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111B1 -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cdma통신시스템의이동국의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cdma통신시스템의이동국의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111B1
KR100392111B1 KR10-2001-0004692A KR20010004692A KR100392111B1 KR 100392111 B1 KR100392111 B1 KR 100392111B1 KR 20010004692 A KR20010004692 A KR 20010004692A KR 100392111 B1 KR100392111 B1 KR 10039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rength
main base
signal transmitted
hand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646A (ko
Inventor
구사카히로유키
야마오카미치유키
아카오마사히데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75Synchronisation aspects with code phas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계속해서 신호강도가 크다고는 할 수 없는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CDMA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제공한다.
서치 제어부(103)는,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그 리메인 기지국을 확인대상 리메인으로 하여 확인모드로 이행한다.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카운터를 인크리멘트하고, 카운터의 값이 소정치(R)가 되면, 그 리메인 기지국에 핸드오프 한다.
도중에,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이하로 되었을 때에는, 그 시점에서 확인모드를 종료하고, 통상모드로 복귀한다.

Description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의 통신방법{MOBILE STATION OF THE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원접속(CDMA)방식의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그 이동국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부호분할 다원접속(CDMA)방식을 이용한 휴대전화시스템이 광범하게 보급되고 있다.
CDMA방식에서는, 송신국이 의사잡음(PN)계열이라는 특수한 코드를 사용하여 신호를 광역대로 확산 변조하여 송신하며, 수신국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송신측과 동일한 PN계열을 사용하여 역확산 복조하는 것에 의해, 소요의 신호를 복원한다.
여기서, PN계열이란, 직교성을 가지며, 다른 계열과의 상호 상관치는 0 이 되는 성질을 갖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PN계열의 성질에 의해, 복수의 송신국이, 각각 상이한 PN계열을 사용하여 확산 변조한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수신국은, 소망하는 송신국에 대응하는 PN계열로 수신한 신호를 역확산 변조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송신국으로부터의 신호만을 분리 추출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동국이, 통신 접속하는 기지국을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지국에서는, 이동국의 통신 접속선(接續先)의 서치에 제공하기 위한 파일럿신호(제어신호)를 그 기지국 고유의 PN계열로 확산 변조하여 송신하고 있다.
여기서, PN계열의 오프셋치는 PN번호라고 부르며, 0∼511의 값을 취한다.
이 PN번호에 의해 기지국은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PN번호(오프셋치)가 n의 PN계열을 사용하는 기지국을 기지국 n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을 액티브 기지국이라 부른다.
그리고, 액티브 기지국은, 자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기지국의 번호를 나타내는 네이버 리스트를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그 네이버 리스트에 포함되는 기지국을 네이버 기지국이라고 부르며, 액티브 기지국도 네이버 기지국도 아닌 원격(遠隔)에 위치하는 기지국을 리메인 기지국이라고 부른다.
또, 액티브 기지국은, 이동국이 통신접속선을 서치할 때에 이용한다.
리메인 기지국을 서치하는 PN번호의 간격을 나타내는 수 R_INC도 송신한다.
이동국에서는, 통화중에 있어서, 현재의 액티브 기지국보다, 더욱 양호한 기지국이 없는가를 항상 서치하고 있다.
즉, 이동국에서는, 모든 네이버 기지국과, PN번호가 R_INC 마다의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동국에서는, 액티브 기지국 보다 신호강도가 큰 기지국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접속전환)한다.
따라서, 원격에 있는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원격에 있는 리메인 기지국에 핸드오프 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리메인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원격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상향신호)가 도달하기 어렵다.
이는, 이동국에서는, 강한 에너지로 신호를 송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리메인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통신접속이 확립되지 않고 재차 핸드오프 할 곳을 결정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거나, 통신접속이 이루어져도 통신의 품질이 극단적으로 나쁘거나 한다.
둘째, 원격의 리메인 기지국이 액티브 기지국으로 된 경우에는, 그 기지국의 네이버 기지국도 원격의 기지국이 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현 소재지 근방의 기지국은, 리메인 기지국으로 되기 때문에, 반드시 다음 차례의 서치 대상으로는 되지 않는다(리메인 기지국은, R_INC마다 띄엄띄엄 서치된다.).
따라서, 현 소재지 근방의 기지국(일반적으로는, 원격보다 신호강도가 크다.)으로 쉽사리 핸드오프 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이동국의 이동에 수반하여, 페이딩, 즉, 전파(電波)의 전파(傳播)환경이 변화하여, 수신하는 신호의 강도가 변동하는 일이 있다.
또, 리메인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의 거리가 길고, 그 신호는 다양한 전파환경 조건을 통과하여 오는 것이기 때문에, 그 만큼 신호강도도 시간적인 변동을 받기 쉽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에 신호강도가 커도, 때마침 그때에만 크게되었을 수도 있을지 모르며, 측정한 이외의 시점에서도 확실하게 신호강도가 높다는 보증은 없다.
이상과 같이,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였을 경우에는, 많은 폐해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피하고 싶지만, 종래의 기지국의 전환방법에서는, 리메인 기지국이 액티브 기지국보다 신호강도가 한번이라도 크게되면, 그 이외의 시점에서도 계속적으로 신호강도의 크기에 관계없이, 즉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신호강도가 계속적으로 높지는 않은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회피한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CDMA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서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통상모드시의 서치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확인모드시의 서치의 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국(移動局) 101 : 역확산 변조부
102 : 신호강도 산출부 103 : 서치 제어부
104 : 서치 정보기억부 105 : PN계열 발생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현재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보다 큰 신호강도를 갖는 다른 기지국을 서치하는 수단과, 상기 서치한 기지국이, 현재 통신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네이버 기지국인지 그 이외의 리메인 기지국인지를 판정하는 수단과, 리메인 기지국으로 판정하였을 때에는, 해당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국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CDMA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MA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100)은, 역확산 변조부(101)와, 신호강도 산출부(102)와, 서치 제어부(103)와, 서치 정보기억부(104)와, PN계열 발생부(105)로 구성된다.
서치 정보기억부(104)는, 통신중인 기지국의 번호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네이버 기지국의 번호리스트(네이버 리스트라고 부른다)와, 리메인 기지국을 서치하는 간격수 R_INC로 이루어지는 서치 정보를 기억한다.
네이버 리스트와 R_INC는, 액티브기지로부터 송신된 것을 수신하여 기억하고 있다.
도 2는, 서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티브 기지국이 기지국 7이며, 네이버 기지국이, 기지국 2, 기지국 8, 기지국 10, 기지국 12, 기지국 14이고, 리메인 기지국을 서치하는 간격수가 5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PN계열 발생부(105)는, 서치 제어부(103)로부터 기지국의 번호가 지시되면, 그 번호를 오프셋에 갖는 PN계열(확산부호)을 발생시켜, 역확산 변조부(101)로 보낸다.
역확산 변조부(101)는, PN계열 발생부(105)로부터 송출되어오는 PN계열로 역 환산변조하고, 그 PN계열로 확산변조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신호를 추출한다.
신호강도 산출부(102)는, 역확산 변조부(101)에 의해 송출되어 온 기지국마다의 파일럿신호의 강도를 산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마다의 신호의 에너지(Ec)를 신호의 총 에너지(Io)로 나눈 값 Ec/Io를 산출하여, 이것을 신호강도로 한다.
서치 제어부(103)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장 특징적인 구성요소이며, 서치 정보기억부(104)를 참조하여, 서치하여야 할 기지국을 특정하고, 그 기지국의 번호를 PN계열 발생부(105)로 보낸다.
서치 제어부(103)는, 이하의 (A1)에 나타내는 순번으로 서치를 실행한다.
(A1) 액티브 기지국, 모든 네이버 기지국, R_INC마다의 리메인 기지국의 순번으로, 이를 1사이클로서 서치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와 같이, 액티브 기지국이 7, 네이버 기지국이 {2, 8, 10, 12, 14}로, R_INC가 5일 때에는, {7, 2, 8, 10, 12, 14, 0}, {7, 2, 8, 10, 12, 14, 5}, {7, 2, 8, 10, 12, 14, 15}…의 순번으로 서치를 행한다.
여기서, 3사이클 째의 리메인에 대해서는, 기지국 10이 네이버 기지국이므로, 이것을 띄우고, 다시 R_INC(=5)를 가산한 번호의 기지국 15를 선택한 것이다.
또, 서치 제어부(103)는, 이하의 (B1), (B2)의 기준으로, 기지국의 핸드오프를 결정한다.
(B1) 네이버 기지국의 신호강도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보다 크면, 해당되는 최대의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다.
즉, 네이버 기지국의 신호강도는, 때마침 측정한 시점에서 컸을 뿐이거나, 또는 원래가 작은 것이라 하여도, 핸드오프 한 후에는, 곧바로 보다 적합한 근방의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되고, 신호강도가 크다는 것이 계속된다는 보증이 없어도 폐해는 적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한다.
(B2)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그 리메인 기지국을 확인대상 리메인으로 하여 확인 모드로 이행한다.
즉,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컸을 때에는, 곧바로는,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지 않고, 몇 번이고 그 기지국의 신호강도를 확인하는 확인모드로 이행한다.
여기서, 확인모드와 구별하는 것으로서, 확인모드로 이행하기 전의 상태를 통상모드라 부르기로 한다.
다음에, 확인모드 중의 서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모드일 때에는, 이하의 (C1)에 나타내는 순번으로 서치를 행한다.
(C1) 액티브 기지국과 모든 네이버 기지국의 세트를 소정회수 N만큼 서치한 후,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서치를 행하며, 이것을 1사이클로 하여 서치를 반복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와 같이, 액티브 기지국이 7, 네이버 기지국이{2, 8, 10, 12, 14}일 때에, 소정회수 N=3으로 하고, 기지국 15가 확인대상 리메인으로 되었을 때에는,{7, 2, 8, 10, 12, 14, 7, 2, 8, 10, 12, 14, 7, 2, 8, 10, 12, 14, 15}의 순번으로, 이를 1사이클로 하여 서치를 행한다.
또,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모드일 때에는, 이하의 (D1), (D2)의 기준으로, 기지국의 핸드오프를 결정한다.
(D1) 네이버 기지국의 신호강도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해당되는 최대의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다.
즉, 확인모드일 때에 있어서도, 신호강도가 큰 네이버 기지국이 잡히면, 그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한다.
(D2)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카운터를 인크리멘트하고, 카운터 값이 소정의 값 R이 되면,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다.
도중에,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이하가 되었을 때에는, 그 시점에서 확인모드를 종료하고, 통상모드로 복귀한다.
즉,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는 변동하기 쉬운데다,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는 폐해가 크기 때문에, 신호강도가 큰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 한하여,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한다.
〈통상모드시의 서치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국에 있어서의 통상모드시의 서치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통상모드시의 서치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 정보기억부(104)를 참조하여, 액티브 기지국이 되는 기지국을 특정하고, 그 액티브 기지국의 PN계열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역확산 변조부(101)로부터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를 끌어내게 하여, 신호강도 산출부(102)로부터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얻는다(스텝 S201).
다음에,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 정보기억부(104)를 참조하여, 네이버 기지국이 되는 기지국을 특정하고, 액티브 기지국일 때와 동일하게 하여, 모든 네이버 기지국에 대하여 그 신호의 강도를 얻는다(스텝 S202).
서치 제어부(103)는,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중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보다 클 때에는, 그 강도가 최대가 되는 신호를 내고 있는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다(스텝 S203, S204).
한편, 서치 제어부(103)는, 그 신호의 강도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이하일 때에는, 하나의 리메인 서치를 행한다.
즉,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 정보기억부(104)를 참조하여, 액티브도 네이버도 아닌 임의의 하나의 기지국(리메인 기지국)을 선택하여, 그 기지국에 대하여 신호의 강도를 얻는다(스텝 S295).
서치 제어부(103)는,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보다 클 때에는, 그 리메인 기지국을 확인대상 리메인으로 하여 확인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206,207).
한편, 서치 제어부(103)는, 그 신호의 강도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이하가 되었을 때에는, 스텝 S201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206).
그리고, 다음 회의 스텝 S205에 있어서는,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 정보기억부(104) 중의 서치 간격수를 전회에서 선택한 리메인 기지국의 번호에 가한 번호의 기지국을 특정하고, 그 기지국이 액티브도 네이버도 아닌 리메인이면, 그 기지국을 서치하고, 그 기지국이 리메인이 아니면, 다시 서치 간격수를 가한 번호의 기지국이 리메인 인지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 서치 하여야 할 리메인을 결정하고, 그 리메인의 서치를 실시한다.
〈확인모드시의 서치동작〉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이동국에 있어서의 확인모드시의 서치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확인모드시의 서치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대상 리메인의 확인한 회수(신호강도가 액티브 보다 크게 된 회수)를 나타내는 r을 0에 세트하고, 네이버 기지국의 서치한 회수를 나타내는 n을 0에 세트한다(스텝 S301,스텝 S302).
다음에,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 정보기억부(104)를 참조하여, 액티브 기지국이 되는 기지국을 특정하고, 그 액티브 기지국의 PN계열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역확산 변조부(101)로부터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를 끌어내게 하여, 신호강도 산출부(102)로부터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얻는다(스텝 S303).
다음에,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 정보기억부(104)를 참조하여, 네이버 기지국이 되는 기지국을 특정하고, 액티브 기지국일 때와 동일하게 하여, 모든 네이버 기지국에 대하여 그 신호의 강도를 얻는다(스텝 S304).
서치 제어부(103)는,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중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보다 클 때에는, 그 강도가 최대가 되는 신호를 내고 있는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다(스텝 S305, S306).
한편, 서치 제어부(103)는, 그 신호의 강도의 최대치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이하일 때에는, 네이버 기지국의 서치한 회수 n을 인크리멘트한다(스텝 S307).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한 회수 n이, 서치할 회수 N미만일 때에는, 스텝 S303으로 되돌아가서, 액티브와 네이버의 서치를 반복한다(스텝 S308, S303).
한편, 서치 제어부(103)는, 서치한 회수 n이, 서치할 회수 N이 되었을 때에는, 확인대상 리메인의 서치를 행한다.
즉, 서치 제어부(103)는, 액티브 기지국일 때와 동일하게 하여,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에 대하여 그 신호의 강도를 얻는다(스텝 S309).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 신호의 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이하일 때에는, 확인모드를 종료하고, 통상모드로 이행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통상모드의 스텝 S201부터의 처리를 행한다(스텝 S310, S311).
한편,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의 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 보다 클 때에는, 확인대상 리메인의 확인한 회수 r을 인크리멘트한다(스텝 S312).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한 회수 r이, 확인할 회수 R 미만일 때에는, 스텝 S302로 되돌아가서, 액티브의 서치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스텝 S313, S302).
한편, 서치 제어부(103)는, 확인한 회수 r이, 확인할 회수 R로 되었을 때에는, 확인대상 리메인으로 핸드오프 한다(스텝 S313, S314).
〈종합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CDMA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에서는,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컸을 때에는, 즉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지 않고, 소정의 회수 그 리메인 기지국의 신호강도를 검출하여, 어느 경우에나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클 때에 한해,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기 때문에, 그 리메인 기지국이 우연한 한 시점에서 신호강도가 크고, 그러나, 계속적으로는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해 버리는 사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변형예〉
(1) 확인방법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액티브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소정의 회수 전체에 걸쳐서 크게 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정의 회수 측정한 평균치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게 되면,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소정의 회수 측정한 신호강도 가운데 몇 회인가가, 액티브 기지국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2) 확인모드의 유지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인모드에 있어서,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 후에 있어서, 전회의 확인대상 리메인 기지국의 확인대상이 된 사실에 대해서는, 서치에 있어서 아무런 고려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확인모드에 있어서,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였을 때에는, 그 후의 리메인 기지국의 서치에 대해서는, 전회의 확인모드에서 확인대상이 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서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혹은, 확인대상이 된 리메인 기지국만을 계속 서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확인모드에 있어서,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한 후, 전회와 동일한 리메인이 확인대상으로서 선택되었을 때에는, 전회의 카운터치에서부터 카운트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10회까지 확인하고 있었을 때에는, 그 카운터치를 10에서 인크리트멘트 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현재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큰 신호강도를 갖는 다른 기지국을 서치하는 수단과, 상기 서치한 기지국이, 현재 통신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네이버 기지국인지, 그 이외의 리메인 기지국인지를 판정하는 수단과, 리메인 기지국으로 판정한 때에는,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클 때에는, 곧바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이 아니고, 신호강도가 큰 것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확실하게 보증될 때까지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유예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호강도가 크다는 것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확실하게 보증되지 않는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상태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상기 검출수단으로 소정회수 검출시키며, 소정 회수의 신호강도의 평균치가 현재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클 경우에,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소정 회수 검출한 모든 신호강도가 클 때에는, 상당한 확실성을 가지고,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계속적으로 클 것이 보증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신호강도가 클 것이 확실하게 보증되지 않는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상태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상기 검출수단으로 반복해서 검출시키며, 소정 회수 연속하여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현재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클 경우에,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소정회수 검출한 평균치가,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클 때에는, 상당한 확실성을 가지고,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계속적으로 클 것이 보증되기 때문에, 계속해서 신호강도가 클 것이 확실하게 보증되지 않는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또,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검출하는 틈 사이에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상기 검출수단으로 검출시켜,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현재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크면, 그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계속해서 큰 것인지를 확인하고 있는 사이에,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크게 되면, 그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기 때문에, 리메인 기지국 보다도 핸드오프 한 후에 폐해가 적은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으로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검출하는 빈도를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검출하는 빈도 보다 많게 하여 검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계속해서 큰 것인가를 확인하고 있는 사이에 있어서의, 네이버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검출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신호의 전파환경이 양호하게 된 네이버 기지국을 신속하게 발견하여, 그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네이버 기지국에 핸드오프 한 후에도, 상기 검출수단으로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의 검출을 우선하여 실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네이버 기지국에 핸드오프 하였을 때에도, 전회에 있어서 핸드오프를 유예한 리메인 기지국은, 핸드오버 할 수 있는 기지국의 후보로서 가장 유력하기 때문에,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우선적으로 검출함으로서, 핸드오버 하는데 적합한 기지국을 신속하게 발견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의 통신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스텝과, 현재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큰 신호강도를 갖는 다른 기지국을 서치하는 스텝과, 상기 서치한 기지국이, 현재 통신접속하고 있는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네이버 기지국인지, 그 이외의 리메인 기지국인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리메인 기지국으로 판정하였을 때에는,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가 통신접속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 보다 클 때에는, 곧바로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이 아니고, 신호강도가 큰 것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확실하게 보증될 때까지 그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유예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호강도가 크다는 것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확실하게 보증되지 않는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절하지 못한 기지국과 통신접속되어 버리는 CDMA방식을 사용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장 절실한 문제점을 해소시킬수 있어, 그 실용적 효과는 극히 다대하다.

Claims (17)

  1.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인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보다 큰 신호강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기지국을 찾아내는 서치수단;
    상기 서치수단에 의해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제 2 기지국 근처에 위치한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 상기 네이버 기지국이 아닌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서치된 기지국이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이면, 상기 리메인 기지국을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지정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검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소정의 회수만큼 반복하여 검출시켜,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상기 소정의 회수만큼 측정하여 얻은 평균값이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보다 크면,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2. 삭제
  3.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인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보다 큰 신호강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기지국을 찾아내는 서치수단;
    상기 서치수단에 의해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제 2 기지국 근처에 위치한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 상기 네이버 기지국이 아닌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서치된 기지국이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이면, 상기 리메인 기지국을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지정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검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반복하여 검출시켜,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보다 연속하여 큰 회수가 기 설정된 수에 도달하면,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상기 검출수단으로 하여금 검출시키고,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크면, 해당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빈도가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빈도보다 높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로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상기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강도 검출이 다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강도 검출보다 선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7.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인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기지국을 서치하는 찾아내는 서치단계;
    상기 서치단계에서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제 2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 아니면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이 아닌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이면, 상기 리메인 기지국을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지정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시키는 핸드오프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프 제어 단계는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반복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보다 연속하여 큰 회수가 기 설정된 수에 도달하면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 시스템 이동국의 통신방법.
  8. 삭제
  9.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인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기지국을 서치하는 찾아내는 서치단계;
    상기 서치단계에서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제 2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 아니면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이 아닌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이면, 상기 리메인 기지국을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지정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시키는 핸드오프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프 제어 단계는
    핸드오프의 일시적 금지를 지속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기 설정된 소정 회수 검출하고 그 소정 회수 검출된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의 강도에 대한 평균값이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크면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 시스템 이동국의 통신방법.
  10.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인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기지국을 서치하는 찾아내는 서치단계;
    상기 서치단계에서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제 2 기지국의 근방에 위치하는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 아니면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이 아닌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이면, 상기 리메인 기지국을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지정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시키는 핸드오프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프 제어 단계는
    핸드오프의 일시적 금지를 지속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를 소정 회수만큼 검출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보다 큰 회수의 상기 소정의 회수에 대한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보다 크면 상기 금지를 해제하고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 이동국의 통신방법.
  11.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이동국이 현재 통신중인 제 2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보다 큰 신호강도를 갖는 신호를 전송하는 제 1 기지국을 찾아내는 서치수단;
    상기 서치수단에 의해 찾아낸 기지국이 상기 제 2 기지국 근처에 위치한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 상기 네이버 기지국이 아닌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인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및
    상기 서치된 기지국이 리메인 기지국들 중 하나이면, 상기 리메인 기지국을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 지정하고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핸드오프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핸드오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검출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강도를 소정 회수 검출시켜,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강도보다 큰 회수의 상기 소정의 회수에 대한 비율이 기 설정된 비율과 같거나 큰 경우에, 상기 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리메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상기 검출수단으로 하여금 검출시키고,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크면, 해당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빈도가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빈도보다 높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로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상기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강도 검출이 다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강도 검출보다 선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상기 검출수단으로 하여금 검출시키고,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보다 크면, 해당 네이버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빈도가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는 빈도보다 높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제어수단은
    상기 네이버 기지국들 중 하나로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상기 검출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확정된 목표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강도 검출이 다른 리메인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강도 검출보다 선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시스템의 이동국.
KR10-2001-0004692A 2000-03-29 2001-01-31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cdma통신시스템의이동국의 통신방법 KR100392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92291 2000-03-29
JP2000092291A JP3454775B2 (ja) 2000-03-29 2000-03-29 Cdma通信システムの移動局及びハンドオ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46A KR20010093646A (ko) 2001-10-29
KR100392111B1 true KR100392111B1 (ko) 2003-07-22

Family

ID=1860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692A KR100392111B1 (ko) 2000-03-29 2001-01-31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cdma통신시스템의이동국의 통신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56609B2 (ko)
JP (1) JP3454775B2 (ko)
KR (1) KR100392111B1 (ko)
CN (1) CN1168250C (ko)
CA (1) CA2342120C (ko)
HK (1) HK10401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36355C (zh) * 2001-10-10 2009-09-02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处于间断接收模式的小区搜索方法
US6917809B2 (en) * 2001-10-23 2005-07-12 Motorola, Inc. Method for automatically sorting the neighbor list of a cell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379748B2 (en) * 2002-04-26 2008-05-27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peeding up synchronization by having a search frequency list comprising a limited number of search frequencies
US20040203383A1 (en) * 2002-12-31 2004-10-14 Kelton James Robert System for providing data to multiple devices and method thereof
JP3746773B2 (ja) * 2003-06-03 2006-02-15 独立行政法人電子航法研究所 移動局及び移動局側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及び基地局側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4107432B2 (ja) * 2004-03-03 2008-06-25 独立行政法人電子航法研究所 移動局及び移動局側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及び基地局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208526B1 (ko) * 2006-06-12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CN102466791B (zh) * 2010-11-18 2015-02-04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用于医疗系统中无线检测器的系统和方法
EP3147176B1 (en) * 2014-05-20 2022-11-3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4785A (en) * 1996-12-19 1998-12-29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oft handoff
KR19990018250A (ko) * 1997-08-27 1999-03-15 김영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US5920550A (en) * 1996-10-11 1999-07-06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handoff
KR20000031249A (ko) * 1998-11-04 2000-06-05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핸드오프제어방법
JP2000165950A (ja) * 1998-11-30 2000-06-16 Sony Corp パイロット信号検出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224A (en) * 1986-10-17 1990-03-06 Bydatel Corpor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ple acc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US5345467A (en) * 1991-07-10 1994-09-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 CDMA cellular hand-off apparatus and method
US5267261A (en) * 1992-03-05 1993-11-30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station assisted soft handoff in a CDM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987012A (en) 1996-12-19 1999-11-16 Motorola, Inc. Method of handing off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058261B2 (ja) * 1997-05-28 2000-07-0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ハンドオフ方式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セルラーシステムとその基地局
JP3856253B2 (ja) * 1997-10-16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
US6157833A (en) * 1997-11-14 2000-12-05 Motorola, Inc. Method for reducing status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0289843B1 (ko) * 1998-02-05 2001-05-15 이계철 비동기식 셀룰러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의 기지국 획득방법
US6590879B1 (en) * 1998-08-28 2003-07-08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mobile station, base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or performing handoff independently for groups of physical 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hannels
US6456606B1 (en) * 1999-03-24 2002-09-24 Qualcomm Incorporated Handoff control in an asynchronous CDMA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0550A (en) * 1996-10-11 1999-07-06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handoff
US5854785A (en) * 1996-12-19 1998-12-29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oft handoff
KR19990018250A (ko) * 1997-08-27 1999-03-15 김영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KR20000031249A (ko) * 1998-11-04 2000-06-05 서평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핸드오프제어방법
JP2000165950A (ja) * 1998-11-30 2000-06-16 Sony Corp パイロット信号検出方法および無線通信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56609B2 (en) 2005-02-15
HK1040145B (zh) 2005-05-13
HK1040145A1 (en) 2002-05-24
CN1319964A (zh) 2001-10-31
JP2001285910A (ja) 2001-10-12
US20010026542A1 (en) 2001-10-04
CN1168250C (zh) 2004-09-22
JP3454775B2 (ja) 2003-10-06
CA2342120C (en) 2010-10-05
CA2342120A1 (en) 2001-09-29
KR20010093646A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9603B2 (ja) Cdmaセルラー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の位置測定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RU22330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систем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KR100560982B1 (ko) 통신 시스템 사이에서 이동국에 의한 하드 핸드오프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14409B1 (ko) Cdma통신시스템으로부터다른액세스통신시스템으로하드핸드오프를지원하는이동장치를제공하는방법및장치
CA2203256C (en) Pilot signal searching technique for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7324479B2 (en) Cell search method in UMTS
US56803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division duplex pilot signal generation
KR100883486B1 (ko) 무선 단말 장치와, 그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위치 측정 시스템, 위치 계산 방법 및 서버 장치
KR101044566B1 (ko) 기지국들의 식별
US7146164B2 (en) Intelligent base station antenna beam-steering using mobile multipath feedback
US7693106B1 (en) Neighboring base station information update metho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cell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ell search method of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ntrol station
JP5955399B2 (ja) 通信ユーザ機器、デバイス、ユーザ機器及び該ユーザ機器を備えたシステムに影響を及ぼすジャミング送信機の検出方法
KR100392111B1 (ko) Cdma통신시스템의 이동국 및 cdma통신시스템의이동국의 통신방법
US6539006B1 (en) Mobile station capable of determining base station suitability
CN1248875A (zh) 扩展范围的同心小区基站中的越区切换
JP4187100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42508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국 및 이동국의 위치 추적 방법
JPWO2005006797A1 (ja) オーバーリーチ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機
JP2000307473A (ja) Cdma移動通信装置
JP2004072261A (ja) セル検出方法および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