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478B1 -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478B1
KR100390478B1 KR10-2001-0008643A KR20010008643A KR100390478B1 KR 100390478 B1 KR100390478 B1 KR 100390478B1 KR 20010008643 A KR20010008643 A KR 20010008643A KR 100390478 B1 KR100390478 B1 KR 100390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ntaerythritol
compound
coating composition
urethan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572A (ko
Inventor
안희석
진문상
장주현
Original Assignee
대한잉크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잉크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잉크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47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5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containing ester groups other than acrylate or alkylacrylate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08K5/08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0.9∼1 당량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 당량의 펜타에리스리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의 혼합물을 금속 촉매 및 비닐계 화합물의 중합억제제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도록 한다. 얻어지는 반응물에 10∼70 중량%의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를 첨가하여 희석시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도록 한다. 이를 함유하는 도막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던 하드코팅제에 비하여 고경도 및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하여 플라스틱 특히 아크릴 수지 성형품의 표면 경도 보강재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Method Of Preparing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 아크릴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성형물에 코팅하여 성형품의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한성,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의 보호 코팅용 도막 조성물은 아크릴 락카, 2액형 아크릴 우레탄, 오가노 실란을 이용한 열경화형 도막 조성물, 멜라민 수지계 조성물을 이용한 열경화형 도막 조성물 또는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이용한 도막 조성물이 사용되었으나 점차 생산성 및 고 내마모성의 품질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주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를 이용한 도막 조성물과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하드코팅제 및 열경화형 실리콘 하드코팅제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199496호에 제시된 자외선 경화형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도막 조성물은 내마모성 및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관능기 수가 많은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내마모성 및 경도는 향상되었으나 내충격성, 부착성, 유연성, 내열한성 등에서 품질 불량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일특개평 제5-214044호에서는 부착성 및 유연성, 내열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낮은 관능기의 아크릴레이트인 폴리에틸렌글리콜계 아크릴레이트와 폴리프로필렌계 디아크릴레이트, 3관능 이상의 비닐계 단량체 등을 혼합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내마모성 및 경도가 요구 물성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나타내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미국 특허 제4,299,746호 및 3,986,997호에서는 콜로이달 실리카와 알콕시 실란의 축합물을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실리콘 하드코팅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유연성 및 내충격성, 작업성 불량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제조방법울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내마모성, 부착성, 경도, 내열한성 및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0.9∼1 당량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 당량의 펜타에리스리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의 혼합물을 금속 촉매 및 비닐계 화합물의 중합억제제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얻어지는 반응물에 상기 반응물에 대하여 10∼70 중량%의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를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70 중량%,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 70∼10 중량%, 광개시제 1∼10 중량% 및 표면 조절용 첨가제 0.1∼1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를 위해 적용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이들의 사용량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노르보난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에 사용되는 펜타에리스리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로서는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가 가능한 적고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와 테트라아크릴레이트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이들 반응물의 관능기 수를 최대한 높여 평균 관능기를 5개 이상으로 하여 도막의 경도를 향상시키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제조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디아크릴레이트가 너무 많으면 반응중 분자량이 너무 커져 겔화의 위험이 있으며 점도가 너무 높게 되어 도장 작업시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각각 단량체의 비율은 디아크릴레이트가 5 중량% 이하, 트리아크릴레이트 50 중량% 이상이고 나머지 잔량이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비는 당량비로 1:1 이 되도록 하되 잔류하는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없도록 당량비로 0.9∼1 : 1 이 되도록하는 것이 좋다.
적용되는 금속 촉매로서는 주석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의 사용량은 촉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미량이면 가능하나 반응성 희석제를 제외한 출발 물질의 양에 대하여 200ppm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중합억제제로는 하이드로퀴논, p-벤조퀴논, t-부틸하이드로퀴논,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사용량은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한 총량의 200-600ppm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을 금속 촉매 및 중합억제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킬 때 반응의 종료점은 이소시아네이트(NCO) 피크가 없어질 때이며, 본 발명자들의 반복적인 실험 결과, 60∼80℃의 온도 범위에서 4∼8 시간 동안 수행하면 대체로 반응이 완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인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는 자외선 경화시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단독 사용하면 경화 도막의 가교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도막이 부서지기 쉬워지는 것(brittle)을 막아주는 중요한 요소로서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가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사이에 끼어들어 도막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의 사용량은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펜타에리스톨과 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반응물 총량에 대하여 10∼7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이의 사용량이 10 중량% 보다 적을 경우 도막의 부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의 사용량은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중량% 범위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주어진 조건을 고려하여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적용가능한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적용되는 각 성분의 종류 및 이들의 사용량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70 중량%,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 70∼10 중량%, 광개시제 1∼10 중량% 및 표면 조절용 첨가제 0.1∼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는 자외선 경화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반응하여 도막의 경도, 내마모성 및 기타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주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합물 중에서 3관능기 이상의 아크릴레이트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도막 조성물의 제조를 위하여 주성분으로서 10-70 중량%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와 70-10 중량%의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가 사용된다. 이들은 중량비로 1:7∼7:1의 비율로 사용되는데, 이는 얻어지는 도막의 경도, 내마모성, 부착성, 조성물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한정된 범위이다.
만약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경도, 내마모성, 부착성이 떨어지며 7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도장 작업성이 불량해진다. 그러므로 도막의 성능과 점도를 고려하여 10-7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의 사용량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사용량에 반비례하므로 이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상대적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사용량도 주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상술한 부작용이 초래된다.
본 발명에 사용한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질 디메탈 케탈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벤질케탈계 화합물,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2-디메톡시-2-페닐 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크로헥실 페닐 케톤, 1-하이드록시 디메틸 페닐 케톤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사용량은 도막 조성물 전체양의 1-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조절용 첨가제는 도막의 슬립(slip) 및 레벨링(levelling)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로서, 실리콘 화합물,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BYK-306, 310 TEGO RAD-2500, 선경-UCB EB-350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조절용 첨가제의 사용량은 도막 조성물 전체양의 0.1 -10 중량% 범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막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도막 조성물에는 경화 도막의 소광 효과를 위하여 소광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소광제로는 실리카 분말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과 같은 합성 고분자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SYLOID 244, OK-412, MZUKASIL P-802Y 및 LANCO WAX PP-1362D, TF-1778, TF-1780 등을 들 수 있다. 이의 사용량은 도막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로 하는데 1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아크릴 등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에 코팅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작업 방법은 스프레이, 디핑, 롤 코팅 등의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성형품의 형상과 재질, 도막 두께에 따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작업방법에 따라 적당량의 유기 용제를 첨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기 용제로는 아세테이트계 화합물, 케톤계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의 사용량은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대하여 3:1∼1:3의 중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온도계, 콘덴서, 적하 깔때기, 교반기가 장착된 4구 플라스크에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3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52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45 중량%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1030g을 넣고, 여기에 디부틸딘디라우레이트 200ppm과 비닐기 중합 억제제인 t-부틸 하이드로퀴논 400ppm을 첨가하였다. 70℃로 승온하여 1시간 동안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당량을 적하한 다음 6시간 동안 유지 반응하였다. 적외선 분광 광도법(IR) 으로 NCO 피크가 없는 것을 확인한 후 60℃로 냉각하여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537.3g으로 희석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동일 당량으로 사용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대신에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17.7g을 사용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제외하고 수행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동일 당량으로 사용하고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제외하고 수행하여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합성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5 중량%,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36 중량%, 아세토페논계 광개시제인 1-하이드록시사이크로헥실 페닐 케톤 8 중량% 및 첨가제 1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합성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31 중량%,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10 중량%, 아세토페논계 광개시제인 1-하이드록시디메틸 페닐 케톤 8 중량% 및 첨가제 1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서 합성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60 중량%,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31 중량%, 아세토페논계 광개시제인 1-하이드록시디메틸 페닐 케톤 8 중량% 및 표면 조절용 첨가제 1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에서 합성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30 중량%, 트리메탄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1 중량%, 아세토페논계 광개시제인 1-하이드록시사이크로헥실 페닐 케톤 8 중량% 및 첨가제 1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2에서 합성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50 중량%,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25 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4 중량%, 아세토페논계 광개시제인 1-하이드록시사이크로헥실 페닐 케톤 10 중량% 및 첨가제 1 중량%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성시험을 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에 에틸아세테이트/부틸아세테이트의 1:1 혼합 용제로 50 중량%로 희석하여 아크릭 소재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소재에 직접 및 메탈릭 중도재를 도장한 시편에 스프레이 작업으로 10㎛ 두께로 코팅 후 자외선 경화기를 통하여 UV 경화한 후 물성을 비교하였다. 경화조건은 80W/cm 의 고압 수은등 2개를 조사거리 10cm에서 조사하여(800∼1200mj/cm2) 완전 경화하였다.
물성시험 결과는 표 1과 같다. 결과는 소재에 직접 코팅한 경우와 메탈릭 중도재를 도장한 시편에 코팅한 경우에 얻어지는 결과를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4 비교예 5
경도 5H 4H 4H 2H 3H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55/100 80/100
내마모성
내알콜성
내열한성 ×
내온수성
내용제성
내스크래치성
유연성 ×
상기 표 1에서, ○는 우수, △는 보통, ×는 불량을 의미한다.
상기 각 항목에 대한 물성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경도: ASTM D 3363-74 연필 시험에 의한 필름 경도 측정법
2) 부착성: ASTM D 3359-93 접착에 대한 시험법
3) 내마모성: 테이버사의 M 503 Abrasion Tester CS-10, 500g, 100 회전 후 외관검사
4) 내알콜성: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n-부탄올의 혼합물에 24시간 침적 후 광택 측정
5) 내열한성: -20℃(1시간)∼상온(1시간)∼60℃(1시간)/3회 반복 후 외관검사
6) 내온수성: 40℃ 온수에서 24시간 침적 후 부착성 측정
7) 내용제성: 메틸 에틸 케톤 1시간 침적 후 광택 측정
8) 내스크래치성: Steel wool 로 3회 러빙하여 스크래치 확인
9) 유연성: 경화 필름을 꺽어서 도막의 부스러짐 정도 확인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은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및 메탈릭 중도재의 피막 보호용으로 사용될 때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한성, 유연성 등의 여러 가지 항목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도막 조성물은 피도체인 사출 및 압출물, PC, 아크릴 부품 등에 내마모성, 부착성, 내후성 등을 부여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도체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양호하게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의 윈도우, PMMA, PC, ABS 사출 성형품, 압출 성형품의 원코트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마모성, 부착성, 내열한성 등과 같은 물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제조할 수 있고, 이를 함유하는 도막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던 하드코팅제에 비하여 고경도 및 유연성을 동시에 만족하여 플라스틱 특히 아크릴 수지 성형품의 표면 경도 보강재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0.9∼1 당량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 당량의 펜타에리스리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의 혼합물을 금속 촉매 및 비닐계 화합물의 중합억제제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얻어지는 반응물에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10∼70 중량%의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를 첨가하여 희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노르보난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스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이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스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이 5 중량% 이하의 펜타에리스리톨 디아크릴레이트, 50 중량% 이상의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잔량의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가 주석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억제제가 하이드로퀴논, p-벤조퀴논 및 t-부틸하이드로퀴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반응 화합물의 반응이 60∼80℃의 온도 범위에서 4∼8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단관능 비닐계 단량체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청구항 1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70 중량%,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 70∼10 중량%, 광개시제 1∼10 중량% 및 표면 조절용 첨가제 0.1∼1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비닐계 단량체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질 디메탈 케탈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및 벤질케탈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절용 첨가제는 실리콘 화합물,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10 중량% 이하의 소광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아세테이트계, 케톤계 및 방향족 유기 용제를 도막 조성물 총량과 3:1∼1:3의 중량비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조성물.
KR10-2001-0008643A 2001-02-21 2001-02-2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KR10039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643A KR100390478B1 (ko) 2001-02-21 2001-02-2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643A KR100390478B1 (ko) 2001-02-21 2001-02-2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572A KR20020068572A (ko) 2002-08-28
KR100390478B1 true KR100390478B1 (ko) 2003-07-04

Family

ID=2769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643A KR100390478B1 (ko) 2001-02-21 2001-02-2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8371B2 (en) 2015-08-03 2018-11-06 Lg Chem, Ltd. Flexible plastic film
US10233355B2 (en) 2015-08-03 2019-03-19 Lg Chem, Ltd. Flexible plastic film
US10626292B2 (en) 2015-08-03 2020-04-21 Lg Chem, Ltd.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954B1 (ko) * 2005-12-16 2007-01-19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모바일 폰 상도 코팅용 고관능 광경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KR101110623B1 (ko) * 2009-12-24 2012-02-20 한국조폐공사 자외선 경화형 전색제 및 요판잉크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483A (en) * 1974-08-23 1981-04-28 Whittaker Corporation Decorating ink
JPS59115317A (ja) * 1982-12-22 1984-07-03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硬化性組成物
EP0329441A1 (en) * 1988-02-19 1989-08-23 Uvexs Incorporated UV curable conformal coating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perties
KR0154396B1 (ko) * 1995-03-14 1998-11-16 김기협 유리접합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202091B1 (ko) * 1997-01-21 1999-06-15 하영준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관능성 반응형 4급 암모늄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9990083385A (ko) * 1998-04-23 1999-11-25 빌프리더 하이더 Uv-경화이소시아네이트기를갖는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함유하는수성코팅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483A (en) * 1974-08-23 1981-04-28 Whittaker Corporation Decorating ink
JPS59115317A (ja) * 1982-12-22 1984-07-03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硬化性組成物
EP0329441A1 (en) * 1988-02-19 1989-08-23 Uvexs Incorporated UV curable conformal coating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perties
KR0154396B1 (ko) * 1995-03-14 1998-11-16 김기협 유리접합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202091B1 (ko) * 1997-01-21 1999-06-15 하영준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관능성 반응형 4급 암모늄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9990083385A (ko) * 1998-04-23 1999-11-25 빌프리더 하이더 Uv-경화이소시아네이트기를갖는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함유하는수성코팅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8371B2 (en) 2015-08-03 2018-11-06 Lg Chem, Ltd. Flexible plastic film
US10233355B2 (en) 2015-08-03 2019-03-19 Lg Chem, Ltd. Flexible plastic film
US10626292B2 (en) 2015-08-03 2020-04-21 Lg Chem, Ltd.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US11161951B2 (en) 2015-08-03 2021-11-02 Lg Chem, Ltd. Coating composition for flexible plastic film
US11168191B2 (en) 2015-08-03 2021-11-09 Lg Chem, Ltd. Flexible plastic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572A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9405B2 (en) Low viscosity mult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oligomer-containing high solid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KR101247714B1 (ko) 플라스틱 기재용 도료 조성물, 그것에 의해 형성된 도막 및 그 형성체
US5571570A (en) UV curable blend compositions and processes
KR101340139B1 (ko) 코팅된 필름
CA2107353C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EP1951830B1 (en) High-solid uv-curable coating composition
EP0583355B1 (en) Uv curable blend compositions and processes
CN102791484A (zh) 车辆用部件及其制造方法
US6110988A (en) UV-curable hard coat compositions and processes
WO2006115085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物品及び成形体
IE83277B1 (en) UV curable clearcoat compositions and process
CN102791756A (zh) 活性能量线固化性组合物、带有固化膜的聚碳酸酯树脂成型体及其制造方法
EP2647678B1 (en) Clea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that uses same
WO2004083327A1 (en) Uv curable paint composition with high operating efficiency
JP2012017404A (ja) 光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
KR100390478B1 (ko)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막 조성물
KR101543894B1 (ko) 코일-코팅용 자외선 경화형 상도 수지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된 코일-코팅 강판
JPS6114211A (ja) 光ファイバー心線二次被覆材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2000219712A (ja) アクリレート系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床材塗装用組成物
US6316515B1 (en) UV curable hardcoat compositions and processes
JPH11286531A (ja) 非結晶性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及びその組成物
WO2005054386A1 (ja) 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塗工してなる塗装物
EP2647679B1 (en) Clea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that uses same
JP2006063163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物
JP522950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