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709B1 -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 Google Patents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709B1
KR100384709B1 KR10-2000-0076284A KR20000076284A KR100384709B1 KR 100384709 B1 KR100384709 B1 KR 100384709B1 KR 20000076284 A KR20000076284 A KR 20000076284A KR 100384709 B1 KR100384709 B1 KR 10038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ilding
elastic
finishing materi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403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김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용 filed Critical 김진용
Priority to KR10-2000-007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7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 바닥, 천장, 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면에 시공 가능하도록 판재의 일면에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홈을 형성하여 탄성소재를 채워 침착시키고, 그 위에 다시 소정의 두께로 탄성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을 향상시켜 밴딩에 따른 판재의 파손을 방지하여 밴딩 및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CONCLUS MATERIAL FOR USE BEN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 바닥, 천장, 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의 휨 변형이 가능한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벽체용, 마루용 등으로 사용되는 판재는 판재의 측면부에 조립용 돌출부 내지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서로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고 못을 박아 고정하여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판재가 12mm이하의 일정한 두께로 생산하기 어려워 작업이 난해할 뿐만 아니라, 원자재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벽체를 시공 할 때 많은 보조목을 사용하여 벽면에 일정한 형태의 틀을 짜고 그 위에 판재를 한 개씩 시공해야 하므로 시간과 자재의 낭비에 따르는 경비의 소모가 많고, 판재를 휠 수가 없어서 곡면 시공이 어려운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작업 도중에 발생하는 많은 량의 소음과 분진에 의한 환경공해가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종래의 방법으로 벽체를 시공하면 벽면과 판재사이에 40mm~55mm정도의 공간이 생겨 순수 주거공간을 잠식하여 실내가 좁아지게 되고, 곰팡이와 벌레들의 서식지로 전락하여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로 인하여 인체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벽체용 판재와 마루판은 많은 수입품들이 국내 시장을 점유하고있어그 대체품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의 일면에 홈을 가공하여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여유부를 형성하여 탄성소재를 충진하고 침착시켜 탄성층을 형성함으로써 유연성을 향상시켜 밴딩에 따른 판재의 파손을 방지하여 휨변형 및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재를 롤(Roll) 형태로 둥글게 말아서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판재(10)의 상면에는 홈(12)이 형성되며, 상기 홈(12)의 내부와, 상기 판재(10)와 상기 부직포(22)의 사이에 탄성층(13)이 형성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판재 12: 홈
13: 탄성층 14: 제1 탄성부
16: 요입부 18: 제2 탄성부
20: 접착제 22: 부직포
24: 코팅부 26: 무늬시트지
28: 공기층 30: 코팅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는 판재(10)의 상면에는 홈(12)이 형성된다. 상기 홈(12)의 내부와 판재(10)의 상면에는 탄성소재가 충진되어 탄성층(1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층(13)의 상면에는 접착제(20)가 도포되어 부직포(22)가 접합된다. 상기 판재(10)의 하면에는 표면층(24)이 형성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목 또는 가공된 나무를 로터리 또는 슬라이스 가공으로 소정의 두께 및 너비와 길이로 판재(10)를 제작한다. 상기 판재(10)의 두께는 내장용인 경우 2mm∼8mm로, 외장용은 5mm∼12mm인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와 너비는 제품의 용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판재(10)를 100~200℃의 온도로 증기건조하여 나무의 수분 및 진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가공공정을 원활하게 한다.
다음, 내장용인 경우 가공된 판재(10)에 염색, 착향, 방염, 무항변, 발수처리 등을 함으로써 판재(10)의 색상, 향, 세균, 습기 등으로부터 판재(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필요시에 일부 또는 전체를 행하며 외장용인 경우에는 변색을 예방하는 변색방지처리와 발수처리를 하여야 한다. 이어 자외선건조기를 통과하면서 60~120℃의 열로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가공되어진 상기 판재(10)의 표면을 이루는 하면은 제품의 디자인에 따라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타측의 상면에는 탄성소재를 채울 수 있도록 홈(12)이 형성된다, 상기 홈(1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경사면이루며,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종방향 내지는 횡방향으로 일렬로 가공되거나, 바둑판 모양으로 교차하며 형성된다. 상기 홈(12)은 'U'자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홈(12)의 내부와 판재(10)의 상면에 탄성소재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 탄성층(1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층(13)은 제1 탄성층(14)과 제2 탄성층(1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소재는 가황생고무, 합성수지 등의 액상상태의 탄성소재이다. 상기 탄성층(13)은 홈(12)의 내부에 탄성소재가 채워지고 내면에 침착되어 제1 탄성부(1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결과물을 140~150℃의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제1 탄성부(14)의 상단면에 요입부(16)가 형성되어 밴딩시 탄성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16)와 판재(10)의 상면에 액상 상태의 탄성소재를 소정의 두께로 다시 침착시켜 판재(10)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제2 탄성부(18)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탄성부(18)의 상단면은 상기 요입부(16)와 같은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상기 판재(10)가 밴딩시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롤(Roll)형태로 둥글게 감을수 있다.
다음, 내장용인 경우 도배지용 풀을 사용 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18)의 상면에는 부직포(22)가 접착제(5)로 접합된다, 상기 부직포(22)와 상기 제2 탄성부(18)의 상부 요입부의 사이에는 공기층(28)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28)은 판재(10)가 밴딩시 탄성층(13)이 오므라들거나 팽창되는 여유공간을 제공하며, 보온, 단열, 방음 등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부직포(22)는 외장용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 마감재의 표면으로 사용되는 상기 판재(10)의 하면을 샌딩처리하여 고르게 가공하여 표면층(30)이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30)은 UV코팅수지 등의 코팅수지를 도포한 코팅부(24)이다. 상기 코팅부(24)는 원목의 무늬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코팅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분의 흡수 내지는 방출이 가능하고 이물질이 흡착되어 오염시 표면을 청결하게 닦아 낼 수가 있다.
상기의 판재(10)는 옹이, 균열, 이물질 등으로 오염되거나 파손되어 전체를 사용하기 곤란한 판재의 일부를 잘라내고 사용 가능한 부분을 다수개 조합하여 이때, 복수개의 얇은 판재을 나무결 즉, 무늬가 같은 방향으로 중첩되게 하여 상기와 같이 접착제(20)로 접합하여 재활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바와 같이 홈(12)과, 탄성층(13)과, 부직포(22)가 형성된 판재(10)의 하면을 고르게 가공한 뒤 접착제(20)를 도포하여 무늬시트지(26)가 접합된다. 상기 무늬시트지(26)는 다양한 무늬로써 장식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는 발명의 결과로서 생성된 유연성을 이용하여 롤 형태로 감을 수 있어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곡면부에 쉽게 부착 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고 시공시 시간과 경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유연성이 탁월하여 다양한 형태로 시공이 용이하고 현재 사용중인 벽지나 장판지를 대체하여 사용 할 수 있어 그 활용 범위가 넓으며 원목판재가 가지는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 단열, 방음, 습도조절 기능으로 쾌적한 주거 환경을 만들어주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품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므로 자재의 소모를 줄여 원자재의 수입량을 줄이고,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벽체용과 바닥용 판재의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해외 수출도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대 주택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와 독성을 제거하고, 실내의 보온, 단열, 방음 등의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상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하지 못하는 불량판재를 잘라내고 사용가능한 부분을 결합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판재의 하면에는 표면층이 형성되고, 상면에 부직포가 접합되어 건물의 벽, 바닥, 천장, 기둥 등의 마감재로 주로 사용되는 건축용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판재(10)의 상면에는 홈(12)이 형성되며;
    상기 홈(12)의 내부와, 상기 판재(10)와 상기 부직포(22)의 사이에 탄성층(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13)은 가황생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탄성소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30)은 코팅수지가 도포되어 코팅부(24)를 특징으로 하는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30)은 접착제(20)로 부착된 무늬시트지(26)가 접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5. 상기와 같은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를 가공하는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재(10)의 하면에 홈(12)을 가공하는 과정과;
    상기 홈(12)의 내부에 고탄성수지가 충진되어 제1 탄성층(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층(14)과 판재(10)의 상부에 제2 탄성층(18)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탄성층(18)의 외면에 부직포(22)를 접착제(20)로 접합하는 과정과 상기 판재(10)의 하면에 표면층(3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의 가공방법.
KR10-2000-0076284A 2000-12-14 2000-12-14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KR10038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284A KR100384709B1 (ko) 2000-12-14 2000-12-14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284A KR100384709B1 (ko) 2000-12-14 2000-12-14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03A KR20020046403A (ko) 2002-06-21
KR100384709B1 true KR100384709B1 (ko) 2003-05-22

Family

ID=2768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284A KR100384709B1 (ko) 2000-12-14 2000-12-14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7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03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785B1 (ko) 천정마감재를 이용한 천정면의 시공방법
ES2384880T3 (es) Panel de suelo con capa de poliuretano y capa decorativa
CN108431343A (zh) 具有排出突起的地板
KR20060070527A (ko) 다층 피복
KR101044414B1 (ko)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그 제조방법
JPH0924505A (ja) 竹集成材
KR100384709B1 (ko) 밴딩이 가능한 건축용 마감재
DE60215943D1 (de) Faservliesstoffstruktur mit hoher feuchtigkeitsaufnahm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KR100741538B1 (ko) 보드 및 패브릭을 이용한 건축물 내장벽체의 시공 방법
KR20080102959A (ko) 전면 비접착식 내장벽체
KR100527249B1 (ko) 마루판 제조방법및 마루판
KR200273454Y1 (ko) 마루판
KR200486585Y1 (ko) 흡음 및 발수성의 목질 타일
KR200315778Y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KR102321452B1 (ko) 고내마모성과 무변형 및 기능성을 갖는 실내용 바닥재
KR102420509B1 (ko)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KR200223382Y1 (ko) 이중 입체 벽지
KR200346836Y1 (ko) 건축용 내장재
KR100350896B1 (ko) 천연 무늬목층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WO2003028994A1 (en) Wall covering comprising a veneer top layer
KR200196173Y1 (ko) 건축용 마루틀
KR101151285B1 (ko) 장식판넬
KR0140724Y1 (ko) 건축용 마루틀
KR200218724Y1 (ko) 우디프라 마루판
KR960006887Y1 (ko) 장식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