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648B1 -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648B1
KR100392648B1 KR10-2001-0035577A KR20010035577A KR100392648B1 KR 100392648 B1 KR100392648 B1 KR 100392648B1 KR 20010035577 A KR20010035577 A KR 20010035577A KR 100392648 B1 KR100392648 B1 KR 10039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amount
link
path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753A (ko
Inventor
신용식
류시훈
이동학
임종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64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8End to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이하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환경의 데이터 통신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트래픽이 높은 서비스 질(Quality of Service : QoS)이 요구될 경우 그 해당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 전송을 위해 두 개의 경로(즉, 두 개의 LSP)를 설정하고, 그 설정되는 두 개의 LSP에 전송이 요구되는 해당 트래픽 량을 적절히 분산하여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LSP를 사용할 시의 장점을 모두 획득토록 함과 아울러 단점은 최소화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LSP to adapt MPLS Traffic Engineering in data tele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이하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환경의 데이터 통신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트래픽이 높은 서비스 질(Quality of Service : QoS)이 요구될 경우 그 해당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LS는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IP-based) 망을 비롯한 비동기 전송 방식 상의 인터넷 프로토콜(IP over ATM) 망 및 DWDM 상의 인터넷 프로토콜 IP over DWDM) 망 등 다양한 망에서 전송되는 트래픽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고 망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트래픽 엔지니어링(Traffic Engineering) 방법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기술이다.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사용자들의 IP 패킷에 대한 다양한 QoS 요구를 보다 적절히 수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트래픽 경로 즉, 라벨 스위치 경로(Label Switched Path : 이하 LSP)를 설정하고 있으며, 현재 제안된 대부분의 방법들은 하나의 단-대-단(Point-to-point) 트래픽 전송 요구에 대해 단일 LSP를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 전송을 위해 여러 개의 LSP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LSP 상으로 단-대-단 트래픽이 분할되어 전송되면 전체적인 네트워크 자원활용을 최적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LSP를 따라 전송되는 트래픽에 의한 발생비용(예를 들어, 지연정도)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 전송을 위해 여러 개의 LSP를 운영하면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LSP 경로 결정문제, LSP 설정 프로토콜의 복잡성, LSP별 트래픽 할당 및 대역폭 관리 문제, LSP 운영문제 등 라벨 스위칭 라우터(Label Switching Router : 이하 LSR)에 관련된 오버헤드가 크게 증가된다. 즉, 하나의 단-대-단을 위해 설정하는 LSP의 수와 이에 관련된 오버헤드와는 서로 대응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 전송을 위해 복수개의 LSP를 설정하여 사용할 경우 트래픽 분산을 통해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자원 할용을 최적화하고 트래픽에 의한 발생 비용을 줄일 수 있으는 반면, LSR에 관련된 오버헤드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경로설정 방법들에서 고려하고 있는 링크 및/또는 노드 비용들은 현재 전송이 요구되는 트래픽의 흐름량은 고려하지 않고 주어진 상태에서의 흐름량만을 고려한 비용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최적의 경로설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높은 정도의 서비스 품질(QoS)이 요구되는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 전송을 위해 두 개의 경로(즉, 두 개의 LSP)를 설정하고, 그 설정되는 두 개의 LSP에 전송이 요구되는 해당 트래픽 량을 적절히 분산하여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LSP를 사용할 시의 장점을 모두 획득토록 함과 아울러 단점은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 통신망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라벨 에지 라우터(LER)에서 라벨 스위칭 경로(LSP)를 설정하는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 스위칭 경로(LSP)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 통신망
110 :인그레스 라벨 에지 라우터 120 : 이그레스 라벨 에지 라우터
130,131,132,133 : 라벨 스위치 라우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은,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입구(Ingress)로서의 라벨 에지 라우터(LER)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로서의 라벨 스위치 라우터(LSR)를 통하여 출구(Egress)로서의 라벨 에지 라우터(LER)까지의 단-대-단(Ingress-to-Egress) 트래픽 경로(LSP)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에 대한 기 설정된 일정 비율의 제 1 트래픽 양을 구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망의 노드와 노드간의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 상기 산출된 제 1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하는 제 2 단계; 해당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과 상기 산출된 제 1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거 결과 남아있는 각 대상 링크에 대한 제 1 거리정보값을 구하는 제 3 단계; 상기 산출된 제 1 거리정보값에 근거하여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에서 상기 제 1 트래픽 양을 감산한 제 2 트래픽 양을 구하는 제 5 단계; 상기 통신망의 노드와 노드간의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 제 2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하는 제 6 단계; 해당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과 상기 산출된 제 2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6 단계에서의 제거 결과 남아있는 각 대상 링크에 대한 제 2 거리정보값을 구하는 제 7 단계; 상기 산출된 제 2 거리정보값에 근거하여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 및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 상에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을 각기 분산 할당하여 전송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트래픽 양에서 기 설정된 양만큼 낯춘 트래픽 양을 새로운 제 1 트래픽 양으로 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다시 수행토록 한다.
상기 제 3 단계 또는 상기 제 6 단계는, 해당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각 해당 링크의 제 1 또는 제 2 지연함수값을 구하고, 그 제 1 또는 제 2 지연함수값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거리정보값으로 사용하며, 상기 제 4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산출된 지연함수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링크를 트래픽 경로로 설정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에서의 링크 제거 시, 상기 설정된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를 이루는 링크들도 함께 제거하면,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와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의 중복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단계의 다른 예로, 상기 통신망의 노드와 노드간의 각 링크에 상기 제 1 트래픽 양을 할당한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 상기 산출된 제 2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토록 할 수 있는 바, 이때 제 1 및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그 중복 대상 링크의 여유 용량이 현재 전송해야할 트래픽 용량을 모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전송 상의 문제없이 무난히 전송되게 된다.
상기 제 9 단계는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을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 및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에 대해 기 설정된 일정 비율로 가변 할당하면서, 그 가변 시 각 경로의 해당 링크의 지연함수값을 구하되, 각 경로의 전체 링크에 대한 지연함수값의 합이 최소가 될 때의 할당 비율에 따라,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을 상기 제 1 및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에 분산 할당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 전송을 위해 두 개의 트래픽 경로(LSP)에 대한 설정이 허용되고 전송할 트래픽이 분할되어 전송될 수 있는 상황에서 적용되며, 본 발명에서의 단-대-단(Point-to-Point)은 MPLS 네트워크에서의 입구-대-출구(Ingress-to-Egress)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대-단 트래픽을 위해 두 개의 트래픽 경로(LSP)만을 사용하여도 네트워크 자원 사용정도, 발생비용 등을 크게 개선하게 되므로, 복수개의 LSP를 사용할 시의장점을 모두 획득함과 아울러 단점은 최소화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는 LSP를 설정하고자 할 때 필요한 링크 비용 또는 노드 비용 계산 시, 전송해야 하는 트래픽 흐름량까지 고려하며, 발생되는 비용이 그 흐름량에 대해 지연함수와 같은 비선형(Nonlinear) 비용함수인 경우도 고려하고 있고, 또한 본 발명의 경로 결정방법은 LSP를 위한 두 개의 경로가 서로 겹치지 않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MPLS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 통신망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해당 망(100)은 복수개의 라우터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라우터들 중 임의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망(100)의 입구 역할을 하는 라우터를 인그레스(Ingress) 라벨 에지 라우터(Label Edge Router : LER)(110)라 하고, 출구 역할을 하는 라우터를 이그레스(Egress) 라벨 에지 라우터(Label Edge Router)(120)라 하며, 상기 인그레스 LER(110)과 상기 이그레스 LER(120) 사이에 중간 경로의 노드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라우터들을 라벨 스위칭 라우터(Label Switching Router : LSR)(130)라 하며, 상기 인그레스 LER(110)로부터 상기 LSR(130)을 거쳐 상기 이그레스 LER(120)까지 설정된 트래픽 경로를 라벨 스위치 패스(Label Switch Path : LSP)(LSP1,LSP2)라 하는 바, 이와 같은 LSP는 인그레스 LER(110)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하여 설정되며, 동 도면에서, 예컨대 LSP1은 110→132→133→120으로 설정된 경로를 말하고, LSP2는 110→131→120으로 설정된 경로를 말한다.
도 2는 도 1의 상기 LER(110,120)에서 LSP를 설정하는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 물리적인 스위칭 구조(22), 라우팅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23), 상기 메모리(23)에 저장된 라우팅 테이블을 작성하고 그 작성저장된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상기 스위칭 구조(22)를 제어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1)를 매개로한 트래픽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4)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23)에 저장되는 상기 라우팅 테이블의 작성 시 상기와 같은 LSP도 설정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24)에 적용되어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SP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인그레스 LER(110)에 이미 알려져 있다고 전제한다. 네트워크에 대한 물리적 토플로지(Topology), 비용함수(예를 들어, 지연함수), 네트워크 링크의 초기용량 및 여유용량, 현재 LSP를 요구하는 트래픽에 대한 트래픽 수요 즉,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 MPLS 네트워크 상의 라우터들(LSRs)도 상기 정보를 알고 있다고 전제한다.
먼저,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이하 d 로 표기함)에 대한 기 설정된 일정 비율의 트래픽 양(이하 /d 로 표기함)을 /d=d-αd, 0<α<1 의 수식에 근거하여 산출한 후(S301),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망(100)의 노드와 노드간(예를들어, 110과 131 사이, 132와 133 사이 등)으로 이루어진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하 Ci 로 표기함)이 상기 산출된 트래픽 양 /d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한다(S302). 동 도면에서 상기 단계 S302의 G'(/d) 는 현재의 네트워크 G(m,n)에서 링크의 여유 용량이 /d 미만인 링크를 제거한 네트워크를 나타낸 것이다. m은 링크수 n은 노드 수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 G'(/d)를 만족하는 네트워크의 각 링크 i 에 대해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 yi와 상기 산출된 트래픽 양 /d 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거리정보값 dist(i)를 구하도록 하되, 상기 yi 및 /d 정보를 각 링크에 대한 비용함수로서의 일예로 지연함수 fi(xi)의 변수로 사용할 경우, 상기 거리정보값 dist(i)는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지연함수 fi(yi+/d)를 미분한 함수 fi'(yi+/d)의 결과값으로 정의되므로, 하기 수학식 1 및 yi및 /d 값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리 정보값을 구하도록 한다(S303).
상기 수학식 1에서, i 는 해당 링크를 나타내고(i=1,....,m)(m= 총 링크수), dist(i)는 링크 i 의 거리정보값, tci는 링크 i 의 초기 용량, yi는 링크 i 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 ci 는 링크 i 의 현재 여분 용량으로서 "ci=tci-yi"의 관계가 성립된다. 또한, 각 링크 i 에서의 지연을 나타내는 지연함수를 fi(xi)라 하면"fi(xi)=xi/(tci-xi)"의 수식이 성립되고 여기서 xi 는 링크 i 를 지나는 트래픽 양이다. 그리고, 그 지연함수를 fi(xi)의 미분함수를 fi'(xi)라 하면 "fi'(xi)=ci/(tci-xi)2"의 수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은 지연함수 fi(xi)를 미분한 함수 fi'(xi)에서 변수 xi대신에 yi+/d를 넣어 정리한 결과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fi(xi) 는 링크 i 의 흐름량이 xi 일 때의 발생 비용 함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비용함수의 일예로 지연함수를 사용하였으며, fi'(xi) 는 링크 i 의 흐름량이 xi일 때 단위 흐름당 증가 비용 함수로 여기서는 상기 지연함수의 미분함수를 나타낸다.
참고로, 상기 비용함수는 일예로 지연함수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yi 및 d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링크에 대한 거리정보를 구할수 있는 함수이면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각 링크 i 에 대하여 산출된 상기 거리정보값에 근거하여 첫번째 단-대-단 트래픽 경로(이하 LSP1 이라 표기함)를 설정하는 데, 만일 LSP1이 복수개로 찾아질 경우,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링크를 트래픽 경로로 설정하는 원칙에 의거하여 1개의 LSP1만을 설정토록 한다(S304).
한편, 상기 단계 S304 에서 상기 LSP1이 설정되지 않을 경우 즉, 인그레스 LER과 이그레스 LER을 연결하여 하나의 LSP1을 만들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어떤 링크가 상기 단계 S302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거되어 상기 LSP1이 설정되지 않을 경우, "/d=/d-αd, 0<α<1"의 수식에 근거하여 상기 트래픽 양 /d 에서 기 설정된 양(αd) 만큼 낯춘 트래픽 양을 새로운 트래픽 양 /d 로 설정하여 상기 단계 S302 부터 다시 수행토록 한다(S305).
다음, 상기 단계 S304에서 1개의 LSP1이 설정된 경우, 상기 단계 S30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G'(d-/d) 및 LSP1의 링크 제거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 d 에서 상기 /d를 감산한 트래픽 양(즉, d-/d)을 산출하고, 상기 통신망(100)의 노드와 노드간의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 ci 가 상기 산출된 d-/d의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 및 상기 설정된 LSP1의 경로를 이루는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한다(S306).
이어, 상기 G'(d-/d) 및 LSP1의 링크 제거 조건을 만족하는 네트워크의 각 링크 i 에 대해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 yi와 상기 산출된 트래픽 양 d-/d 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거리정보값 dist(i)를 구하도록 하되, 그 yi 및 d-/d 정보를 각 링크에 대한 비용함수로서의 일예로 지연함수 fi(xi)의 변수로 사용할 경우, 거리정보값 dist(i)는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지연함수 fi(yi+(d-/d))를 미분한 함수 fi'(yi+(d-/d))의 결과값으로 정의되므로, 하기 수학식 2 및 yi및 d-/d 값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거리 정보값을 구하도록 한다(S307).
상기 수학식 2에서의 기호 및 정의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동일하다.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값에 근거하여 두 번째 단-대-단 트래픽 경로(이하 LSP2로 표기)를 설정하는 데, 만일 LSP2가 복수개로 찾아질 경우,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링크를 트래픽 경로로 설정하는 원칙에 의거하여 1개의 LSP2만을 설정토록 한다(S308).
마지막으로, 상기 설정된 LSP1 및 LSP2 상에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 d 를 각기 분산 할당하여 전송하도록 하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근거하여 p1과 p2의 비율을 기 설정된 비율로 가변하면서 xi를 구하되, 그 구해진 xi 값을 하기 수학식 6에 대입하여 그 수학식 6의 결과값이 최소가 될 때의 p1 대 p2 의 비율에 따라, 상기 LSP1 및 상기 LSP2 상에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 d 를 각기 분산 할당하여 전송한다(S309).
, i=1,...,Pkm(k=1또는2) ]
여기서, p1과 p2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에 분산할당할 트래픽 양, d는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 δi 1는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링크 i를 지나면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 δi 2는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링크 i를 지나면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 Pkm은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k=1) 또는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k=2)의 링크 수, ci 는 링크 i 의 현재 여분 용량을 나타낸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은,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의 목적에 적합한 방법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래픽 전송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크게 줄이게 된다. 즉,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측면에서는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트래픽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전송비용을 줄이게 된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LSP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경우 보다 개선된 QoS로써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또한 LSP를 위해 설정하는 두 개의 경로를 비중복(Disjoint) 되게 설정하는 것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에 대해 견고한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Claims (8)

  1.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MPLS)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 통신망에 있어, 입구(Ingress)로서의 라벨 에지 라우터(LER)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로서의 라벨 스위치 라우터(LSR)를 통하여 출구(Egress)로서의 라벨 에지 라우터(LER)까지의 단-대-단(Ingress-to-Egress) 트래픽 경로(LSP)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에 대한 기 설정된 일정 비율의 제 1 트래픽 양을 구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망의 노드와 노드간의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 상기 산출된 제 1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하는 제 2 단계;
    해당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과 상기 산출된 제 1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거 결과 남아있는 각 대상 링크에 대한 제 1 거리정보값을 구하는 제 3 단계;
    상기 산출된 제 1 거리정보값에 근거하여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에서 상기 제 1 트래픽 양을 감산한 제 2 트래픽 양을 구하는 제 5 단계;
    상기 통신망의 노드와 노드간의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 상기 산출된 제 2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하는 제 6단계;
    해당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과 상기 산출된 제 2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6 단계에서의 제거 결과 남아있는 각 대상 링크에 대한 제 2 거리정보값을 구하는 제 7 단계;
    상기 산출된 제 2 거리정보값에 근거하여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 및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 상에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을 각기 분산 할당하여 전송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트래픽 양에서 기 설정된 양만큼 낮춘 트래픽 양을 새로운 제 1 트래픽 양으로 하여 상기 제 2 단계부터 다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또는 상기 제 6 단계는, 해당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과 상기 제 1 또는 제 2 트래픽 양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각 해당 링크의 제1 또는 제 2 지연함수를 구하고, 그 제 1 또는 제 2 지연함수의 미분값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거리정보값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정보값은 "" 의 수학식에 근거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 2 거리정보값은 "" 의 수학식에 근거하여 산출하되, 여기서 i 는 해당 링크를 나타내고(i=1,....,m)(m= 총 링크수), dist(i)는 링크 i 의 거리정보값, tci는 링크 i 의 초기 용량, yi는 링크 i 에서 현재 사용중인 트래픽 양, ci 는 링크 i 의 현재 여분 용량으로서 "ci=tci-yi"의 관계가 성립되고, /d 는 상기 제 1 트래픽 양, d-/d 는 상기 제 2 트래픽 양, d 는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 및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복수개일 경우, 상기 산출된 지연함수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링크를 트래픽 경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단계는, 하기 식 (1), 식 (2) 및 식 (3)에 근거하여 p1과 p2의 비율을 기 설정된 비율로 가변하면서 xi를 구하되, 그 구해진 xi 값을 하기 식 (4)에 대입하여 그 식 (4)의 결과값이 최소가 될 때의 p1 대 p2 의 비율에 따라,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 및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 상에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을 각기 분산 할당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p1과 p2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에 분산할당할 트래픽 양, d는 상기 전송해야할 전체 트래픽 양, δi 1는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링크 i를 지나면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 δi 2는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가 링크 i를 지나면 1이고 그렇지 않으면 0, Pkm은 상기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k=1) 또는 상기 제 2 단-대-단 트래픽 경로(k=2)의 링크 수, ci 는 링크 i 의 현재 여분 용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 식(1)
    , i=1,...,Pkm(k=1또는2) ] --- 식(2)
    --- 식(3)
    --- 식(4)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의 링크 제거 시, 상기 설정된 제 1 단-대-단 트래픽 경로를 이루는 링크들도 함께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통신망의 노드와 노드간의 각 링크에 상기 제 1 트래픽 양을 할당한 전체 링크 중에서, 현재 트래픽 전송가능한 여유 용량이 상기 산출된 제 2 트래픽 양 미만인 링크들을 대상에서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KR10-2001-0035577A 2001-06-21 2001-06-21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KR100392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77A KR100392648B1 (ko) 2001-06-21 2001-06-21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77A KR100392648B1 (ko) 2001-06-21 2001-06-21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753A KR20020096753A (ko) 2002-12-31
KR100392648B1 true KR100392648B1 (ko) 2003-07-25

Family

ID=2771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577A KR100392648B1 (ko) 2001-06-21 2001-06-21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82B1 (ko) * 2002-05-14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피엘에스(mpls)기반 인터넷 망에서의 경로별트래픽 규모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334B1 (ko) 2006-09-04 2012-12-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홉 시스템에서 라우팅 테이블 관리를 위한 장치 및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19A (ko) * 1995-06-19 1997-01-29 이우복 패킷통신용의 다중경로 설정방식
US6009097A (en) * 1997-04-04 1999-12-28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outing packet switched traffic
JP2000138711A (ja) *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ルータ装置及びラベルスイッチパス制御方法
KR20000058644A (ko) * 2000-06-21 2000-10-05 서승호 비동기 전송모드 서비스품질/트래픽 파라메터 기반의계층적 경로설정기법
JP2001007859A (ja) * 1999-05-25 2001-01-12 Lucent Technol Inc ルータ
KR20020036464A (ko) * 2000-11-10 2002-05-16 오길록 멀티 프로토콜 레이블 교환망에서 라우터간의 트래픽흐름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경로 보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519A (ko) * 1995-06-19 1997-01-29 이우복 패킷통신용의 다중경로 설정방식
US6009097A (en) * 1997-04-04 1999-12-28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outing packet switched traffic
JP2000138711A (ja) * 1998-10-30 2000-05-16 Toshiba Corp ルータ装置及びラベルスイッチパス制御方法
JP2001007859A (ja) * 1999-05-25 2001-01-12 Lucent Technol Inc ルータ
KR20000058644A (ko) * 2000-06-21 2000-10-05 서승호 비동기 전송모드 서비스품질/트래픽 파라메터 기반의계층적 경로설정기법
KR20020036464A (ko) * 2000-11-10 2002-05-16 오길록 멀티 프로토콜 레이블 교환망에서 라우터간의 트래픽흐름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경로 보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82B1 (ko) * 2002-05-14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피엘에스(mpls)기반 인터넷 망에서의 경로별트래픽 규모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753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8704B2 (en) Dynamic path routing with service level guarantees in optical networks
US9007956B2 (en) Communicating constraint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path subject to such constraints
EP1844563B1 (en) Inter-domain path computation technique
KR100411251B1 (ko)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다중 경로 배정방법
EP1395003B1 (en) Constraint-based shortest path first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ed optical transport networks
RU2358398C2 (ru) Способ пересылки трафика, имеющего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определенную категорию обслуживани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сети связи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соединений
US75803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ximizing network capacity utilization in multiprotocol label switched networks by moving label switched paths
CN101036126A (zh) 在计算机网络中边界路由器节点发生故障的情况下快速恢复的高效机制
Cianfrani et al. Translating traffic engineering outcome into segment routing paths: The encoding problem
US20080075008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path establishing method
Kalmykov et al. Segment routing as a basis for software defined network
EP2681879A1 (en) Path computation of working and recovery paths
JP2009524970A (ja) 帯域幅分配の最適化を伴うリング上の経路選択
KR100392648B1 (ko) 데이터 통신망에서의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을위한 데이터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KR100392646B1 (ko)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통신망에서의 프로텍션 스위칭을 위한 트래픽 경로 설정방법
KR100392649B1 (ko)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통신망에서의 프로텍션 스위칭 및/또는 패스트 리라우트를위한 트래픽 경로 설정 방법
KR100384045B1 (ko) Mpls 라우터로 구성된 ip 네트워크에서 명시적 경로설정방법
KR100392647B1 (ko)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방식이 적용된 데이터통신망에서의 프로텍션 스위칭을 위한 트래픽 경로 설정방법
KR100405805B1 (ko)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망에서의 멀티캐스팅을 위한트래픽 경로결정 방법
KR100377202B1 (ko) 통신시스템에서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한 최적 경로 설정방법
Durresi et al. IP over all-optical networks-issues
KR100405807B1 (ko)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망에서의 멀티캐스팅을 위한복수개의 트래픽 경로 결정 방법
KR100405806B1 (ko)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망에서의 멀티캐스팅을 위한트래픽 경로결정 방법
KR100981549B1 (ko) Ip 기반의 mpls 네트워크에서 차등화 서비스의서비스 클래스별 터널 설정 방법
KR20060015051A (ko)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에서의 서비스 품질 보장형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