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911B1 -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 Google Patents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911B1
KR100392911B1 KR10-2001-0029207A KR20010029207A KR100392911B1 KR 100392911 B1 KR100392911 B1 KR 100392911B1 KR 20010029207 A KR20010029207 A KR 20010029207A KR 100392911 B1 KR100392911 B1 KR 10039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output voltage
voltage
choke coi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255A (ko
Inventor
이재환
배현용
Original Assignee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단암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9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칭 전원장치(SMP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출력 컨버터에 있어서의 출력 상호간의 레귤레이션을 보상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의 제1단을 주출력 전압(VO1)이 출력되는 쵸크코일(LO1)의 후단(A점)에 연결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의해 PWM 제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부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꾀하는 회로이다.

Description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Multiple output converter having cross regulation compensation circuit}
본 발명은 스위칭 전원장치(SMPS)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중출력 컨버터에 있어서의 출력 상호간의 레귤레이션을 보상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전원장치는 DC전압을 PWM 제어에 의해 스위칭하여 정전압을 얻는 전원장치이다. 부하의 변동을 피드백하여 PWM 제어를 하므로 부하변동에도 불구하고정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주파수로 스위칭하므로(수십~수백 kHz) 트랜스나 콘덴서 등의 유도성, 용량성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현재 많은 수의 전자제품용 전원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다중전원이 필요한 전자제품(예로서, 5V, 12V, 24V 등)에 사용되는 스위칭 전원장치의 DC-DC 컨버터부에서는 다중 전압을 출력하여야 한다. 다중출력 스위칭 전원장치의 컨버터부를 구현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도1은 일반적인 포워드컨버터(forward converter)를 이용하여 다중출력을 얻는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1의 회로는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을 주출력 권선(Wp)과 부출력 권선(Ws)으로 나누고, 각 권선의 출력단 초크코일(LO1, LO2)을 커플링하여 입력전압(Vin)의 변화와 출력부하의 변화에 어느 정도 부출력 전압(Vo2) 전압의 변동분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로이다.
그러나, 도1의 회로에서 주출력 전압(Vo1)은 일반적인 부궤환 회로에 의한 듀티 제어(PWM)에 의해서 입력전압 변화와 출력부하의 변동에 불구하고 거의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으나, 부출력 전압(Vo2)은 입력전압과 출력부하의 변동, 특히 부하변동에 따라 전압변동폭이 심하게 변하므로 안정된 전원을 요구하는 전원 시스템에 적용하는데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의 회로에서는 입력전압의 변화와 출력부하의 변동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주출력 전압 다이오드(D1)의 전압차 △Vd와 쵸크코일(LO1)에 의한 전압차 △VL)을 보상하지 못하여 부출력 전압(VO2)의 전압변동폭이매우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가 현재 흔히 사용하고 있는 포워드컨버터의 출력부 결선을 일부 변경하여, 상기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의 제1단을 주출력 전압(VO1)이 출력되는 쵸크코일(LO1)의 후단(A점)에 연결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의해 PWM 제어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부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꾀하는 회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에 따르면, 단일 입력 전압으로부터 주출력 전압(VO1)과 부출력 전압(VO2)을 얻기 위하여 주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p)의 제1단은 GND에, 제2단은 쵸크코일(Lo1)을 통해 주출력 전압(VO1)을 출력하며;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의 제1단은 GND에, 제2단은 쵸크코일(Lo2)을 통해 부출력 전압(VO2)을 출력하며; 상기 주출력 전압(VO1)이 출력되는 쵸크코일(Lo1)의 후단(A)의 전압을 검출하여 스위칭소자를 PWM 제어하는 PWM 제어부로 구성되는 다중출력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의 제1단을 주출력 전압(VO1)이 출력되는 쵸크코일(LO1)의 후단(A점)에 연결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의해 PWM 제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다중출력 컨버터의 회로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 컨버터의 회로도.
도2b~2d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회로 및 파형도.
도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면부호의 설명>
VO1주출력 전압; VO2부출력 전압; Wp주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 Ws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 LO1주출력 쵸크코일; LO2부출력 쵸크코일
종래의 방식에서는 입력전압 변화와 출력부하의 변동에 의하여 발생된 전압을 보상하지 못하여 부출력 전압(VO2)의 전압변동폭이 컸지만(종래기술의 설명 참조),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른 다중출력 컨버터에서는 상호 부하변동에 의한 출력전압(부출력 전압: VO2)의 변동폭을 줄이기 위하여,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 중 종래에 GND에 연결되었던 일단을 주출력 전압(VO1)의 쵸크코일(LO1)의 후단(A점)에 연결하였다. 따라서, 입력과 부하변동에 의해서 발생한 주출력 전압 다이오드(D1)의 Vd와 쵸크코일(LO2)에 의한 VL전압의 변동에 관계없는 쵸크코일(LO1) 후단이 PWM제어 되므로 부출력 전압의 전압 변동율이 기존의 방식에서보다 현저하게 줄어든다.
회로 해석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b는 D1과 D3가 ON된 경우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때에 인덕터(쵸크코일: LO2)에 관한 Volt/Sec 평형조건을 적용하면 아래의 관계가 성립한다.
한편, D1과 D3이 OFF되고 D4가 ON된 경우는 도2c 및 도2d와 같다. 이때의Volt/sec 평형조건을 구하면
과 같다. 따라서, 기존의 벅컨버터의 Volt/sec 평형조건만큼, 즉 주출력 전압의 전압만큼 더해 준 것 이외에는 차이가 없게 된다.
도3~7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적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모두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적용한 상태에서 부출력 전압의 안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부가회로를 추가한 실시예들이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주출력 전압측의 반파정류 다이오드(도2a의 D1) 대신에 FET(Q1)를 연결한 것으로서 다이오드 자체의 강하전압(drop voltage)보다 작기 때문에 손실분이 줄어들어 보다 더 효율이 증가된다. 도4는 부출력 전압(Vo2) 측에 별도의 시리즈레귤레이터(series regulator)를 추가하여 부출력 전압의 안정도를 보다 더 강화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5는 도3과 도4의 실시예를 결합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도6은 부출력 전압(Vo2) 출력측에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하여 정전압을 이루기 위한 것이고, 도7은 도3과 도6의 실시예를 결합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개념은 다중출력 전원장치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고효율, 저잡음 그리고, 안정된 부출력 전압이 요구되는 전원공급장치에 사용하면 좋은효과가 예상된다.

Claims (6)

  1. 단일 입력 전압으로부터 주출력 전압(VO1)과 부출력 전압(VO2)을 얻기 위하여 주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p)의 제1단은 GND에, 제2단은 쵸크코일(Lo1)을 통해 주출력 전압(VO1)을 출력하며;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의 제1단은 GND에, 제2단은 쵸크코일(Lo2)을 통해 부출력 전압(VO2)을 출력하며; 상기 주출력 전압(VO1)이 출력되는 쵸크코일(Lo1)의 후단(A)의 전압을 검출하여 스위칭소자를 PWM 제어하는 PWM 제어부로 구성되는 다중출력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s)의 제1단을 주출력 전압(VO1)이 출력되는 쵸크코일(LO1)의 후단(A점)에 연결하여 상기 PWM 제어부에 의해 PWM 제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2. 청구항 1에서, 주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p)에 정류용 FET(Q1)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3. 청구항 1에서, 부출력 전압용 쵸크코일(Lo2)의 출력단에 시리즈레귤레이터가 추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4. 청구항 1에서, 주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p)에 정류용 FET(Q1)가 연결되고, 부출력 전압용 쵸크코일(Lo2)의 출력단에 시리즈레귤레이터가 추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5. 청구항 1에서, 부출력 전압용 쵸크코일(Lo2)의 출력단과 GND 사이에 제너다이오드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6. 청구항 1에서, 주출력 전압용 2차측 권선(Wp)에 정류용 FET(Q1)가 연결되고, 부출력 전압용 쵸크코일(Lo2)의 출력단과 GND 사이에 제너다이오드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KR10-2001-0029207A 2001-05-26 2001-05-26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KR10039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207A KR100392911B1 (ko) 2001-05-26 2001-05-26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207A KR100392911B1 (ko) 2001-05-26 2001-05-26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55A KR20020090255A (ko) 2002-12-02
KR100392911B1 true KR100392911B1 (ko) 2003-07-28

Family

ID=2770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207A KR100392911B1 (ko) 2001-05-26 2001-05-26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373B1 (ko) * 2004-12-30 2006-07-31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바이스로의 2종 전원 공급 장치
US20090184703A1 (en) * 2008-01-17 2009-07-23 Kuhlman Electric Corporation Voltage compensator for dual-secondary voltage transformers
KR20130046196A (ko) * 2011-10-27 2013-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출력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2999B1 (ko) 2022-02-10 2023-10-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출력 절연형 컨버터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075A (en) * 1980-03-31 1981-10-30 Kosuke Harada High accuracy multioutput forward dc/dc converter
JPH01126164A (ja) * 1987-11-06 1989-05-18 Fukushima Nippon Denki Kk 多出力直流電源
JPH02307363A (ja) * 1989-05-23 1990-12-20 Yokogawa Electric Corp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の従出力安定化回路
JPH06178537A (ja) * 1992-12-04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
JPH07322616A (ja) * 1994-05-23 1995-12-08 Nec Eng Ltd Dc−dc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919143A (ja) * 1995-06-30 1997-01-17 Yokogawa Electric Corp 多出力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0324835A (ja) * 1999-05-17 2000-11-24 Sony Corp 多出力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9075A (en) * 1980-03-31 1981-10-30 Kosuke Harada High accuracy multioutput forward dc/dc converter
JPH01126164A (ja) * 1987-11-06 1989-05-18 Fukushima Nippon Denki Kk 多出力直流電源
JPH02307363A (ja) * 1989-05-23 1990-12-20 Yokogawa Electric Corp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の従出力安定化回路
JPH06178537A (ja) * 1992-12-04 199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
JPH07322616A (ja) * 1994-05-23 1995-12-08 Nec Eng Ltd Dc−dc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919143A (ja) * 1995-06-30 1997-01-17 Yokogawa Electric Corp 多出力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2000324835A (ja) * 1999-05-17 2000-11-24 Sony Corp 多出力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55A (ko) 200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053B1 (en) Peak power control technique for primary side controller operation in continuous conduction mode
US7505288B2 (en) DC convert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US8760080B2 (en) Hybrid multi-output power supply and regulation method thereof
US7167028B2 (en) Voltage detection circuit, power supply unit and semiconductor device
JP2739706B2 (ja) Ac−dcコンバータ
US8213193B2 (en) Flyback DC-DC converter with feedback control
US7629781B2 (en) Multi-output switching power supply
US9998022B2 (en) Current limit peak regulation circuit for power converter with low standby power dissipation
EP1988625B1 (en)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s
US10153701B2 (en) Controlling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maximised power efficiency
US20200052598A1 (en) Voltage sense control circuit, voltage sense control method and isolated converter thereof
WO2007040227A1 (ja) 多出力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9990012879A (ko) 전원공급장치의 역률개선회로
US20040032752A1 (en) Flyback converter
CN110601537B (zh) 初级侧恒定电流调节
CN110971107A (zh) 开关电路的控制方法、控制电路及开关电路
KR102603093B1 (ko) 커패시터 전압에 따라 보조 권선 전압을 감지하는 플라이백 컨버터
KR100392911B1 (ko) 다중출력 컨버터의 출력간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JP563900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0401347B (zh) 直流电源装置
JP2011083049A (ja) 電圧変換装置
JP200822857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493520B1 (ko) 이중출력 에스엠피에스 장치
KR100819436B1 (ko) 역률 보상 회로
JP3001057B1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