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361B1 -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361B1
KR100388361B1 KR10-2000-0055295A KR20000055295A KR100388361B1 KR 100388361 B1 KR100388361 B1 KR 100388361B1 KR 20000055295 A KR20000055295 A KR 20000055295A KR 100388361 B1 KR100388361 B1 KR 100388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transmission tower
alarm message
transmitt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497A (ko
Inventor
김세열
류항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컴
Priority to KR10-2000-005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36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38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connection of the detecting means, e.g. for reducing their number
    • H02H1/0053Means for storing the measured quantitie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탑에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가 발생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순시원에게 무선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된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순시원에게 낙뢰로 인한 송전탑의 이상상태를 통보하여 주도록 된 낙뢰통보시스템에 있어서, 송전탑에 취부되어 송전탑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그 이상상태를 무선데이터로 송출하도록 된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해당 송전탑의 식별정보와 섬락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이를 순시원에게 무선으로 경보하여 줌으로서 순시원이 원거리에서도 해당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보메시지가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중계수신부를 경유하여 중앙감시반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중앙감시반의 관리자는 각 지역별 송전탑의 낙뢰사고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낙뢰사고 발생시 그 대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lightning stroke}
본 발명은 낙뢰통보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송전선로의 철탑에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가 발생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순시원에게 무선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된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전탑을 관리하는 중앙관리자에게 해당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이 통보되도록 함으로써 송전탑의 낙뢰사고에 대한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송전선로는 전력공급을 위하여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변전소를 통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시설로서 현대사회에서 송전시절의 사고는 장시간의 전력공급중단에 직접 연결되어 사회적으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지상에 설치되는 송전선로는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송전탑 등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 송전선로는 전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시설되므로 바람, 눈, 비,낙뢰 등에 의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송전선로의 사고는 송전탑에 낙뢰가 직격됨에 따라 송전선로가 손상되는 지락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이하, 낙뢰사고라 칭한다.)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게 되고,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순시점검 등을 통한 예방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낙뢰사고에 의해 송전선이 단락된 경우 송전선에는 부하전류의 수배에서 수십배에 달하는 다량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는 송전탑에 설치된 승압기 등 전기기기의 항장력을 약화시켜 해당 전기기기의 이상동작을 초래하게 한다.
따라서,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이를 신속히 검출하여 고장구간의 전기공급을 중단시키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순시원은 육안 또는 낙뢰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낙뢰사고 발생사실을 확인하여 송전선로에 대한 지속적인 보수점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9-34128호에는 종래 깃발방식을 이용한 낙뢰표시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6)와, 낙뢰로 인하여 고전류가 흐르는 경우 선택스위치(40)의 동작에 따라 구동되는 솔레노이드(70)와, 상기 솔레노이드(70)의 구동에 따라 개방되는 밑판(13), 상기 밑판(13)에 개방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표시판(12) 및, 상기 표시판(12)의 하방이동에 따라 펴지도록 상기 표시판(12)에 감겨져 있는 표시천(1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낙뢰에 의한 고전류는 전계자장을 감지하도록 코일로 구성된 소정의 감지수단을 통하여 검출되고, 이는 정류되어 상기 선택스위치(40)를 동작시키게 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깃발방식을 이용한 낙뢰표시장치는 송전선로의 지지물인 송전탑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탑에 낙뢰에 의한 고전류가 발생된 경우 선택스위치(40)의 동작에 따라 구동되는 솔레노이드(70)의 샤프트(11)가 기동되면서 밑판(13)이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표시판(12)이 하방으로 내려와 표시판(12)에 감겨져 있던 표시천(15)이 펴지게 됨으로써 해당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있음을 외부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된 종래 깃발방식의 낙뢰표시장치는 순시원이 육안으로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사실을 점검하여야 하기 때문에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개소의 발견에 장시간이 소요됨으로써 낙뢰사고에 대해 시기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게 되며, 표시천이 비, 바람 등에 의해 송전탑에 휘감기거나 손상된 경우 그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60214273호에는 낙뢰전류를 감지하는 코일과 지연회로 및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광신호발생기를 사용하여 낙뢰사고 발생시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회로를 통해 광펄스열(Optical Pulse Train)을 모니터사이트(Monitor Site)로 전송한 후, 전송된 광펄스열의 패턴(pattern)을 구분하여 사고개소의 낙뢰사고를 표시하는 송전탑의 낙뢰검출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제60214273호에는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낙뢰에 의한 전류와 천둥소리의 도달시간차를 이용하여 낙뢰사고가 발생되는 사고개소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공개특허의 경우 낙뢰검출신호의 전송시 광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송전탑마다 광섬유로 전송선을 연결하여야 하고, 송전거리가 길어지고, 송전시설의 설치범위가 광범위화된 현실을 감안하였을 때 그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사고가 발생된 송전탑에 대한 식별정보를 순시원에게 무선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낙뢰사고 발생횟수를 계수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송함으로써 순시원이 사고개소의 송전탑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송전탑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뢰사고 발생시 송전탑을 관리하는 중앙관리자에게 낙뢰사고 발생사실 및 낙뢰사고가 발생된 송전탑의 식별정보가 통보되도록 함으로써 송전탑의 낙뢰사고에 대한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낙뢰통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낙뢰전압검출부(110)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송신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수신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중계수신부(4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중앙감시반(5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송신기, 110 : 낙뢰전압검출부,
120, 210, 401 : 프로그램 메모리, 160 : 스위칭부,
170 : 프로세서, 200 : 수신기,
206, 501 : 표시부, 207 : 경보기,
208 : 경광등, 209 : 구동부,
213, 405 : 마이크로 프로세서, 300 : 송전탑군,
400 : 중계수신부, 403 : 네트워크접속부,
500 : 중앙감시반, 504 : 프로그램저장부,
505 : 제어부, L : 써지코일,
SCR1~SCR3 : 사이리스터, Z1~Z4 : 제너다이오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는 순시원에게 낙뢰로 인한 송전탑의 이상상태를 통보하여 주도록 된 낙뢰통보시스템에 있어서, 송전탑에 취부되어 송전탑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고 그 이상상태를 무선데이터로 송출하도록 된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해당 송전탑의 식별정보와 섬락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은 다수의 송전탑에 설치되어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시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된 낙뢰통보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송전탑에 각각 취부되어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검출된 경우 이를 근거로 소정의 제1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데이터로 송출하도록 된 다수의 송신기 및, 상기 제1 경보메시지를 일정 거리내에서 원격으로 수신하고 이에 소정 식별코드를 부가한 제2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수신부와, 외부망을 통해 상기 중계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제2 경보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 상태를 표시하는 중앙감시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경보메시지는 해당 송전탑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제1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각 중계수신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어드레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순시원은 이상이 발생된 송전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횟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송전탑의 관리자는 각 지역별 송전탑의 낙뢰사고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낙뢰사고 발생시 그 대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송전탑에 설치되고, 낙뢰에 의한 고전류가 송전탑에 유입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해당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사실을 알리는 경보메시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기(100)와, 상기 송신기(100)로부터 전송된 경보메시지를 일정 거리내에서 원격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200)로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경보메시지는 해당 송전탑의 식별정보 및 낙뢰가 직격된 횟수정보인 섬락횟수정보로 구성되며, 상기 식별정보는 송신기(100)가 설치되는 송전탑별로 부여되는 소정의 어드레스 데이터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송신기(100)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탑에 취부되며, 상기 수신기(200)는 송전탑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순시원이 휴대하게 되고, 낙뢰사고 발생시 순시원은 상기 수신기(200)를 통해 해당 송전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송신기(100)와 수신기(200)의 통신거리는 예컨대, 송신기(100)로부터 예컨대, 5km 내지 10km 반경을 포함하게 되며, 이는 상기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에 구비되는 RF(Radio Frequency)회로의 성능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상기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송신기(100)는 설치되는 송전탑의 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수신기(200)는 송전선로의 이상상태를 검사하는 순시원의 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상기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송신부(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에서 참조번호 110은 낙뢰에 의한 고전류가 송전탑으로 유입된 경우 그 고전류에 의한 자장변화시 유도기전력을 생성하는 낙뢰전압검출부로서, 이는 후술하는 프로세서(170)의 전압신호입력단(VS1, VS2)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낙뢰전압검출부(110)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써지코일(L)의 양 단자에 낙뢰에 의한 고전압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트랜실 다이오드(BD)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트랜실 다이오드(BD)의 양 단자는 각각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저항(R1, R2)과 커패시터(C1, C2)로 구성된 평활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평활회로에는 그 캐소드가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사이리스터(SCR1, SCR2)가 병렬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사이리스터(SCR1, SCR2)와 다이오드(D3, D4)의 사이에 접속된 다수의 제너다이오드(Z1~Z4)는 정전압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사이리스터(SCR3)의 애노드는 밧데리(BAT)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캐소드는 저항(R6)를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어 진다.
따라서, 낙뢰에 의한 고전류가 송전탑에 유입되어 써지코일(L)에 발생된 유도전류가 도 4의 (가)방향으로 유입된 경우 다이오드(D1)와 저항(R3)을 통해 제너다이오드(Z1)에 인가된 유기전압은 제3 사이리스터(SCR3)의 게이트단에 동작전압을 인가하게 됨으로써 제3 사이리스터(SCR3)는 온(ON)상태로 전환되고, 저항(R6)의 양 단자(A, B)에는 밧데리(BAT)에 의한 전압강하가 발생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저항(R6)의 양 단자(A, B)는 프로세서(170)의 전압신호입력단(VS1, VS2)에 접속되어 낙뢰발생시 저항(R6)에 걸린 전압을 상기 프로세서(170)로 인가하게 되는 바, 프로세서(170)는 이를 근거로 낙뢰사고 발생사실을 인지하고 소정의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낙뢰전압검출부(110)의 내부 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써지코일(L)에 발생된 유도전류가 도 4의 (나)방향으로 유입된 경우는 다이오드(D2)와 저항(R4)을 통해 제너다이오드(Z3)에 유기전압을 인가시키고, 이는 제3 사이리스터(SCR3)의 게이트단에 동작전압을 인가하게 됨으로써 저항(R6)의 양 단자(A, B)에 전압강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낙뢰에 의한 자장변화가 어느 방향으로 생기든 상기 낙뢰전압검출부(110)는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리스터(SCR1, SCR2)는 제3 사이리스터(SCR3)의 게이트단에 동작전압이 펄스신호로 인가되도록 접속되는 바, 제3 사이리스터(SCR3)는 온(ON)구동 후, 다시 오프(OFF)상태로 전환되어 낙뢰전압검출부(110)는 다음 낙뢰발생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제너다이오드(Z1)에 인가되어 제3 사이리스터(SCR3)가 온상태로 되었을 때 제2 사이리스터(SCR2)가 온구동되고, 이는 써지코일(L)의 역기전력에 의한 유기전압이 제3 사이리스터(SCR3)의 게이트단으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시켜 제3 사이리스터(SCR3)를 오프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는 바, 제3 사이리스터(SCR3)는 낙뢰발생시 마다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유기전압이 제너다이오드(Z3)로 인가된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되어 진다.
그리고, 도 3에서 참조번호 120은 프로세서(170)의 동작 프로그램이 불휘발적으로 저장됨과 더불어, 각 송전탑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인 어드레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130은 프로세서(170)의 직렬데이터 출력단(TXD)을 통해 출력되는 전송 데이터를 예컨대 FSK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하는 FSK 변조부이고, 140은 이 FSK 변조부(130)에서 출력되는 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150은 이 증폭부(140)에서 증폭된 변조신호를 공중파 전송망으로 송출하는 안테나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BAT는 각 회로부의 동작에 필요로 되는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이고, 160은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FSK 변조부(130)와 증폭부(140)에 대한 동작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칭부이다.
즉, 상기 송신기(100)의 경우 평상시에는 동작전원이 프로세서(170)를 동작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낙뢰전압검출부(110)로부터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검출된 경우에 비로서 상기 FSK 변조부(130)와 증폭부(140)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낙뢰전압검출부(110)로부터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검출된 경우 경보메시지로서 해당 송전탑의 식별정보인 어드레스 데이터와 누적된 섬락횟수정보를 그 직렬데이터 출력단(TXD)으로 출력하여 상기 수신기(200)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전원전압(V1), 즉 밧데리(BAT) 전압이 저항(R10)을 통해서 프로세서(170)의 VRH단에 결합되고, 상기 저항(R10)과 VRH단과의 접속노드가 콘덴서(C1)를 통해 접지됨과 더불어 그 콘덴서(C1)와 접지와의 접속노드가 프로세서(170)의 VRL단에 결합되어 있는 바, 프로세서(170)는 상기 VRH단과 VRL단간의 전위차를 근거로 밧데리 전압의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양단간의 전압이 소정 기준값 이하로 저하되게 되면 이를 나타내는 메시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직렬데이터 출력단(TXD)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되는 송전탑의 경보메시지는 어드레스 데이터와 소정의 메시지 데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어드레스 데이터는 송신기(100)가 취부된 각 송전탑의 식별정보로서, 이 어드레스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경보내용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섬락횟수정보 등 낙뢰에 의한 경보내용과 밧데리 전압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경보내용 등이 포함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경보메시지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통해 프레임(frame) 데이터로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내부에 카운터(counter)(171)를 구비하고,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검출된 횟수를 계수하여 이를 섬락횟수정보로 저장하게 된다.
이어,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송신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송신장치(100)에 밧데리(BAT)를 장착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온시켜 동작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프로세서(170)는 예컨대 프로그램 메모리(120)로부터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내부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는 등의 초기화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T501)
이후, 프로세서(170)는 스위칭부(160)를 오프제어하여 FSK 변조부(130)와 증폭부(140)로 밧데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프로세서(170)는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는 전력소모가 큰 FSK 변조부(130)와 증폭부(140)를 비구동상태로 설정함으로써 밧데리(BAT)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T502)
이어, 상술한 초기화처리 및 스위칭동작이 종료된 후,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고전류가 송전탑으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송신기(100)내 낙뢰전압검출부(110)로부터 소정 레벨의 유기전압이 프로세서(170)에 인가되게 되면, 프로세서(170)는 이를 근거로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ST503, ST504)
이후, 프로세서(170)는 해당 송전탑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120)로부터 독출한 후, 독출된 어드레스 데이터와 내부 카운터(171)를 통해 계수된 섬락횟수정보를 근거로 소정 경보메시지를 생성하고, 스위칭부(160)를 온구동하여 FSK 변조부(130)와 증폭부(140)를 구동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생성된 경보메시지를 직렬데이터 출력단(TXD)를 통해 FSK 변조부(130)로 출력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경보메시지는 FSK 변조부(130)에서 FSK 변조된 후 증폭부(140)와 안테나(150)를 통해 수신기(200)측으로 송출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낙뢰발생 상태가 아닌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도 VRH단과 VRL단을 통해 밧데리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저하된 것이 검출되면, 상술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우선 스위칭부(160)를 구동하여 FSK 변조부(130)와 증폭부(140)를 구동상태로 설정한 후, 프로그램 메모리(120)로부터 독출된 해당 송전탑의 어드레스 데이터와 밧데리의 전압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소정 메시지가 포함된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기(200)로 전송하게 된다.(ST505)
한편, 프로세서(170)는 상기한 경보메시지 전송을 미리 설정된 소정 기간동안 반복한 후,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경우 그 전송을 중단시키게 된다. 예컨대, 7초간 전송한 후, 3초간 정지시키는 동작을 3일간 반복하게 되며, 3일의 기간이 경과된 경우 그 전송동작을 중지함과 더불어 프로세서(170)내 카운터(171)에 누적된 섬락횟수정보를 리셋(Reset)시키게 된다.(ST506, ST507)
한편, 도 6은 상기 수신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즉, 도 6에서 참조번호 201은 송신기(100)로부터 송출된 주파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고, 202는 이후에 설명할 FSK 복조부(204)로부터 인가되는 자동이득전압(AGC: Auto Gain Control)을 근거로 상기 안테나(201)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부이며, 603은 이 RF 증폭부(202)를 통해 수신입력된 주파수신호 중 소정의 주파수신호, 즉 송신기(100)로부터의 주파수신호를 필터링 입력하기 위한 SAW 필터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04는 FSK 변조된 송신기(100)로부터의 변조신호를 복조하여 본래의 데이터를 복원하는 FSK 복조부이며, 205는 상기 FSK 복조부(204)로부터의 복조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디코딩하여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 프로세서(213)로 입력하는 디코더이다.
또한, 참조번호 206은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된 경보메시지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부이고, 207 및 208은 현재 낙뢰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순시원에게 경고해 주기 위한 경보기 및 경광등이며, 209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보기(207) 및 경광등(208)을 구동하는 구동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1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213)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더불어, 수신기(200)의 관할 범위에 있는 모든 송전탑에 할당된 어드레스 데이터가해당 송신기(100)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며, 211은 예컨대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된 경보메시지 등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이다.
또한, 참조번호 212는 순시원이 수신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조작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로서, 이 키입력부(212)에는 경보기(207)나 경광등(208) 등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각종 기능키와, 순시원이 데이터 메모리(211)에 저장되어 있는 이상경보메시지 등을 조회하기 위한 조회키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213은 상기 키입력부(212)에 의한 키입력에 따라 수신기(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술한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메시지에 따라 경보처리를 실행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수신기(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즉, 송신기(100)로부터 낙뢰 등에 의한 경보메시지가 안테나(201)를 통해 수신되게 되면, 해당 수신신호는 RF 증폭부(202)와 SAW 필터(203) 및 FSK 복조부(204)를 통해 복조됨과 더불어 디코더(205)에 위해 디코딩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13)로 입력되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213)는 디코더(205)를 통해 디코딩된 경보메시지가 입력되게 되면, 우선적으로 해당 경보메시지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210)에서 검색하여 이상이 발생된 송전탑을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메시지 데이터를 해독하여 경보내용을 나타내는 문자열 및 숫자를 표시부(206)에표시제어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213)는 구동부(209)를 통해 경보기(207) 및 경광등(208)을 구동함으로써 낙뢰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순시원에게 경보해 주게 된다.
따라서, 순시원은 상기 표시부(206)에 표시되어 있는 경보내용을 근거로 현재 어느 송전탑에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가 발생되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고표시는 송신기(100)의 밧데리 이상시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져서 순시원은 밧데리가 소모된 송신기(100)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순시원의 관할범위에 있는 모든 송전탑에 대하여 각각 고유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할당하고, 송전탑에 낙뢰 등에 의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경보메시지를 수신기(200)로 전송함으로써 순시원이 낙뢰가 있었던 송전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송신기(100)와 수신기(200)가 무선을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수신기(200)는 순시원이 휴대하게 됨으로써 육안으로 송전탑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원거리에서도 해당 송전탑의 이상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송신기(100) 각각에 구비된 밧데리(BAT)의 전압을 점검하여 동작전원이 부족한 경우 이를 수신기(200)에 대하여 알려주게 되므로 송신기(100)의 동작전원 부족을 안정적으로 경보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의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7에서 참조번호 300(3001~300n)은 송전탑군으로서, 상기 송전탑군(300)은 상기한 송신기(100)가 그 주주재에 취부된 다수의 송전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전탑군(300)내 속해있는 각 송전탑은 그 송신기(100)와 후술하는 중계수신부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소정 거리범위내에 위치되게 된다.
한편, 참조번호 400(4001~400n)은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 발생시 각 송전탑에 취부된 송신기(100)로부터 전송된 경보메시지를 일정 거리내에서 원격으로 수신하여 이를 후술하는 중앙감시반으로 통보하는 중계수신부로서, 상기 중계수신부(400)의 반경 5km 내지 10km 범위내에는 이와 통신접속되는 송전탑군(300)이 위치되며, 500은 각 중계수신부(400)로부터 전송되는 경보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중앙감시반으로서, 이는 상기 중계수신부(400)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의 공중망이나 전용망을 통해 접속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계수신부(400)와 중앙감시반(500)이 인터넷을 통해 통신접속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송전탑에 낙뢰에 의한 지락사고가 발생된 경우 해당 송전탑에 취부된 송신기(100)로부터 이를 알리는 경보메시지가 그 관리범위내의 중계수신부(400)로 전송되고, 경보메시지를 수신한 중계수신부(400)는 이를 다시 상기 중앙감시반(500)으로 통보하게 됨으로써 중앙감시반(500)의 관리자는 각 지역별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수신부(400)와 중앙감시반(5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중계수신부(4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수신기(2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8에서 참조번호 401은 관할 범위에 있는 모든 송전탑에 할당되는 제1 어드레스 데이터가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되게 저장되고, 해당 중계수신부(400)에 할당된 제2 어드레스 데이터를 저장함과 더불어 송신기(100)로부터 전송된 경보메시지를 중앙감시반(500)으로 통보하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을 구비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이다.
즉, 상기 제2 어드레스 데이터는 각 중계수신부(400)을 식별하도록 중앙감시반(500)이 부여한 식별정보로서, 상기 중앙감시반(500)으로 전송되는 경보메시지에는 상기 제1 어드레스 데이터는 물론 제2 어드레스 데이터가 부가되어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402는 해당 송전탑군(300)을 관리하는 지역관리자가 중계수신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조작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로서, 이 키입력부(402)에는 경보기(207)나 경광등(208) 등을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각종 기능키와, 지역관리자가 데이터 메모리(211)에 저장되어 있는 이상경보메시지 등을 조회하기 위한 조회키 및 중앙감시반(5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403는 상기 중앙감시반(5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이고, 404는 상기 네트워크접속부(403)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감시반(500)과 데이터 통신시 요구되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405는 상기 키입력부(402)에 의한 키입력에 따라 중계수신부(4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송신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메시지에 따라 경보처리를 실행하고, 이를 다시 중앙감시반(500)으로 통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중계수신부(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즉, 송신기(100)로부터 낙뢰 등에 의한 경보메시지가 안테나(201)를 통해 수신되게 되면, 해당 수신신호는 RF 증폭부(202)와 SAW 필터(203) 및 FSK 복조부(204)를 통해 복조됨과 더불어 디코더(205)에 위해 디코딩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405)로 입력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05)는 경보메시지의 제1 어드레스 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401)에서 검색하여 이상이 발생된 송전탑을 검색한 후, 구동부(209)를 통해 경보기(207) 및 경광등(208)을 구동함으로써 낙뢰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중계수신부(400)의 지역관리자에게 경보해 주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405)는 프로그램 메모리(401)로부터 해당 중계수신부(400)의 식별정보인 제2 어드레스 데이터를 독출하고, 수신된 경보메시지에 이를 부가하여 네트워크접속부(403)를 통해 중앙감시반(500)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중앙감시반(500)으로 통보하게 된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중앙감시반(5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9에서 참조번호 501은 상기 중계수신부(400)로부터 수신된 경보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이고, 502는 관리자가 중앙감시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503은 중계수신부(400)로부터 전송된 경보메시지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메모리이고, 504는 후술하는 제어부(505)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됨과 아울러 각 중계수신부(400)의 관할 범위내 송전탑에 할당되는 제1 어드레스 데이터가 해당 송신기(100)에 대응되게 저장되고, 각 중계수신부(400)에 할당되는 제2 어드레스 데이터가 해당 중계수신부(400)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저장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505는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중계수신부(400)로부터 경보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그 경보메시지에 따라 경보처리를 실행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따라서,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해당 송신기(100)를 통해 전송된 경보메시지는 그 송전탑군(300)과 통신접속된 중계수신기(400)를 경유하여 중앙감시반(500)으로 전송되고, 중앙감시반(500)내 제어부(505)는 네트워크접속부(403)를 통해 수신된 경보메시지의 경보내용을 해독하여 표시부(501)에 표시제어함과 더불어 구동부(209)를 통해 경보기(207) 및 경광등(208)을 구동시킴으로써 낙뢰사고의 발생사실을 관리자에게 경보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감시반(500)내 관리자는 표시부(501)의 표시내용을 통해 현재 어떤 지역의 어느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보표시는 송신기(100)의 밧데리 이상시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져서 중계수신부(400) 및 중앙감시반(500)의 관리자는 밧데리가 소모된 송신기(100)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중계수신부(400)의 관할범위에 있는 모든 송전탑에 대하여 제1 어드레스 데이터를 할당하고, 각 중계수신부(400)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어드레스 데이터를 할당하여 낙뢰사고 발생시 상기 제1 및 제2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한 경보메지시가 중계수신부(400)를 경유하여 중앙감시반(500)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중계수신부(400) 및 중앙감시반(500)의 관리자는 낙뢰가 있었던 송전탑을 용이하게 인식하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의 경우 중계수신부(400)를 지역관리자의 관리하에 두고 경보기, 표시부와 같은 경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였으나, 경보기, 경광등과 같은 경보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이를 무인화된 중계수신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송신기(100)가 송전탑에 취부되어 그 낙뢰발생사실을 통보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송신기(100)를 송전탑은 물론 배전탑에 취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이를 순시원에게 무선으로 경보하여 줌으로서 순시원이 원거리에서도 해당 송전탑을 낙뢰사고 발생사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신기의 동작전원 상태를 파악하여 순시원에게 통보하여 줌으로써 장치점검 및 교체를 원할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낙뢰사고 발생시 그 경보메시지가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중계수신부를 경유하여 중앙감시반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중앙감시반의 관리자는 각 지역별 송전탑의 낙뢰사고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낙뢰사고 발생시 그 대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다수의 송전탑에 설치되어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시 낙뢰사고가 발생된 송전탑을 지정하여 순시원에게 통보하도록 된 낙뢰통보시스템에 있어서,
    송전탑에 취부되어 해당 송전탑에 낙뢰사고가 발생된 경우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알리는 경보메시지를 무선데이터로 송출하도록 된 송신기와,
    순시원이 휴대함과 더불어 상기 송신기와 무선으로 결합되어 각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경보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송전탑에는 각각 식별정보로서 소정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부여되고, 상기 송신기는 해당 송전탑의 식별정보인 어드레스 데이터와 그 섬락횟수정보를 상기 경보메시지로 송출하고, 상기 수신기는 이를 수신하여 낙뢰사고가 발생된 송전탑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송전탑에 낙뢰에 의한 고전류가 유입된 경우 그 고전류에 의해 유기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수단과,
    장치 전반을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전압검출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검출된 경우 상기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 프로그램이 불휘발적으로 저장됨과 더불어 관할 범위에 있는 모든 송전탑에 할당된 어드레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수단,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경보메시지를 변조하는 변조수단 및,
    상기 변조신호를 공중파 전송망을 통해 무선데이터로 출력하는 무선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수단과,상기 증폭수단을 통해 증폭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수단,
    상기 복조수단으로부터의 복조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딩수단.
    순시원이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수단,
    상기 경보메시지를 문자열 및 숫자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키입력수단에 의한 키입력에 따라 수신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경보메시지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됨과 더불어 관할 범위에 있는 모든 송전탑에 할당된 어드레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동작전원의 전압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이를 의미하는 소정의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압이상을 나타내는 경보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여 동작전원의 이상이 발생된 송전탑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경보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변조수단에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경보메시지를 송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수단을 오프제어하고, 경보메시지를 송출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수단을 온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써지코일(L)의 양 단자에 낙뢰에 의한 고전압으로부터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트랜실 다이오드(BD)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트랜실 다이오드(BD)의 양 단자는 각각 다이오드(D1, D2)를 통해 저항(R1, R2)과 커패시터(C1, C2)로 구성된 평활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평활회로에는 그 캐소드가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사이리스터(SCR1, SCR2)가 병렬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 사이리스터(SCR1, SCR2)와 다이오드(D3, D4)의 사이에는 정전압 특성을 제공하는 다수의 제너다이오드(Z1~Z4)가 접속되고, 상기 제3 사이리스터(SCR3)의 애노드는 밧데리(BAT)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캐소드는 저항(R6)를 통해 접지단에 접속되며, 상기 저항(R6)의 양 단자(A, B)는 상기 프로세서의 전압신호입력단(VS1, VS2)에 접속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9. 다수의 송전탑에 설치되어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시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도록 된 낙뢰통보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송전탑에 각각 취부되어 낙뢰에 의한 유기전압이 검출된 경우 이를 근거로 소정의 제1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무선데이터로 송출하도록 된 다수의 송신기 및,
    상기 제1 경보메시지를 일정 거리내에서 원격으로 수신하고 이에 소정 식별코드를 부가한 제2 경보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수신부,
    외부망을 통해 상기 중계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제2 경보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 상태를 표시하는 중앙감시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경보메시지는 해당 송전탑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제1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코드는 각 중계수신부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어드레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해당 송전탑의 낙뢰사고 발생횟수를 계수한 후 그 섬락횟수정보를 상기 경보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KR10-2000-0055295A 2000-09-20 2000-09-20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KR100388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95A KR100388361B1 (ko) 2000-09-20 2000-09-20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95A KR100388361B1 (ko) 2000-09-20 2000-09-20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97A KR20020022497A (ko) 2002-03-27
KR100388361B1 true KR100388361B1 (ko) 2003-06-25

Family

ID=1968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295A KR100388361B1 (ko) 2000-09-20 2000-09-20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3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57A (ko) 2018-01-05 2019-07-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낙뢰감지센서를 이용한 전력 자동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31777B2 (en) 2018-06-21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amping operation and apparatus for surge protection
KR102309900B1 (ko) 2020-05-13 2021-10-08 우리정보 (주) IoT 기반 비접촉식 피뢰기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KR20220089498A (ko) 2020-12-21 2022-06-28 가나이엔지 주식회사 피뢰기 누설전류 검출장치와 낙뢰감지 전력차단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38B1 (ko) * 2008-09-02 2011-04-11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서지 보호기용 통신 시스템
KR100931704B1 (ko) * 2009-03-27 2009-12-14 주은전기산업(주) 낙뢰경보 시스템
KR101113406B1 (ko) * 2010-06-24 2012-02-29 (주)인투비 무선 낙뢰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84268B1 (ko) * 2017-02-17 2018-08-01 타이아(주) 무선통신 기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송전철탑 지진감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57A (ko) 2018-01-05 2019-07-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낙뢰감지센서를 이용한 전력 자동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31777B2 (en) 2018-06-21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amping operation and apparatus for surge protection
KR102309900B1 (ko) 2020-05-13 2021-10-08 우리정보 (주) IoT 기반 비접촉식 피뢰기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KR20220089498A (ko) 2020-12-21 2022-06-28 가나이엔지 주식회사 피뢰기 누설전류 검출장치와 낙뢰감지 전력차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97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7231A (ko)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KR100388361B1 (ko) 송전탑용 낙뢰통보시스템
KR101288025B1 (ko) 재난 알림 전광판
CN106899697A (zh) 一种基于gps的混凝土运输车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01315651A (zh) 列车故障实时检修方法及系统
CN111459066A (zh) 一种城市照明设施的地下管网监控系统
US6675132B2 (en) Method for maintaining an object, and a maintenance system
CN106250990A (zh) 一种电动汽车设备维护管理系统
CN106204806A (zh) 一种电动汽车设备维护提示系统
KR101154817B1 (ko) 송전탑용 낙뢰통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뢰통보 시스템
CN103049973A (zh) 一种高压线路运行放外力预警方法
CN109489630A (zh) 一种交通设施实时监控系统
CN209015362U (zh) 一种电气火灾监控系统
KR101865294B1 (ko) 안전등 모니터링 시스템
CN103136890B (zh) 物品监管方法与系统、无线射频识别卡
JP3071700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110860B1 (ko) 노면 상태 감지 장치와 노면 상태 알림 제어 시스템 및 노면 상태 알림 제어 방법
JP4077171B2 (ja) 照明灯動作情報収集方法および照明灯動作情報収集システム
KR100558365B1 (ko) 송전탑의 애자 감시 시스템
CN211567970U (zh) 一种非自动闭塞区间用钢轨断轨监控装置
KR200199018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관리장치
KR20000024600A (ko) 조명등의 점소등을 제어 및 확인하기 위한 조명등 원격제어기와 이를 이용한 조명등 원격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220349697U (zh) 一种不断电能远程报警的列车防护信号灯
KR100351493B1 (ko) 가로등 점소등용 무선양방향 자동점멸기
CN210293275U (zh) 一种基于单北斗的多传感器联合检测开关柜局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