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116B1 -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116B1
KR100389116B1 KR10-2000-0027281A KR20000027281A KR100389116B1 KR 100389116 B1 KR100389116 B1 KR 100389116B1 KR 20000027281 A KR20000027281 A KR 20000027281A KR 100389116 B1 KR100389116 B1 KR 10038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ribute
ori
name
database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543A (ko
Inventor
장준석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장준석
김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석, 김형일 filed Critical 장준석
Priority to KR10-2000-002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116B1/ko
Priority to AU2001232361A priority patent/AU2001232361A1/en
Priority to PCT/KR2001/000096 priority patent/WO2001055915A1/ko
Publication of KR2001010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홈페이지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전화번호 등의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성 있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ORI)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특정 객체(회사, 단체, 개인 등)에 대해 매체(홈페이지, 전화번호, 팩스번호, 특정 문서 등)를 일률적으로 표현한다. ORI는 [식별부호][객체].[속성]와 같은 표현양식을 갖는다. 식별부호로는 "#", "$", "!" 등의 일반적으로 URL에서 사용되지 않는 특수기호를 사용하며, 객체는 소수점으로 분리된 다수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객체는 다수의 속성을 가진다. 속성은 매체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컨텐츠 자체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객체나 속성을 참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표현된 ORI는 ORI서버에서 각각의 매체 주소(URL,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등)로 변환된다. 사용자는 ORI를 사용하여 해당 목적지에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 그 시스템 {Representation method which can refer to destinations of objects consistently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객체의 목적지 표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페이지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전화번호, 주소, 해당 객체에 관한 컨텐츠 등의 객체 목적지를 일관성 있게 참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의해 전신, 전화, 텔렉스, 팩스, 휴대전화, 전자우편,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 다양한 통신 수단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통신수단인 편지는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통신수단은 통신 상대방과 항상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교환수단을 사용하여 통신 상대방에게 연결되게 되어 있으므로, 통신의 상대방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유일하게 통신의 상대방을 구분할 수 있는 표기방법이 필요하다.
편지의 경우에는 주소가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고, 전화번호, 팩스번호, 전자우편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디 등이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발달에 따라 홈페이지 내의 특정 문서를 구분하기 위해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라는 표기방법이 도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방법은 통신수단에 따라서 각각 별개의 방식으로 표현된다. 즉, 전화나 팩스의 경우에는 여러 자리의 숫자로 표현되고, 전자우편주소는 "영문아이디@도메인명"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되고, 인터넷상의 문서는 URL이라는 형식으로 표현된다. 이하, 통신 상대방을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화번호, 팩스번호, 전자우편주소 등을 통칭하여 "식별자"라고 부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통신수단마다 독특한 식별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통신수단의 식별자가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야만 하였다. 예를 들면, 홍길동에게 전자우편을 보내려고 하여도 홍길동의 전자우편주소를 알지 못하면 보낼 수가 없는 것이다. 설령, 홍길동의 집전화번호를 알고 있다고 하여도 집전화번호만으로는 홍길동의 전자우편주소를 유추해낼 수 없다. 또한, 같은 통신수단이라고 하여도 홍길동의 집전화번호로부터 홍길동의 회사전화번호를 유추할 수는 없다.
인터넷 주소로 사용되는 URL의 경우에도 가령 '청와대'의 홈페이지를 찾아가려면 해당 URL을 정확히 입력하거나 또는 검색엔진을 통해 청와대를 검색한 다음에 찾아가야 한다. 그런데, 청와대의 URL이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www.bluehouse.go.kr'이나 'www.chungwadae.go.kr'이 아니라 'www.cwd.go.kr'인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URL을 정확하게 기억하거나 유추하기란 쉽지 않으며, 검색엔진을 통해 찾아가는 방법도 번거롭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한글 도메인이 있다. 한글 도메인이란, 웹 브라우저의 주소 입력창에 영문이 아닌 한글로 된 주소, 예를 들어 한글로 '청와대'라고 입력하면 해당 사이트 홈페이지가 바로 뜨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한글 도메인을 지원해 주는 방법은 크게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식, 응용 프로그램 없이 네임서버에 연결하는 방식, 그리고 한글과 영어의 2중 언어 체계를 활용한 방식이 있다.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식은, 기존의 웹브라우저의 인터넷 주소 입력창에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한글 도메인을 입력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입력된 한글 도메인은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한글 도메인을 IP 어드레스로 변환해 주는 서버에 전달되고, 입력된 한글 도메인에 대응되는 IP 어드레스가 서버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으로 수신되면 이를 웹브라우저에 전달함으로써 한글 도메인으로 원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네임서버에 연결하는 방식은, 컴퓨터 제어판에서 네트워크의 TCP/IP DNS 구성을 네임서버의 IP 주소로 바꿔주면, 기존 웹브라우저의 도메인 입력창에 한글 도메인을 입력해도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글과 영어의 2중 언어 체계를 활용한 방식은, 한글로 도메인을 입력하면, 한글의 자음과 모음에 해당하는 영문 자판의 알파벳을 컴퓨터가 인식하여 접속하는 방법이다.즉, '네이버'라고 한글로 입력하면 영문 자판으로는 'spdlqj'에 해당되므로 컴퓨터는 'spdlqj'를 인식하여 연결해 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홈페이지에만 연결할 수 있을 뿐, 해당 홈페이지를 가진 주체(기관, 회사, 개인 등)의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해당 주체의 소속원의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등에 연결할 수는 없다. 또한, 한글 도메인으로부터 다른 통신 매체의 식별자를 유추해낼 수도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개인마다 자신의 명함에 자신의 통신수단의 식별자를 죽 나열하여 놓게 된다. 전통적으로는 회사주소와 회사전화번호, 팩스번호만 기재하면 충분하였으나, 통신수단의 증가에 따라 전자우편주소, 휴대전화번호,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디, 홈페이지 주소 등과 같이 기재해야 할 식별자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이사, 이직(移職) 등에 의해 식별자가 바뀌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한 사람/단체들에게 새로운 식별자를 일일이 통지/신고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객체(개인, 단체, 회사 등)의 통신 목적지를 나타내는 통신매체의 주소 이외에도 객체에 관련된 컨텐츠, 법인등록번호, 주민등록번호, 사원번호 등과 같은 객체의 속성(이하에서는 모두 "목적지"라고 통칭한다)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통신매체의 주소와 일관성을 가질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성 있게 표현하기 위한 표기법이 갖추어야 할 기능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먼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서 표기법이 달라져서는 안된다. 즉, 전화를 걸때 사용되는 표기법과 전자메일을 보낼 때 사용되는 표기법이 동일하여야 한다. 현재는 전화를 걸 때 사용되는 전화번호의 형식과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되는 전자우편 주소의 형식이 다르지만, 이들이 모두 일관성 있는 표기법으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동일한 표현(주소)이 두개의 다른 객체 목적지에 할당되어서는 안된다. 즉, 하나의 주소는 하나의 객체 목적지에 유일하게 할당되어야 한다.
세째로는, 표기법이 현재의 매체뿐만 아니라 앞으로 등장할 매체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네째로는,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섯번째로는,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암호문과 같이 구성되어서는 널리 사용될 수가 없다. 또한, 어떤 객체의 하나의 통신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알고 있으면 해당 객체의 다른 통신수단에 대한 주소도 쉽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번째로는, 기계에 의해서 해석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객체 목적지 표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사, 이직 등에 의해 통신수단의 실제 주소가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주소로 표현할 수 있는 객체 목적지 표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객체 목적지 표현 방법을 계층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ORI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는 일실시예에서의 ORI 시스템에 구비되는 ORI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ORI 시스템에 구비되는 ORI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은 도 3의 실시예에서의 OR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에 따른 데이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는 도 4의 실시예에서의 OR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에 따른 데이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ORI 해석 알고리즘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개인 사용자가 ORI를 등록할 때의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11은 인터넷 사용자가 ORI를 이용하여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을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2은 인터넷 사용자가 ORI 시스템에 접속하여 ORI를 입력할 때의 화면예이다.
도 13는 ORI 입력을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의 ORI 입력창의 예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객체를 참조하는 목적지 표현 방법(이하, 이를 ORI(Object Reference Identifier)이라 함)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객체(회사, 단체, 개인 등)에 대해 매체(홈페이지, 전화번호, 팩스번호, 특정 컨텐츠 등)를 계층적으로 일관성 있게 표현한다.
즉, 경희대학교라는 객체는 "#경희대학교"라고 표현하며, 경희대학교의 홈페이지는 "#경희대학교.홈", 경희대학교의 전화번호는 "#경희대학교.전화"로 표현된다.
또한, 어떤 객체가 하부에 다른 객체(산하조직, 구성원 등)을 가지는 경우에는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와 같이 계층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하위 객체에 대한 매체도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전화"와 같이 일관성 있게 표현된다.
또한, 일상 생활에서 "경희대학교"는 "경희대"라고 약칭해서 불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희대"는 "#경희대학교"를 가리키는 것으로 지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계산공학과"의 경우에도 "전산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므로 "#경희대학교.전산과"는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를 지칭하는 것으로 지정하고 있다.
개인의 경우에는 동명이인이 많으므로 "미소.홍길동"과 같이 성명 앞에 별칭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이 순서를 "홍길동.미소"와 같이 별칭이 성명 뒤에 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표현된 ORI는 ORI서버에서 각각의 매체 주소(URL,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등)로 변환된다. 사용자는 ORI를 사용하여 해당 목적지 매체에 접속할 수 있다.
< ORI의 표현 >
ORI는 다음과 같은 표현양식을 갖는다.
[식별부호][객체].[속성]
1. 식별부호
식별부호로는 "#", "$", "!" 등의 일반적으로 URL에서 사용되지 않는 특수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부호로서 "#"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2. 객체
객체는 다음과 같은 표현양식을 갖는다.
[요소].[요소].…[요소]
여기에서 요소란 "경희대학교", "김형일", "비서실" 등과 같이 소수점이나 빈칸으로 분리되지 않은 문자 스트링을 말한다. 객체는 "경희대학교"와 같이 하나의 요소만으로 표현될 수도 있고,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와 같이 소수점으로 분리된 다수의 요소로 표현될 수도 있다.
객체에는 하위 객체를 가질 수 있는 디렉토리 객체(Directory Object)와, 하위 객체를 가질 수 없는 원소객체(Atom Object), 디렉토리 객체 또는 원소객체에대한 별칭을 표현하는 참조객체(Reference Object)가 있다.
2.1 디렉토리 객체
디렉토리 객체는 관련있는 객체들의 집합으로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과 같은 회사, "특허청", "산업자원부" 등과 같은 기관, "경희대학교", "서울고등학교" 등과 같은 학교, "대한변리사회", "재향군인회" 등과 같은 단체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각 회사, 단체, 기관의 부서나 산하 단체도 디렉토리 객체가 된다. 이때, 부서 또는 산하단체는 "삼성전자.비서실", "특허청.심사4국.컴퓨터과",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 등과 같이 상위 디렉토리 객체의 하부 조직이라는 것을 계층적으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디렉토리 객체의 하위에는 "비서실", "심사4국.컴퓨터과", "경희대학교.총장" 등과 같은 산하 부서, 단체, 구성원을 나타내는 요소 또는 요소의 집합을 붙여서 다른 객체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디렉토리 객체의 하위에는 후술할 속성이 올 수 있다.
2.2 원소객체
원소객체는 하위에 객체를 가질 수 없는 객체이다. 원소 객체는 "김형일"과 같이 하나의 요소만으로 객체를 표현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경희대학교.전산과.김형일"과 같이 다수의 요소로 계층적으로 표현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개인의 경우에는 동명이인(同名異人)이 많이 나올 수 있으므로 "별명.성명"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예를 들면, "추사.김정호", "가수.김정호" 등과 같이 표현함으로써 동명이인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른 디렉토리 객체와의 구분을 위해 별명은 디렉토리 객체명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디렉토리 객체의 하위에는 후술할 속성이 올 수 있다.
2.3 참조객체
참조객체는 디렉토리 객체 또는 원소객체에 대한 별칭을 나타낸다. 즉, "경희대학교"라는 객체는 "경희대"라고도 표현할 수 있으므로, "경희대"는 "경희대학교"를 나타내는 참조객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로서는, "변리사회" -> "대한변리사회", "전경련" ->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기과" -> "전기공학과" 등을 들 수 있다.
참조객체가 가리키는 객체가 디렉토리 객체인 경우에는 다른 객체도 올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희대"는 디렉토리 객체인 "경희대학교"에 대한 참조객체이므로 "경희대.전자계산공학과"와 같이 산하 부서, 단체, 구성원을 나타내는 요소 또는 요소의 집합을 붙여서 다른 객체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참조객체의 하위에는 후술할 속성이 올 수 있다.
3. 속성
속성은 객체의 하위에 붙어서, 해당 객체와 관련된 특정한 값을 가지게 된다. 속성은, 속성이 가지는 값의 성질에 따라 매체, 컨텐츠, 참조의 3가지의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3.1 매체
매체는 "전화"나 "회사소개" 등과 같이 객체에 대한 정보매체의 목적지를 값으로 가지게 된다. 즉, "#미소.김형일.전화"는 "02-123-4567"과 같이 "#미소.김형일"이라는 객체에 대한 전화라는 매체의 목적지(전화번호)를 값으로 가지게 되며, "#삼성전자.제품소개"는 "http://samsungelectronics.com/kr/products/index.html"과 같이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목적지(URL)를 값으로 가지게 된다.
매체의 값으로는 전화번호, URL, 전자우편주소, 주소, 인스턴트메신저 아이디 등 다양한 통신매체의 식별자가 올 수 있으며, 통신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더 많은 종류의 식별자를 값으로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통신매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체의 값은 해당 매체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소.김형일.휴대전화"라고 입력하면 김형일의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단지 그 값을 보여주기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는 연결되어 있지만 인터넷폰이 설치되지 않은 컴퓨터인 경우에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창에 "#미소.김형일.휴대전화"라고 입력하면 ORI 시스템에서 "011-987-6543"이라는 값을 보여주기만 하는 것이다.
3.2 컨텐츠
컨텐츠는 속성의 값으로서 컨텐츠의 내용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미소.김형일.자기소개"는 "저는 만25세의 건강한 대한민국 사나이구요, 취미는 등산, 영화감상입니다. 아직 미혼이고 벤처기업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를 값으로 가지게 된다. 컨텐츠의 값으로는 일반적인 텍스트 문서는 물론이고 HTML 등의 다른 형식으로 되어 있는 컨텐츠도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컨텐츠를 속성으로 가지는 ORI를 입력하면 해당 컨텐츠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창에 "#미소.김형일.자기소개"라고 입력하면, "저는 만25세의 건강한 대한민국 사나이구요, 취미는 등산, 영화감상입니다. 아직 미혼이고 벤처기업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라는 내용이 웹브라우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3.3 참조
참조는 각 객체에서 다른 객체 또는 다른 객체의 속성을 값으로 갖는다. 예를 들어, "#미소.김형일"이라는 객체에 대해서 "학교"라는 속성을 "경희대학교"라는 객체에 링크시켜 놓았다고 한다면, "#미소.김형일.학교"는 "#경희대학교"를 의미하게 된다. 또한, "#미소.김형일"이라는 객체가 "회사전화"라는 속성을 "삼성전자.디자인3실.전화"라는 속성에 링크시켜 놓았다고 한다면, "#미소.김형일.회사전화"는 "#삼성전자.디자인3실.전화"와 동일한 값을 갖게 된다.
참조 속성은 가리키는 대상에 따라 해당 대상과 동일하게 취급된다. 즉, 대상이 디렉토리 객체인 경우에는 그 하위에 다른 객체나 속성이 올 수 있으며, 대상이 원소객체인 경우에는 그 하위에 속성만이 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소.김형일.학교"의 경우에는 "#미소.김형일"의 참조속성 "학교"는 "경희대학교"라는 디렉토리 객체를 가리키므로, "#경희대학교"와 동일하게 그 하위에 다른 객체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미소.김형일.학교.전자계산공학과"와 같이 다른 객체가 오거나, "#미소.김형일.학교.홈"과 같이 다른 속성이 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각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 "#경희대학교.홈"으로 해석된다.
또한, 참조속성이 가리키는 대상이 매체속성인 경우에는 그 값이 해당 매체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대상이 컨텐츠속성인 경우에는 그 값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예를 들어, "#미소.김형일.회사전화"는 가리키는 대상이 매체속성이므로 그 값은 김형일의 회사전화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참조속성이 참조객체와 다른 점은, 참조객체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항상 하나의 객체만을 나타내지만, 참조는 객체의 하위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그 참조가 쓰이고 있는 객체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된다는 점이다. 즉, 참조객체인 "경희대"는 "#경희대"와 같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언제든지 "경희대학교"를 나타낸다. 그러나, 참조속성으로 사용되는 "학교"는 "#학교"와 같이 독립적으로존재할 수 없고 객체에 따라서 "경희대학교"가 될 수도 있고 "한국과학기술원"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소.김형일"이 참조속성으로서 "경희대학교"를, "하늘.김정호"가 참조속성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으로 지정을 해두었다면, "#미소.김형일.학교"는 "#경희대학교"를 나타내지만, "#하늘.김정호.학교"는 "#한국과학기술원"을 나타내게 된다.
3.4 속성의 생략
경우에 따라서는 속성은 생략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디폴트로 설정된 속성이 할당되거나, 사용환경에 따라서 속성이 정해진다. 예를 들면,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창에 "#경희대학교.전산과"와 같이 객체명만을 입력하였다면, 이는 "#경희대학교.전산과.홈"으로 취급되어, 경희대학교 전산과의 홈페이지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전자우편 프로그램의 수신인란에 "#미소.김형일"이라고만 입력하여도 "미소.김형일.우편"으로 해석되어 김형일의 전자우편 주소로 전자우편이 전송되게 되는 것이다.
< ORI 시스템의 구성 >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ORI 시스템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ORI 해석부(110)는 입력되는 ORI에 대해서 그에 대응되는 값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ORI 해석부(110)에서의 해석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ORI 등록부(120)는 새로운 ORI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ORI에 대한 삭제, 변경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사용자는 ORI 등록부(1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의 ORI 등록, 삭제, 갱신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DB 서버(130)는 ORI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ORI 시스템에는 적어도 객체 DB(140)와 속성 DB(150)가 구비된다. 객체 DB(140)는 각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속성 DB(150)는 각 객체에 할당되는 속성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 ORI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ORI를 처리하기 위해서 ORI 시스템은 도 3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객체테이블(500)은 각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객체테이블(500)에는 각 객체를 유일하게 구분하기 위한 객체ID 필드(510)와, 해당 객체의 이름을 저장하기 위한 객체명 필드(520)가 포함된다. 객체명은 중복되어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객체ID을 사용하지 않고 객체명을 기본키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객체타입이 디렉토리 객체인지, 원소객체인지, 참조객체인지를 나타내는 객체타입 필드(530)가 포함된다.
또한, 객체타입이 디렉토리 객체 또는 원소객체인 경우에는 속성을 표기하지 않았을 때 사용할 디폴트속성을 저장하고 참조객체인 경우에는 해당 객체가 가리키는 객체의 ID를 저장하기 위한 디폴트속성/참조객체ID 필드(540)도 포함된다.
해당 객체에 대한 정보를 조회 및 수정할 때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해당 객체에 대해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비밀번호를 저장해 두는 비밀번호 필드(550)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객체에는 해당 객체에 할당된 속성들의 ID가 저장되는 속성필드(560)가 있다. 속성필드(560)에는 각 객체에 할당된 속성들의 ID가 저장되며, 각 속성에 대한 정보는 속성 테이블(600)에 별도로 저장된다. 검색의 편의를 위하여 속성ID와 함께 해당 속성명도 속성필드(560)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속성 테이블(600)은 각각의 속성을 유일하게 구분하기 위한 속성ID 필드(610)와, 해당 속성의 이름을 저장하는 속성명 필드(620)와, 해당 속성이 매체속성인지 컨텐츠속성인지 참조속성인지를 저장하는 속성타입 필드(630)와, 속성값의 내용이 무엇인지, 즉, 속성값이 전화번호인지, URL인지, HTML 문서인지, 전자우편 주소인지, 텍스트 파일인지 등을 나타내는 속성서브타입 필드(640)와, 해당 속성의 속성값을 저장하는 속성값 필드(6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을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실제 ORI 표기와 관련하여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도 5에서 이중선으로 된 프레임(501, 502, 503, 504)은 객체 레코드를, 단일선으로 된 프레임(601, 602, 603, 604)은 속성 레코드를 나타낸다.
부호 501은 "경희대학교"라는 디렉토리 객체에 대한 레코드로서, 디폴트 속성으로서 속성ID 53023100, 즉 "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희대학교"라고 입력하면 "#경희대학교.홈"으로 해석되어 "홈"에 대한 속성 레코드(601)로부터 해당 속성값인 "http://www.kyunghee.ac.kr"라는 URL 값을 가져와서 출력하게 된다.
또한, "#경희대학교"는 "전화"도 속성으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희대학교.전화"라고 입력하면 경희대학교의 객체 레코드의 속성 필드에서 "전화"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전화"라는 속성 레코드(602)로부터 속성값인 "02-961-0114"라는 전화번호를 가져와서 출력하게 된다.
"#경희대학교"는 디렉토리 객체이므로 그 하부에 다른 요소가 와서 다른 객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동문회"라는 요소가 결합되어 "#경희대학교.동문회"라는 하위 디렉토리 객체를 형성한 레코드(502)가 도시되어 있다.
"#경희대학교.동문회"의 디폴트 속성은 "홈"이므로 "#경희대학교.동문회"는 속성 레코드 603으로부터 "http://www.kyunghee.com"이라는 URL값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경희대학교.동문회"는 속성으로서 "회장"(604)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고, "회장" 속성은 참조속성으로서 "#성공한.조준호"라는 원소객체(504)를 가리키고 있다. 결과적으로, "#경희대학교.동문회.회장"은 "#성공한.조준호"와 동일한 객체를 나타나게 되며, "#성공한.조준호"의 디폴트 속성값이 출력되게 된다.
또한, 도 5에는 "#경희대동문회"라는 객체의 레코드(503)가 포함되어 있다. "#경희대동문회"는 참조객체로서 "#경희대학교.동문회"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경희대동문회"의 출력값은 "#경희대학교.동문회"의 디폴트 속성값이 되며, "#경희대동문회.회장"의 출력값은 "#성공한.조준호"가 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보여준다. 도 4의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도 3의 구조와 다른 점은 객체테이블과 속성테이블의 연결이 객체테이블(500)에 있는 속성 필드(56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속성테이블(600)의 객체ID 필드(66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도 4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실제 ORI 표기와 관련하여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속성테이블(601,..,604)에는 해당 속성이 속해있는 객체로의 링크가 객체ID 필드(660)에 저장되어 있어서, 객체와 속성과의 연결이 이 필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즉, "#경희대학교.홈"이라는 ORI에서 속성 "홈"의 객체ID 필드에는 "#경희대학교"를 나타내는 객체ID인 "530231"이 저장되어 있어서, "홈"이라는 속성(601)은 경희대(501)라는 객체의 속성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경희대학교.동문회"라는 객체의 속성인 "회장"이라는 참조속성(604)이 가리키고 있는 객체(504)를, 도 5에서와는 달리 "성공한.조준호"라는 ORI 명칭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시하면, 참조속성이 가리키는 객체를 찾을 때, 참조속성의 내용(여기에서는 "성공한.조준호")을 후술하는 ORI 해석 알고리즘에 다시 입력하여 해당 객체의 내용을 가져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어떤 이유에 의해서 "성공한.조준호"라는 객체의 객체ID가 변한 경우에도 해당 객체를 찾을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 ORI 해석 알고리즘 >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ORI 시스템에서 ORI를 해석(parsing)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한다. ORI에서의 요소의 조합 형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을 수 있다.
형태 1: 디렉토리 객체 단독(예: #경희대학교, #특허청.심사4국.컴퓨터과) -> 해당 객체의 디폴트 속성값을 출력(예: 경희대학교의 홈페이지 URL 출력)
형태 2: 원소객체 단독(예: #미소.김형일,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홍길동) -> 해당 객체의 디폴트 속성값을 출력(예: 김형일의 홈페이지 URL 출력)
형태 3: 참조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예: #경희대전산과.전화) -> 해당 참조객체가 참조하고 있는 객체명으로 변환한 후 다시 해석(예: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전화"로 변환한 후 다시 해석)
형태 4: 디렉토리 객체 + 속성(예: #경희대학교.전화,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3학년.과대표) -> 속성이 참조속성이 아니면 해당 객체의 해당 속성값을 출력(예: 경희대학교의 전화번호 출력)하고, 속성이 참조속성이면 해당 참조속성이 참조하고 있는 객체명으로 변환한 후 다시 해석한다(예: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3학년.김형일"로 변환한 후 다시 해석).
형태 5: 원소객체 + 속성(예: #미소.김형일.휴대전화, #미소.김형일.학과.요소4) -> 속성이 참조속성이 아니면 해당 객체의 해당 속성값을 출력(예: 김형일의 전화번호 출력)하고, 속성이 참조속성이면 해당 참조속성이 참조하고 있는 객체명으로 변환한 후 다시 해석한다(예: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요소4"로 변환한 후 다시 해석).
이때 주의할 점은 동일한 ORI라고 하더라도 등록방법에 따라서 객체 단독인 형태일 수 있고, 객체 + 속성인 형태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경희대학교.전산과"는 별도의 참조객체로서 등록할 수도 있고, "경희대학교"라는 디렉토리객체의 참조속성으로서 "전산과"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등록방법에 따라서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위치가 달라지고, 따라서 내부적인 처리방식도 달라지지만 결과적으로는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ORI가 입력되면, ORI 시스템은 입력된 ORI로부터 요소를 추출한다(단계 S100). 예를 들어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홈"이 입력되면, 첫번째 요소로 "경희대학교"가 추출되고, 두번째 요소로 "전자계산공학과"가 추출되며, 세번째 요소로 "홈"이 추출된다.
이중에서 먼저 첫번째 요소를 토큰으로 설정한다(단계 S110).
그리고, 해당 토큰이 객체DB에 객체명으로서 존재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는 첫번째 요소가 토큰으로 설정된 경우(예: "경희대학교")뿐만 아니라 그 이후의 요소를 포함하여 토큰으로 설정된 경우(예: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 "미소.김형일")에도 진입이 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토큰으로 설정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의 조합을 모두 고려하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1. DB에 토큰과 일치하는 객체명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객체타입에 따라서 처리를 달리 해주어야 한다. 도 7에서는 참조객체인지를 먼저 확인하고(단계 S130), 다음에 원소객체인지를 확인하는(단계 S140)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 순서는 상관없으며, 중요한 것은 각 객체타입에 따라서 어떠한 처리를 하는가이다.
1.1 객체타입이 참조객체인 경우
토큰이 객체명으로서 존재하고 객체타입이 참조객체인 경우는 예를 들면, 토큰이 "경희대", "경희대학교.전산과"인 경우이다. 이때에는 해당 참조객체가 참조하고 있는 객체명으로 변환한 다음에 다시 해석하여야 하므로, 단계 S135로 가서 토큰을 참조값으로 설정한 후, 다시 단계 S120으로 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한 ORI가 "#경희대.요소2.요소3"인 경우에 단계 S130에서 토큰이 "경희대"이고, "#경희대"라는 참조객체는 "#경희대학교"를 가리키므로 토큰을 "경희대학교"로 바꾸어 단계 S120으로 가는 것이다. 이때, 요소2, 요소3는 그대로 추출된 대로 남아있어서, 이어지는 해석단계에서 사용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ORI가 "#경희대학교.전산과.요소3"인 경우에 단계 S130에서 토큰이 "경희대학교.전산과"이고, "#경희대학교.전산과"라는 참조객체는"#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를 가리키므로 토큰을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로 바꾸어 단계 S120으로 간다. 마찬가지로, 요소3는 그대로 추출된 대로 남아있어서, 이어지는 해석단계에서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태 3인 경우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1.2 객체타입이 원소객체인 경우
토큰이 객체명으로서 존재하고 객체타입이 원소객체인 경우는 예를 들면, 토큰이 "추사.김정호",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김형일" 등과 같은 경우이다.
원소객체인 경우에는 하위에 아무것도 오지 않거나 또는 속성이 오게 된다. 따라서, 단계 S150에서 하위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하위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없는 경우에는 형태 2인 경우이므로, 해당 객체의 디폴트 속성값을 출력한다(단계 S151).
하위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번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속성인 경우밖에는 없다. 따라서, 다음번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해당 원소객체의 속성으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52).
해당 원소객체의 속성으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잘못된 ORI이므로 에러메시지를 내보내고 해석을 종료한다(단계 S159).
해당 원소객체의 속성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속성이 참조속성인지를 확인하여(단계 S153), 참조속성이 아니면 해당 속성값을 출력한다(단계 S154).
속성이 참조속성이면, 해당 속성이 참조하고 있는 값과 남아있는 요소를 사용하여 새로운 ORI를 만든 다음(단계 S155) 단계 S100부터 다시 ORI 해석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미소.김형일"이라는 객체의 속성인 "학과"가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를 참조하도록 되어 있다면, "#미소.김형일.학과.요소4"는 단계 S155에서 "학과"라는 속성이 가리키고 있는 객체인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와 남아있는 요소인 "요소4"가 합해져서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요소4"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새로운 ORI는 단계 S100에서부터 새로이 해석된다.
1.3 객체타입이 디렉토리 객체인 경우
토큰이 객체명으로서 존재하고 객체타입이 디렉토리 객체인 경우는 예를 들면, 토큰이 "경희대학교" 또는 "특허청.심사4국" 등과 같은 경우이다.
디렉토리 객체인 경우에는 하위에 다른 객체나 속성이 올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60에서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하위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없는 경우에는 형태 1인 경우이므로, 해당 객체의 디폴트 속성값을 출력한다(단계 S161).
하위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하위에 다른 요소가 와서 다른 객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위 요소를 더하여 객체가 있는지를 다시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위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토큰에 다음 요소를 합하여 새로이 토큰으로 설정한 다음(단계 S162), 다시 단계 S120부터 반복한다.
예를 들면, "#특허청.심사4국.컴퓨터과"라는 ORI가 입력되었을 때, 현재 토큰이 "특허청"이라고 한다면, 하위에 처리하지 않은 요소(심사4국, 컴퓨터과)가 있으므로 새로운 토큰으로 "특허청.심사4국"을 설정한 다음, 다시 단계 S120부터 반복하는 것이다.
2. DB에 토큰과 일치하는 객체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토큰에 해당하는 객체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토큰이 디렉토리 객체+속성인 경우, 토큰이 원소객체의 일부인 경우(예: "미소.김형일"의 "미소") 또는 잘못된 ORI인 경우의 세가지 경우중 하나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 디렉토리 객체를 처리중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200). 디렉토리 객체를 처리중이었다면, 토큰의 마지막 요소는 속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토큰의 마지막 요소를 분리하여 속성토큰으로 설정한다(단계 S210). 예를 들어, 현재의 토큰이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전화"라면, 토큰="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가 되고 속성토큰은 "전화"가 되는 것이다.
그 다음에, 마지막 요소를 분리한 토큰에 해당하는 객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속성토큰에 해당하는 속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20). 위의 예에서는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라는 객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전화"에 해당하는 속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는 잘못된 ORI이므로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290).
속성이 존재한다면, 해당 속성이 참조속성인가를 확인하여(단계 S230), 참조속성이 아니면 해당 속성값을 출력한다(단계 S231).
속성이 참조속성이면, 해당 속성이 참조하고 있는 값과 남아있는 요소를 사용하여 새로운 ORI를 만든 다음(단계 S232), 단계 S100부터 다시 ORI 해석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3학년."라는 객체의 속성인 "과대표"가 "미소.김형일"를 참조하도록 되어 있다면,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3학년.과대표.요소5"라는 ORI는 단계 S232에서 "과대표"라는 속성이 가리키고 있는 객체인 "미소.김형일"과 남아있는 요소인 "요소5"가 합해져서 "#미소.김형일.요소5"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새로운 ORI는 단계 S100에서부터 새로이 해석된다.
디렉토리 객체를 처리중이 아니었다면, 다음 요소가 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40).
다음 요소가 없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없거나 잘못된 ORI이므로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290).
다음 요소가 있다면 "#미소.김형일"과 같이 별칭과 성명이 합쳐진 원소객체일 수가 있으므로, 현재의 토큰에 다음 요소를 합하여 새로운 토큰을 만든 다음, 다시 단계 S120부터 ORI 해석을 반복한다(단계 S250). 예를 들어, 현재 토큰이 "미소"이고, 다음 요소가 "김형일"이라고 한다면, 토큰을 "미소.김형일"로 바꾸어 다시 단계 S120부터 반복하는 것이다.
< ORI의 등록 >
ORI를 사용하려면 각 단체 또는 개인은 자신이 자신의 명칭/성명을 ORI 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한다. 도 9 및 도 10는 개인이 ORI 등록할 때의 화면예이다.
도 9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뿐만 아니라 별칭(호)을 등록하여야 한다. 호를 등록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경우 동명이인이 많아서 서로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호 및 이름을 입력하면, ORI 시스템은 ORI 데이터베이스의 객체테이블(500)을 검색하여 동일한 객체명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동일한 객체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새로운 호를 정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동일한 객체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0와 같은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시되고, 사용자는 기본 매체(도 10에서는 홈페이지, 전자우편, 유선전화, 휴대전화)에 대한 식별자(홈페이지 URL, 전자우편주소, 유선전화번호,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도 10에서는 기본 매체로서 홈페이지, 전자우편, 유선전화, 휴대전화가 예시되어 있으나, 집전화, 직장전화, 직장팩스 등과 같은 다른 매체도 포함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또한 기본적으로 제시되는 매체에 대한 식별자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속성도 입력이 가능하다. 도 10에서는 사용자가 기타란에 원하는 속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속성을 여러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가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여러 속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속성의 타입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속성이 어떤 타입을 갖는지를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한번 입력한 정보는 수정이 가능하다. 이사, 이직 등에 의해 주소, 전화번호 등이 변경되었을 때에는 ORI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변경하기만 하면 된다. 이때, 타인이 무단으로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ORI를 등록할 때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 단체의 경우에도 입력절차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기업 또는 단체는 디렉토리 객체로서 등록이 될 수 있으며, 하위에 다른 객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희대학교는 전자계산공학과, 학적과, 도서관 등과 같은 하부 조직을 가지고 있으므로 "#경희대학교"뿐만 아니라 "#경희대학교.전자계산공학과", "#경희대학교.학적과", "#경희대학교.도서과" 등과 같은 객체도 별도로 등록하게 된다.
< ORI 사용예 >
다음으로 ORI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1. 웹브라우징
ORI는 웹페이지의 주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웹페이지의 주소로는 URL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ORI로 입력된 주소는 어디에선가 그에 대응되는 URL로 변환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ORI에서 URL로 변환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ORI 시스템에 접속하여 ORI를 입력하는 방법과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각 방법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
1.1 ORI 시스템에 접속하여 ORI를 입력하는 방법
사용자(300)가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ORI 시스템(100)에 접속하면 도 12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300)는 ORI 입력란(10)에 접속을 원하는 사이트의 ORI를 입력하고 접속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ORI 시스템(100)은 ORI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ORI에 해당하는 URL 주소가 있는지를 검색한다.
ORI에 해당하는 URL 주소가 있는 경우에는 ORI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웹브라우저가 해당 URL에 접속하도록 리다이렉션(redirection) 시킨다. ORI에 해당하는 URL 주소가 없는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1.2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은 ORI 입력란을 가진 별도의 창을 사용하는 방법과,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란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별도의 창을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별도의 창(11)이 나타나고, 사용자가 해당 창(11)의 ORI 입력란(12)에 접속을 원하는 ORI를 입력하면 이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ORI 시스템(100)에 전송한다. ORI 시스템(100)은 수신된 ORI에 대응되는 URL을 검색하여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URL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를 실행시키면서 웹브라우저에 수신된 URL을 넘겨서 웹브라우저에서 해당 URL로 접속되도록 한다.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란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웹브라우저의 URL 입력란에 입력되는 내용을 감시하고 있다가 ORI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ORI 시스템(100)에 전송하여 대응되는 URL을 가져온 후 이를 웹브라우저에 넘기는 방식을 사용한다.
ORI는 앞에 식별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식별부호(본 예에서는 "#")는 기존의 URL 주소 체계에 없는 것이므로 쉽게 기존의 URL 주소와 구별이 가능하다. 이 방식은 웹브라우저에 따라서 구현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경우, URL로 찾을 수 없는 입력이 들어왔을 경우에는 레지스트리(HKEY_CURRENT-USER\Software\Microsoft\Internet Explorer\URLSearchHooks)에 등록된 COM(Common Object Model) 객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넘어가 처리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으로 시작되는 주소는 COM에 의하여 기존의 URL과 호환성이 있는 게이트웨이 서버의 이름이 앞쪽에 붙게 되어 정상적인 URL로 변환되어 브라우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별다른 구동없이 웹브라우저가 구동될 때 자동적으로 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COM 객체 (DLL 또는 EXE) 형태의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2) 이를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등록한다.
(3) 웹브라우저를 기동한다.
(4) 웹브라우저는 자동적으로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COM 객체를 로딩한다.
(5) 웹브라우저의 주소 입력부에 URL이 아닌 문장이 입력되면 앞서 등록된 COM 객체를 호출한다. 만약, 정상적인 URL일 경우에는 COM 객체를 호출하지 않고 (7)로 간다.
(6) COM 객체는 #으로 시작되는 ORI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ORI 앞에 ORI 게이트웨이 서버의 URL을 붙이고, 이를 URL로 재조립한 뒤 이를 웹브라우저에 리턴한다.
(7) 리턴받은 URL을 통하여 웹브라우저는 지정한 위치에 접속하게 된다.
2. 전자우편
전자우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웹메일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전용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된다. 웹메일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웹메일 서비스 제공자가 ORI를 지원하여야 한다. 즉, 웹메일 서비스의 전자우편 주소 입력란에 전자우편주소를 나타내는 ORI(예: #미소.김형일.편지)이 입력되면 웹메일 서버에서 이를 ORI 시스템(100)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전자메일 주소(예: hikim@onepage.co.kr)를 가져온 다음, 이를 전자우편 주소로 사용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ORI 입력창에 전자우편주소를 나타내는 ORI가 입력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이를 ORI 시스템(100)에 전송하여 대응되는 전자메일주소를 가져온 다음,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웹메일 서버에 접속하면서 전자메일주소를 넘겨주거나, 외부 메일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서 전자메일주소를 넘겨준다. 외부 메일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일 프로그램이 기동될 수 있도록 URL 형식인 mailto:hikim@onepage.co.kr과 같이 변환하여 웹브라우저에 넘겨줄 수 있다.
3. 전화
인터넷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터넷폰 소프트웨어에서 ORI를 지원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란에 ORI를 입력하면, 인터넷폰 소프트웨어는 이를 ORI 시스템(100)에 전송하여 실제 전화번호를 가져와서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 된다.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ORI 시스템이 휴대전화망에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휴대전화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한다.
ORI 시스템이 휴대전화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전화기에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ORI(예: #미소.김형일.집전화)을 입력하면, 입력된 ORI가 휴대전화망을 통해 ORI 시스템에 전달된다. ORI 시스템에서는 이를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바꾸어서 휴대전화교환기에 전달하고, 교환기에서는 전달받은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 된다. 또는, ORI 시스템에서 휴대전화기로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전송하면 휴대전화기에서 다시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기인 경우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ORI 시스템에 접속한 다음,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ORI를 입력하여 대응되는 전화번호를ORI 시스템로부터 받아서 전화를 걸도록 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관없이 일관된 표기법으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하나의 매체에 대한 주소를 알고 있으면 다른 매체에 대한 주소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ORI는 하나의 객체 목적지에 유일하게 할당되므로 다양한 매체에 대해서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등장할 매체에 대해서도 속성명을 추가함으로써 쉽게 수용할 수 있고 확장성이 있어서 거의 영구적으로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기법은 일반인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쉽게 인지하고 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객체의 하나의 통신목적지에 대한 주소를 알고 있으면 해당 객체의 다른 통신수단에 대한 주소도 쉽게 유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기법은 예시한 것과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기계에 의해서 해석이 가능하므로 전산화가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사, 이직 등에 의해 전화번호나 전자우편주소 등이 바뀌었다고 하더라도 ORI는 변경되지 않고 사용자는 ORI 시스템에서 해당되는 정보변경만 하면 되므로 일일이 주위 사람들에게 바뀐 전화번호나 주소를 알려줄 필요가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소수점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객체명을 저장하는 객체명 필드, 상기 객체명이 나타내는 객체의 종류를 저장하는 객체종류 필드, 상기 객체명이 단독으로 입력되었을 때 할당하는 디폴트 속성ID를 저장하는 디폴트 속성 필드, 상기 객체명에 할당될 수 있는 속성들의 ID를 저장하는 속성필드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속성의 ID를 저장하는 ID필드, 상기 속성의 명칭을 저장하는 속성명 필드, 상기 속성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종류필드, 상기 속성에 대해서 출력할 내용을 저장하는 속성값 필드를 포함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와,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사용자가 자신의 객체명, 객체의 종류, 각 속성에 대한 출력값을 입력하면 이를 상기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이들을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ORI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ORI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ORI 등록부와,
    표기법의 시작을 나타내는 문자와, 상기 문자 바로 다음에 나타나며 소수점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객체목적지 표현에 대해서 해당 객체목적지 표현에 할당된 속성값을 상기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속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출력하고, 상기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객체목적지 표현과 일치하는 객체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객체명에 할당되어 있는 디폴트 속성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속성ID를 가져와서 상기 속성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속성ID의 속성값을 읽어와서 출력하는 ORI 해석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의 종류로는 하위에 요소명을 합하여 하위 객체를 가질 수 있는 디렉토리 객체와, 하위 객체를 가질 수 없는 원소객체와, 디렉토리 객체 또는 원소객체에 대한 별칭을 표현하는 참조객체가 있으며,
    상기 속성의 종류로는 객체에 대한 정보매체의 목적지를 값으로 가지는 매체속성과, 객체에 대한 컨텐츠의 내용을 값으로 가지는 컨텐츠 속성과, 해당 객체에서 참조하고 있는 다른 객체명 또는 다른 객체의 속성을 값으로 가지는 참조속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목적지 표현 시스템.
  2. 소수점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진 객체명을 저장하는 객체명 필드, 상기 객체명이 나타내는 객체의 종류를 저장하는 객체종류 필드, 상기 객체명이 단독으로 입력되었을 때 할당하는 디폴트 속성ID를 저장하는 디폴트 속성 필드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속성의 ID를 저장하는 ID필드, 상기 속성의 명칭을 저장하는 속성명 필드, 상기 속성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종류필드, 상기 속성에 대해서 출력할 내용을 저장하는 속성값 필드, 상기 속성이 속해있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객체필드를 포함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와,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사용자가 자신의 객체명, 객체의 종류, 각 속성에 대한 출력값을 입력하면 이를 상기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이들을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ORI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존의 ORI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해 주는 ORI 등록부와,
    표기법의 시작을 나타내는 문자와, 상기 문자 바로 다음에 나타나며 소수점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객체목적지 표현에 대해서 해당 객체목적지 표현에 할당된 속성값을 상기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속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출력하고, 상기 객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객체목적지 표현과 일치하는 객체명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객체명에 할당되어 있는 디폴트 속성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디폴트 속성ID를 가져와서 상기 속성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속성ID의 속성값을 읽어와서 출력하는 ORI 해석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의 종류로는 하위에 요소명을 합하여 하위 객체를 가질 수 있는 디렉토리 객체와, 하위 객체를 가질 수 없는 원소객체와, 디렉토리 객체 또는 원소객체에 대한 별칭을 표현하는 참조객체가 있으며,
    상기 속성의 종류로는 객체에 대한 정보매체의 목적지를 값으로 가지는 매체속성과, 객체에 대한 컨텐츠의 내용을 값으로 가지는 컨텐츠 속성과, 해당 객체에서 참조하고 있는 다른 객체명 또는 다른 객체의 속성을 값으로 가지는 참조속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목적지 표현 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소객체로서 개인을 나타내는 객체명은 해당 개인의 별칭과, 이 별칭 다음에 소수점에 의해 분리된 성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목적지 표현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속성에 속하는 속성으로는 전화번호, 전자우편주소, URL, 주소, 메신저 아이디, 팩스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목적지 표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0-0027281A 2000-01-27 2000-05-20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38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281A KR100389116B1 (ko) 2000-05-20 2000-05-20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AU2001232361A AU2001232361A1 (en) 2000-01-27 2001-01-19 Object destination re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PCT/KR2001/000096 WO2001055915A1 (ko) 2000-01-27 2001-01-19 Object destination re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281A KR100389116B1 (ko) 2000-05-20 2000-05-20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543A KR20010106543A (ko) 2001-12-07
KR100389116B1 true KR100389116B1 (ko) 2003-06-25

Family

ID=1966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281A KR100389116B1 (ko) 2000-01-27 2000-05-20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37800A (en) * 2005-01-20 2007-03-30 Colin Lawrence Melvin Baker Global telephone number
KR101189447B1 (ko) * 2006-08-30 2012-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전형 팬모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312A (ja) * 1994-12-08 1996-06-21 Fujitsu Ltd 文字列データ検索装置
KR19990068397A (ko) * 1999-05-12 1999-09-06 강승선 전화번호를이용하여전자메일주소를검색하는방법.
JPH11259500A (ja) * 1998-03-11 1999-09-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蓄積・検索方法および情報蓄積・検索システム
US6012067A (en) * 1998-03-02 2000-01-04 Sarkar; Shyam Sundar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manipulating objects in a plurality of relational data managers on the web
KR20010103126A (ko) * 2001-10-23 2001-11-23 류호성 복합주소 전자우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312A (ja) * 1994-12-08 1996-06-21 Fujitsu Ltd 文字列データ検索装置
US6012067A (en) * 1998-03-02 2000-01-04 Sarkar; Shyam Sundar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manipulating objects in a plurality of relational data managers on the web
JPH11259500A (ja) * 1998-03-11 1999-09-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情報蓄積・検索方法および情報蓄積・検索システム
KR19990068397A (ko) * 1999-05-12 1999-09-06 강승선 전화번호를이용하여전자메일주소를검색하는방법.
KR20010103126A (ko) * 2001-10-23 2001-11-23 류호성 복합주소 전자우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543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086B1 (ko) 네트워크상의 정보 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20138470A1 (en) System and method of personal and business web cards
KR20010103670A (ko) 쉐도우 콜백 기능을 갖는 메시지 에일리어싱 기능을이용한 네트워크상의 정보 엑세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189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r-specified url keyword navigation
US20100122179A1 (en) Visual cabinet system for data display method using its system
US20020156862A1 (en) Global network of web card systems and method thereof
WO2007098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US20020087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business card
US20030018789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JP2002175467A (ja) オンライン同窓アルバムシステム
JP2002117215A (ja) 特許管理システム
JP2002118675A (ja) インターネットへのアクセスシステム、電話帳
KR100389116B1 (ko) 객체의 목적지를 일관되게 참조할 수 있는 표현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50140298A (ko) 스마트 검색 서비스
WO2001055915A1 (ko) Object destination re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JP2005122606A (ja) 情報閲覧装置、情報閲覧システム、及び情報閲覧プログラム
KR20010008206A (ko) 인터넷상의 각종 정보 및 서비스를 자동관리하거나자동접속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단말장치
KR100859450B1 (ko)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서 즐겨찾기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WO2002037308A1 (en) A method for discriminating string added to uniform resource locator, business method us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business method
KR20010090118A (ko) 인터넷상에서의 이메일/웹사이트 주소 제공 서비스방법
JP2003256452A (ja) 所属情報を利用した文書の参照方法
KR20060057731A (ko) 사용자 정의형 키워드와 네임 서버의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41329A (ko) Url 치환 시스템
KR100466357B1 (ko) 사용자 정의 방식의 도메인 이름 별칭 명명 방법
KR20020072940A (ko) 단축키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 및 검색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