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36B1 -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736B1
KR100384736B1 KR10-2000-0073017A KR20000073017A KR100384736B1 KR 100384736 B1 KR100384736 B1 KR 100384736B1 KR 20000073017 A KR20000073017 A KR 20000073017A KR 100384736 B1 KR100384736 B1 KR 10038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ingerprint
reflected
imag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868A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36B1/ko
Publication of KR2002004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해상도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지문 잔상이 완전히 제거되어 차량의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기는 내부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광학 센서와; 상기 광학 센서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인식된 손가락의 지문을 반사하기 위한 평면 거울과;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지문의 일정각도 이상의 입사각도를 전반사하도록 상기 평면 거울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미러와; 상기 평면 거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미러로부터 반사된 지문을 초점화하는 조리개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지문의 상을 타측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2 미러와; 상기 제 2 미러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미러로부터 반사한 지문의 상을 센싱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일정각도 이하의 입사각도를 갖는 지문의 상은 상기 제 2 미러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a fingerprint recognize device used in an apparatus for locking a door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특정 사용자 외의 타인이 도어를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설치된 록킹 장치와 록킹 장치를 풀 수 있는 키로 구성되는 기계식 도어 록킹 장치가 주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식 도어 록킹 장치의 경우에, 키를 분실하거나 차내에 둔 채로 도어를 잠근 경우에, 도어를 열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다른 사람이 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불안한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어 록킹 장치 전체를 교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금은 취하된 특허 공개 제 1999-1548호에는 지문 인식형 도어 로킹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의 지문 정보가 입력되어 기준 지문 정보로서 저장되는 메모리부(60)와, 도어를 열고자 하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키도록 설치된 투명창(10)과, 그 투명창(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접촉된 손가락에 의한 지문 정보, 즉 외부 지문 정보를 광신호로서 전달하는 광섬유(20)와, 광섬유(20)에서 전달되는 광신호를 영상 신호로 결상시키기 위한 CCD부(30)와, CCD부(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화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부(40)와, 화상 처리부(40)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정보와 메모리부(60)에 저장된 기준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지문 판정부(50)와, 지문 판정부(50)로부터 신호 지령에 의해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 작동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지문 인식 도어 로킹 장치는 광학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복합 해상도 처리 능력이 떨어지고 지문 잔상이 남게 되어 차량의 분실의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 해상도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지문 잔상이 완전히 제거되어 차량의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문 인식형 도어 록킹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문 인식기 2 : 광학 센서
3 : 발광 다이오드 4 : 평면 거울
5 : 제 1 미러 6 : 렌즈
7 : 조리개 8 : 제 2 미러
9 : 이미지 센서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내부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광학 센서와; 상기 광학 센서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인식된 손가락의 지문을 반사하기 위한 평면 거울과;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지문의 일정각도 이상의 입사각도를 전반사하도록 상기 평면 거울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미러와; 상기 평면 거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미러로부터 반사된 지문을 초점화하는 조리개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지문의 상을 타측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2 미러와; 상기 제 2 미러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미러로부터 반사한 지문의 상을 센싱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일정각도 이하의 입사각도를 갖는 지문의 상은 상기 제 2 미러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1)는 광학 센서(3), 평면 거울(4), 제 1 미러(5), 렌즈(6), 제 2 미러(8), 이미지 센서(9)를 포함한다.광학 센서(3)는 내부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2)가 배치된다.평면 거울(4)은 상기 광학 센서(3)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2)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인식된 손가락(F)의 지문을 반사한다.제 1 미러(5)는 상기 평면 거울(4)로부터 반사된 손가락(F)의 지문의 일정각도 이상의 입사각도를 전반사하도록 상기 평면 거울(4)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다.렌즈(6)는 상기 평면 거울(4)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미러(5)로부터 반사된 손가락(F)의 지문을 초점화하는 조리개를 가진다.제 2 미러(8)는 상기 렌즈(6)를 통과한 손가락(F)의 지문의 상을 타측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상기 제 1 미러(5)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기 렌즈(6)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이미지 센서(9)는 상기 제 2 미러(8)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미러(8)로부터 반사한 손가락(F)의 지문을 센싱한다.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가락(F)을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1)의 상부에 제공되는 투명창(1a)에 위치시키면, 손가락(F)의 지문(요철 부분),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가 하부에 위치되는 평면 거울(4)에 의하여 반사된다.
손가락(F)의 지문,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는 사람마다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손가락(F)의 지문,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식별될 수 있다. 지문의 요철 부분 중에서 양각부의 반사광만이 평면 거울(4)에 의하여 전반사된다. 음각부의 광은 공기층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당히 작은 입사각도로 평면 거울(4)에 입사되어 반사되기 때문에, 제 1 미러(5)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측에 형성된 투명창(1a)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됩니다(도 2에서 점선 참조). 따라서, 후술될 제 2 미러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손가락(F) 지문의 양각부에서 반사된 광의 경로는 "실선"으로 표시하였고 손가락(F) 지문의 음각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경로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평면 거울(4)로부터 손가락(F)의 지문,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의 일정각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이상의 입사각도가 평면 거울(4)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미러(5)에 의하여 전반사되며, 제 1 미러(5)로부터 반사된 손가락(F)의 지문,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는 렌즈(6)에 제공되는 조리개(7)를 통과하는 동안, 초점화되어 제 2 미러(8)에 의하여 반사되어 제 2 미러(8)의 하부에 위치된 이미지 센서(9)로 공급된다.
제 2 미러(8)는 손가락(F)의 지문,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를 일정각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대략 40°이하의 입사각도를 반사하지 않으며, 이미지 센서(9)는 손가락(F) 지문의 양각선 정보를 제 2 미러(8)를 통하여 입사된 광으로부터 취득한다.
상기에서, 손가락(F)의 끝점, 지문의 중심, 분지점 및 삼각주 등은 요철 부분을 가지는 지문의 일부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에 의하면, 복합 해상도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지문 잔상이 완전히 제거되어 차량의 분실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광학 센서와;
    상기 광학 센서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에 의해 인식된 손가락의 지문을 반사하기 위한 평면 거울과;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지문의 일정각도 이상의 입사각도를 전반사하도록 상기 평면 거울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1 미러와;
    상기 평면 거울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미러로부터 반사된 지문을 초점화하는 조리개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지문의 상을 타측 방향으로 반사하도록 상기 렌즈로부터 이격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 2 미러와;
    상기 제 2 미러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미러로부터 반사한 지문의 상을 센싱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일정각도 이하의 입사각도를 갖는 지문의 상은 상기 제 2 미러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KR10-2000-0073017A 2000-12-04 2000-12-04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KR10038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017A KR100384736B1 (ko) 2000-12-04 2000-12-04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017A KR100384736B1 (ko) 2000-12-04 2000-12-04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68A KR20020043868A (ko) 2002-06-12
KR100384736B1 true KR100384736B1 (ko) 2003-05-22

Family

ID=2767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017A KR100384736B1 (ko) 2000-12-04 2000-12-04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3624A (zh) * 2018-11-26 2019-03-29 昆山丘钛微电子科技有限公司 光学指纹模组、屏幕组件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868A (ko)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481B1 (ko) 요철 표면 데이타 검출장치
JP3012138B2 (ja) 凹凸面読み取り装置
US5796858A (en) Fingerprint sensing system using a sheet prism
WO1996024283A2 (en) Fingerprint-acquisition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personal weapon and other systems controlled thereby
WO1998010372A2 (en) Economical skin-pattern-acquisition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systems controlled thereby
WO1997043735A9 (en) A fingerprint sensing system using a sheet prism
JPS62198988A (ja) 指紋走査装置
US6616043B2 (en) Multi sensor information reader
TW331001B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KR100384736B1 (ko)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
JPH02176984A (ja) 指紋像入力装置
KR100349832B1 (ko) 라인스캔형 지문입력장치
KR200421405Y1 (ko) 지문 인식기
EP1096417A2 (en) Spurious fingerprint rejection by variable illumination
CN115162854B (zh) 一种手指锁和解锁方法
KR100575524B1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KR100347269B1 (ko) 지문 인식 장치
KR20040042727A (ko) 광학 지문입력장치
JPH05266174A (ja) 指紋像入力装置
KR200419479Y1 (ko) 소형화된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KR100357252B1 (ko) 생체 및 화상 정보 인식용 광학계
JP3032679U (ja) 指紋識別装置
KR100575525B1 (ko) 광학 지문입력 장치
JPH11250229A (ja) 指紋読取装置
KR20040039856A (ko) 생체정보인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