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888B1 - 이중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888B1
KR100388888B1 KR1019960018772A KR19960018772A KR100388888B1 KR 100388888 B1 KR100388888 B1 KR 100388888B1 KR 1019960018772 A KR1019960018772 A KR 1019960018772A KR 19960018772 A KR19960018772 A KR 19960018772A KR 100388888 B1 KR100388888 B1 KR 100388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ollecting device
bag filter
dust collec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691A (ko
Inventor
조용준
최영태
김영탁
최중열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1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888B1/ko
Publication of KR97007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해물질의 농도를 낮추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모성이 큰 분진을 함유하는 연료 및 폐기물을 소각하는 유동층 보일러나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중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이중 집진장치는 싸이크론과 같은 제 1포집장치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중에 미세분진을 일차포집하게 함으로써 미세분진의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도 백필터의 포집부하를 감소시켜 집진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보다 깨끗하게 정화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집진장치
본 발명은 배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해물질의 농도를 낮추기 위한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모성이 큰 분진을 함유하는 연료 및 미세분진이 다량 함유된 폐기물을 소각하는 유동층 보일러나 소각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중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동층 보일러는 연소효율이 높을 뿐만아니라, SO2및 NOx 등의 공해물질 배출농도가 낮기 때문에 열병합발전용 보일러로 보급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 사용되는 폐기물을 비롯한 다양한 연료들은 효율적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폐기물의 소각처리는 물론 이러한 소각처리에 서 얻어지는 소각열까지 이용하는 석탄-폐기물 혼소용 열병합 보일러로의 적용이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일러는 공해배출농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하더라도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것은 기정사실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유동층 보일러에 사용되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되는 공해물질인 미세분진의 제거는 중요한 문제로 제기될 수밖에 없게 된다.
제 1도는 종래의 백 하우스 본체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캐비닛(2)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인입구(4)를 통해 백 하우스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된다. 이 배기가스는 미세분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미세분진을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백필터(10)로 향하게 된다. 백필터는 캐비닛(2)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겹치게 배치되어 있다. 배기가스가 백필터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의 미세분진이 포집되는 것이다. 백필터(10)를 통과하여 미세분진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캐비닛(2)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배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캐비닛(2)의 하단에는 배집장치(1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배집장치(12)는 백필터(10)에서 포집된 미세분진이 하중으로 인해 떨어지게 되면, 그 떨어지는 미세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 배집장치(12)로는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도에서는 로터리피더(Rotary feeder)가 사용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집진장치는 유동층 보일러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중 미세분진을 제거할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유동층 보일러에 투입되는 폐기물의 성상의 변화로 인해 미세분진의 분율이 증가하게 되면, 백필터의 포집부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지만, 종래의 백필터는 그 집진효율을 크게 늘릴수 없을 뿐만아니라, 미세분진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분진으로 인한 백필터의 마모가 증가하게 되어 그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따라, 백필터의 교체주기가 대폭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모성이 큰 분진을 함유하는 연료나 폐기물을 소각하는 유동층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에 함유된 미세분진을 일차 제거하여 백필터의 마모를 감소시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연료의 성상이 변하여 배기가스중의 미세분진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할 경우에도 백필터의 포집부하를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집진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는 백 하우스 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나 소각로의 배기가스중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는 백 하우스 집진장치에 있어서, 백 하우스 내부의 백필터 하부에 설치되고, 백 하우스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인입구에 연결되며 백필터를 향해 1차 여과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싸이크론을 포함하는 백 하우스 집진장치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집진장치를 유동층 보일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유동층 보일러와 백 하우스 측벽에 연결된 인입구(20)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유입되어 제 1포집장치(22)인 싸이크론(24)을 통과한다. 이 싸이크론(24)은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고속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이 원통벽면을 따라 회전되게 되므로 배기가스의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이 배기가스는 원심력에 의해 벽면에 충돌하게 되고, 이로인해 배기가스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분진이 벽면에 충돌되므로 운동량을 잃게 된다. 이에따라, 미세분진은 자체 하중으로 인해 하강하게 되어 1차 포집되어 진다. 이와같이, 일차로 포집된 미세분진은 하강하게 되고, 이 미세분진이 제거된 배기가스는 싸이크론(24)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면에 장착된 덮개(26)에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덮개(26)는 싸이크론의 상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백필터(28)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시켜주고, 배기가스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속도가 완화되고 방향이 변경된 배기가스는 백필터(28)로 향하게 된다. 백필터를 통과하면서 배기가스는 다시 이차포집된다. 이렇게 배기가스가 이차포집됨으로써 보다 깨끗이 여과된 배기가스가 백 필터(28)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배출구(30)를 통해 집진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이 백필터에 유입되는 분진의 분율이 증가하여 미세분진이 과다하게 싸이게 되면, 미세분진이 그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미세분진은 하강하여 배집장치(29)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일부 미세분진은 싸이크론(24)의 덮개(26)위에 싸일수 있으므로, 이런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덮개(26)는 미세분진의 입자들의 안식각 이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포집장치인 싸이크론(24)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싸이크론 일측부에는 접선방향으로 인입구(20)가 위치하고 있으며, 이 인입구(20)를 통해 유동층 보일러또는 소각로의 연료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싸이크론(24)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싸이크론(24)의 상면에는 배출구(25)가 위치하고 있다. 이 배출구(25)를 통해 1차 여과된 배기가스가 배출되게 된다. 이 배기가스는 배출구(25) 상부에 장착된 상부덮개(26)에 부딪히게 된다. 이리하여, 배기가스의 배출방향이 바뀌게 되고, 고속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 이중 집진장치는 싸이크론과 같은 제 1포집장치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중에 미세분진을 일차포집하게 함으로써 미세분진의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도 백필터의 포집부하를 감소시켜 집진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게 될 뿐만아니라, 이로인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보다 깨끗하게 정화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제 1도는 종래의 백 하우스 본체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집진장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집진장치의 싸이크론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캐비닛 4, 20: 인입구
6, 30: 배출구 10, 28: 백필터
12, 29: 배집장치 22: 백 하우스
24: 싸이크론 26: 덮개

Claims (1)

  1. 보일러나 소각로의 배기가스중에 함유된 분진을 제거하는 백 하우스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백 하우스(22)내부의 백필터(28)하부에 위치하고, 백 하우스(22)의 배기가스 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백필터(28)를 향해 1차 여과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되 1차 여과된 배기가스의 유속과 방향이 백필터(28)로 직접 상승이동하지 않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로가 변경되도록 덮개(26)를 구비한 싸이크론(2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하우스 집진장치.
KR1019960018772A 1996-05-30 1996-05-30 이중집진장치 KR10038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772A KR100388888B1 (ko) 1996-05-30 1996-05-30 이중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772A KR100388888B1 (ko) 1996-05-30 1996-05-30 이중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91A KR970073691A (ko) 1997-12-10
KR100388888B1 true KR100388888B1 (ko) 2003-09-19

Family

ID=3742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772A KR100388888B1 (ko) 1996-05-30 1996-05-30 이중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775B1 (ko) * 2008-10-28 2011-09-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3205C2 (sv) * 2019-03-03 2020-10-20 Scanmaskin Sverige Ab En filterbaserad dammavskiljare med integrerad förseparator
CN112870899A (zh) * 2021-01-19 2021-06-01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带内置旋风的袋式除尘器及其工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775B1 (ko) * 2008-10-28 2011-09-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91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5419A (ja) コンパクトなハイブリッド粒子収集器
KR101417233B1 (ko) 2 단 선회 유동층식 소각로에 의한 폐기물의 소각 처리 방법
CN101112669A (zh) 由干、湿法除酸与布袋除尘组合的多级除尘除酸净化装置
KR20020000535A (ko) 유해가스 및 수은, 중금속을 포함한 먼지 동시제거용일체형 원심반응여과집진장치
CN100349644C (zh) 螺旋净化除尘器
KR100388888B1 (ko) 이중집진장치
EP0659462A1 (en) A system for hot dedusting flue gas from incinerators and thermal stations
CN2507548Y (zh) 文丘里与活性炭滤器组合的三级高效除尘净化装置
EA008320B1 (ru) Газогенераторный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ёл для сжигания твёрдого топлива, в особенности кип соломы,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и параметрам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CN209706063U (zh) 一种组合式垃圾焚烧炉
KR200193917Y1 (ko) 소각로의 분진 제거장치
CN207880844U (zh) 一种旋风分离器与膜式分离装置串联的垃圾焚烧cfb锅炉
CN207880861U (zh) 一种多级气固分离装置串联布置的垃圾焚烧cfb锅炉
KR100383799B1 (ko) 소각로 분진 및 다이옥신 저감장치
JPH11108335A (ja) ごみ焼却炉の排煙浄化装置
KR100198734B1 (ko) 소각로의 집진 장치
RU220182U1 (ru) Групповой циклон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CN218119763U (zh) 一种生产岩棉用燃烧温度稳定的焚烧炉
CN215085862U (zh) 一种殡仪馆专用智能烟气净化设备
KR102499692B1 (ko) 물분자 여과방식을 이용한 소각 연소가스 복합 정화 필터장치
KR20000051052A (ko) 코로나반응기와 사이클론을 이용한 배기가스 처리장치
RU98107258A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установки для сжигания для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на каменном угле с топкой с жидким шлакоудалением и установка, работающая по этому способу
CN216244303U (zh) 一种烟气除尘装置
CN108006685A (zh) 一种多级气固分离装置串联布置的垃圾焚烧cfb锅炉
JPS59130554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