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509B1 -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509B1
KR102420509B1 KR1020210138314A KR20210138314A KR102420509B1 KR 102420509 B1 KR102420509 B1 KR 102420509B1 KR 1020210138314 A KR1020210138314 A KR 1020210138314A KR 20210138314 A KR20210138314 A KR 20210138314A KR 102420509 B1 KR102420509 B1 KR 10242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und
absorbing layer
groove
indoo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콜렉션
Priority to KR1020210138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wrinkle, crackle, orange-peel, or similar decorative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실내 바닥마감재를 개시한다. 실내 바닥마감재는 탄산칼슘(CaCO3) 및 PVC(Polyvinyl Chloride)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무늬가 프린팅되어 있는 데코층과, 상기 데코층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층 및 상기 데코층의 마모를 방지하는 보호층 및 특정 질감을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호층 상면 상에 도료를 도포한 후 자외선으로 건조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STONE PLASTIC COMPOSITE INDOOR FLOOR COVERING WITH SOUND ABSORBING LAYER, INTERFLOOR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 바닥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실내 바닥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을 장식하거나 미려하게 마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바닥마감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바닥재는 목재, 합판, MDF, HDF, PB, PVC 중에서 선택된 재질이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 또는 다양한 화합물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바닥재들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거나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재의 측면에 특정한 기계적 체결요소를 구비하거나 접착제 등의 보조적인 고정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들의 소재들 중에서 목질 합판(MDF, HDF)을 기재로 하고, 상부에 무늬가 인쇄된 모양지층과 모양지층의 보호를 위하여 산화알루미늄이 적층된 이른바 라미네이트 판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라미네이트 판재는 내마모성, 내구성 등이 우수하고, 미려한 무늬를 표현하고 평활한 평면을 유지하는데 적합하여 오랫동안 건축자재 시장에서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그런데 상기 바닥재의 기재를 형성하는 목질 합판은 아무리 밀도가 높아도 목질 섬유와 목질 섬유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수지들은 근본적으로 수분의 침투를 저지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어, 바닥재를 연결한 틈 혹은 바닥재의 측면 사이로 수분이 침투하면 목질 섬유로 이루어진 판넬의 기재가 부풀어 본래의 형상을 상실하고 바닥재의 외형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등의 성분에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 후에 습기로 인한 부패, 곰팡이 발생 또는 변형으로 좋지 않은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물질로서 SPC(Solid Plastic Composite 또는 Stone Plastic Composite)계 바닥재 원료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천연 석회암 분말과 폴리비닐염화물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이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률이 낮고, 내구성이 좋고, 내화성이 우수하고,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 및 방수 기능이 향상된 실내 바닥마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층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실내 바닥마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친환경성이 뛰어는 실내 바닥마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 전달 효율이 우수한 실내 바닥마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도 변화로 인한 바닥재 들뜸 현상이 최소화되는 실내 바닥마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살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실내 바닥마감재 및 이를 포함하는 층간 바닥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실내 바닥마감재는 탄산칼슘(CaCO3) 및 PVC(Polyvinyl Chloride)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무늬가 프린팅되어 있는 데코층; 상기 데코층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층 및 상기 데코층의 마모를 방지하는 보호층; 및 특정 질감을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호층 상면 상에 도료를 도포한 후 자외선으로 건조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흡음을 위하여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부착되는 흡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IXPE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층은 60 내지 75 중량%의 탄산칼슘(CaCO3)과, 20 내지 35 중량%의 PVC(Polyvinyl Chloride)와, 5 내지 20 중량%의 수지안정제를 포함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은 IXPE 폼으로 형성되는 흡음층 바디; 및 상기 흡음층의 하방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흡음층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흡음층에 포획된 상태로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 팽창된 공기가 실내 바닥마감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코어층의 가장자리로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바닥마감재는 SPC 소재로 형성되는 코어층을 포함하므로 높은 편평도, 수축 팽창률 최소화, 높은 수분 저항성, 높은 내구성, 높은 내화성, 높은 열전달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바닥마감재는 흡음층을 포함하므로 층간 소음을 완충 및 흡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바닥마감재는 흡음층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는 경우 이를 배출될 수 있게 안내하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팽창으로 인하여 바닥마감재가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바닥마감재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흡음층의 배치로 인하여 열 전달 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바닥마감재는 살충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해충의 이동 및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마감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7은 도 5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가 설치된 층간 바닥구조의 단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층이 마련되는 경우의 단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할 때, 2층 이상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1)는, 건축물의 상, 하층간 구조물로서, 강모래, 강자갈과 같이 비중 2.65 정도의 골재를 시멘트풀(시멘트를 물로 개어 풀처럼 만든 것)로 혼합하여 그 두께가 180 내지 24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0)와, 건축물의 측벽을 형성하여 공간을 구분하는 구조물인 건축물 내외 벽체(20)와,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층간소음을 흡수하도록 60 내지 80mm 두께로 형성되는 층간소음 방지재(30)와, 층간소음 방지재(30)의 상면 상에 30 내지 50㎜ 두께로 타설되는 경량기포 콘크리트층(40)과, 경량기포 콘크리트층(40)의 상면 상에 30 내지 50㎜의 두께로 타설되고 내부에 난방용 보일러 배관(60)이 배치되는 마감용 몰탈층(50)과, 건축물 내외 벽체(20)로부터 경량기포 콘크리트층(40) 및 마감용 몰탈층(50)을 이격시켜 건축물 내외 벽체를 타고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소음 방지재(70)와, 양생이 끝난 마감용 몰탈층(5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와 접촉되는 실내 바닥면을 형성하는 실내 바닥마감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바닥마감재(100)는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100)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제1 내지 3 실내 바닥마감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내 바닥마감재의 구성은 "제1"이라는 서수를 앞에 붙여 지칭될 수 있고, 제2 실내 바닥마감재의 구성은 "제2"이라는 서수를 앞에 붙여 지칭될 수 있고, 제3 실내 바닥마감재의 구성은 "제3"이라는 서수를 앞에 붙여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100)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실내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실내 바닥마감재(100)는 코어층(110), 데코층(120), 보호층(130), 코팅층(140), 및 흡음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층(110)은 실내 바닥마감재(100)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층(110)은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Stone Plastic Composite)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층(110)은 대략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어층(110)은 2 내지 1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 소재의 코어층(110)은 60 내지 75 중량%의 탄산칼슘(CaCO3)과, 20 내지 35 중량%의 PVC(Polyvinyl Chloride)와, 5 내지 20 중량%의 수지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바닥마감재(100)는 코어층(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홈(112) 및/또는 결합돌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홈(112) 및/또는 결합돌기(111)는 코어층(110)의 네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100) 각각의 코어층(110)의 일 가장자리에는 결합홈(112)이 형성될 수 있고 타 가장자리에는 결합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11)는 복수의 실내 바닥마감재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내 바닥마감재(100)의 결합돌기(111)는 제2 실내 바닥마감재(200)의 결합홈(21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1 실내 바닥마감재(100)의 결합홈(112)에는 제3 실내 바닥마감재(미도시)의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데코층(120)에는 디자인을 위한 무늬가 프린팅되어 있을 수 있다. 데코층(120)은 0.06 내지 0.08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데코층(120)은 코어층(1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데코층(120)은 접착제에 의하여 코어층(1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데코층(12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코어층(110) 및/또는 데코층(12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층(130)은 방수 및 표면보호를 위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보호층(130)은 접착제에 의하여 데코층(12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코팅층(140)은 특정 질감(예: 목재 표면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코팅층(140)은 사용자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보호층(13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코팅층(140)은 실내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코팅층(140)은 보호층(130)의 상면 상에 코팅층(140)을 구성하는 도료(예: 자외선 경화 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 광선으로 건조하는 UV 코팅을 2회 이상 실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료는 자외선 경화 도료로서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수단으로 인식되는 도료일 수 있다. 코팅층(140)은 도료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요철(14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요철에 의하여 특정 질감(예: 목재 표면 질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140)의 요철(141)을 형성하기 위하여, 1회차 UV 코팅 시 보호층(130)의 상면 전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료를 도포하고 자외선 광선으로 건조할 수 있고, 2회차 UV 코팅 시 스텐실 기법을 이용하여 서로 나란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얇은 필름(예: 종이)을 1회차 UV 코팅을 통해 형성된 도료막 상면에 놓고 도료를 도포한 후 필름을 제거하고 자외선 광선으로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요철(141)이 형성된 코팅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실내 바닥마감재(100)를 밟고 지나다니는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층간 소음을 완충 및 흡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코어층(1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접착제에 의하여 코어층(1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마감용 몰탈층(5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코어층(110)과 마감용 몰탈층(50) 사이에 배치되어 코어층(110)과 마감용 몰탈층(50)을 이격시킬 수 있다. 흡음층(150)은 1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흡음층(150)(또는, 후술하는 흡음층 바디(151))은 완충 및 흡음을 위하여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층(150)(또는, 흡음층 바디(151))은 IXPE(Irradiation Crosslinked Polyethelene) 소재의 폼(또는, 패드)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음층(150)은 스펀지, 라텍스, 메모리폼 소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흡음층(150)을 형성하는 소재는 친수성일 수도 있고, 소수성일 수도 있다. 흡음층(150)을 형성하는 소재는 침투성일 수 있다.
상기 IXPE(Irradiation Crosslinked Polyethelene) 폼은 1mm에서 10mm까지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25 ~ 200 kg/m3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IXPE 폼은 PE에 특수 패딩 및 발포 재료를 혼합한 다음 폴리머 재료로 간주되는 조사 및 발포에 의한 가교로 XPE의 특성을 기대하며 IXPE는 XPE 거품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즉, 표면이 훨씬 매끄러운 특성을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음층(150)(또는, 후술하는 흡음층 바디(151))은 EPP(발포폴리프로필렌, Expanded Polypropylene) 소재의 폼(또는, 패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EPP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서,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발포되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EPP 폼은 1mm에서 10mm까지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음층(150)(또는, 후술하는 흡음층 바디(151))은 IXPE 와 EPP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음층(150)(또는, 흡음층 바디(151))의 상반부는 EPP로 구성될 수 있고 그 하반부는 IXPE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XPE 폼이 EPP 폼의 하면에 부착되어 한 장의 흡음층(150)(또는, 흡음층 바디(151))을 형성할 수 있다. 흡음층(150)(또는, 흡음층 바디(151))은 EPP 폼 보다 부드러운(또는, 탄성 변형되기 쉬운) IXPE 폼이 하면을 형성하게 되어 마감용 몰탈층(50)의 표면에 더욱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음과 동시에 EPP 폼의 친환경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그루브(152)는 흡음층 바디(151)의 IXPE 폼 및/또는 EPP 폼이 파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층간 바닥구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바닥마감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7은 도 5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가 설치된 층간 바닥구조의 단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내 바닥마감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층이 마련되는 경우의 단면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5 내지 8에 도시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할 때,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흡음층(150)은 완충 및 흡음을 위하여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는 흡음층 바디(151)와, 흡음층 바디(151)에 형성되는 그루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층 바디(1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소재(예: IXPE 폼 등)로 형성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실내 바닥마감재(100-1)를 밟고 지나다니는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되는 층간소음을 완충 및 흡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코어층(1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흡음층(150)(예: 흡음층 바디(151))은 접착제에 의하여 코어층(1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흡음층(150)(예: 흡음층 바디(151))은 마감용 몰탈층(5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흡음층(150)은 코어층(110)과 마감용 몰탈층(50) 사이에 배치되어 코어층(110)과 마감용 몰탈층(50)을 이격시킬 수 있다. 흡음층(150)(예: 흡음층 바디(151))은 1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152)는 흡음층(150)의 하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루브(152)는 흡음층 바디(15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52)는 복수의 그루브(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52)는 흡음층 바디(151)의 하면이 일정 깊이로 파내어져 형성될 수도 있고, 흡음층 바디(151)의 상하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루브(15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그루브(152a)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그루브(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 그루브(152a)와 가로 그루브(152b)는 직교할 수 있다. 세로 그루브(152a)는 복수의 세로 그루브(152a)를 포함할 수 있고, 가로 그루브(152b)는 복수의 가로 그루브(15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52)는 흠음층 바디(15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장자리 그루브(152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 그루브(152c)는 복수의 가장자리 그루브(152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장자리 그루브(152c)는 흡음층 바디(151)의 네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4개의 가장자리 그루브(152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 그루브(152c)는 가로 그루브(152b) 및/또는 세로 그루브(152a)와 연결될 수 있다. 가장자리 그루브(152c)는 결합홈(112) 및/또는 결합돌기(111)와 대응될 수 있다. 가장자리 그루브(152c)는 결합홈(112) 및/또는 결합돌기(1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장자리 그루브(152c)는 결합홈(112) 및/또는 결합돌기(111)와 연결될 수 있다.
흠음층(150)(예: 흡음층 바디(151))은 다공성으로 내부에 공기를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보일러의 난방열이 가해지면 흡음층(150) 내부에 포획된 공기는 열팽창 될 수 있다. 보일러 배관(60)의 배치는 서로 이격 거리를 두도록 배치되므로 흡음층(150) 내부의 공기는 위치마다 제각각 팽창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정도로 팽창되는 공기에 의하여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의 일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도록, 그루브(152)는 흡음층(150)에 포회된 상태로 보일러(또는, 보일러 배관(60))에 의하여 가열 팽창된 공기가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코어층(110)의 가장자리로 가열 팽창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음층(150) 내부의 공기가 보일러(또는, 보일러 배관(60))에 의하여 가열 팽창될 때 세로 그루브(152a) 및 가로 그루브(152b) 내부로 유출될 수 있고, 세로 그루브(152a) 및 가로 그루브(152b)를 따라 가장자리 그루브(152c)로 유동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 그루브(152c)에 도달한 공기는 결합돌기(111)와 결합홈(212)의 결합 틈을 통해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외부(또는, 실내 공간)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내 바닥마감재(100-1)(또는, 제1 코어층(110))와 제2 실내 바닥마감재(200-1)(또는, 제2 코어층(2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제1 가장자리 그루브(152c)와 제2 실내 바닥마감재(200-1)의 제2 가장자리 그루브(252c)는 서로 연결(또는, 연통)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제1,2 가장자리 그루브(152c,252c)는 제1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제1 결합돌기(111)(또는, 제1 결합홈)와 제2 실내 바닥마감재(200-1)의 제2 결합홈(212)(또는, 제2 결합돌기)이 연결되는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의 일부분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제1,2 가장자리 그루브(152c,252c)는 제1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제1 결합돌기(111)(또는, 제1 결합홈)와 제2 실내 바닥마감재(200-1)의 제2 결합홈(212)(또는, 제2 결합돌기)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결합 틈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일러(또는, 보일러 배관(60))에 의하여 가열 팽창된 공기는 제1,2 그루브(152,252)(예: 제1,2 가로 그루브(152b,252b) 및/또는 제1,2 세로 그루브(152a,252a))를 통하여 제1,2 가장자리 그루브(152c,252c)로 도달할 수 있고, 결합 틈 사이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루브(152)가 팽창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여 배출을 유도함으로써 흡음층(150) 속 공기의 팽창으로 인한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152)가 형성된 부분은 흡음층 바디(151)의 두께가 얇거나 흡음층 바디(151)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보일러 배관(60)의 열이 그루브(152)가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흡음층(150)은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열의 코어층(110)으로의 전달을 방해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그루브(152)는 흡음층(150)의 단열 효과를 떨어뜨려 보일러(또는, 보일러 배관(60))로부터 코어층(110)으로 원활하게 보일러의 열이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즉, 그루브(152)는 실내 바닥마감재(100-1)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흡음층(150)은 살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충 성분은 해충(예: 바퀴벌레, 개미 등)에 대하여 접촉독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살충 성분은 델타메트린(deltamethrin)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살충 성분은 다른 살충제로 사용되는 다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델타메트린(deltamethrin)은 화학식(C22H19Br2NO3)으로 데카메트린으로도 불리며, 살충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델타메트린은 시중에 판매되는 성분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합성하여 사용하는 등 그 수득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살충 성분은 흡음층 바디(151)에 흡착되어 있을 수 있다. 살충 성분은 다공성 흡음층 바디(151)의 미세홀에 흡착되어 있을 수 있다.
살충 성분은 그루브(152)의 내부를 이동하는 해충들에 대하여 접촉 독성을 발휘하여 살충할 수 있다.
살충 성분을 포함하는 흡음층(150)을 제작하는 제1 방법을 설명한다. 흡음층(150)은 흡음층 바디(151)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 중량부의 델타메트린을 녹인 물을 흡음층 바디(151)에 흡수시킨 후 30 내지 50 ℃의 저온 열풍으로 물을 건조(또는, 증발)시켜 제작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의 양은 흡음층 바디(151)에 완전히 흡수되는 양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렇게 형성된 흡음층(150)은 접착제에 의하여 코어층(1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코어층(110)을 마련하는 단계, 코어층(110)의 상면에 데코층(120)을 부착하는 단계, 데코층(120)의 상면에 보호층(130)을 부착하는 단계, 도료 도포 및 UV 코팅을 통하여 보호층(130)의 상면에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방법을 통해 흡음층(150)을 형성하는 단계, 흡음층(150)을 코어층(110)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거쳐 실내 바닥마감재(10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균 성분을 포함하는 흡음층(150)을 제작하는 제2 방법을 설명한다. 그루브(152)(예: 가로 그루브(152b) 및/또는 세로 그루브(152a))는 흡음층 바디(15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코어층(110) 하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고, 이러한 그루브(152)가 형성된 흡음층 바디(151)가 코어층(110)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그루브(152)는 코어층(110)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노출시킬 수 있다. 흡음층(150)은 살충성분층(15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살충성분층(153)은 흡음층 바디(151)의 하면 상에서 뿌려져 그루브(152) 내부로 유입된 델타메트린 및 탄산칼슘(CaCO3)이 혼합된 분말(이하, "분말 살충제")이 그루브(152)에 의하여 노출된 코어층(110) 하면의 접착제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살충성분층(153)은 탄산칼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의 델타메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에 붙지 않고 남은 분말 살충제는 송풍기의 바람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코어층(110)을 마련하는 단계, 코어층(110)의 상면에 데코층(120)을 부착하는 단계, 데코층(120)의 상면에 보호층(130)을 부착하는 단계, 도료 도포 및 UV 코팅을 통하여 보호층(130)의 상면에 코팅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흡음층 바디(151)를 부착하는 단계, 분말 살충제를 도포하여 살충성분층(153)을 형성하는 단계, 접착제에 붙지 않은 분말 살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거쳐 실내 바닥마감재(100-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법을 통하여 흡음층(150)을 제작하는 경우, 제1 방법을 통하여 흡음층(150)을 제작하는 경우보다 소요되는 살충 성분의 절대량을 줄이면서도 살충 성분을 그루브(152)에 집중시킴으로써 동일한 농도 및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 바닥마감재(100-1)는 살충 성분 및/또는 살충성분층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루브를 통해 해충이 이동 및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 바닥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9에 도시된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할 때, 층간 바닥구조는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코어층(310) 뿐 아니라, 데코층, 보호층, 코팅층, 흡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를 설명하며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는 건축물 내외 벽체(20)와 접촉될 수 있다.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는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와 건축물 내외 벽체(20)를 이격시킬 수 있다.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는 결합홈 및/또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홈 및/또는 결합돌기에 의하여 대응되는 실내 바닥마감재(200-1)에 결합될 수 있다.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는 흡음층에 포함되는 그루브(예: 가로 그루브(352b) 및/또는 세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루브와 연통되는 연직 배출홈(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은 그루브(352b)를 유동하는 공기를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 및/또는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의 하단은 그루브(352b)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은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배출홀(36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연직 배출홈(360)의 일단이 배출홀(361)에 해당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은 복수의 연직 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고, 배출홀(361)은 복수의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은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의 일 측면은 건축물 내외 벽체(2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의 개방된 일 측면이 건축물 내외 벽체(20)에 의하여 커버됨으로써 배출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은 건축물 내외 벽체(20)와 함께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직 배출홈(360)은 상하 방향으로 흡음층, 코어층(310), 데코층, 보호층, 및 코팅층을 관통할 수 있다.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의 그루브(352b)(예: 가로 그루브(352b))는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의 그루브(예: 가로 그루브(252b))와 연결(또는, 연통)될 수 있다.
실내 바닥마감재(100-1,200-1) 및/또는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의 흡음층에 흡착된 공기가 보일러(또는, 보일러 배관(60))에 의하여 가열 및 팽창될 때, 그루브(252b,352b)를 유동하여 배출로(또는, 연직 배출홈(360)) 및 배출홀(36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내 가장자리 마감재(300-1)는 배출홀(361)을 통해 가열 팽창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결합 틈을 통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보다 흡음층 내부에서 가열되는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홀(361)은 눈에 잘 띄지 않는 건축물 내외 벽체(20)의 하단을 따라서 연장되므로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층간 바닥구조
10;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
20; 건축물 내외 벽체
30; 층간소음 방지재
40; 경량기포 콘크리트층
50; 마감용 몰탈층
60; 보일러 배관
70; 측벽소음 방지재
100; 실내 바닥마감재

Claims (5)

  1. 탄산칼슘(CaCO3) 및 PVC(Polyvinyl Chloride)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무늬가 프린팅되어 있는 데코층;
    상기 데코층 상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층 및 상기 데코층의 마모를 방지하는 보호층;
    특정 질감을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호층 상면 상에 도료를 도포한 후 자외선으로 건조하여 형성되는 코팅층; 및
    흡음을 위하여 상기 코어층의 하면에 부착되는 흡음층;을 포함하는 실내 바닥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은
    IXPE 폼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어층 하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코어층 하면에 부착되는 흡음층 바디; 및
    상기 흡음층 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접착제를 노출시키고, 상기 흡음층에 포획된 상태로 보일러에 의하여 가열 팽창된 공기가 실내 바닥마감재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코어층의 가장자리로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 내부를 이동하는 해충들에 대하여 접촉 독성을 발휘하여 살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그루브 내부로 유입된 델타메트린(C22H19Br2NO3) 및 탄산칼슘(CaCO3)이 상기 접착제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살충성분층;을 포함하는 실내 바닥마감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60 내지 75 중량%의 탄산칼슘(CaCO3)과, 20 내지 35 중량%의 PVC(Polyvinyl Chloride)와, 5 내지 20 중량%의 수지안정제를 포함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 소재로 형성되는 실내 바닥마감재.


  5. 삭제
KR1020210138314A 2021-10-18 2021-10-18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KR10242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314A KR102420509B1 (ko) 2021-10-18 2021-10-18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314A KR102420509B1 (ko) 2021-10-18 2021-10-18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0509B1 true KR102420509B1 (ko) 2022-07-14

Family

ID=8240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314A KR102420509B1 (ko) 2021-10-18 2021-10-18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5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7491A (ja) * 2011-10-18 2013-05-13 Fukuvi Chem Ind Co Ltd 化粧板付き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30058190A (ko) * 2011-11-25 2013-06-04 부경기건(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
KR101424800B1 (ko) * 2014-01-03 2014-08-01 주식회사 포레스코 문양을 형성한 mdf 컬러보드의 제조방법
KR102146644B1 (ko) * 2020-01-17 2020-08-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7491A (ja) * 2011-10-18 2013-05-13 Fukuvi Chem Ind Co Ltd 化粧板付き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30058190A (ko) * 2011-11-25 2013-06-04 부경기건(주)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
KR101424800B1 (ko) * 2014-01-03 2014-08-01 주식회사 포레스코 문양을 형성한 mdf 컬러보드의 제조방법
KR102146644B1 (ko) * 2020-01-17 2020-08-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5007A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80032764A (ko) 차음 및 논 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1636257B1 (ko) 석고-패널 차음성 모놀리식 천정
KR101133056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ES2268547T3 (es) Plancha de suelo con nucleo de material derivado de la madera.
JPH10102743A (ja) 溝付き化粧板
KR102420509B1 (ko)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흡음층이 마련되는 스톤 플라스틱 컴포지트(spc) 실내 바닥마감재, 이를 배치한 층간 바닥구조, 및 실내 바닥마감재의 제조 방법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JP3030677B2 (ja) 床 板
KR20240020228A (ko) 방수 및 방음형 멀티기능시트
KR20080076666A (ko) 타일 문양 구현을 위한 줄 눈 무늬 홈을 갖는 판재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KR20100025799A (ko)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JPS62129461A (ja) 防音床材およびその製法
EP3998154A1 (en) Plate and system for covering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JPH10166498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102375577B1 (ko) 산업, 건축용 미끄럼방지 인테리어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1565049B1 (ko) 차음용 층간 바닥재
JP2001182306A (ja) 床仕上げ材
TWM524369U (zh) 防鼓起地板及其複合式緩衝墊
RU2772253C1 (ru) Панель с каменным шпоном
JP4753916B2 (ja) 漆喰建具
KR200385404Y1 (ko) 열전사 처리된 난연성 마그네슘 보드
KR200394319Y1 (ko) 건축용 스티로폼 패널
KR100402533B1 (ko) 천공 pvc 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