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856A - 생체정보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정보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856A
KR20040039856A KR1020020068083A KR20020068083A KR20040039856A KR 20040039856 A KR20040039856 A KR 20040039856A KR 1020020068083 A KR1020020068083 A KR 1020020068083A KR 20020068083 A KR20020068083 A KR 20020068083A KR 20040039856 A KR20040039856 A KR 2004003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prism
recognition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
Priority to KR102002006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856A/ko
Publication of KR2004003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생체정보인식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생체정보인식장치는 적어도 생체 정보를 얻기 위한 대상물이 접촉되고 상기 대상물이 접촉된 상태에서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산란되고 일부는 투과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맞은 편에 상기 제1 면에서 산란된 광이 전반사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 전반사된 광이 굴절되는 제3 면을 구비하는 슬림형 프리즘과, 상기 제1 면에 광이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림형 프리즘 주변에 구비된 광원과, 상기 슬림형 프리즘의 제3 면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계 및 상기 결상 렌즈계에 의해 결상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장치를 슬림형으로 만들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시간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장치의 생산성은 높아지고, 그에 비례하여 장치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낮아지게 된다.

Description

생체정보인식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live body}
본 발명은 생체정보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슬림형 프리즘을 구비하는 지문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가 갖는 여러 특성에 대한 규명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특성이 생체별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생체의 특성과 잠금 장치를 접목시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출입자 인식장치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출입자의 생체적 특성을 인식하는 다양한 출입자 인식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홍체인식장치, 지문인식장치, 음성인식장치 등이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도 지문인식장치는 신뢰성이 높고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데, 참조번호 10은 지문 인식에 사용되는 일반 프리즘을 나타내고, 12는 손가락(20)이 접촉되는 프리즘(10)의 제1 면(Ps1)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광원을 나타낸다. 광원(12)은 프리즘(10)의 제2 면(Ps2)에 근접된 광방출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이다. 프리즘(10)의 제2 면(Ps2)과 제1 면(Ps1)의 한쪽은 접촉되어 있고, 다른 쪽은 주어진 각만큼 벌어져 있다. 제2 면(Ps2)은 입사면이다. 참조부호 Ps3는프리즘(10)의 제3 면으로써, 제2 면(Ps2)을 통해 입사된 후, 제1 면(Ps1)에서 전반사된 광이 프리즘(10) 밖으로 방출되는 출사면이다.
이러한 프리즘(10)의 제3 면(Ps3) 아래쪽에 결상 광학부(14)가 마련되어 있다. 결상 광학부(14)는 집광렌즈(14a)와 결상 렌즈계(14b)로 구성된다. 집광렌즈(14a)는 프리즘(10)의 제3 면(Ps3)을 통해 방출된 광(Lo)을 결상렌즈계(14b)로 집광시킨다. 결상 렌즈계(14b)는 집광렌즈(14a)로부터 입사된, 손가락(20) 지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광을 결상 광학부(14) 아래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18)에 결상시킨다. 참조번호 16은 이미지 센서(18)가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나타낸다. 이미지 센서(18)의 두께는 인쇄회로기판(16)에 비해 매우 얇지만, 도면에는 편의 상 두껍게 도시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지문인식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간략히 살펴본다.
먼저, 손가락(20)이 프리즘(10)의 제1 면(Ps1)에 접촉됨과 동시에 광원(12)으로부터 프리즘(10)의 제2 면(Ps2)을 통해 프리즘(10)에 광이 입사된다. 입사된 광은 내부 전반사각(θtr)으로 제1 면(Ps1)에 입사된다. 제1 면(Ps1)은 손가락(20) 표면의 볼록한 부분, 곧 지문의 테를 이루는 부분과 접촉되는 영역과 상기 테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손가락(20)의 볼록한 부분과 접촉되는 영역에 입사된 광은 비록 그 입사각이 내부 전반사각이기는 하지만, 상기 입사광의 관점에서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물질은 프리즘(10)과 공기가 아니라 프리즘(10)과 손가락(20)이고, 손가락(20)의 굴절률은 프리즘(10)보다 크기 때문에 산란된다.
반면, 상기 테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내부 전반사각(θtr)으로 입사된 광은 그 경로 상에 프리즘(10), 공기, 손가락(20) 순으로 물질이 존재하고, 공기의 굴절률(n0)은 프리즘의 굴절률(np)보다 작기 때문에 전반사 된다.
이와 같이, 프리즘(10)의 제1 면(Ps1)에서 전반사된 광(Lo)은 제3 면(Ps3)을 통해 굴절된 다음, 집속렌즈(14a)에 입사된다. 집속렌즈(14a)에 의해 집속된 광은 결상렌즈(14b)를 통해서 이미지 센서(18)에 결상된다. 이렇게 결상된 상은 손가락(20)의 지문을 이루는 테가 아니라 테사이의 오목한 부분의 상이지만, 상기 지문의 테와 테사이의 오목한 부분은 양각 및 음각된 것과 동일하게 서로의 그림자와 같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18)에 결상된 상은 손가락(20)의 지문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
한편, 이미지 센서(18)에 결상된 상의 왜곡은 손가락(20)이 접촉되는 프리즘(10)의 제1 면(Ps1)과 결상 광학부(14)의 중심을 지나는 광축(미도시)에 수직한 면(미도시)사이의 각(이하, 왜곡각이라 한다)으로 정해진다. 결상 광학부(14)의 집광 렌즈(14a)와 결상 렌즈계(14b)는 상기 광축을 따라 정렬되어 있으므로, 집광 렌즈(14a)에 수직하게 입사되는 광(이하, 수직 입사광이라 한다)은 상기 광축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왜곡각은 프리즘(10)의 제1 면(Ps1)과 상기 수직 입사광에 수직한 면(S)사이의 각(θ)과 동일하게 된다. 왜곡각(θ)은 적어도 45°이상이다.
한편,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경우, 삼각 프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고가 프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를경제적으로 구성하기 어렵다. 또한, 손가락 접촉면에서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때문에, 광원과 프리즘과 결상 광학부 및 이미지 센서의 정렬이 정확하지 않는 경우, 지문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게 된다. 이것은 장치를 정밀하게 조립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국 조립이 간단하지 않고 조립 시간도 길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리즘 제작이 용이하여 비용면에서 장치를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생체정보인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생체정보인식장치로써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인식장치로써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인식장치로써 지문인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슬림형 프리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 48:광원 42:집광렌즈
44:반사경(mirror) 46:이미지 센서
52:지문 52a:지문의 테(제1 면과 접촉되는 부분)
54:지문의 테와 테사이의 공기층 50:단위 광원
θ0, θ1, θ2:제1 내지 제3 입사각(반사각)
A1:입사영역 A2:반사영역
L0, L1, L2:제1 내지 제3 산란광
P, P1:제1 및 제2 슬림형 프리즘 S1 내지 S4:제1 내지 제4 면
S5, S6:측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정보인식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생체 정보를 얻기 위한 대상물이 접촉되고 상기 대상물이 접촉된 상태에서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산란되고 일부는 투과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맞은 편에 상기 제1 면에서 산란된 광이 전반사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 전반사된 광이 굴절되는 제3 면을 구비하는 슬림형 프리즘과, 상기 제1 면에 광이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림형 프리즘 주변에 구비된 광원과, 상기 슬림형 프리즘의 제3 면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계 및 상기 결상 렌즈계에 의해 결상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상 렌즈계와 상기 이미지 센서사이에 상기 결상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2 면 아래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제2 면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영역과 상기 제1 면에서 산란된 광이 전반사되는 전반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입사영역 아래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입사영역의 표면은 그라인딩(grinding), 상기 전반사 영역의 표면은 연마(polishing)된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서 상기 광원이 상기 제2 면 전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면은 연마되고, 상기 슬림형 프리즘의 나머지 면은 그라인딩된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상기 측면은 그라인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생체정보인식장치를 이용하면, 장치를 슬림형으로 만들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리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시간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장치의 생산성은 높아지고, 그에 비례하여 장치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낮아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생체정보인식장치로써, 지문인식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제1 실시예>
광원이 슬림형 프리즘의 저면 전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된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P는 제1 슬림형 프리즘을 나타낸다. 제1 슬림형 프리즘(P)의 제1 면(S1)에 손가락이 접촉된다. 제1 면(S1)과 마주하는 제2 면(S2)은 손가락 지문 인식을 위해 제1 면(S1)을 향해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이다. 제1 및 제2 면(S1, S2)은 매끄럽게 연마(polishing)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면(S1, S2)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나, 서로 평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 면(S1)과 제2 면(S2)사이의 거리, 곧 제1 슬림형 프리즘(P)의 두께는 가능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면(S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곳에 제1 광원(40)이 위치한다. 제1 광원(40)은 제2 면(S2) 전면에 고른 세기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광원(40)은 광방출 다이오드(LED)이다. 제1 슬림형 프리즘(P)의 제3 면(S3)은 경사면으로써, 프리즘 내부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출사면이다. 제3 면(S3)은 제1 및 제2 면(S2, S3)과 소정의 각을 이룬다. 제2 면(S2)은 제3 면(S3)과 90도 미만의 각을 이루고, 제1 면(S1)은 제3 면(S3)과 90도보다 큰 각을 이룬다. 제3 면(S3)은 연마되어 있다. 제3 면(S3)으로부터 제1 슬림형 프리즘(P) 내부를 가로지른 맞은 편에 제1 슬림형 프리즘(P)의 제4 면(S4)이 위치한다. 제4 면(S4)은 그라인딩(grinding)되어 있다. 제1 슬림형 프리즘(P)에서 제3 및 제4 면(S3, S5)과 연결되는 양측면은 제4 면(S4)과 마찬가지로 그라인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제4 면(S4) 및 상기 양측면을 통해서 제1 슬림형 프리즘(P) 내부로 외부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문 인식에 사용될 광은 제2 면(S2)을 통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3 및 제4 면(S3, S4)사이의 측면(S5, S6, 도 4 참조)을 통해서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S5, S6)에서의 광 반사는 불필요하므로, 측면(S5, S6)은 그라인된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제3 면(S3)과 마주하는 위치에 제3 면(S3)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을 원하는 위치에 결상시키기 위한 결상 렌즈계(42)가 마련되어 있다. 결상 렌즈계(42)는 단일 렌즈로 구성된 것일 수 있으나, 복수의 렌즈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결상 렌즈계(42) 뒤쪽에 반사경(mirror)(44)기 위치된다. 반사경(44)은 결상 렌즈계(42)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이미지 센서(46)를 향하도록 상기 광의 경로를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46)는 반사경(44)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면, CMOS 칩이다.
다음에는 상술한 지문인식장치를 이용한 지문인식과정을 설명한다.
제1 슬림형 프리즘(P)의 제1 면(S1)에 손가락이 접촉됨과 동시에 제1 광원(40)으로부터 제2 면(S2)을 향해 광이 방출된다. 방출된 광은 제2 면(S2)에 입사되면서 제1 슬림형 프리즘(P) 내부로 산란되어 제1 면(S1) 전체를 향하게 된다. 이때, 제1 광원(40)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제1 슬림형 프리즘(P) 아래쪽에서 직상방으로 방출된다. 때문에, 제2 면(S2)에서 광이 산란되기는 하지만, 제2 면(S2)을 통과해서 제1 면(S1)에 도달되는 광의 입사각은 제1 면(S1)과 공기의 경계에서 내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할 만큼 크지 않다. 결국, 제1 면(S1)에서는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산란과 굴절만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도 5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진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제2 면(S2)을 통해 제1 슬림형 프리즘(P) 또는 제2 슬림형 프리즘(P1)(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에 입사되어 제1 면(S1)에 도달된 광 중(LI1, LI2)에서, 손가락 지문(52)의 테(52a)와 접촉되는 제1 면(S1)에 입사된 광(LI1)은 산란되고, 손가락 지문(52)의 테(52a)와 테(52a)사이의 공기층(54)과 접촉된 제1 면(S1)에 입사된 광(LI2)은 제1 면(S1)을 통과하면서 굴절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50은 제1 광원(40) 혹은 제2 슬림형 프리즘(P1)에 적용된 제2 광원(48, 도 3 참조)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광원들 중의 하나, 예를 들면 한 개의 LED를 나타낸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산란은 손가락과 접촉된 제1 면(S1)의 여러 곳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 결과, 제1 면(S1)으로부터 많은 산란광이 제2 면(S2)에 입사된다. 그러나 제1 슬림형 프리즘(P)의 굴절률(np)은 공기의 굴절률(n0)보다 작기 때문에, 제1 면(S1)으로부터 제2 면(S2)을 향해 입사되는 상기 많은 산란광들 중에서 내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입사각을 갖는 제1 내지 제3 산란광들(Lo, L1, L2)만 제2 면(S2)에서 전반사된다. 곧, 제1 산란광(Lo)은 제2 면(S2)에 내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제1 입사각(θ0)으로, 제2 산란광(L1)은 제2 입사각(θ1)으로, 제3 산란광(L3)은 제3 입사각(θ2)으로 각각 입사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입사각(θ0, θ1, θ2)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각 일 수 있다. 제2 면(S2)에서 전반사된 제1 내지 제3 산란광들(Lo, L1, L2)은 제3 면(S3)에서 굴절되어 결상 렌즈계(42)로 입사된다. 결상 렌즈계(42)로 입사된 광은 반사경(44)에 의해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46)에 결상된다. 이때, 결상되는 이미지는 손가락 지문의 테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미지 센서(46)는 이를 광전변환시킨다. 상기 광전변환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는 메인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처리되고, 그 결과 제1 면(S1)에 접촉된 손가락의 지문이 인식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미지 센서(46)는 반사경(44)의 위치에 올 수 있다.
<제2 실시예>
광원이 입사면의 일부하고만 대응되도록 구비된 경우이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참조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P1은 제2 슬림형 프리즘을 나타낸다. 제2 슬림형 프리즘(P1)의 제2 면(S2)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영역(A1)과 전반사 영역(A2)으로 구분된다. 제2 면(S2)의 입사영역(A2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아래쪽에 제2 광원(48)이 위치해 있다. 제2 광원(48)의 일예는 LED이다. 제2 면(S2)의 입사영역(A1)은 제2 광원(48)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1 면(S1)으로 산란시키기 위해 표면처리 되어 있고, 전반사 영역(A2)은 내부 전반사를 위해 매끄럽게 연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면(S2)의 입사영역(A1)과 전반사 영역(A2)은 표면처리 상태가 상이한데, 제2 슬림형 프리즘(P1)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도 4는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지문 인식 과정을 보면, 제1 면(S1)에 손가락이 접촉됨과 동시에 제2 광원(48)으로부터 광이 방출되고, 이 광은 입사영역(A1)을 통해서 제2 슬림형 프리즘(P1) 내부로 입사된다. 제2 슬림형 프리즘(P1) 내부로 입사된 광은 제1 면(S1)에서 산란되고, 산란된 광 중에서 내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는 입사각으로 제2 면(S2)의 전반사 영역(A2)에 입사된 산란광은 전반사되어 제3 면(S3)에서 굴절된다. 제3 면(S3)에서 굴절된 광은 결상 렌즈계(42), 반사경(44)을 거쳐 이미지 센서(46)에 결상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면(S2)의 입사영역(A1) 표면에 제2 슬림형 프리즘(P1) 내부로의 광 확산을 위한 별도의 확산판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입사 영역(A1)의 표면은 그라인딩 상태가 아니라 연마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LED가 아닌 다른 광 방출 요소를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으로 이용할 수 있고, 산란과 전반사 과정을 거쳐 지문을 인식하는 것이되, 상기한 슬림형과 다른 프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문인식장치의 경우, 슬림형 프리즘을 구비하기 때문에 장치를 슬림형으로 만들 수 있고, 따라서 삼각 프리즘을 사용하는 종래의 지문인식장치에 비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슬림형 프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프리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접촉되는 면에서 산란되는 광을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하기 때문에, 광원과 프리즘의 정렬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장치의 조립이 간단함을 의미하고, 조립 시간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이것을 반대로 해석하면, 단위 시간당 장치의 생산성은 높아지고, 그에 비례하여 장치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낮아지게 된다.

Claims (10)

  1. 생체정보인식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대상물이 접촉되고 상기 대상물이 접촉된 상태에서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산란되고 일부는 투과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의 맞은 편에 상기 제1 면에서 산란된 광이 전반사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에서 전반사된 광이 굴절되는 제3 면을 구비하는 슬림형 프리즘;
    상기 제1 면에 광이 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림형 프리즘 주변에 구비된 광원;
    상기 슬림형 프리즘의 제3 면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을 결상시키는 결상 렌즈계; 및
    상기 결상 렌즈계에 의해 결상되는 이미지를 센싱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생체정보인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상 렌즈계와 상기 이미지 센서사이에 상기 결상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2 면 아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영역과 상기 제1 면에서 산란된 광이 전반사되는 전반사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입사영역 아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영역은 그라인딩(grinding)되고, 상기 전반사 영역은 연마(polish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면은 연마되고, 상기 슬림형 프리즘의 나머지 면은 그라인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면과 제2 면사이의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그라인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손가락 지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인식장치.
KR1020020068083A 2002-11-05 2002-11-05 생체정보인식장치 KR20040039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083A KR20040039856A (ko) 2002-11-05 2002-11-05 생체정보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083A KR20040039856A (ko) 2002-11-05 2002-11-05 생체정보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856A true KR20040039856A (ko) 2004-05-12

Family

ID=3733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083A KR20040039856A (ko) 2002-11-05 2002-11-05 생체정보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8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16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WO2019203378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20035047A (ko) 2019-07-11 2022-03-21 교에이샤 케미칼 주식회사 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피복 수지 성형체 및 다층 필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6984A (ja) * 1988-12-28 1990-07-10 Fujitsu Ltd 指紋像入力装置
US5233404A (en) * 1989-09-28 1993-08-03 Oscan Electro Optics Inc. Optical scann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fingerprints
JPH06195450A (ja) * 1992-12-25 1994-07-15 Fujitsu Ltd 指紋像入力装置
KR940005474Y1 (ko) * 1989-05-31 1994-08-13 주식회사 금성사 지문 인식장치
JPH07220041A (ja) * 1994-02-04 1995-08-18 Fujitsu Ltd 凹凸面読み取り装置
KR20020033459A (ko) * 1999-08-04 2002-05-06 안준영 광학식 영상취득장치에서의 사다리꼴 왜곡감소 및선명도개선 장치와 방법
JP2003050992A (ja) * 2001-08-06 2003-02-21 Omron Corp 指紋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6984A (ja) * 1988-12-28 1990-07-10 Fujitsu Ltd 指紋像入力装置
KR940005474Y1 (ko) * 1989-05-31 1994-08-13 주식회사 금성사 지문 인식장치
US5233404A (en) * 1989-09-28 1993-08-03 Oscan Electro Optics Inc. Optical scann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fingerprints
JPH06195450A (ja) * 1992-12-25 1994-07-15 Fujitsu Ltd 指紋像入力装置
JPH07220041A (ja) * 1994-02-04 1995-08-18 Fujitsu Ltd 凹凸面読み取り装置
KR20020033459A (ko) * 1999-08-04 2002-05-06 안준영 광학식 영상취득장치에서의 사다리꼴 왜곡감소 및선명도개선 장치와 방법
JP2003050992A (ja) * 2001-08-06 2003-02-21 Omron Corp 指紋読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816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WO2019203378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출입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20035047A (ko) 2019-07-11 2022-03-21 교에이샤 케미칼 주식회사 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막, 피복 수지 성형체 및 다층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140B2 (en) Fingerprint indentifying system
US8204284B2 (en) Fingerprint identifying system using a set of microstructure layers formed on one of top and bottom faces of light-transmissive finger press plate
TWM553019U (zh) 生物特徵辨識裝置
TWI637326B (zh) 生物特徵辨識裝置
TWI646473B (zh) 生物辨識裝置
TWI637327B (zh) 生物特徵辨識裝置
JP4389911B2 (ja) 指紋像入力装置
WO2018113103A1 (zh) 生物特征辨识装置
TWM553454U (zh) 生物辨識裝置
TWM552620U (zh) 生物辨識裝置
TWI647622B (zh) 生物辨識裝置
WO2018113102A1 (zh) 生物特征辨识装置
TWM553017U (zh) 生物特徵辨識裝置
TWM553016U (zh) 生物特徵辨識裝置
KR20040039856A (ko) 생체정보인식장치
TWI631935B (zh) 生物辨識裝置
CN210983441U (zh) 取像装置
TWM558941U (zh) 取像裝置
TWM553003U (zh) 生物特徵辨識裝置
WO2001018741A1 (en) A thin prism fingerprint imager system
KR20040039855A (ko) 지문인식장치
TWI654569B (zh) 生物辨識裝置
TW202026832A (zh) 指紋辨識裝置
WO2018113121A1 (zh) 生物辨识装置
TWI833480B (zh) 光學生物辨識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