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379B1 -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379B1
KR100383379B1 KR10-2000-0070406A KR20000070406A KR100383379B1 KR 100383379 B1 KR100383379 B1 KR 100383379B1 KR 20000070406 A KR20000070406 A KR 20000070406A KR 100383379 B1 KR100383379 B1 KR 10038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light
mixed solvent
present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374A (ko
Inventor
안일호
김종인
권성원
Original Assignee
(주) 바임래버러토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임래버러토리즈 filed Critical (주) 바임래버러토리즈
Priority to KR10-2000-007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3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강제건조가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대상으로 일련의 가열과정을 진행시켜, 해당 무궁화 채취물에 예컨대,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열이 가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무궁화 채취물의 조직 와해를 촉진시킴으로써, 페놀성 물질의 생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페놀성 물질은 우수한 항산화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의 영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궁화 원액을 종래의 유기용매가 아닌 다른 혼합용매, 예컨대, 에탄올 및 탈이온수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이 에탄올 및 탈이온수는 피부에 거의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추출물은 유기용매의 영향에서 손쉽게 탈피하여, 우수한 피부 적응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종래와 달리 피부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전혀 유발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Method for extracting a raw material of a hibiscus syriacus}
본 발명은 무궁화(Hibiscus syriacus)로부터 일정량의 원료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공정을 일부 개선시켜, 무궁화가 보유한 기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무궁화 이용 제품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궁화가 인체에 여러 가지 이로운 작용, 예컨대, "혈관속에 있는 노폐물을 빠르게 배설시키는 작용", "동맥경과를 방지시키는 작용", "항암작용" 등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이 무궁화를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7-9620 호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된 무궁화 음료 제조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7-9773 호 "무궁화의 색소가 함유된 립스틱 제조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7-9774 호 "무궁화의 색소가 함유된 볼연지 제조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7-9775 호 "무궁화의 색소가 함유된 아이셰도 제조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7-10951 호 "무궁화를 주재로한 양조 식초의 제조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997-20093 호 "무궁화를 이용한 피부화장료" 등에는 무궁화를 실생활에 응용하기 위한 종래의 다양한 연구가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무궁화에 대한 연구가 급진전되면서, 종래의 무궁화 응용기술이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일례로, 종래의 무궁화 응용기술에서는 통상,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부탄올, 벤젠, 헥산,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무궁화의 원료를 추출하고 있는 바, 최근, 이러한 유기용매가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는 논란이 제기되면서, 종래의 무궁화 응용기술이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무궁화 응용기술, 예컨대, 종래의 무궁화를 이용한 화장품원료 추출 방법에서는 무궁화의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 단지, 무궁화가 본래 보유하고 있는 약리적인 효능을 그대로 살리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바, 최근, 무궁화의 약리적인 효능을 좀더 배가시키면,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는 프리라디칼(Free-radical)에 대한 폐해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종래의 무궁화 응용기술이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이 내포된 상태에서, 예컨대, 종래의 무궁화를 이용한 화장품원료 추출 방법이 별다른 개선 없이,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 많은 "무궁화 원료 화장품" 사용자들은 일련의 "피부 손상 위험", "피부 노화 위험" 에 그대로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부탄올, 벤젠, 헥산,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등의 유기용매가 아닌 다른 개념의 혼합용액을 무궁화 원료 추출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유기용매의 영향에 따른 피부 손상의 위협을 제거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련의 가공공정을 통해, 무궁화의 항산화활성(Antioxidant activity)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최종 완성되는 무궁화 원료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의 영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제품의 품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추출된 무궁화 원료의 항산화활성도를 표시한 그래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무궁화 채취물을1차 강제건조한 후, 이를 고온, 예컨대, 95℃~105℃ 정도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계와, 이러한 가열과정이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2차 강제건조한 후, 이 무궁화 채취물을 분쇄하는 단계와, 이 분쇄과정이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에탄올(Ethanol) 및 탈이온수가 예컨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1차 침지시킨 후, 1차 환류(Reflux)시키는 단계와, 앞의 1차 환류과정이 완료된 혼합용매를 여과하여, 혼합용매로부터 무궁화 채취물을 정선하고, 정선된 무궁화 채취물을 상술한 혼합용매에 2차 침지시킨 후, 2차 환류시키는 단계와, 이 2차 환류가 완료된 혼합용매를 여과하여, 혼합용매로부터 무궁화 채취물을 정선하고, 정선된 무궁화 채취물을 예컨대, 3분~6분간 원심분리하여, 일련의 상징액을 추출하는 단계와, 이 상징액을 응축하여, 최종의 무궁화 추출물을 채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강제건조가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대상으로 일련의 가열과정을 진행시켜, 해당 무궁화 채취물에 예컨대,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열이 가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무궁화 채취물의 조직 와해를 촉진시킴으로써, 페놀성 물질의 생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페놀성 물질은 우수한 항산화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의 영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용매가 아닌 다른 혼합용매, 예컨대, 에탄올 및 탈이온수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무궁화 원료를 추출한다. 이 에탄올 및 탈이온수는 피부에 거의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원료는 유기용매의 영향에서 손쉽게 탈피하여, 우수한 피부 적응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종래와 달리 피부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전혀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먼저, 무궁화의 일부, 예컨대, 무궁화의 뿌리, 무궁화의 줄기 등에서 일련의 무궁화 채취물을 채취한 후, 이 무궁화 채취물을 깨끗하게 세정한다(단계 S1).
이어서, 세정이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1차 강제건조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 이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그늘에서 자연건조 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그늘에서 송풍기 혹은 저온의 열풍에 의해 강제건조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1차 강제건조 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앞의 무궁화 채취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3). 이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예컨대, 95℃~105℃의 온도를 갖는 수증기 바람직하게, 100℃의 온도를 갖는 수증기에 의해 예컨대, 22시간~26시간, 바람직하게, 24시간 가열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가열과정이 24시간 정도 진행되는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수증기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자신의 조직이 와해되는 과정을 겪게 되며, 결국, 무궁화 채취물의 일부에는 다량의 페놀성 물질이 생성·유리된다. 이러한 페놀성 물질은 우수한 항산화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무궁화 채취물을 기반으로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의 영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과정을 통해, 일련의 가열과정이 모두 마무리되면, 상술한 무궁화 채취물을 2차 강제건조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4). 이 2차 강제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앞의 1차 강제건조 과정과 마찬가지로, 무궁화 채취물은 그늘에서 자연건조 되는 과정을 거치거나, 그늘에서 송풍기 혹은 저온의 열풍에 의해 강제건조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일련의 2차 강제건조 과정이 진행되면, 무궁화 채취물은 일정 수준 이상의 항산화활성 재현 능력을 보유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련의 2차 강제건조 과정을 고온의 환경에서 진행하지 않고, 단지, "자연건조 환경", "송풍기 혹은 저온의 열풍 환경" 등에서 진행함으로써, 무궁화 채취물의 항산화활성 재현 능력이 파괴되는 문제점을 미리 차단시킨다.
다른 한편, 상술한 2차 강제건조 과정이 마무리되면, 무궁화 채취물을 잘게 분쇄하는 과정을 진행하며, 이러한 분쇄과정이 마무리되면, 분쇄된 무궁화 채취물을 에탄올 및 탈이온수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1차 침지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5,S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분쇄과정이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종래의 유기용매가 아닌 다른 혼합용매, 예컨대, 에탄올 및 탈이온수가 혼합된 혼합용매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진행하는 바, 이러한 에탄올 및 탈이온수는 피부에 별다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유기용매의 영향에서 손쉽게 탈피하여, 우수한 피부 적응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화장품원료는 종래와 달리 피부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전혀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 및 탈이온수를 예컨대, 60:40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러한 에탄올 및 탈이온수의 혼합비는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만약, 혼합용액이 상술한 60:40의 비율을 유지하지 못한 채, 예컨대, 탈이온수의 비율이 에탄올에 비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비록, 다른 종류의 항산화 물질이 페놀성 물질 이외에 더 생성되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지만, 이 경우, 피부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물질들이 대량 생성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에탄올의 비율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극성도가 낮은 물질들이 대량 생성되고, 이 저 극성도 물질들이 페놀성 물질의 원활한 생성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함으로써, 무궁화 채취물의 항산화활성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충분히 감안하여, 혼합용액을 구성하는 에탄올 및 탈이온수의 혼합비를 상술한 바와 같이, 60:40 정도로 적절히 유지시킴으로써, 무궁화 채취물의 항산화 활성도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혼합용매가 무궁화 채취물 1g 당 4ml의 부피를 유지하도록 혼합용매에 무궁화 채취물을 침지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혼합용매가 20ml인 경우, 5g의 무궁화 채취물을 침지시키는 것이다.
물론, 동일량의 무궁화 채취물을 대상으로 혼합용매의 양을 늘리면, 더 우수한 무궁화 원액 추출효과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경비가 필요 이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혼합용매의 량을 무궁화 채취물 1g 당 4mml 정도로 유지시킴으로써, 필요 이상의 경비가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무궁화 원액 추출효과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1차 침지과정이 마무리되면, 무궁화 채취물이 침지된 혼합용액을 예컨대, 3시간 동안 1차 환류시켜, 일정량의 무궁화 원액을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7). 이러한 환류과정에 의해 불필요한 혼합용매의 손실이 미리 차단되며, 일정 비율 이상의 무궁화 원액 추출율이 보장된다.
이러한 1차 환류과정이 마무리되면, 무궁화 채취물이 침지된 혼합용액을 예컨대, 여과지로 여과시켜, 혼합용액으로부터 일정량의 무궁화 채취물을 걸러낸 후, 걸러진 무궁화 채취물을 에탄올 및 탈이온수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2차 침지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8). 물론, 이 경우에도, 혼합용매를 이루는 에탄올 및 탈이온수는 60:40의 비율로 혼합되며, 혼합용매는 무궁화 채취물 1g 당 4ml의 부피를 유지한다.
계속해서, 상술한 2차 침지과정이 마무리되면, 무궁화 채취물이 침지된 혼합용액을 예컨대, 3시간 동안 2차 환류시켜, 일정량의 무궁화 원액을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9).
이러한 2차 환류과정이 마무리되면, 무궁화 채취물이 침지된 혼합용액을 예컨대, 여과지로 여과시켜, 혼합용액으로부터 일정량의 무궁화 채취물을 걸러낸 후, 걸러진 무궁화 채취물을 예컨대, 1000g/㎡의 크기로 3분~6분간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0). 이러한 일련의 원심분리과정이 마무리되면, 고체상태이던 무궁화 채취물은 일정량의 상징액으로 추출된다.
이후, 앞의 원심분리과정에 의해 추출된 상징액을 응축기(Evaporator)에 투입시켜, 일련의 응축과정을 진행시키면, 상징액에 포함되어 있던 용매는 모두 제거되고, 결국, 본 발명에서 최종적으로 얻고자하는 가루(Powder)형상의 무궁화 추출물이 채취된다(단계 S11,S12).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기용매가 아닌 다른 혼합용액을 무궁화 원액 추출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유기용매의 영향에 따른 피부 손상의 위협을 제거시킬 수 있으며, 일련의 가열공정을 통해, 무궁화의 항산화활성도를 강화시킴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제품이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의 영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후, 앞의 가루형상의 무궁화 추출물은 다른 물질들, 예컨대, 화장품 원료들과 적정 비율로 혼합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는 화장품으로 제조 완료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얻어진 무궁화 채취물이 자연상태로 얻어진 무궁화 채취물에 비해 우수한 항산화활성도를 보유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후술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본 출원인은 "자연상태의 무궁화 줄기(A)",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토대로, 100℃의 가열공정을 진행한 무궁화 줄기(B)", "자연상태의 무궁화 뿌리(C)",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토대로 100℃의 가열공정을 진행한 무궁화 뿌리(D)"를 각각 채취한 후, 이들을 분쇄하여,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임의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료명 A B C D
무게 1.0215g 1.0149g 1.0040g 1.0121g
계속해서, 본 출원인은 위의 각 시료 A,B,C,D를 예컨대, 메타놀(Methanol) 용액 10ml에 각각 침지시키고, 각 시료가 침지된 개별 메타놀 용액을 30분간 환류시켜, 4종류의 무궁화 원액을 추출하였고, 이 4종류의 무궁화 원액을 여과하여, 일련의 2차 무궁화 채취물을 걸러낸 후, 이 2차 무궁화 채취물을 응축기를 통해 응축시켜, A,B,C,D 4종류의 무궁화 추출물을 채취하였다.
이어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이 채취된 4 종류의 무궁화 추출물로, 에탄올 및 탈이온수가 예컨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액을 각기 상이한 양으로 첨가하여, 각각의 무궁화 추출물이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종류의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실험용액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였다. 여기서, <표 2>에 제시된 인히비션(Inhibition)은 항산화활성도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흔히 이용되는 값으로, 이 인히비션 값이 클수록 항산화활성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출원인은 각 시료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을 동일량 투여하여, 각 시료의 항산화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결과, 각 시료, 예컨대, 무궁화 줄기에서 채취한 시료 A,B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농도 조건, 예컨대, 0.3125(mg/ml)의 농도 조건에서, "24.18>3.80"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B>A"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무궁화 뿌리에서 채취한 C,D는 "4.35>3.26"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D>C"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다.
시료종류 농도(mg/ml) 인히비션(%)
A 0.3125 3.80
0.625 10.33
1.25 23.91
2.5 36.96
5 63.59
10 91.85
B 0.3125 24.18
0.625 19.29
1.25 44.84
2.5 76.36
5 89.13
10 95.65
C 0.3125 3.26
0.625 2.99
1.25 14.13
2.5 23.91
5 39.13
10 76.90
D 0.3125 4.35
0.625 9.78
1.25 19.02
2.5 50.00
5 73.91
10 84.24
또한, 다른 농도 조건, 예컨대, 0.625(mg/ml)의 농도 조건에서, 시료 A,B는 "19.29>10.33"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B>A"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C,D는 "9.78>2.99"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D>C"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농도 조건, 예컨대, 1.25(mg/ml)의 농도 조건에서, 시료 A,B는 "44.84>23.91"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B>A"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C,D는 "19.02>14.13"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D>C"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농도 조건, 예컨대, 2.5(mg/ml)의 농도 조건에서, 시료 A,B는 "76.36>36.96"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B>A"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C,D는 "50.00>23.91"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D>C"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농도 조건, 예컨대, 5(mg/ml)의 농도 조건에서, 시료 A,B는 "89.13>63.59"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B>A"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C,D는 "73.91>39.13"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D>C"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농도 조건, 예컨대, 10(mg/ml)의 농도 조건에서, 시료 A,B는 "95.65>91.85"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B>A"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시료 C,D는 "84.24>76.90"의 항산화활성도 순서, 즉, "D>C"의 항산화활성도 순서를 나타내었다.
본 출원인이 이러한 실험결과를 토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도를 표시해본 결과, 본 출원인은 "자연상태의 무궁화 줄기(A)"에 비해,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토대로, 100℃의 가열공정을 진행한 무궁화 줄기(B)"가 훨씬 양호한 항산화활성도를 보유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자연상태의 무궁화 뿌리(C)"에 비해,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토대로 100℃의 가열공정을 진행한 무궁화 뿌리(D)"가 훨씬 양호한 항산화활성도를 보유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에서는 강제건조가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대상으로 일련의 가열과정을 진행시켜, 해당 무궁화 채취물에 예컨대, 95℃~105℃ 정도의 온도를 갖는 열이 가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무궁화 채취물의 조직 와해를 촉진시킴으로써, 페놀성 물질의 생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페놀성 물질은 우수한 항산화성을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채취물은 강한 항산화활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진 프리라디칼의 영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궁화 원액을 종래의 유기용매가 아닌 다른 혼합용매, 예컨대, 에탄올 및 탈이온수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이 에탄올 및 탈이온수는 피부에 거의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달성되는 경우, 무궁화 추출물은 유기용매의 영향에서 손쉽게 탈피하여, 우수한 피부 적응성을 보유할 수 있으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제품은 종래와 달리 피부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전혀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무궁화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무궁화의 일부에서 채취된 무궁화 채취물을 1차 강제건조 하고, 95℃~105℃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가열과정이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2차 강제건조 하고, 상기 2차 강제건조가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분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분쇄과정이 완료된 무궁화 채취물을 에탄올 및 탈이온수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1차 침지시킨 후, 1차 환류(Reflux)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1차 환류가 완료된 혼합용매를 일련의 여과과정을 통해 여과하여, 혼합용매로부터 상기 무궁화 채취물을 정선하고, 정선된 상기 무궁화 채취물을 상기 혼합용매에 2차 침지시킨 후, 2차 환류시키는 제 4 단계와;
    상기 2차 환류가 완료된 혼합용매를 일련의 여과과정을 통해 여과하여, 혼합용매로부터 상기 무궁화 채취물을 정선하고, 정선된 상기 무궁화 채취물을 3분~6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추출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상징액을 응축하여, 최종의 무궁화 추출물을 채취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무궁화 채취물은 무궁화 뿌리 채취물 또는 무궁화 줄기 채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가열과정은 수증기에 의해 22시간~26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의 상기 혼합용매는 상기 무궁화 채취물 1g 당 4ml의 부피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KR10-2000-0070406A 2000-11-24 2000-11-24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KR10038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406A KR100383379B1 (ko) 2000-11-24 2000-11-24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406A KR100383379B1 (ko) 2000-11-24 2000-11-24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74A KR20020040374A (ko) 2002-05-30
KR100383379B1 true KR100383379B1 (ko) 2003-05-12

Family

ID=1970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406A KR100383379B1 (ko) 2000-11-24 2000-11-24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286A (ko) * 2014-11-03 2016-05-1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자소로부터 미리스티신을 추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002808QA (en) * 2017-09-29 2020-04-29 Amorepacific Corp Composition for treating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or for inhibiting antimicrobial peptide, comprising hibiscus syriacus extrac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236A1 (en) * 1990-01-12 1994-01-06 Mobil Oil Corporation Regeneration of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catalyst
KR940013366A (ko) * 1992-12-24 1994-07-15 한유택 김네마 엑기스의 추출방법 및 김네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KR950002777A (ko) * 1993-07-26 1995-02-16 노리오 소메야 코랄샌드에서 추출한 생리활성물질
KR970005077A (ko) * 1995-07-21 1997-02-19 이분옥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된 무궁화 차 제조방법
JPH1036231A (ja) * 1996-07-22 1998-02-10 Shinichi Konuma 白髪防止剤
JPH10130162A (ja) * 1996-10-31 1998-05-19 Kanebo Ltd ヒアルロン酸分解阻害剤、ヒアルロン酸異常分解疾患治療剤および化粧料
KR0169006B1 (ko) * 1995-10-02 1999-01-15 이분옥 무궁화를 이용한 피부화장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236A1 (en) * 1990-01-12 1994-01-06 Mobil Oil Corporation Regeneration of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catalyst
KR940013366A (ko) * 1992-12-24 1994-07-15 한유택 김네마 엑기스의 추출방법 및 김네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KR950002777A (ko) * 1993-07-26 1995-02-16 노리오 소메야 코랄샌드에서 추출한 생리활성물질
KR970005077A (ko) * 1995-07-21 1997-02-19 이분옥 유효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된 무궁화 차 제조방법
KR0169006B1 (ko) * 1995-10-02 1999-01-15 이분옥 무궁화를 이용한 피부화장료
JPH1036231A (ja) * 1996-07-22 1998-02-10 Shinichi Konuma 白髪防止剤
JPH10130162A (ja) * 1996-10-31 1998-05-19 Kanebo Ltd ヒアルロン酸分解阻害剤、ヒアルロン酸異常分解疾患治療剤および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약학회지, 유익동 et al., vol 28(3), p112-116, 199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286A (ko) * 2014-11-03 2016-05-1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자소로부터 미리스티신을 추출하는 방법
KR101650522B1 (ko) 2014-11-03 2016-08-2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자소로부터 미리스티신을 추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374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274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xidation-inhibiting substances
CA1336968C (en) Microwave-assisted natural products extraction
López-Hortas et al. Flowers of Ulex europaeus L.–Comparing two extraction techniques (MHG and distillation)
EP0485668B1 (en) Microwave extraction of volatile oils and apparatus therefor
JPH02243632A (ja) 植物抽出物からなる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DK167345B1 (da) Deodoriserende middel og anvendelse heraf
KR101554537B1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인성 체취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3379B1 (ko) 무궁화 원료 추출 방법
US5670175A (en) Process for obtaining ultrapure egg oil and its use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CN108164572A (zh) 一种利用石斛提取单宁酸的方法
Anwar et al. Extraction methods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pasak bumi’(Eurycoma longifolia Jack.) root
KR101687447B1 (ko) 천연물로부터 엽록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엽록소를 제거하는 방법
EP0252501A2 (en) Coloring compositions
JPS61130285A (ja) 茶葉から粗カテキンを製造する方法
KR20090038645A (ko) 솔잎증류농축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솔잎증류농축액
Nguyen Study on extraction of tannins from the garcinia mangostana linn peel in Vietnam
JPH09143025A (ja) 化粧料
KR101512600B1 (ko) 두메부추를 이용한 미용재료의 제조방법
US11864574B1 (en) Encapsulated polyphenolic compounds
US5441612A (en) Radiation-enhanced recovery of maltol
US5641489A (en) Extracting maltol and water from naturally occurring plant material containing maltol and water
KR0141650B1 (ko) 유리기 소거 능력이 우수한 생약재 엑기스 및 엑기스 건조분말의 제조방법
US2042938A (en) Refining vegetable material
JP2001000141A (ja) 杉葉抽出液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