팅된 메달(60)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면 게임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품획득 메달범위에 해당하는 경품교환카드가 카드배출구(68)를 통해 배출된다.(단계 S160)
만약, 카운팅된 메달(60)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지 못하게 되면 게임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어 게임이 종료된다.(단계 S17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달 사이에 세워진 봉을 쓰러뜨리지 않고 메달을 긁어내리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경품 게임의 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어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한국의 전통 놀이(깃발 쓰러트리기)를 게임화 함으로서 전통 놀이를 계승함은 물론 침체된 아케이드 게임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게임 진행을 위한 각종 키입력 버튼이 구비된 키입력부와;
    끌이 장치의 움직임 상태와 봉(峯)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스위치부와;
    상기 키입력부 및 센서/스위치부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의 움직임과 봉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 및 봉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임 진행 상태 및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구동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 및 봉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위치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끌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끌이장치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쓰러진 봉을 일으켜 세우도록 구동하기 위한 봉세우기 구동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
  3. 코인을 투입하는 단계와;
    경품 획득 메달 범위의 목표 메달 수를 확인하는 단계와;
    조이스틱 또는 UP/DOWN 버튼을 이용하여 플레이트에 부어진 메달을 긁어 내리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아래로 메달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 또는 부어진 메달에 의해 봉이 쓰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봉이 쓰러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정해진 게임 시간 동안을 부어진 메달을 플레이트 아래로 계속하여 긁어 내리는 단계와;
    상기 정해진 게임 진행시간이 경과 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게임 진행시간이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플레이트 아래에 떨어진 메달의 수를 카운팅 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메달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면 게임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품획득 메달범위에 해당하는 경품교환카드를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메달의 수가 경품획득 메달 범위에 포함되지 못하게 되면 게임은 실패한 것으로 간주되어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플레이트 아래로 메달을 떨어뜨리는 과정에서 끌이 장치 또는 부어진 메달에 의해 봉이 쓰러졌다고 판단되면, 남은 게임 시간에 관계없이 게임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품획득 메달 범위의 목표치는 기설정된 목표치가 무작위 방식으로 제시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KR10-2001-0055404A 2001-09-10 2001-09-10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KR10039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404A KR100394192B1 (ko) 2001-09-10 2001-09-10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US10/115,639 US6708977B2 (en) 2001-09-10 2002-04-03 Premium arcade game machine and the gam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404A KR100394192B1 (ko) 2001-09-10 2001-09-10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657U Division KR200256624Y1 (ko) 2001-09-10 2001-09-10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452A KR20030022452A (ko) 2003-03-17
KR100394192B1 true KR100394192B1 (ko) 2003-08-09

Family

ID=1971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404A KR100394192B1 (ko) 2001-09-10 2001-09-10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08977B2 (ko)
KR (1) KR1003941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8734A (en) * 1928-02-15 1929-04-09 Alden C Olander Coin-operated nerve and eye testing machine
US3208747A (en) * 1963-05-09 1965-09-28 John K Kavakos Electrically operated game device
US4305582A (en) * 1980-03-03 1981-12-15 Barton Owen E Articulatively segmented, elongate amusement device
GB8814105D0 (en) * 1988-06-14 1988-07-20 Bright R P Games & random selection apparatus therefor
US5954340A (en) * 1998-08-13 1999-09-21 Mattel, Inc. Multiple tier token balance game
US6283475B1 (en) * 1999-10-19 2001-09-04 Smart Industri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rane game claw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8977B2 (en) 2004-03-23
US20030047876A1 (en) 2003-03-13
KR20030022452A (ko) 200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4844B2 (ja) 遊技機
JP2006198096A (ja) スロットマシン
JP4686516B2 (ja) 遊技機
KR100394192B1 (ko) 아케이드 경품 게임 방법 및 그 게임 장치
JP4791004B2 (ja) 遊技機
KR200256624Y1 (ko) 아케이드 경품 게임 장치
KR100394190B1 (ko) 아케이드 경품 게임에서의 메달 사이에 쓰러진 봉을세우는 방법
JP4686517B2 (ja) 遊技機
JP3989501B2 (ja) 遊技機
JP2005073750A (ja) 遊技機、遊技機用プログラム、及び遊技機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7493401B2 (ja) チケットカウント装置及びチケットカウントシステム
JP4686519B2 (ja) 遊技機
JP3989500B2 (ja) 遊技機
JP2007152134A (ja) 遊技機
JP2000210420A (ja) 遊技機
JP2001198281A (ja) 遊技機
JP4791007B2 (ja) 遊技機
JP4977256B2 (ja) 役物装置
JP3989498B2 (ja) 遊技機
JP2001070642A (ja) 遊技機
JP4022556B2 (ja) 遊技機
JP4686515B2 (ja) 遊技機
JPH0924142A (ja) 遊技機
JP2007144218A (ja) 遊技機
JP2001198301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