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585B1 -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585B1
KR100383585B1 KR10-2000-0047207A KR20000047207A KR100383585B1 KR 100383585 B1 KR100383585 B1 KR 100383585B1 KR 20000047207 A KR20000047207 A KR 20000047207A KR 100383585 B1 KR100383585 B1 KR 10038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voice
connection
data
mas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111A (ko
Inventor
윤면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58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with means for interrupting existing connections; with means for breaking-in on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에 따라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와 음성 데이터 및 아이-피(IP)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홈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 또는 음성 전화 접속 장비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홈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접속 장비로 송신 및 상기 해당 접속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홈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TELEPHONE SERVICES IN HOME PNA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표준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내의 전화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이하 "HOME PNA"라 한다.)라는 표준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무실용의 랜(LAN)이 전이중방식(FULL DUPLEX, 4선식 방식)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홈-랜(HOME LAN)에 해당하는 HOME PNA 방식은 반이중방식(HALF DUPLEX, 2선식 방식)인 가정내 전화선을 이용한다. 서비스 측면으로 볼 때 HOME PNA 방식은 TCP/IP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HOME PNA 표준방식은 사무실용 랜(LAN)과 같이 데이터 처리 중심의 네트워킹으로서, 일반 음성 전화기용 서비스를 염두에 둔것이 아니라 컴퓨터간 데이터 통신이 주 목적이었다. 특히 종래의 HOME PNA 방식은 동시에 전화기 한 대만을 서비스할 수가 있었으며, 가정내 전화기들간의 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도 1은 종래의 HOME PNA 방식에 따른 가정내 각종 데이터 및 음성 접속 장비들의 연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페이스 모듈(13)은 외부 고속 접속 서비스망(예; V.90, xDSL, ISDN, Cable), PSTN 등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11)에 접속되어 IP 패킷 데이터 및 음성 PCM 등에 대한 정합 기능을 수행하며, 가정내 전화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컴퓨터, 프린터, 카메라 등과 같은 데이터 접속장비들과 전화기 등에 대하여 HOME PNA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참조부호 15 내지 참조부호 21은 잭을 의미하며, 이들은 각각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 접속장비들간의 신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에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HOME PNA 방식은 여러대의 일반 전화기들을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나 동시에 한 대의 일반 전화 서비스(Plain Old Telephony Service)가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HOME PNA 표준 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기에는 제약 조건 및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비가 제공하는 기능 단위가 커지게 되어 값 비싼 솔루션이 되게 된다.
또한 종래의 HOME PNA 방식에서 적어도 한대 이상의 전화 서비스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전용 특수 전화기인 인터넷-폰이나 웹-폰 또는 IP 전화기 등이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전화기 등은 기존의 데이터 망을 그대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음성 통화의 지연, 패킷 손실 등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이 큰 문제로 나타나게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적인 문제 및 비용의 문제가 대두된다. 즉, 종래의 HOME PNA 방식에서 적어도 한대 이상의 전화 서비스를 동시에 가능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조작의 측면에서 볼 때 일반적인 음성 전화기와 조작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랜 프로토콜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기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가정내 전화간 통화 서비스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음성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정내 전화간 통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홈 마스터 장치가 음성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정내의 전화기들간에 지연이 없는 통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각 접속장비측의 접속 슬레이브 장치들간이 저가격의 전용 접속모듈로 구현되어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가정내 전화기들에 대하여 용이하고 낮은 가격으로 일반 전화 교환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내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음성 전화 서비스 장치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에 따라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와 음성 데이터 및 아이-피(IP)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홈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 또는 음성 전화 접속 장비에 접속되며 상기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홈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접속 장비로 송신 및 상기 해당 접속 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홈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방법이,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각종 접속 장비들에 구비되는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로 폴링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 접속 슬레이브 장치들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의 차례에 음성 데이터 또는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의 차례에 음성 데이터 또는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HOME PNA 방식에 따른 가정내 각종 데이터 및 음성 접속 장비들의 연결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HOME PNA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HOME PNA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마스터 장치와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간의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HOME PNA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마스터 장치와 접속용 슬레이드 장치들간 토큰 메시지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시스템에서 홈 마스터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시스템에서 접속용 슬레이드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CM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구성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홈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구성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 접속용 슬레이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럭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HOME PNA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HOME PNA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마스터 장치와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간의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통신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HOME PNA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마스터 장치와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간 토큰 메시지 포맷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홈 마스터 장치(213)는 외부 고속 접속 서비스망(예; V.90, xDSL, ISDN, Cable), PSTN 등과 같은 공증 네트워크(211)에 접속되어 IP 패킷 데이터 및 음성 PCM 등에 대한 정합 기능을 수행하며, 가정내 전화 라인을 통하여 연결된 컴퓨터, 프린터, 카메라 등과 같은 데이터 접속장비들과 전화기 등(참조번호 223~참조번호 229)에 대하여 HOME PNA 네트워킹을 수행한다. 또한 홈 마스터 장치(2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정내의 전화기들간에 지연이 없는 통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제1접속 슬레이브 장치(215) 내지 제N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21)는 각각 전화기 접속용과 데이터 처리 장비 접속용의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15) 및 제3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19)는 상기 전화기 접속용 기능을 수행하고, 제2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25) 및 제N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29)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비 접속용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PCM과 IP 패킷 데이터의 메시지 포맷과 프로토콜 등이 다르므로 상기 두 기능은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에 접속된 장비의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상기 두 기능은 초기 설정시에 HOME PNA에서 제공되는 Access ID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 참조부호 310은 홈 마스터 장치의 트리거를 의미하며, 참조부호 302는 해당 접속 슬레이브 장치들의 트리거의 일 예를 의미한다. 참조부호 3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를 의미한다. 홈 마스터 장치(213)는 제1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15) 내지 제N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21)에 대하여 상기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에게 폴링 메시지를 송신하며,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송신(Tx)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 홈 마스터 장치(213)는 전송 데이터(음성 PCM 또는 IP 패킷 데이터)를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 (Rx)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 홈 마스터 장치(213)는 전송 데이터를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상기한 메시지들의 송/수신은 일종의 토큰 메시지 송/수신이 될 수 있다.
제1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15) 내지 제N접속용 슬레이브 장치(221)는 상기폴링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터럽트를 수행하며, 해당 음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데이터를 홈 마스터 장치(213)로 송신하거나 또는 홈 마스터 장치(213)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복수개의 전화기간 음성 실시간 처리를 위해 상기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213)가 결정되어야 한다. HOME PNA 방식은 1Mbps, 10Mbps 전송속도 등의 대역폭을 제공하며, 상기 주기의 결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HOME PNA 방식에서 한 프레임 동안에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는 1500 바이트가 될 수가 있다. 따라서 홈 마스터 장치와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서 상기 최대 전송 바이트(여기서 1500 바이트라 한다.)를 전송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은 전송속도가 10Mbps인 경우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상기 1500 Byte ×8Bit는 HOME PNA 방식에서 한 프레임 동안에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의미하며, 상기 10Mbps는 제공되는 전송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의 개수를 8개로 가정하면, 홈 마스터 장치는 연결된 모든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간의 신호 송/수신 처리를 1.2mSEC×8=9.6mSEC 동안에 끝내야 한다. 그런데 최대 1500 바이트 전송의 경우는 드물며, 음성 데이터의 경우 메시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각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 동안에 항상 데이터 전송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가입자의 이벤트 정보, 시그널링 등과 같은 제어정보만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길이는 두 바이트면 충분하다. 참고적으로 폴링시 홈 마스터 장치(213)가 각 접속용 슬레이드 장치로 토큰 제어정보를 보내거나 또는 각 접속용 슬레이드 장치로부터 그 토큰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하기 <수학식 2>와 같다.
여기서 상기 2Byte×8Bit는 Home PNA 방식에서 토큰 제어 정보 또는 토큰 응답 정보가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하며, 상기 10Mbps는 제공되는 전송 속도를 의미한다.
대체로 10mSEC 단위로 음성 PCM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100 바이트 정도가 전송된다고 한다. 보통 음성 PCM 메시지는 125μSEC마다 한 바이트씩 축적이 되며, 홈 마스터 장치(213)가 10mSEC 마다 폴링을 한다면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에 해당하는 인터럽트 시점까지 축적된 100바이트(최대 전송 가능한 음성 PCM 데이터의 크기) 이상의 음성 메시지가 전송될 수가 있다. 상기 도 4에서 참조부호 430은 홈 마스터로부터 전화기 접속용 슬레이브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의미하며, 참조부호 440은 전화기 접속용 슬레이브로부터 홈 마스터로 향하는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의미한다. 이때, 100 바이트의 음성 PCM이 전송되는 경우, (시그널링 바이트 + 카운트 바이트 + 음성 PCM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크기로 보아도102 바이트 정도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합쳐진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2Byte×8Bit/10Mbps=81.8μSEC가 되며, HOME PNA 프레임에서 동기 주기(SYNC Interval), 억세스 ID, PCON Bytes를 모두 합쳐도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00μSEC이내가 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도 4에서 참조부호 410은 홈 마스터로부터 PC 접속용 슬레이브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의미하며, 참조부호 420은 PC 접속용 슬레이브로부터 홈 마스터로 향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의미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450은 상기 참조부호 430의 Tx Signaling Byte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고, 참조부호 460은 상기 참조부호 440의 Rx Signaling Byte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상기한 설명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마스터 장치와 연결된 슬레이브 장치들의 개수가 8개이면(10Mbps의 전송 속도로 가정),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가 10mSEC 이하가 된다. 따라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에 지장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시스템에서 홈 마스터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525)는 홈 마스터 장치(5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과 메시지 송/수신을 행하여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는 홈 마스터 장치(5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CP/IP MAC/Alligner/Bridge(523)는 제어부(525)의 제어에 의해 물리계층의비트 단위의 수신 프레임을 PCM과 IP 패킷 데이터로 분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Switch Tone/DTMF(521)은 제어부(523)의 제어에 의해 음성 PCM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로부터 톤과 DTMF를 검출한다. HOME PNA Tranceiver(533)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정내 전화선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표준 규격에 따라, 상기 분리된 PCM 또는 IP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HOME PNA 프레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HOME PNA는 상기 도 4의 참조부호 410 또는 참조부호 430이 될 수 있다.
Switch Tone/DTMF(521)은 상기 제어부(525)의 제어에 의해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각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과 폴링 메시지 송신 및 해당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Switch Tone/DTMF(521)은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 HOME PNA 프레임을 송신해야 하는 경우 제어부(525)의 제어에 의해 Tx 인터럽트를 구동한다. 그리고 Switch Tone/DTMF(521)은 차례가 된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 상기 HOME PNA 프레임을 송신한다.
RJ-11 Connector(511)는 가정내의 전화선 인입선과 가정용 전화선을 연결해 주는 전화용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시스템에서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610)는 전화기 접속용의 기능을 수행하는 참조부호 630과 데이터 통신용의 기능을 수행하는 참조부호 620을 구비한다. 상기 두 기능은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610)에 접속된 장비의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전화(611)가 접속되는 경우 참조부호 630이 동작하고, PC(639)가 접속되는 경우 참조부호 620이 동작한다. 이때, 상기 두 기능은 초기 설정시에 HOME PNA에서 제공되는 억세스 ID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가 있다.
제어부(623)는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6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화기 접속용의 기능의 경우 POTS 인터페이스(613)는 제어부(623)의 제어에 의해 전화기(611)로부터 가입자 이벤트를 처리한다. 즉, POTS 인터페이스(613)는 훅크 온-오프를 검출하고 링 제어를 수행하며, 릴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코덱(615)은 제어부(623)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한다. 제어부(623)는 상기 도 5의 홈 마스터 장치(510)로부터 폴링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송신 데이터를 HOME PNA MAC Transceiver(625)를 통해 상기 홈 마스터 장치(510)로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용의 기능의 경우 TCP/IP MAC Transceiver(635)는 제어부(623)로부터 출력되는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TCP/IP MAC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PC(639)로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CM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구성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홈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OME PNA 구성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국 음성 PCM 데이터 전송량은 IP 패킷 데이터 전송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는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HOME PNA 시스템에서 음성 실시간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가정내의 전화기들간에 지연이 없는 통화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 또는 음성 전화 접속 장비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로 구성되며,
    상기 마스터 장치는;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음성 데이터와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로 분리하는 티-씨-피/아이-피 맥 분리 결합부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티-씨-피/아이-피 맥 분리 결합부에서 분리된 음성 데이터와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홈 피-엔-에이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홈 피-엔-에이 송수신부와,
    소정 제어에 의해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에 폴링 메시지 송신하고 상기 폴링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과 홈 피-엔-에이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디-티-엠-에프부와,
    상기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과 홈 피-엔-에이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상기 티-씨-피/아이-피 맥 분리 결합부와 상기 홈 피-엔-에이 송수신부와 상기 디-티-엠-에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 각각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마스터 장치와 홈 피-엔-에이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홈 피-엔-에이 맥 송수신부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와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티-씨-피/아이-피 맥 송수신부와,
    소정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 전화 접속 장비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피-오-티-에스 인터페이스와,
    상기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홈 피-엔-에이 프레임을 상기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와 상기 음성 전화 접속 장비로 각각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와 상기 음성 전화 접속 장비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와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도록 상기 홈 피-엔-에이 맥 송수신부와 티-씨-피/아이-피 맥 송수신부와 피-오-티-에스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장치.
  2.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용 접속 장비 또는 음성 전화 접속 장비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로 구성된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음성 전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음성 실시간 인터럽트 주기마다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로 폴링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에서 상기 폴링 메시지에 대응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 중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 차례에 음성 데이터 및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에서 상기 마스터 장치로 송신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상기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들 중 해당 접속용 슬레이브 장치 차례에 음성 데이터 및 아이-피(IP) 패킷 데이터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 음성 전화 서비스 방법.
KR10-2000-0047207A 2000-08-16 2000-08-16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38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07A KR100383585B1 (ko) 2000-08-16 2000-08-16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07A KR100383585B1 (ko) 2000-08-16 2000-08-16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11A KR20020014111A (ko) 2002-02-25
KR100383585B1 true KR100383585B1 (ko) 2003-05-14

Family

ID=1968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207A KR100383585B1 (ko) 2000-08-16 2000-08-16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94B1 (ko) * 2002-03-07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피엔에이에서 우선순위를 적용한 통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357B1 (ko) * 2001-04-12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Hpna 기반의 통화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6150A (en) * 1997-10-30 2000-02-15 Epigram Network protocol--based home entertainment network
KR20000024442A (ko) * 2000-02-14 2000-05-06 박명순 홈 pna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 접속거리 확장 및 댁내응용 확장을 위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20010090336A (ko) * 2000-03-24 2001-10-18 심상준 가입자 단말기 통합 접속 시스템
KR20010113117A (ko) * 2000-06-16 2001-12-28 최재학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6150A (en) * 1997-10-30 2000-02-15 Epigram Network protocol--based home entertainment network
KR20000024442A (ko) * 2000-02-14 2000-05-06 박명순 홈 pna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 접속거리 확장 및 댁내응용 확장을 위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20010090336A (ko) * 2000-03-24 2001-10-18 심상준 가입자 단말기 통합 접속 시스템
KR20010113117A (ko) * 2000-06-16 2001-12-28 최재학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94B1 (ko) * 2002-03-07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피엔에이에서 우선순위를 적용한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11A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413A (en) Voice data modem, voice data method and voice data modem system
US6167043A (en) Method and system for small office and home office telephone private branch exchange allowing simultaneous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JP3004491B2 (ja) 通信装置
EP1142198A4 (en) HOME NETWORK SYSTEM IN AN ADSL SYSTEM
KR10087676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호처리 메시지 컨버터및 메시지 컨버팅 방법
JPH10510687A (ja) データ伝送方法
CA2368092C (en) Telephone adapter and telephone system providing multiple telephone lines
KR100408678B1 (ko)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접속되는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장치
KR100383585B1 (ko) 홈 피-엔-에이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음성 전화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20010105042A (ko) 통신단말기의 다중 통신 연결장치
US6320862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GB2130845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ling the transmission m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4454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telecommunications device to a packet-switching communications network
JPH11136286A (ja) 回線接続切り替え装置
US6882658B1 (en) Flexible time slot for communication
US6359977B1 (en) Telephone port with automatic detection and secure
JP2972692B2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の自動再発信の方法
US20030174824A1 (en) Page in a selected phone group
JP3163457B2 (ja) 多重化ボタン電話装置
JP2000278435A (ja) Isdn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230027597A (ko) 사설 pstn에서 2선 전화 신호의 이더넷 변환 장치 및 방법
JPH0927849A (ja) 通信端末装置
JP2972650B2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
WO2002007355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access to a local area network and a pbx network via a single data link
JPH02196595A (ja) 接続制御装置および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