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962B1 -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962B1
KR100386962B1 KR10-2000-0065006A KR20000065006A KR100386962B1 KR 100386962 B1 KR100386962 B1 KR 100386962B1 KR 20000065006 A KR20000065006 A KR 20000065006A KR 100386962 B1 KR100386962 B1 KR 100386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user
glasses
specta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011A (ko
Inventor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김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준 filed Critical 김재준
Priority to KR10-2000-006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96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로 촬영된 얼굴 이미지와 이와 동일한 각도로 촬영한 안경 이미지를 각각 표준화함으로써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 방법은 먼저, 소정의 촬영 조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아 표준화한다.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서버에서 산출한다. 안경 이미지 및 안경의 실제 안경 치수를 입력받아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한다. 실제 안경 치수가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에 소정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실제로 사용자가 안경을 썼을 때의 모습을 그대로 재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자신의 안경을 착용한 모습을 다양한 각도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에 어울리는 안경을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 상으로도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문가가 특정한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이라고 추천한 안경을 씌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UTTING EYEGLASS' IMAGE ON USER'S FACIAL IMAGE}
본 발명은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얼굴 이미지에 안경 종류별 이미지를 매핑시킨 가상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사용자 자신에게 어울리는 안경을 가상 이미지를 참작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경도 옷이나 액세서리처럼 패션화 되고 있고, 개성을 연출하는 패션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다. 어떤 재질과 디자인의 안경을 쓰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패션 감각과 성격까지도 생각케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안경을 선택할 경우 안경의 광학적 측면과 미용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안경 착용시 인간의 시력을 보완하여 정상적인 시력을 갖도록 하고 불편 없이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광학적인 측면이라고 하면, 광학적인 측면에서는 일반 안경 구매자의 의견 보다 안경사와 같은 전문가의 의견이 안경 선택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시력 측정에 의한 안경 도수(디옵터)를 반영한 렌즈의 선택, 안경의 무게 등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기호보다는 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처방을 따라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소비자의 얼굴형에 따른 안경테의 모양, 선글라스의 렌즈의 색깔 등의 선택은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소비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종래 안경 구매자는 안경점에 직접 가서 안경을 직접 써 보고 안경사와 같은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자신의 얼굴형에 맞는 안경을 골라왔다.
한편, 최근 인터넷을 통한 전자 상거래의 증가로 인터넷 쇼핑이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소비자는 단지 자신이 사고자하는 상품의 카탈로그나 외형만을 보고 구매해야하는 제한이 있다.
특히,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이 사람의 신체, 체형에 민감한 경우에는 기존의 인터넷 쇼핑으로는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가 자신의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을 직접 자신의 신체에 씌워본 후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의류, 신발, 안경 등의 경우는 소비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에 입혀진 모습을 보고 잘 어울리는지 판단하도록 하여 오프라인에서의 상품 구매 방식을 인터넷 등의 온라인에서 구현할 필요가 있다.
오프라인에서라도 소비자가 의류, 안경 등을 자신의 신체와 다양하게 조합한 결과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면 보다 만족스런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안경의 경우 인터넷 등을 통한 온라인 판매는 소비자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 안경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안경은 의류, 액세서리, 모자의 경우와 달리 패션과 같은 미용적 측면 외에도 인간의 시력을 보안하기 위한 의료 기기로도 볼 수 있는 점에서 전문가의 도움 없이 소비자 스스로의 안경 선택에 의한 온라인 판매는 곤란하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전문가의 처방 없이도 소비자 스스로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 안경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가 자신이 구매하고자하는 안경의 이미지를 자신의 얼굴 이미지에 씌워본 후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안경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소비자의 얼굴을 이미지로 복원하여 여기에 안경 이미지를 씌운 합성 이미지가 소비자가 실제로 얼굴에 안경을 쓴 모습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만족할 만한 안경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사람마다 얼굴 형태가 다양하고, 사람마다 얼굴의 안면 폭의 크기, 미간폭, 코 높이, 귀의 위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착용자의 얼굴 부위 특징을 인체 공학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단지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씌우는 방법은 소비자가 실제로 안경을 착용한 모습과 일치되기 어렵다.
즉, 단지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덧붙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안경을 선택할 경우에는 소비자가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 안경을 고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제로 사용자가 안경을 썼을 때의 모습을 그대로 재생시킬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얼굴 형태,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 이미지를 선택하여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매핑시킨 가상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매핑시킨 가상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안경 착용 모습을 다양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에 어울리는 안경을 선택하여 온라인 상으로 구입하는 데 참조하기 위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안경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안경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a는 사용자의 얼굴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안경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이미지를 사용자 얼굴의 정면, 우측면, 좌측면, 270도 우측면, 270도 좌측면 이미지에 씌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1,...,110-N : 사용자 클라이언트
110 : 관리자 서버 120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30 :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140 : 안경 데이터베이스
150 :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400 : 촬영 장치
500, 510, 520, 530, 540 :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얼굴 이미지를 표준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안경 이미지 및 상기 안경 이미지의 실제 안경 치수를 입력받고, 상기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하고, 상기 실제안경 치수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실제 얼굴 치수를 미리 알고 있는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의 얼굴 치수와 상기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의 얼굴 치수의 상대적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사용자의 얼굴을 소정의 촬영 거리 및 촬영 각도를 포함한 소정의 촬영 조건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및 상기 안경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촬영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되어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270도 좌측면, 270도 우측면을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중에서 렌즈 색깔 또는 렌즈 두께를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실제 안경 치수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는 상기 실제 안경 치수 중 안경폭과 상기 사용자 실제 얼굴의 안면폭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제 안경 치수 중 안경다리 길이와 상기 사용자 실제 얼굴의 측면 얼굴에서 안경다리가 걸치는 부분까지의 거리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제 안경 치수 중 안경 브리지 길이와 상기 사용자 실제 얼굴의 미간폭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실제 얼굴 치수 = 표준화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의 실제 얼굴 치수 * (구하고자하는 얼굴 이미지 속의 얼굴 치수÷표준화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속의 얼굴 치수)- 여기서, 상기 얼굴 치수는 안면폭, 실제 얼굴의 측면 얼굴에서 안경다리가 걸치는 부분까지의 거리, 미간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얼굴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270도 좌측면 및 270도 우측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표준화된 얼굴과 동일한 촬영 조건에서 촬영된 안경의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씌우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 형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상기 생성된 얼굴 형태 정보에 상응하는 전문가 추천 안경의 안경 이미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상기 생성된 얼굴 형태 정보에 상응하는 전문가 추천 안경의 안경 이미지인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 추천 안경의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씌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은 복수의 얼굴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3차원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얼굴 이미지를 표준화하고, 적어도 하나의 안경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하고, 상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관리자 서버(110), 상기 관리자 서버(110)에 각각 연결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0),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 안경데이터베이스(140),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관리자 서버(11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0)와 네트워크 등으로 연결된 입출력부(112)와 입출력부(112)에 연결된 제어부(114)를 포함한다.
관리자 서버(11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안경 종류별 이미지를 참조하여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처리를 하는 부분이다.
관리자 서버(110)의 입출력부(112)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아, 제어부(114)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입력받은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씌우기 위한 처리를 한 후, 안경 이미지가 착용된 얼굴 이미지를 입출력부(112)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내준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의 신상 정보, 입력받은 사용자별 얼굴 이미지 데이터, 얼굴 치수 정보, 얼굴 형태 정보, 사용자의 3차원 합성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며, 이는 도2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입력된 얼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치수(예를 들어, 안면폭, 미간폭, 측면 얼굴에서 귀까지의 거리, 코 높이 등)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입력된 얼굴 이미지를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축소 또는 확대하여 표준화한 얼굴 이미지가 저장된다.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는 사용자의 얼굴 치수를 구하기 위해 필요하다.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으로부터 얻어진 얼굴 이미지 상의 얼굴 크기는 촬영 거리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축소되므로 실제 얼굴의 크기보다 작다.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사진의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사진 속 얼굴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미리 실제 얼굴 치수를 알고 있는 모델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구하고자하는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크기가 15cm * 15cm 이고 사진 속 얼굴 이미지의 안면폭이 6cm이라면, 피사체로부터 위와 동일한 거리에서 촬영한 경우 사진 크기가 10cm * 10cm로 달라지면 안면폭은 4cm로 줄어든다. 즉, 사진 크기에 따라 이미지 속의 안면폭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거리에서 촬영된 미리 얼굴 치수를 알고 있고 표준화된 크기를 갖는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속의 안면폭과 비교하여 입력된 얼굴 이미지로부터 실제 안면폭을 계산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거리에서 촬영된 20cm * 20cm의 사진을 스캐닝하여 20cm * 20cm의 크기를 갖는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속의 안면폭이 8cm이고, 실제 안면폭은 15cm라고 하자.
이 경우, 위와 동일한 거리에서 촬영된 사진 크기가 15cm * 15cm 이고 동일한 크기의 얼굴 이미지 속의 안면폭이 6cm이면, 실제 안면 폭 = 표준화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의 실제 안면폭 * (구하고자하는 얼굴 이미지 속의 안면 폭÷표준화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속의 안면 폭) = 15 * (6÷8)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안면폭뿐만 아니라, 안경 브리지 길이를 스케일링하기 위한양 눈썹 사이의 미간 폭, 안경다리 길이를 스케일링하기 위한 측면 얼굴에서의 다리 받침대인 귀까지의 거리, 안경 코걸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정면, 좌우 측면 등의 다양한 각도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할 때의 촬영 거리, 촬영 각도 등 동일한 촬영 조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의 크기를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예를 들어, 사용자의 경우 10cm * 10cm의 이미지 중 얼굴 안면폭이 4.5cm이고, 표준 모델의 경우 20cm * 20cm의 이미지 중 얼굴 안면폭이 8cm일 때, 4.5cm를 8cm로 확대함) 표준화된 크기를 갖는 얼굴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후술할 안경 이미지도 표준화된 크기의 이미지로 바뀌어 별도 저장된다. 표준화된 이미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실제 크기와 이미지 크기는 서로 별개이므로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씌울 때 발생하는 치수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안경 이미지는 모두 표준화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되어 저장되고, 서로 표준화된 크기의 이미지 상태에서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씌울 수 있다.
즉, 실제 안경 치수와 실제 얼굴 치수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조건하에서는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우면 소정 범위 내에서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와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간에는 치수가 맞게 된다. 이때, 소정 범위는 육안 식별이 곤란할 정도의 오차 범위를 갖도록 한다.
또한,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모델의 얼굴 이미지가 표준화된 크기를 갖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로 저장될 수 있다. 3차원 얼굴 이미지는 관리자 서버(110)에서 다양한 각도로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3D로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 점들의 위치를 표시한 얼굴의 정면, 좌우 측면 및 270도 좌우 측면 사진을 촬영하고, 이 사진들로부터 각 측정 점들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해내어 3차원 이미지의 윤곽을 합성해 낼 수 있다. 이 방법 이외에도, 2차원 이미지로부터 3차원 얼굴 이미지를 합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안경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실물 안경 종류별로의 이미지 및 실물 안경의 이미지가 표준화된 크기로 변형된 표준화된 이미지가 안경 종류별로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고, 안경 종류별 안경테의 모양, 안경테의 무게, 가격 등의 안경 종류별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0)에는 다양한 각도로 촬영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 및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시킨 상태에서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착용시킨 합성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이며, 도 1a와의 차이점은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클라이언트(100-1, ..., 100-N)들이 관리자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다.
즉,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는 안경을 온라인 구입하고자 관리자 서버(110)의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 이미지(예를 들어, 정면 이미지만 또는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이미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 서버(110)를 운영하는 사업자와 제휴한 얼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춘 안경 대리점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안경 대리점에서 사용자 별로 안경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안경 이미지를 관리자 서버(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0)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2),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4), 사용자의 3차원 합성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6-1), 얼굴 치수 정보(126-2), 얼굴 형태 정보(126-3)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사용자의 아이디(ID) 및 패스워드와 같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경우 인증을 위해 또는 사용자별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주소 등의 사용자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인적 사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4)에는 사용자별로 사용자 얼굴을 정면, 좌우 측면, 270도 좌측면, 270도 우측면 등의 다양한 각도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한 얼굴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10)는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 및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치수(안면폭, 미간폭, 측면 얼굴에서의 귀까지의 거리 등)를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의 3차원 합성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6-1)에는 관리자 서버(110)에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3D 합성법으로 합성한 3D 얼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의 3차원 합성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6-1)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얼굴 이미지를 3차원 합성하고자 할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얼굴 치수 정보 데이터베이스(126-2)는 관리자 서버(110)에서 산출한 안면폭, 미간폭 등의 얼굴 치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얼굴 치수 정보는 관리자 서버(110)에서 계산할 필요없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도 있다. 얼굴 치수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자 서버(110)에서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얼굴 치수 정보는 필요 없을 수도 있다. 즉, 단지 인터넷 상으로는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씌운 착용 안경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안경테만을 고르도록 하고, 실제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안경점에서 직접 맞추도록 할 경우에는 안경 치수는 필요없다.
얼굴 형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26-3)에는 관리자 서버(110)에서 입력된 사용자별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특정 얼굴 형태로 분류한 결과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둥근 형, 각진 형, 역삼각형 등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전문가가 추천한 얼굴 형태에 따른 안경을 씌울 수 있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안경 데이터베이스(140a)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안경 데이터베이스(140a)는 안경 종류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안경 종류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 및 안경 종류별 표준화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6)를 포함한다.
안경 종류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얼굴 이미지에 착용된 안경의 실제 제품의 안경폭, 브리지의 길이, 안경다리의 길이, 안경 코걸이의 높이와 같은 안경 치수 정보, 안경테의 모양, 무게, 가격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가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착용되어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출력할 때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안경 종류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는 사용자 얼굴을 이미지를 촬영할 때의 촬영 거리, 촬영 각도 등 동일한 촬영 조건에서 촬영한 실물 안경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면, 좌측면, 우측면, 270도 좌측면, 270도 우측면을 촬영한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각도로 촬영한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동일한 특정 각도로 촬영한 안경 이미지를 매핑시켜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착용시킬 수 있게 된다.
안경 종류별 표준화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는 사용자 얼굴을 촬영할 때의 촬영 거리, 촬영 각도 등 동일한 촬영 조건에서 실물 안경을 촬영한 안경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크기를 표준화한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중 안면폭 길이와 안경 이미지 중 안경폭 길이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안경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준화 할 수 있다. 상기 소정 범위 내는 화면상으로 이미지를 보았을 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정도의 오차 범위를 의미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안경 데이터베이스(140b)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나타낸다. 도 3b는 도 3a에 비해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 데이터베이스(148)를 추가로 포함한다.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 데이터베이스(148)에는 얼굴 형태에 따라 적합하다고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안경테 종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둥근 형의 얼굴에는 옆으로 길고 모서리에 약간의 곡선이 가미된 사각형 안경테, 각진 얼굴에는 둥근 형의 안경테, 계란형 얼굴은 타원형 안경테, 끝을 둥글게 한 사각테, 역삼각형 얼굴인 턱이 약간 뾰족하고 광대뼈가 나온 경우에는 동그랗고 커다란 안경테가 어울린다.
따라서, 이러한 얼굴 형태에 따라 적합한 안경테의 형태를 데이터베이스화 한 것이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 데이터베이스(148)이다.
도 4a는 사용자의 얼굴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얻기 위해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정면, 좌측면, 우측면, 270도 좌측면, 270도 우측면을 촬영한다. 사진 촬영 각도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표준 모델의 얼굴 촬영 및 안경 촬영할 때에도 사용자 얼굴을 촬영할 때의 촬영 거리, 촬영 각도 등 촬영 조건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실제 얼굴 치수, 안경 치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는 안경을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촬영 각도는 도 4a의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각도와 일치되도록 하여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그대로 매핑(mapping)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 촬영한 사용자 얼굴에 대응되도록 정면에서 안경을 촬영하고, 좌측면에서 촬영한 사용자 얼굴에 대응되도록 좌측면에서 안경을 촬영한다. 이때, 얼굴 이미지를 촬영할 때와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이미지를 사용자 얼굴의 정면, 우측면, 좌측면, 270도 우측면, 270도 좌측면 이미지에 씌운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이 특정 각도로 촬영된 얼굴 이미지에 대해 그와 동일한 특정 각도로 촬영하여 스케일링을 거친 안경 이미지가 얼굴이미지에 씌워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정면에서 촬영한 얼굴 이미지에는 정면에서 촬영한 안경 이미지가 안면폭에 맞도록 표준화된 후에 씌워진다. 또한, 좌측면에서 촬영한 얼굴 이미지에는 좌측면에서 촬영한 안경 이미지가 측면 얼굴의 귀까지의 거리에 맞도록 표준화된 후 씌워진다. 씌워진 후 얼굴 이미지에 의해 가려지는 이미지 부분은 은선 제거 알고리즘에 의해 제거되고 남은 안경 이미지만 씌워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3D(Dimension)로 합성하여 여기에 안경 이미지를 씌우는 경우를 설명하고, 도 8 및 도 9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2D(Dimension) 상태로 하여 여기에 안경 이미지를 씌우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하 각각의 경우를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특히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3차원 합성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클라이언트(100, 100-1, ..., 100-N)가 관리자 서버(110)에 접속하고(단계 601), 관리자 서버(110)에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4)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얼굴 이미지들을 읽어들여 이를 3D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603).
이때, 사용자 얼굴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촬영 각도로 촬영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부적합한 촬영 각도로 촬영된 경우(즉, 미리 정해진 촬영 각도로 촬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이미지를 다시 전송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10)에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124)와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130)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얼굴 치수 정보를 산출한다(단계 605). 얼굴 치수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도 있다. 안경 종류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6)로부터 안경 종류별로 안경 이미지를 읽어들인다(단계 607).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에 해당되는 안경 치수(안경폭, 브리지 길이, 다리 길이 등)를 안경 종류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읽어들여 위에서 산출된 얼굴 치수에 맞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609).
즉, 안경 종류별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실제 제품의 안경폭, 브리지의 길이, 안경다리의 길이 등의 실제 안경 치수 정보와 각각 사용자 얼굴 이미지로부터 산출된 사용자의 실제 얼굴의 안면폭, 미간폭, 측면 얼굴의 귀까지의 거리등의 실제 안경 치수 정보와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소정 범위는 사람에 따라 오차 값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안경점에서 안경 판매를 통해 경험적으로 얻어진 일정한 오차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단(단계 609)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고, 이러한 판단없이(즉, 얼굴 치수와 안경 치수가 소정 범위 내에서 맞는지 여부에 상관없이)도 표준화 단계를 거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킨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 실제 안경 치수와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의 차이 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실제 판매되는 안경 중에 사용자의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이 없는 경우이다. 이때는 사용자의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을 주문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먼저 안경 이미지를 얼굴 이미지에 착용시킨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타입의 안경테와 렌즈를 선택한 후, 사용자의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을 안경점에서 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 안경 이미지를 보고 자신의 얼굴에 맞는 안경테인지 만을 판단하도록 하고 실제 얼굴 치수에 맞는 안경은 전문가의 실제 측정을 통해 안경점에서 직접 고르도록 하는 경우에도 상기 판단(단계 609)이 필요없다(이하 도 7 내지 도 9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판단 결과,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안경 이미지의 크기를 표준화하며(단계 611),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 607로 되돌아가 실행한다.
상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3D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단계 613).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할 때 은선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안경 종류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로부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마지막 안경 이미지인지를 판단하여(단계 615), 판단 결과 아직 남은 안경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607로 되돌아가 실행한다.
상기 판단 결과, 모든 안경 이미지를 읽어들인 경우에는 위에서 생성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입출력부(112)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단계 617).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얼굴 이미지에 안경 종류별로 안경 이미지를 씌운 모습을 정면, 좌우 측면, 270도 좌우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 중에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안경이 어느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619).
또한, 사용자는 3D 얼굴 영상의 경우 3D 영상을 회전시켜 가면서 모든 방향에서 안경을 착용한 자신의 얼굴 모습을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글라스나 안경의 렌즈 색깔을 변화시켜 가면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선글라스나 안경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렌즈의 두께를 변화시켜 가면서 자신에게 어울리는 안경을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렌즈 색깔 및 렌즈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은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킨 상태에서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사용자별로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 이미지를 추천해주는 과정이 도 6에서 설명한 단계들에 대해 추가된다.
이하, 도 6과 다른 부분들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1내지 단계 711까지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713에서는 단계 707에서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인지를 판단한다.
즉, 얼굴 형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26-3)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가 어떤 유형인지를 알아내고, 상기 알아낸 사용자의 얼굴 형태를 참작하여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 데이터베이스(148)에 저장된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안경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인 경우에는 읽어내어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3D 얼굴 이미지에 씌운 추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한 후, 출력 단계에서 전문가가 추천하는 사용자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임을 알려준다(단계 719 참조).
상기 판단 결과,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이 아닌 경우에는 단순히 안경 종류별로 착용 안경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를 상기 3D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단계 715).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안경 종류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마지막 안경 이미지인지를 판단한 후(단계 717), 남은 안경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707로 되돌아가 실행한다.
상기 판단 결과, 더 이상 읽을 안경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719에서 위에서 생성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입출력부(112)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단계 719에서 전문가가 추천하는 안경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추천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킨 상기 추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입출력부(112)를 통해 출력한다. 나머지 단계는 도 6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2D(Dimension) 상태로 하여 여기에 안경 이미지를 씌우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6과 대부분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간략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관리자 서버(110)에 접속하고(단계 801), 관리자 서버(110)에서 얼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24)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다양한 각도로 촬영한 얼굴 이미지들을 읽어들인다(단계 803). 이때, 사용자 얼굴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촬영 각도로 촬영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부적합한 촬영 각도로 촬영된 경우(즉, 미리 정해진 촬영 각도로 촬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이미지를 다시 전송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단계 805 내지 단계 811까지는 도 6과 동일하다. 단계 813에서는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단계 803에서 읽어들여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한 후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
단계 815 내지 단계 819는 도 6과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서, 도 9는 사용자별로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 이미지를 추천해주는 과정이 도 8에서 설명한 단계들에 대해 추가된다. 이하, 도 8과 다른 부분들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01내지 단계 911까지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913에서는 단계 907에서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인지를 판단한다.
즉, 얼굴 형태 정보 데이터베이스(126-3)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얼굴 형태가 어떤 유형인지를 알아내고, 상기 알아낸 사용자의 얼굴 형태를 참작하여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 데이터베이스(148)에 저장된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안경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인 경우에는 상기 읽어낸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추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한 후, 출력 단계에서 전문가가 추천하는 사용자 얼굴 형태에 적합한 안경임을 알려준다(단계 919 참조).
상기 판단 결과, 얼굴 형태에 맞는 추천 안경이 아닌 경우에는 단순히 안경 종류별로 착용 안경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를 상기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한다(단계 915).
상기 읽어들인 안경 이미지가 마지막 안경 종류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된 안경 이미지인지를 판단한 후(단계 917), 남은 안경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907로 되돌아가 실행한다.
나머지 단계는 도 7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각도로 촬영된 얼굴 이미지와 이와 동일한 각도로 촬영한 안경 이미지를 각각 표준화함으로써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킨 이미지가 실제로 사용자가 안경을 썼을 때의 모습을 그대로 재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가가 특정한 얼굴 형태에 맞는 안경이라고 추천한 안경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 추천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킨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킨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안경 착용 모습을 다양하게 볼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에 어울리는 안경을 인터넷 등과 같은 온라인 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얼굴 이미지를 표준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안경 이미지 및 상기 안경 이미지의 실제 안경 치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하는 단계;
    상기 실제 안경 치수의 안경폭과 상기 실제 얼굴 치수의 안면폭의 차이값, 상기 실제 안경 치수의 안경 다리 길이와 상기 실제 얼굴 치수의 측면 얼굴에서 안경 다리가 걸치는 부분까지의 거리의 차이값, 상기 실제 안경 치수의 안경 브리지 길이와 상기 실제 얼굴 치수의 미간폭의 차이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값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하는 단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실제 얼굴 치수를 미리 알고 있는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의 얼굴 치수와 상기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의 얼굴 치수의 상대적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사용자의 얼굴을 소정의 촬영 거리 및 촬영 각도를 포함한 소정의 촬영 조건에서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및 상기 안경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촬영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되어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270도 좌측면, 270도 우측면을 촬영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된 것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중에서 렌즈 색깔을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 중에서 렌즈 두께를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실제 얼굴 치수 = 표준화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의 실제 얼굴 치수 * (구하고자하는 얼굴 이미지 속의 얼굴 치수÷준화된 표준 모델의 얼굴 이미지 속의 얼굴 치수)- 여기서, 상기 얼굴 치수는 안면폭, 실제 얼굴의 측면 얼굴에서 안경다리가 걸치는 부분까지의 거리, 미간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에 의해 산출되는 것
    를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얼굴의 정면, 좌측면, 우측면, 270도 좌측면 및 270도 우측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표준화된 얼굴과 동일한 촬영 조건에서 촬영된 안경의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씌우는 단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 형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안경 이미지가 상기 생성된 얼굴 형태 정보에 상응하는 전문가 추천 안경의 안경 이미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안경 이미지가 상기 생성된 얼굴 형태 정보에 상응하는 전문가 추천 안경의 안경 이미지인 경우에는 상기 전문가 추천 안경의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표준화된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씌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은
    복수의 얼굴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3차원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16. 프로그램이 저장되어있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1)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받고,
    2)상기 얼굴 이미지를 표준화하고,
    3)상기 사용자의 실제 얼굴 치수 정보를 생성하고,
    4)적어도 하나의 안경 이미지 및 상기 안경의 실제 안경 치수를 입력받고,
    5)상기 안경 이미지를 표준화하고,
    6) 상기 실제 안경 치수의 안경폭과 상기 실제 얼굴 치수의 안면폭의 차이값, 상기 실제 안경 치수의 안경 다리 길이와 상기 실제 얼굴 치수의 측면 얼굴에서 안경 다리가 걸치는 부분까지의 거리의 차이값, 상기 실제 안경 치수의 안경 브리지 길이와 상기 실제 얼굴 치수의 미간폭의 차이값이 소정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7)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이값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표준화된 안경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표준화된 얼굴 이미지에 씌운 사용자별 착용 안경 이미지를 생성하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KR10-2000-0065006A 2000-11-02 2000-11-02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KR100386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006A KR100386962B1 (ko) 2000-11-02 2000-11-02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5006A KR100386962B1 (ko) 2000-11-02 2000-11-02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011A KR20010008011A (ko) 2001-02-05
KR100386962B1 true KR100386962B1 (ko) 2003-06-09

Family

ID=196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5006A KR100386962B1 (ko) 2000-11-02 2000-11-02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123B2 (en) 2014-04-01 2017-07-04 Ditto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machine-readable medium for incorporating a series of images resident on a user device into an existing web browser session
KR101805056B1 (ko) 2015-07-21 2017-12-05 (주)월드트렌드 증강현실을 이용한 안경착용 시뮬레이션 방법
KR20220075482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띵킹프렌즈 가상 안경피팅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19A (ko) * 2001-08-17 2003-02-25 지명락 인터넷을 이용한 안경착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EP1495447A1 (en) * 2002-03-26 2005-01-12 KIM, So-Woon System and method for 3-dimension simulation of glasses
FR2860887B1 (fr) * 2003-10-13 2006-02-03 Interactif Visuel Systeme Ivs Mesure de configuration du visage et de montures de lunettes placees sur ce visage a une efficacite amelioree
KR101375438B1 (ko) * 2011-09-14 2014-03-17 (주)하이모 가발 시뮬레이션용 근접 촬영 장치
WO2015186983A1 (ko) * 2014-06-05 2015-12-10 조희은 네트워크상에서의 물품 구매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구매지원 서버
US9086582B1 (en) 2014-08-20 2015-07-21 David Kind,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ustom-fitted and styled eyewear based on user-provided images and preferences
KR102167109B1 (ko) * 2017-06-02 2020-11-20 이보미 안경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31239B1 (ko) 2018-12-18 2021-03-22 김재윤 안경 착용 시뮬레이션 방법
US11238611B2 (en) 2019-07-09 2022-02-01 Electric Avenue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eyewear sizing
ES2954483T3 (es) * 2020-03-16 2023-11-22 Zeiss Carl Vision Int Gmbh Métodos y dispositivos implementados por ordenador para determinar las dimensiones y distancias de las características de la cabeza
KR102451690B1 (ko) * 2022-04-01 2022-10-07 이경호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안경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9441A1 (en) * 1996-02-06 1997-08-14 Samir Jacob Bechara System and method for choosing and buying spectacles and color contact lenses
US5983201A (en) * 1997-03-28 1999-11-09 Fay; Pierre N. System and method enabling shopping from home for fitted eyeglass frames
KR20010114089A (ko) * 2000-06-21 2001-12-29 최경덕 인터넷을 통한 안경 거래방법
KR20020014602A (ko) * 2000-08-18 2002-02-25 김쾌중 화상을 통한 안경 전자상거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9441A1 (en) * 1996-02-06 1997-08-14 Samir Jacob Bechara System and method for choosing and buying spectacles and color contact lenses
US5983201A (en) * 1997-03-28 1999-11-09 Fay; Pierre N. System and method enabling shopping from home for fitted eyeglass frames
KR20010114089A (ko) * 2000-06-21 2001-12-29 최경덕 인터넷을 통한 안경 거래방법
KR20020014602A (ko) * 2000-08-18 2002-02-25 김쾌중 화상을 통한 안경 전자상거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123B2 (en) 2014-04-01 2017-07-04 Ditto Technologies, Inc.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machine-readable medium for incorporating a series of images resident on a user device into an existing web browser session
KR101805056B1 (ko) 2015-07-21 2017-12-05 (주)월드트렌드 증강현실을 이용한 안경착용 시뮬레이션 방법
KR20220075482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띵킹프렌즈 가상 안경피팅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011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4226B2 (en) Method and system to create custom, user-specific eyewear
US5983201A (en) System and method enabling shopping from home for fitted eyeglass frames
KR100386962B1 (ko)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안경 이미지를 착용시키는 방법 및시스템
JP2001330806A (ja) 眼鏡フレーム合成システム及び眼鏡フレーム販売方法
KR20130103153A (ko) 고객 맞춤형 안경 및 콘택트렌즈 버추얼 피팅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74053B1 (ko) 스마트 거울을 이용한 안경 피팅 시스템의 운영방법
JP2002162607A (ja) 眼鏡販売システム
KR20220075482A (ko) 가상 안경피팅시스템 및 방법
JP2003030296A (ja) 眼鏡の仮想装用システム
JP2003030494A (ja) 眼鏡の選択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