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691B1 - 통발 걸기장치 - Google Patents

통발 걸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691B1
KR100386691B1 KR10-2001-0052168A KR20010052168A KR100386691B1 KR 100386691 B1 KR100386691 B1 KR 100386691B1 KR 20010052168 A KR20010052168 A KR 20010052168A KR 100386691 B1 KR100386691 B1 KR 10038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slider
rotating body
vane rotating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9882A (ko
Inventor
정용길
유금범
박재필
조재용
이현섭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유금범
정용길
박재필
조재용
이현섭
이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정용길, 박재필, 조재용, 이현섭, 이성진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01-005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6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 걸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발(5)을 모릿줄(1)의 고다리(2)에 걸어주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경사진 통발안내대(30)를 구비하고, 상기 통발안내대(30)의 하류부에는 통발(5)이 하나씩 적재되는 베인회전체(5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인회전체(50)는 지지대(40)에 부착된 베어링(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인회전체(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통발안내대(30)의 통발(5)을 하나씩 들어올리는 베인(52)이 다수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인회전체(50)의 중심을 관통하여서는 구동로드(7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로드(72)의 선단에는 통발(5)의 슬라이더(10)를 구동시키는 슬라이더누름쇠(7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는 상기 통발안내대(30)에 적재된 통발(5)의 슬라이더(10)를 눌러 후퇴시켜 집게(9)가 벌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인회전체(50)와 슬라이더누름쇠(70)의 구동을 위해서는 각각 실린더(61,81)와 상기 실린더(61,81)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62,8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발의 집게를 자동으로 벌려줄 수 있어 통발을 모릿줄의 고다리에 연결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발 걸기장치{Sea Eel pot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통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릿줄의 고다리에 통발을 용이하게 걸어주도록 하는 통발 걸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통발이 모릿줄의 고다리에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수십에서 수백킬로미터의 모릿줄(1)에 소정 간격으로 고다리(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다리(2)에 각각 통발(5)이 걸어져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릿줄(1)에는 매우 많은 통발(5)이 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통발(5)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발몸체(6)가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장어의 포획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통발몸체(6)에는 다수개의 통공(6')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6')은 상기 통발몸체(6)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장어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통발몸체(6)의 후방에는 통발몸체(6)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장어가 들어가는 일방향입구(7)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일방향입구(7)는 장어가 상기 공간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지만 그를 통해 빠져나올 수는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발몸체(6)의 선단에는 상기 고다리(2)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8)가구비된다. 상기 연결구(7)는 그 선단의 집게(9)가 벌어지고 오무러지도록 동작되는데,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다리(2)가 걸어지고 오무러진 상태로 되어 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집게(9)는 슬라이더(10)가 전후진 함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통발(5)은 상기 모릿줄(1)에 일정 간격으로 달려 있는 고다리(2)에 걸어져 사용된다. 즉, 상기 고다리(2)에 걸어진 상태로 통발과 모릿줄(1)을 해저에 침강시키고,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인양시켜 통발속에 들어온 장어를 어획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모릿줄(1)은 수십에서 수백킬로미터에 달하는 것이고, 이에 각각 수백에서 수천개의 통발(5)이 걸어져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통발(5)을 모릿줄(1)의 고다리(2)에 걸기 위해서는 상기 통발(5)의 슬라이더(10)를 일일이 작업자가 후퇴시켜 집게(9)가 벌어지도록 하여 상기 고다리(2)에 거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10)는 해저에서 상기 집게(9)가 임의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슬라이더(1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더(10)를 한손으로 후퇴시키고 다른 손으로 상기 고다리(2)를 집게(9)에 걸어주는 방식으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발의 집게를 자동으로 벌려주어 고다리를 거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통발이 모릿줄의 고다리에 걸어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 걸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원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동작을 위한 시퀀스 제어 회로를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통발안내대 35: 진동인가수단
40: 지지대 42: 베어링
50: 베인회전체 52: 베인
60: 베인구동원 61: 실린더
62: 푸시로드 63: 연동레버
67: 래치기구 68: 래치핸들
70: 슬라이더누름쇠 72: 구동로드
80: 슬라이더구동원 81: 실린더
82: 푸시로드 90: 배출가이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발을 차례로 공급하는 통발안내대와, 상기 통발안내대의 일단에 구비되어 안내되어온 통발을 하나씩 들어올려 적재하는 통발적재부와, 상기 통발적재부에 적재된 통발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통발의 집게가 벌어지게 하여 모릿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벌림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발안내대는 상기 통발적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통발적재부는 베인구동원과, 상기 베인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베인회전체와, 상기 베인회전체의 외주면을 둘러 구비되어 상기 통발안내대를 따라 안내되어온 통발을 들어올려 상기 베인회전체 상에 안착시키는 다수개의 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인구동원은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의 직선운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베인회전체와 래치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베인회전체가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베인은 그 선단이 상기 베인회전체의 회전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된다.
상기 벌림구동부는 슬라이더구동원과, 상기 슬라이더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왕복운동되는 구동로드와,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통발적재부에 적재된 통발의 슬라이더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누름쇠와, 상기 베인회전체 상에 안착되어 슬라이더누름쇠에 의해 슬라이더가 눌러진 통발의 후단을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구동원은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의 직선운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로드와 상기 푸시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베인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누름쇠는 통발의 슬라이더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 걸기장치에 의하면 다수개의 통발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모릿줄의 고다리에 걸어 해양에 투승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발 걸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발안내대(30)는 다수개의 통발(5)을 차례로 안내하는 것으로, 통발(5)이 공급되는 상류부에서 하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통발안내대(30)에는 안내되는 통발(5)이 보다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하기 위해 진동인가수단(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인가수단(35)은 상기 통발안내대(30)에 진동을 주어 안내되는 통발(5)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아래에서 설명될 베인(52)의 사이로 이동하게 한다. 그리고 보다 많은 양의 통발이 자동적으로 안내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통발안내대(30)의 상류부에는 컨베이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통발안내대(30)의 하류부에는 안내되어온 통발(5)을 하나씩 적재하여 슬라이더(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통발적재부가 구비된다. 즉, 통발 걸기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40)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베어링(42)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42)에는 베인회전체(5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인회전체(50)는 그 외주면을 둘러 베인(52)을 구비한다. 상기 베인(52)은 상기 통발(5)의 선단 측과 후단측에 대응되는 2군데의 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베인회전체(50)의 둘레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인회전체(50)의 둘레에 각각 4개씩의 베인(52)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인회전체(50)가 한바퀴 회전하면 총 4개의 통발을 차례로 적재할 수 있다. 상기 베인(52)은 그 선단이 소정 각도 절곡되어 있는데, 상기 절곡 방향은 상기 베인회전체(50)의 회전방향을 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인회전체(50)의 회전을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베인회전체(5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은 베인구동원(60)에서 제공된다. 상기 베인구동원(60)은 실린더(61)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푸시로드(62)는 예를 들면 공기압이나 유압 등의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상기 푸시로드(62)의 선단부에는 연동레버(63)가 구비된다. 상기연동레버(63)는 힌지핀(68')을 통해 래치핸들(6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치핸들(68)은 래치기구(67)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래치기구(67)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그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래치기구(67)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그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래치기구(67)는 상기 베인회전체(50)와 연결되어 베인회전체(50)를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로드(62)의 동작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근접센서인 제1 및 제2센서(64,65)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66은 제5센서로서 제1 및 제2센서(64,65)를 초기화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인회전체(50) 상에 적재된 통발(5)의 슬라이더(10)를 동작시켜, 집게(9)를 벌려주기 위한 벌림구동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더(10)를 동작시키는 것은 슬라이더누름쇠(70)이다.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 상기 통발(5)의 슬라이더(10)를 위치시켜 눌러주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는 구동로드(72)의 선단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로드(72)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더구동원(80)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로드(72)는 상기 베인회전체(50)와 동심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인회전체(50)의 중심을 상기 구동로드(72)가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에 의해 통발(5)의 슬라이더(10)가 눌러질 때 통발(5)의 후단을 받침판(74)이 지지한다. 상기 받침판(74)은 상기 베인회전체(50)의 일측단부로서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의 반대방향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로드(72)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근접센서인 제3 및 제4센서(75,76)이 구비된다. 상기 제3 및 제4센서(75,76)는 상기 구동로드(72)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의 구동을 위해 슬라이더구동원(80)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구동원(80)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81)와 상기 실린더(81)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82)로 구성된다. 상기 푸시로드(82)는 상기 실린더(81)의 내외부로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어 입출된다. 상기 푸시로드(82)는 상기 베인회전체(50)를 관통하여 구동로드(72)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푸시로드(82)와 구동로드(7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인회전체(50)의 일측, 즉 상기 통발안내대(30)의 반대쪽에는 배출가이드(9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가이드(90)는 상기 베인회전체(50) 상에서 그 집게(9)가 고다리(2)에 걸어진 통발(5)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다. 상기 배출가이드(90)는 통발(5)의 이동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 걸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발안내대(30)를 통해 통발(5)이 차례로 안내되고, 상기 베인(52)에 의해 통발(5)이 하나씩 상기 베인회전체(50) 상에 적재된다. 이때, 상기 진동인가수단에 의해 통발안내대(30)에 소정의 진동이 가해지면 상기 통발(5)이 상기 베인(52) 사이로 보다 원활하게 안내되어 들어가 들어올려질 수있다.
여기서 상기 베인회전체(50)의 회전에 의해 베인(52)이 회전되는 것은 상기 베인구동원(60)에 의해서 이다. 즉, 상기 베인구동원(60)의 실린더(61)에서 상기 푸시로드(62)가 빠져나오면 상기 연동레버(63)가 직선운동되고, 상기 연동레버(63)와 힌지핀(68')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래치핸들(68)이 동작되면서 래치기구(67)가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기구(67)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베인회전체(50)가 회전하면서 베인(62)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베인회전체(50)상에 통발(5)이 하나 적재되면, 상기 슬라이더구동원(80)이 동작하여 상기 푸시로드(82)가 실린더(81)의 내부로 수납되게 하여 상기 구동로드(72)가 상기 받침판(74)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푸시로드(82)가 동작을 시작하는 것은 상기 제2센서(65)가 상기 푸시로드(62)가 돌출된 것을 감지한 시점이다.
참고로 상기 푸시로드(62)는 상기 제2센서(65)의 감지후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62)가 실린더(61)의 내부로 수납되게 이동하더라도 상기 베인회전체(5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푸시로드(62)가 상기 래치기구(67)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푸시로드(62)가 실린더(6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회전하고 반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래치기구(67)가 헛돌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62)가 실린더(61)에 수납되면 이를 상기 제1센서(64)가 감지하고 다음의 동작을 준비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동로드(72)가 동작되면 상기 구동로드(7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있는 슬라이더누름쇠(70)가 상기 통발(5)의 슬라이더(10)를 눌러준다. 이때 상기 통발(5)의 후단은 상기 받침판(74)에 지지되어, 슬라이더누름쇠(70)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0)가 눌러지면, 상기 집게(9)가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벌어진 집게(9)에 고다리(2)를 걸어주면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82)가 상기 실린더(81)의 내부로 들어간 것을 상기 제3센서(75)가 감지하면, 일정 시간후 다시 상기 푸시로드(82)가 실린더(8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로드(82)가 실린더(81)의 외부로 돌출됨에 의해 상기 구동로드(72)가 상기 받침판(7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더(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집게(9)에는 고다리(2)가 걸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푸시로드(82)가 돌출되면, 이를 상기 제4센서(76)가 감지한다. 상기 제4센서(76)의 감지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베인구동원(60)이 구동된다. 즉, 스탠바이상태에 있던 상기 베인구동원(60)의 실린더(61)에서 푸시로드(62)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기구(67)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베인회전체(50)가 회전되어 이미 적재되어 고다리(2)가 걸어진 통발(5)을 상기 배출가이드(90)로 전달하고, 상기 통발안내대(30)에 있던 새로운 통발(5)을 하나 적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인회전체(50)는 약 90°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는 베인(52)이 45°방향으로 놓여지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62)의 돌출상태를 상기 제2센서(65)가 감지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즉 상기 푸시로드(62)가 실린더(61)의 내부로 수납되고, 상기 슬라이더누름쇠(70)를 구동시키는 푸시로드(82)가 실린더(81)의 내부로 수납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연동레버(63)에 의해 상기 래치기구(67)의 래치가 90°회전하지 못하고 약 70°정도 회전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리셋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을 시퀀스제어회로로 표시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푸시로드(6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제1센서(64)가 이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시로드(82)가 상기 실린더(81)의 내부로 당겨지고, 이를 제3센서(75)가 감지하면 릴레이 R20과 R21이 동작한다. 이 상태에서 푸시로드(82)가 실린더(81)의 외부로 돌출되면 릴레이 R1이 동작한다. 릴레이 R1은 베인구동원(60)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A(Sol A)를 작동시켜 래치기구(67)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R1은 통발안내대(30)에 부착되어 있는 진동인가수단(35)을 구동시켜 통발(5)이 베인(52)의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한다.
다음으로 솔레노이드 A(Sol A)의 작동에 의해 래치기구(67)가 약 70°정도 회전한 것으로 제5센서(66)가 감지하면, 릴레이 R5가 작동한다. 그리고 R5는 릴레이 R20 R21이 온되어 있는 것을 오프시키는 리셋작용을 한다.
릴레이 R20 R21이 오프되면, 제1 및 제2센서(64,65)가 작동대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구(67)가 정확하게 90°회전하여 제2센서(65)를 구동시키면, 릴레이 R3이 작동한다. 릴레이 R3는 실린더(61)의 푸시로드(62)를 복귀시키는 솔레노이드B(Sol B)를 작동시켜 래치기구(67)가 정지한 상태에서 래치핸들(68)과 푸시로드(62)를 복귀시키고, 복귀가 끝나면 제1센서(64)가 구동되어 하나의 행정이 끝난다.
리셋회로로서 푸시버튼(PB1)은 푸시로드(62)가 비정상적 위치에 정지했을 때, 푸시로드(62)를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하나의 리셋회로로서 래치기구(67)가 비정상적으로 상기 제5센서(66) 위치에서 정지하여 상기 제5센서(66)가 계속 동작하는 경우에는, 래치기구(67)를 회전시키는 푸시로드(62)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푸시버튼(PB2)을 누르고 푸시버튼(PB1)를 누르면 푸시로드(62)가 복귀되어 정상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발 걸기장치는 통발을 차례로 공급하면서 슬라이더를 구동시켜 집게를 하나씩 벌려 작업자가 상기 집게에 고다리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통발을 모릿줄에 구비된 고다리에 걸어주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통발을 차례로 공급하는 통발안내대와,
    상기 통발안내대의 일단에 구비되어 안내되어온 통발을 하나씩 들어올려 적재하는 통발적재부와,
    상기 통발적재부에 적재된 통발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통발의 집게가 벌어지게 하여 모릿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벌림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안내대는 상기 통발적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적재부는,
    베인구동원과,
    상기 베인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베인회전체와,
    상기 베인회전체의 외주면을 둘러 구비되어 상기 통발안내대를 따라 안내되어온 통발을 들어올려 상기 베인회전체 상에 안착시키는 다수개의 베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구동원은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의 직선운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베인회전체와 래치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베인회전체가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그 선단이 상기 베인회전체의 회전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구동부는
    슬라이더구동원과,
    상기 슬라이더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왕복운동되는 구동로드와,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통발적재부에 적재된 통발의 슬라이더를 동작시키는 슬라이더누름쇠와,
    상기 베인회전체 상에 안착되어 슬라이더누름쇠에 의해 슬라이더가 눌러진 통발의 후단을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구동원은 실린더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푸시로드의 직선운동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로드와 상기 푸시로드가 연결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베인회전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누름쇠는 통발의 슬라이더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걸기장치.
KR10-2001-0052168A 2001-08-28 2001-08-28 통발 걸기장치 KR100386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168A KR100386691B1 (ko) 2001-08-28 2001-08-28 통발 걸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168A KR100386691B1 (ko) 2001-08-28 2001-08-28 통발 걸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211U Division KR200283342Y1 (ko) 2002-04-22 2002-04-22 통발 걸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82A KR20020019882A (ko) 2002-03-13
KR100386691B1 true KR100386691B1 (ko) 2003-06-09

Family

ID=197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168A KR100386691B1 (ko) 2001-08-28 2001-08-28 통발 걸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6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61B1 (ko) * 2005-07-05 2007-01-19 조영주 통발 고리줄 삽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29A (ko) * 1995-07-05 1997-02-19 식기세척기의 탈기장치
KR19990035491U (ko) * 1999-06-30 1999-09-06 정용길 통발분리장치
KR200202788Y1 (ko) * 2000-04-21 2000-11-15 정용길 통발 연결장치
KR200253339Y1 (ko) * 2001-07-30 2001-11-22 조영주 통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29A (ko) * 1995-07-05 1997-02-19 식기세척기의 탈기장치
KR19990035491U (ko) * 1999-06-30 1999-09-06 정용길 통발분리장치
KR200202788Y1 (ko) * 2000-04-21 2000-11-15 정용길 통발 연결장치
KR200253339Y1 (ko) * 2001-07-30 2001-11-22 조영주 통발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882A (ko)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7086B2 (ja) 締結具自動位置決め装置
US10167987B2 (en) Pipeline pig launch apparatus
CN101190519B (zh) 手持式打入装置
CN101528286B (zh) 计量泵内夹具打开或关闭的控制装置
CN211801750U (zh) 用于材料喷射器的喷枪和包括其的喷射器系统
JP2000126841A (ja) モジュ―ル化されたポ―タブルリベット締結工具
CN211801729U (zh) 一种材料喷射器、料斗模块和用于安装在料斗模块上的动力模块
JP2007061909A (ja) 連結要素を処理装置に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0126844A (ja) リベット締結工具用逃し止め機構
CN108406742B (zh) 用于更换焊嘴和喷嘴的卡盘装置以及机器人
US6589343B1 (en) Device for application of dope on male threads
JP2000126843A (ja) リベット締結工具用の調整可能なリベット供給装置
KR100386691B1 (ko) 통발 걸기장치
JP5859372B2 (ja) 打込み工具
KR200283342Y1 (ko) 통발 걸기장치
JP4197811B2 (ja) リベット締結工具
CN214169954U (zh) 一种混凝土泵车
RU2038181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дносторонней клепк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односторонней клепки
JP4868161B2 (ja) 部品供給装置
CN112746745B (zh) 一种混凝土泵车用臂架结构
JP3122596B2 (ja) 回転ドラムにおける蓋体の着脱装置
CN211801751U (zh)
FI111022B (fi) Nesteen annostelulaite
CA2895116A1 (en) Pipeline pig launch apparatus
KR100292415B1 (ko) 로타리킬른 슬리퍼부 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