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634B1 -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 Google Patents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634B1
KR100391634B1 KR10-2000-0081570A KR20000081570A KR100391634B1 KR 100391634 B1 KR100391634 B1 KR 100391634B1 KR 20000081570 A KR20000081570 A KR 20000081570A KR 100391634 B1 KR100391634 B1 KR 100391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valve piston
grooves
groov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330A (ko
Inventor
성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6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에 관한 것으로, 통전시 자화되는 자화부(1)에 의해 상승되는 밸브피스톤(2)의 상부에 회전밸브피스톤(3)이 설치되고, 이 회전밸브피스톤(3) 외주표면의 홈(4)과 상기 자화부(1)에 고정된 키이(5)의 작용으로 밸브피스톤(2)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은 완전상승위치와 완전하강위치를 이동하는 중에 회전하면서 승강되고 또한 중간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단부(6)에 눌려지는 전류변환스위치(9)가 자화부(1)에 연결설치된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에 걸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류변환스위치(9)는 가압단부(6)에 의해 눌려 질 때마다 내부의 회동전극이 회전하여 제 1전극(7)과 제 2전극(8) 사이에서 접속상태가 전환됨으로써 본 발명 마그네틱밸브는 운전자가 도어스위치를 조작하는 순간에만 통전상태가 되고, 이 통전상태동안에 밸브피스톤(2)의 위치가 변경되어 흡/배기 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나 배기상태 유지를 위하여 지속적인 전류공급이 필요 없게 되므로 배터리의 방전염려가 없고, 열 발생으로 인하여 밸브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a moment electrified magnetic valve for a bus door}
본 발명은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전상태가 지속되지 않게 됨으로써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내구성 저하로 인해 마그네틱밸브 자체의 수명이 단축되지 않도록 된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도어는 운전자나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며, 도어의 개폐장치로는 깨끗하고 저렴한 공압실린더가 주로 사용되고, 이 공압실린더의 작동에는 전기적으로 제어가 용이한 마그네틱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110)의 양단에 각각 에어탱크(120)로 연결되는 유입관(130,140)이 설치되고, 이 유입관(130,140)에 각각 대기와 연결되는 배출관(170,180)이 형성되며, 이 교차지점에 마그네틱 쓰리웨이밸브(150,160 ; 이하 마그네틱밸브라 칭함)가 설치되는 한편, 이 두 마그네틱밸브(150,160)는 도어스위치(19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밸브(150,160)들은 서로 다른 형식의 밸브로서, 공압실린더(110)의 좌측하단에 연결된 유입관(130)에 설치된 마그네틱밸브(150)는 자화시 배출관(170)과 유입관(130)의 공압실린더(110)측 부분을 연결하여 공압실린더(110)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형식(excitation-exhaust type)이고, 공압실린더(110)의 우측상단에 연결된 유입관(140)에 설치된 마그네틱밸브(160)는 자화시 유입관(140)의 공압실린더(110)측 부분과 에어탱크(120)측 부분을 연결하여 에어탱크(120)의 공기를 공압실린더(110)로 주입시키는 형식(excitation-supply type)의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도어스위치(190)를 ON시켜 상기 마그네틱밸브(150,160)들이 자화되면, 공압실린더(110)의 우측부분에는 공기가 공급되고 좌측부분에는 공기가 배출되므로 피스톤(111)이 좌측으로 움직이면서 도어를 개방시킨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스위치(190)를 OFF시키면, 상기 마그네틱밸브(150,160)의 자화상태가 풀리면서 150번 마그네틱밸브는 유입관(130)의 공압실린더(110)측 부분과 에어탱크(120)측 부분을 연결하여 공압실린더(110)의 좌측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160번 마그네틱밸브는 배출관(180)과 유입관(140)의 공압실린더(110)측 부분을 연결하여 공압실린더(110) 우측의 공기를 대기로 배출한다.
따라서, 앞쪽(도면상 왼쪽)으로 밀린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있던 피스톤(111)이 다시 뒤쪽으로 복귀되면서 도어가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마그네틱밸브(150,160)를 사용하여 공압제어를 행함으로써 도어를 개폐하는 형식에 있어서는, 도어를 개방상태로 오래 유지하면 마그네틱밸브(150,160)에 전류가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가 되어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상태로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어스위치를 OFF상태로 유지한 채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그네틱밸브(150,160)에 장시간 전류가 흐르게 되면 밸브 자체에서 열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밸브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속적인 전류의 공급 없이도 흡기나 배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배터리의 방전이나 밸브의 내구성 저하에 대한 우려 없이 도어를 오랫동안 개방해 둘 수 있도록 된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버스의 도어 개폐용 공압실린더의 도어 개방시 작동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압실린더의 도어 잠금시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마그네틱밸브의 일 구성부인 회전밸브피스톤의 개략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마그네틱밸브의 일 구성부인 전류변환스위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6은 상기 전류변환스위치 내 승강체의 개략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2전극과 회동전극의 접속상태 평면도,
도 8은 도어스위치 조작에 따른 회동전극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9는 상기 회전밸브피스톤의 승강작동에 따른 전류변환스위치의 조작상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화부, 2 : 밸브피스톤,
3 : 회전밸브피스톤, 4 : 홈,
4a,4a′: 곡장홈, 4b,4b′: 수직단홈,
4c,4c′: 곡단홈, 4d,4d′: 수직장홈,
5 : 키이, 6 : 가압단부,
7 : 제 1전극, 8 : 제 2전극,
7a,8a : 전극판, 9 : 전류변환스위치,
10 : 하우징, 10a : 걸림턱,
10b : 리브, 11 : 승강체,
12 : 홈, 12a,12a′: 곡선홈,
12b,12b′: 수직홈, 13 : 회전체,
13a : 키이, 13b : 홈,
13c : 돌출단, 13d : 회동전극.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전시 자화되는 자화부와, 이 자화부의 자화에 의해 상승되는 밸브피스톤과, 이 밸브피스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소정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 홈에 자화부에 장착된 키이가 끼워지고 상부에 가압단부가 형성되는 회전밸브피스톤과, 상기 자화부에 연결된 제 1전극과 제 2전극 및 이 제 1,2전극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밸브피스톤의 가압단부 위쪽에 위치되는 전류변환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밸브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철심에 코일이 권선되어 통전시 자화되는 자화부(1)의 내부에 이 자화부(1)가 자화되었을 때 상승되는 밸브피스톤(2)이 구비되고, 이 밸브피스톤(2)의 상부에는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회전밸브피스톤(3)이 장착되며, 이 회전밸브피스톤(3)의 외주면에는 둘레 전체에 걸쳐 소정형상으로 파여진 홈(4)이 형성되고, 이 홈(4)에는 상기 자화부(1)상에 서로 마주보는 대응위치에 고정된 키이(5)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에의 상부에는 원기둥형상의 가압단부(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자화부(1)의 상부에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이 설치되고, 이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사이에는 전류변환스위치(9)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에 형성된 홈(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밸브피스톤(3)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시계방향으로 하향회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곡장홈(4a,4a′)과, 이 곡장홈(4a,4a′)의 하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 수직단홈(4b,4b′)과, 이 수직단홈(4b,4b′)의 상단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하향회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곡단홈(4c,4c′)및 이 곡단홈(4c,4c′)의 하단에서 수직상승하여 상기 곡장홈(4a,4a′)의 상단에 연결되는 수직장홈(4d,4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곡장홈(4a,4a′)과 수직단홈(4b,4b′)과 곡단홈(4c,4c′) 및수직장홈(4d,4d′)의 쌍들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호 연결된 하나의 홈(4)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류변환스위치(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상단 수평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승하거나 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승강체(11) 및 상기 하우징(10)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회전체(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의 하단과 승강체(11)의 상단에는 각자의 원주상에 서로 걸려지는 걸림턱(10a,11a)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체(11)가 하우징(10)의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음과 더불어 승강체(11)의 외면과 하우징(10)의 걸림턱(10a)에는 각각 수직의 홈(도시되지 않음)과 이 홈에 끼워지는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체(11)는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되 회전하지는 못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13)는 원통형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홈(13b)이 형성되고 이 홈(13b)에 하우징(10)의 내측면이 수평으로 연장성형된 리브(10b)가 끼워져 회전체(13)는 회전운동은 가능하나 상하로 이동될 수는 없도록 되어 있고, 이 회전체(13)의 하단 양측에는 키이(13a)가 고정되며, 이 키이(13a)는 승강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2)에 삽입되며, 또한 회전체(13)의 상부면 중앙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단(13c)이 형성되고, 이 돌출단(13c)에는 반경방향으로 회동전극(13d)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승강체(11)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바, 상부의 임의 위치에서 180°회전된 하부의 위치까지 이어지는 곡선홈(12a)과, 이 곡선홈(12a)의 하점에서 수직상방으로 상기 곡선홈(12a)의 상부높이와 같은 높이까지 형성된 수직홈(12b′)과, 이 수직홈(12b′)으로부터 180°회전하여 상기 곡선홈(12a)의 시작점 수직하방의 지점까지 형성되는 곡선홈(12a′) 및 이 곡선홈(12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곡선홈(12a)의 상단까지 이어져 형성되는 수직홈(12b)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홈(12)은 내주면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곡선홈(12a,12a′)과 한쌍의 수직홈(12b,12b′)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단부에는 각각 반원통형의 전극판(7a,8a)이 형성되는데, 이 두 전극판(7a,8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져 하나의 원통을 이루고 있으나, 양자는 서로 전기적으로는 분리되며, 이 두 전극판(7a,8a)으로 이루어진 원통의 중심에 상기 회전체(13)의 돌출단(13c)이 위치되어 상기 회동전극(13d)은 항상 두 전극판(7a,8a)들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된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에 형성된 홈(4)에서 곡장홈(4a,4a′)의 상단을 A부, 수직단홈(4b,4b′)의 하단을 B부, 곡단홈(4c,4c′)의 상단을 C부, 수직장홈(4d,4d′)의 하단을 D부라 칭하며, 상기 승강체(11)에 형성된 홈(12)에서 곡선홈(12a,12a′)의 상단을 E부, 수직홈(12b,12b′)의 하단을 F부라 칭하기로 한다.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 밸브피스톤(2)과 회전밸브피스톤(3)은 하방으로 내려와 있는 상태 즉, 도 9의 (a)와 같은 상태로서,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은A부가 키이(5)에 걸려 있고, 이때 전류변환스위치(9)의 승강체(11)도 하방으로 내려와 있으며, 회동전극(13d)은 제 1전극(7)의 전극판(7a)과 제 2전극(8)의 전극판(8a) 중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전극판에 접촉되어 있다.
이후, 운전자가 도어스위치(S)를 전환하여 도 8의 (a)와 같이 회동전극(13d)이 접촉되어 있는 전극판의 전극 쪽으로 연결되면 상기 자화부(1)가 자화되어 밸브피스톤(2)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회전밸브피스톤(3)은 동시에 상승하면서 홈(4)과 키이(5)의 작용으로 회전된다(본 발명의 상기 도어스위치는 마그네틱밸브로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것이 아니고 마그네틱밸브로 전류는 항상 공급해 주되 전류공급 경로만을 전환하여 주는 것이고, 통전상태의 단속은 상기 전류변환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키이(5)가 A부에서 곡장홈(4a,4a′)을 따라 하강하여 도 9의 (b)와 같이 B부에 위치되는 경로로 회전밸브피스톤(3)이 회전상승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회전밸브피스톤(3)이 상승하면 이 회전밸브피스톤(3)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단부가 상기 전류변환스위치(9)의 승강체(11)를 상방으로 눌러 주게 된다.
상기 승강체(11)는 회전이 불가하고 회전체(13)의 키이(13a)가 승강체(11)의 홈(12)에 끼워져 있으므로 승강체(11)가 상승할 때 --키이(13a)가 E부에서 곡선홈(12a,12a′)을 타고 F부로 이동하는 경로로-- 회전체(13)는 시계방향으로 180°회전되며, 이에 따라 회전체(13) 상단의 돌출단(13c)에 위치한 회동전극(13d)도 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여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전극(13d)은 제 2전극(8)의 전극판(8a)에서 제 1전극(7)의 전극판(7a)으로 접속위치가 변경되며, 이때 제 1전극(7)에는 전류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므로 마그네틱밸브로의 전류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도 9의 (c)와 같이 상기 밸브피스톤(2)이 하강함에 따라 회전밸브피스톤(3)이 하강하여 키이(5)가 수직단홈(4b,4b′)의 상단인 C부에 걸려지는 높이에 위치되며, 이때 상기 승강체(11)를 회전밸브피스톤(3)의 가압단부(6)가 더 이상 눌러주지 못하므로 승강체(11)는 키이(13a)가 수직홈(12b,12b′)을 따라 F부에서 E부로 이동하는 경로로 하강한다.
이후, 운전자가 도 8의 (c)와 같이 도어스위치(S)를 반대로 조작하면 전류는 현재 회동전극(13d)이 접속되어 있는 제 1전극(7)쪽으로 인가되므로 마그네틱밸브는 다시 통전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자화부(1)가 자화되어 도 9의 (d)에서와 같이 밸브피스톤(2)이 다시 상승하므로 회전밸브피스톤(3)이 키이(5)가 C부에서 곡단홈(4c,4c′)을 따라 D부로 이동하는 경로로 회전상승되고, 이 회전밸브피스톤(3)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승강체(11)가 가압단부(6)에 의해 다시 눌려지면서 상승하고, 이에 따라 회전체(13)가 다시 곡선홈(12a,12a′)을 따라 180°회전하므로 상기 회동전극(13d)이 도 8의 (d)에서와 같이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제 2전극(8)의 전극판(8a)에 접속되므로 마그네틱밸브는 다시 비통전상태가 되며, 이에 밸브피스톤(2)이 다시 하강하므로 회전밸브피스톤(3)은 키이(5)가 수직장홈(4d,4d′)을 따라 D부에서 A부로 이동하는 경로로 하강하여 도 9의 (a)와 같은 최초 상태로 복귀하며, 이때 상기 승강체(11)도 하강하여 원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의 A부에 키이(5)가 걸려 있는 위치에서 밸브피스톤(2)이 유로를 흡기상태로 유지하고 회전밸브피스톤(3)의 C부에 키이(5)가 걸려 있는 위치에서 유로를 배기상태로 유지하도록 밸브의 구조를 설정하거나, 반대로 회전밸브피스톤(3)의 C부에 키이(5)가 걸려 있는 위치에서 밸브피스톤(2)이 유로를 흡기상태로 유지하고 회전밸브피스톤(3)의 A부에 키이(5)가 걸려 있는 위치에서 유로가 배기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하면 본 발명 마그네틱밸브는 비통전상태에서 흡기나 배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를 장시간 열어 두어야 할 때도 마그네틱밸브에 전류공급을 계속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 마그네틱밸브는 밸브피스톤(2)의 위치를 변경하여 유로를 흡기상태에서 배기상태로 전환하거나 배기상태에서 흡기상태로 전환할 때만 통전상태가 되므로 통전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것에 의하여 배터리가 방전된다거나 밸브 자체의 열발생으로 인하여 밸브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밸브를 버스의 도어개폐장치에 적용하면, 마그네틱밸브에 지속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에어탱크의 공압이 공압실린더에 계속 작용하는 흡기상태나 공압실린더의 공압을 대기로 방출하는 배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를 장시간 열어 두고자 할 경우에도 마그네틱밸브가 지속적인 통전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마그네틱밸브로의 전류공급으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지속적으로 통전상태를 유지할 경우 마그네틱밸브에서 열이 발생되던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마그네틱밸브의 내구성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하여 종래에 운전자가 도어가 정확히 닫혀 있는지 도어의 개방상태여부를 점검하였으나, 본 발명 마그네틱밸브를 적용할 경우 도어가 열려 있다 하더라도 배터리 방전의 위험이 없으므로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기 위한 도어의 개방상태 점검은 필요 없게 되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또 다른 장점도 있다.

Claims (6)

  1. 통전시 자화되는 자화부(1)와, 이 자화부(1)가 자화되었을 때 자화부(1)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자화부(1)의 자력이 상실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는 밸브피스톤(2)을 갖춘 버스도어용 마그네틱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피스톤(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홈(4)에 상기 자화부(1)에 고정된 키이(5)가 삽입되어 밸브피스톤(2)의 상승시 회전하면서 상승되고 밸브피스톤(2)의 하강시 수직하강되며 완전상승위치와 완전하강위치의 사이에서 재작동될 때 까지 중간위치를 유지하는 한편, 상단부에는 원기둥형상의 가압단부(6)가 형성된 회전밸브피스톤(3)과;
    상기 자화부(1)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자화부(1)의 상부로 연장성형되어 있는 제 1전극(7)과 제 2전극(8) 및;
    상기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의 가압단부(6) 위쪽에 위치되어 회전밸브피스톤(3) 상승시 가압단부(6)에 의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으로의 전류 연결상태를 전환해 주는 전류변환스위치(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의 홈(4)은 회전밸브피스톤(3)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시계방향으로 하향회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곡장홈(4a,4a′)과, 이 곡장홈(4a,4a′)의 하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 수직단홈(4b,4b′)과, 이 수직단홈(4b,4b′)의 상단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하향회전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곡단홈(4c,4c′)및 이 곡단홈(4c,4c′)의 하단에서 수직상승하여 상기 곡장홈(4a,4a′)의 상단에 연결되는 수직장홈(4d,4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곡장홈(4a,4a′)과 수직단홈(4b,4b′)과 곡단홈(4c,4c′) 및 수직장홈(4d,4d′)의 쌍들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변환스위치(9)는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상단 수평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밸브피스톤(3)의 가압단부(6)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상승되는 승강체(11)와; 이 승강체(11)가 상승될때마다 180°회전되어 상단의 돌출단(13c)에 설치된 회동전극(13d)이 상기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사이에서 접속전환되는 회전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11)의 내주면에는 상부의 서로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180°회전된 하부의 두 마주보는 지점까지 형성된 한쌍의 곡선홈(12a,12a′)과, 이 두 곡선홈(12a,12a′)의 하점에서 대응되는 곡선홈의 상단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쌍의 수직홈(12b,12b′)으로 이루어진 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3)의 하단 양측에 키이(13a)가 고정되고, 이 키이(13a)는 상기 홈(12)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체(13)의 상부 외주면 둘레에 수평의 홈(13b)이 형성되고, 이 홈(13b)에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리브(10b)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6. 제 3에 있어서, 상기 제 1전극(7)과 제 2전극(8)의 단부에는 각각 회동전극(13d)이 접촉되는 전극판(7a,8a)이 형성되되, 이 전극판(7a,8a)은 각각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상태에서 상기 회동전극(13d)의 회전반경을 감싸는 원통형상을 이루되, 양자는 서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KR10-2000-0081570A 2000-12-26 2000-12-26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KR100391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570A KR100391634B1 (ko) 2000-12-26 2000-12-26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570A KR100391634B1 (ko) 2000-12-26 2000-12-26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330A KR20020052330A (ko) 2002-07-04
KR100391634B1 true KR100391634B1 (ko) 2003-07-12

Family

ID=2768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570A KR100391634B1 (ko) 2000-12-26 2000-12-26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344B1 (ko) * 2016-05-16 2017-02-08 조민선 수격 흡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105A (en) * 1981-05-15 1982-11-22 Ckd Corp Rotation driving apparatus
KR940026544U (ko) * 1993-05-15 1994-12-08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버스도어개폐용 스윙 실린더의 피스톤구조(swing cylinder piston)
KR20020052238A (ko) * 2000-12-26 2002-07-04 구자홍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105A (en) * 1981-05-15 1982-11-22 Ckd Corp Rotation driving apparatus
KR940026544U (ko) * 1993-05-15 1994-12-08 동아특수정밀 주식회사 버스도어개폐용 스윙 실린더의 피스톤구조(swing cylinder piston)
KR20020052238A (ko) * 2000-12-26 2002-07-04 구자홍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감도를 표시하는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330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15664T3 (es) Cierre para un aparato doméstico
EP1069582A4 (en) SECURITY LOCK
JP3967430B2 (ja)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KR100391634B1 (ko) 버스도어용 순간통전식 마그네틱밸브
JP2001050405A5 (ko)
KR200383943Y1 (ko) 가스보일러용 삼방변
CN108878186A (zh) 一种大开距双电源自动转换开关
CN113584802B (zh) 一种定时器及干衣机
CN110703659B (zh) 一种三位置切换的电动机构控制装置
CN109509646A (zh) 开关装置
CN208294276U (zh) 一种可手动操作的电动开闭门盖执行器的门锁
CA2449533A1 (en) Safety switch
JP4201963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真空バルブ開閉機構
CN218780807U (zh) 一种三通电磁操作阀
CN218915083U (zh) 电暖器
CN109961970A (zh) 转换开关及其制造方法
KR100421268B1 (ko) 컨테이너 카 바닥판의 롤 플레이트 승강장치
CN2437916Y (zh) 微功率电控阀
KR100746947B1 (ko) 차량의 주유구리드 제어 시스템
CN106783259A (zh) 低压隔离开关的储能弹簧操作机构
KR100832491B1 (ko)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KR0115653Y1 (ko)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KR100292281B1 (ko) 자동차도어중앙잠금장치
KR200281996Y1 (ko) 산업차량용작업기레버의스위치작동장치
KR101020946B1 (ko) 통합형 캡 틸팅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