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278B1 -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 Google Patents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278B1
KR100383278B1 KR10-2000-0050511A KR20000050511A KR100383278B1 KR 100383278 B1 KR100383278 B1 KR 100383278B1 KR 20000050511 A KR20000050511 A KR 20000050511A KR 100383278 B1 KR100383278 B1 KR 10038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bulk amorphous
amorphous metal
extrusion
bu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253A (ko
Inventor
김강형
Original Assignee
연우인더스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우인더스트리(주) filed Critical 연우인더스트리(주)
Priority to KR10-2000-0050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2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9/00Cooling or heating work or parts of the extrusion press; Gas treatment of work
    • B21C29/003Cooling or heating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22Making metal-coated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metals
    • B21C23/24Covering indefinite lengths of metal or non-metal material with a metal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2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의 표면에 벌크 비정질금속을 피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일측에 압출램(2)이 설치되고, 내부에 용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내장된 압출기(1)와;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단에 고정되고, 보온장치(5)가 내부에 설치된 압출다이(4)와;
상기 압출다이(4)의 끝단에 설치되어 비정질금속을 재가열하는 재가열장치 (6)와;
상기 재가열장치(6)의 끝단에 설치되어 냉각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7)로 피복장치를 구성하여 벌크 비정질금속이 용융되어 있는 압출기로 피복물을 통과시키면 피복물에 벌크 비정질금속이 피복되도록 한 후 이를 냉각유체 및 물을 이용하여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서 벌크 비정질금속이 피복물에 안정되게 피복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CAATED DEVICE OF BULK AMORPHOUSE}
본 발명은 금속의 표면에 벌크 비정질금속을 피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벌크 비정질금속이 용융되어 있는 압출기로 피복물을 통과시켜 피복물에 벌크 비정질금속이 피복되도록 하여 1차 겔상태로 유지시킨 후 이를 재가열한 뒤 냉각수를 이용하여 급속히 냉각시킴으로서 벌크 비정질금속이 피복물에 안정되게 피복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계부품이나 전기용품 등에 비정질재료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주로 PVD, CVD 등의 박막코팅을 하거나 리본,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여 권선(winding)하거나 용사(Spraying)하는데 이들 기술은 사용에 제한이 많았다. 예를 들어 PVD, CVD와 같은 방법으로 코팅한 비정질 박막은 접합강도(adhesive strength)가 낮아 박리가 발생하며, 수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 이상에서는 막의 밀도가 저하하여 고하중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PVD에서 비정질재료를 두텁게 코팅하면 코팅막에 잔류응력이 커서 분리되거나 비정질화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사 코팅한 재료는 부착되는 스플렛(splat)의 냉각속도가 불균일하여 미세조직상 (micro-structure)에서 비정질화 비율 차이가 심하다.
벌크 비정질금속은 이런 기존의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직경이 50mm 이상인 사이즈에서도 비정질이 얻어지는 Zr-Ti-Be계 벌크 비정질재료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들 벌크 비정질재료는 복원력(Resilient)이 강해 이미 골프 클럽 헤드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가공하기 위한 압출기술(Extrusion)이 미국특허 제5,896,642호(Peker et al.)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성형 공정이 4단계를 거치도록 되어 있어 복잡하고 30분 이상의 장시간을 요하여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그 밖에 마스터 금형(Master model)으로서 섬세한 복제성(Replicating)을 이용한 미국특허 제5,940,704호(Johnson et al.)나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미국특허 제5,711,363호(Lin et al.)가 있다. 이들은 대부분 주조나 압출을 이용하여 불연속적으로 단품을 제조하는 기술만 제공하고 있어 연속생산에 의한 관, 봉 또는 선재와 같은 대량 생산을 위한 방법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서는 비정질재료의 취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벌크 비정질재료들은 고강도이면서 저탄성계수로 인해 복원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고, 무윤활 상태에서 다른 금속재료들보다 마찰계수가 낮아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그 외에 결정입계가 없고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내식성이 뛰어나고, 특히 해수에 대해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텐레스강보다 훨씬 뛰어나고 티타늄과 동등한 수준의 내식성을 가진다. 그리고 공정조성의 합금으로서 융점이 낮아 가공이 쉬운 특성들을 활용하여 내마모용 핀, 해수용 배관, 열교환기 및 자동차 도어 임팩트 바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들 비정질재료는 연성이 낮아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취성파괴를 일으킬 수 있고, 기계가공성과 용접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성질이 다른 재료에 벌크 비정질금속을 압출방식으로 피복한 봉재와 선재 또는 관을 제조할 수 있는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에 압출램이 설치되고, 내부에 용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내장된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의 압출단에 고정되고, 보온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압출다이와;
상기 압출다이의 끝단에 설치되어 비정질금속을 재가열하는 재가열장치와;
상기 재가열장치의 끝단에 설치되어 냉각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피복물이 도포된 상태의 완제품의 일 실시예를 나타 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해 피복물이 도포된 상태의 완제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피복물이 관일 경우를 관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기 2 : 압출램
3 : 압력판 4 : 압출다이
5 : 보온장치 6 : 재가열장치
7 : 분사장치
도 1 은 선재를 피복하는 상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면 부호중 1은 압출기, 2는 압출램, 3은 압력판, 4는 압출다이, 5는 보온장치, 6은 재가열장치, 7은분사장치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내부에 내장된 압출기(1)의 일측에는 압력판(3)이 끝단에 고정된 압출램(2)을 설치하여 용융된 벌크 비정질금속을 압출하도록 하고,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단에는 피복물(8)에 피복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량을 균일하게 하는 압출다이(4)를 설치하되, 상기 압출다이(4)에는 벌크 비정질금속이 급속히 냉각되지 않고, 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온장치(5)를 설치하며, 상기 압출다이(4)의 끝단에는 겔 상태의 벌크 비정질금속을 재가열하는 재가열장치(6)를 설치하고, 상기 재가열장치(6)의 끝단 외부에는 냉각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7)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압출다이(4)는 열전달율이 빠른 동합금으로 형성을 하며, 상기 보온장치(5)에는 관을 매설하여 관에 공기를 장입시키거나 보온재를 설치하여 벌크 비정질금속이 약간 응고되어 겔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재가열장치(6)에는 고주파가열코일이나 가스버너 등을 설치하여 겔상태로 응고된 벌크 비정질금속을 용융점 직하 온도로 재가열하며, 상기 분사장치(7)에서 사용되는 냉각액으로는 물을 사용하나 액체질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냉각속도가 초당 1K이상이 되도록 하여 피복물(8)에 피복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비정질율이 안정화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복물(8)이 선재인 경우 롤(9)에 권취된 피복물(8)이 공급롤(10)에 의해 압출기(1)로 유입되면, 용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피복물(8)에 도포된 후 압출다이(4)로 이동을 하면, 압출다이(4)에 의해 피복물(8)에 벌크 비정질금속이 균일하게 피복되면서 보온장치(5)에 의해 피복물(8)에 피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일정한 온도의 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재가열장치(6)로 피복물(8)에 피복된 벌크 비정질금속을 용융점 직전의 온도까지 가열을 한 후 분사장치(7)로 벌크 비정질금속을 급속히 냉각 시킴으로서 피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안정되게 비정질화가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서는 피복을 위해 압출방식을 이용하며, 이를 위해 이용 가능한 설비로는 유압프레스가 있다. 이들 유압 프레스는 램(Ram)의 운동방향에 따라 수직프레스와 수평프레스로 분류한다. 수직 압출프레스는 수평프레스에 비하여 프레스 램과 공구 사이의 배열이 쉬우며 생산속도가 높고, 설치면적이 작다. 수직 프레스에서는 컨테이너 속의 빌렛의 냉각이 균일하며 축에 대칭으로 균일한 변형이 일어나는 장점이 있고, 주로 균일한 두께의 얇은 관 생산에 유리하다.
수평 압출프레스는 봉이나 관의 생산에 주로 이용되며, 수직 압출프레스보다좀더 큰 용량이 이용된다.
압출방식에는 간접압출과 직접압출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간접압출법에서는 중공램으로 다이를 밀고 컨테이너의 반대쪽이 막혀 있다. 종종 램은 정지하고 빌렛을 가진 컨테이너가 움직이는 수도 있다. 간접압출은 컨테이너 벽과 비정질재료 사이에 상대적 운동이 없기 때문에 마찰력이 직접압출보다 작아 요구 동력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직접압출은 벌크 비정질금속 빌렛을 컨테이너 속에 넣고, 램으로 밀어 다이를 빠져 나오게 한다. 벌크 비정질금속 재료는 유동온도범위가 넓어 이같은 압출방식에 의한 가공성이 우수하다.
이때,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피복할 재료의 표면에 요철을 만들거나 연속 또는 불연속 홈을 형성하거나 언더컷에 의해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2 및 도 3 은 피복물의 일부분 면에만 벌크 비정질금속을 도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피복물의 일부분 면에서만 벌크 비정질금속의 특성을 요구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의 레일면과 같이 제품의 일부분만 벌크 비정질금속의 특성이 필요한 때는 제품의 일부분에만 피복이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즉, 도 2 및 도 3은 통상적인 제품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정질합금이 도포된 제품에서 금속과 금속의 마찰면에 비정질합금을 도포함으로써 마찰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피복물(8)이 관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관의 외부에 벌크 비정질금속을 피복할 경우에는 관의 끝단에 엔드캡(12)을 결합하여 피복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가공이 용이한 강재나 비철재료의 피복물(8) 표면에 벌크 비정질금속을 피복하는 봉재의 경우, 내마모성과 내식성 등을 유지하면서 내부에 홀(Hole) 가공이나 나사 가공이 가능하여 다른 제품에 고정하거나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내부에 강이나 고강도 비철합금을 내장한 경우 강도와 인성을 아울러 얻는 효과가 있다. 이들은 고정핀, 가이드 축, 포스트 등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Trg가 0.60 이상인 합금을 이용하여 피복물을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이유는 Trg가 0.6 미만인 경우 임계냉각속도가 약 100K/sec 이상이므로, 이 이상의 냉각속도로 급냉할 경우 벌크 비정질금속을 안정화 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제한한다.
Trg가 0.60 이상인 합금을 예로 들면, Ti이 주성분인 Ti50-Ni15-Cu25-Sn5-Zr5 (원소기호 뒤의 숫자는 원자량%, 이하 동일), Ti50-Cu20-Ni24-Si4-B2, Ti34-Zr11-Cu47-Ni8-Si1 합금과, Zr이 주성분인 Zr41.2-Ti13.8-Cu12.5-Ni10-Be22.5, Zr65-Al7.5-Ni10-Cu17.5, Zr56.25-Ti13.75-Nb5-Ni5.5-Cu6.9-Be12.5, Zr58.5-Nb2.8-Cu15.6-Ni12.8-Al10.3, Zr60-Ni25-Al15, Zr60-Ni20-Al20, Zr65-Al7.5-Cu2.5-TM25(TM=Co, Ni, Cu), Zr65-Cu17.5-Ni10-Al7.5 합금이 있다.
또한 La계열 합금으로 La55-Ni20-Al25, La55-Ni20-Cu10-Al25, La55-Cu10-Ni5-Co5-Al25합금이 있으며, 그 외에 Pd40-Ni40-P20, Ni62-Nb38, Mg50-Ni30-La20, Mg65-Cu25-Y10 합금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철강이나 비철재료 등에 벌크 비정질금속을 일부 또는 전면에 걸쳐 피복한 형태로 관, 봉 및 선재를 제조하여 벌크 비정질금속의 장점과 강이나 비철재료의 장점을 함께 가지는 벌크 비정질금속을 안정되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일측에 압출램(2)이 설치되고, 내부에 용융된 벌크 비정질금속이 내장며 피복물이 통과하면서 표면에 비정질금속이 도포되는 압출기(1)와;
    상기 압출기(1)의 압출단에 고정되고, 보온장치(5)가 내부에 설치된 압출다이(4)와;
    상기 압출다이(4)의 끝단에 설치되어 비정질금속을 재가열하는 재가열장치 (6)와;
    상기 재가열장치(6)의 끝단에 설치되어 냉각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장치(6)로 고주파가열코일이나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7)에서 분사되는 냉각액으로 물을 사용하여 냉각속도가 초당 1K이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물(8)의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피복물의 표면에 요철을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형성하거나 언더컷에 의해 분리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물(8)이 관인 경우 관의 끝에 엔드캡(12)을 부착하여 관내부에 벌크 비정질금속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물(8)에 피복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Trg가 0.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KR10-2000-0050511A 2000-08-29 2000-08-29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KR10038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11A KR100383278B1 (ko) 2000-08-29 2000-08-29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511A KR100383278B1 (ko) 2000-08-29 2000-08-29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253A KR20010000253A (ko) 2001-01-05
KR100383278B1 true KR100383278B1 (ko) 2003-05-12

Family

ID=1968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511A KR100383278B1 (ko) 2000-08-29 2000-08-29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5581B (zh) * 2020-12-15 2021-10-08 广州科技职业技术大学 一种智能化铝型材成型用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253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3148A (en) Production process of solidified amorphous alloy material
EP1499461B1 (en) Thermoplastic casting of amorphous alloys
US449569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ine amorphous metallic wires
US5306363A (en) Thin aluminum-based alloy foil and wir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637250B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 metal profile
EP1452252A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US6360576B1 (en) Process for extruding a metal section
KR100383278B1 (ko) 벌크 비정질금속의 피복장치
US5344508A (en) Flow forming of aluminum alloy products
JPH11189855A (ja) ジルコニウム系非晶質合金
KR19990008045A (ko) 균질한 급냉기판
Kang et al. Finite element analysis considering fracture strain of sheath material and die lubricant in extrusion process of Al/Cu clad composites and its experimental investigation
US20050133187A1 (en) Die casting method system and die cast product
US2530854A (en) Casting apparatus
US46129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strip using oscillating mold assembly
AU722395B2 (en) Process and device for cooling an article
EP0149063A1 (en) Continuous molten copper cladding of ferrous alloys
US46839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strip using oscillating mold assembly
EP038727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irect casting of metals to form elongated bodies
EP0149064A1 (en) Continuous molten copper cladding of ferrous alloys
JPH02258903A (ja) クラッド金属管の製造方法
JPS6483630A (en) Production of aluminum alloy material having excellent high-temperature strength
Frommeyer et al. Continuous casting of thin wires and fibres by in-rotating-liquid spinning
RU2440864C1 (ru) Способ полунепрерывного гидромеханического прессования заготовок
RU1823881C (ru) Способ термического упрочнени прок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