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044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044B1
KR100381044B1 KR10-2000-0042238A KR20000042238A KR100381044B1 KR 100381044 B1 KR100381044 B1 KR 100381044B1 KR 20000042238 A KR20000042238 A KR 20000042238A KR 100381044 B1 KR100381044 B1 KR 100381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data stream
voice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049A (ko
Inventor
양순성
이성열
김영희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2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0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8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 G10L19/12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the excitation function being a code excitation, e.g. in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CELP] vocoders

Abstract

본 발명은 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VOIP(Voice Over IP)를 지원하기 위한 코덱(CODEC : Coder/Decoder)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변환 수단; 상기 제1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변환 수단; 및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인터넷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받아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DECODING FOR CONNETION TO INTERNE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VOIP(Voice Over IP)를 지원하기 위한 코덱(CODEC : Coder/Decoder)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voice)은 이동통신단말 내에서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 기법(Method of reduced rate speech)중의 하나인 QCELP(QUALCOMM Codebook Excited Linear Predictive)라는 보코더법이 적용된 신호로 변환되어, 이동통신망 또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음성이 전달된다.
그리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지원하는 인터넷과 같은 패킷망 내에서 음성은 인터넷에서 음성을 지원하기 위한 G723.1이라는 보코더법이 적용되어 샘플링 방식이 아닌 특정 크기를 가지는 프레임 단위로 변화시켜 상대편 시스템까지 전달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패킷망 사이에 VOIP(Voic Over IP)를 제공하기 위한 코덱 변환 장치를 둠으로써, 단말기 자체 내에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큰 변화 없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패킷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유무선 데이터 단말에 상관없이 음성 통화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과 인터넷 사이에 VOIP(Voice Over IP)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코덱 변환 장치를 둠으로써 이동 단말 자체 내에서의 프로토콜 전환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이동 단말이 상대적으로 비용이 싼 패킷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음성 신호가 전달되도록 음성 코덱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VOIP가 지원되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덱 변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CELP 음성 신호를 G723.1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723.1 음성 신호를 QCELP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 코덱 변환 장치 210 : 제어부
220 : QCELP(EVRC)/PCM 변환부 230 : PCM/G723.1 변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변환 수단; 상기 제1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변환 수단; 및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인터넷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받아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변환된 음성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의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QCELP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QCELP 데이터 추출기와, 상기 QCELP 데이터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부터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QCELP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풀과, 상기 QCELP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 풀에서 읽어온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의 해당 위치에 교체 삽입하기 위한 QCELP 프레임 재생기와,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G723.1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G723.1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G723.1 데이터 추출기와, 상기 G723.1 데이터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부터 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 풀 및, 상기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 풀에서 읽어온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의 해당 위치에 교체 삽입하기 위한 G723.1 프레임 재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코덱 변환 장치에 적용되는 코덱 변환 방법에 있어서,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에서 음성 신호를 가진 프레임이 검색되면 QCELP(또는 EVRC)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메모리 풀에 저장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9 단계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이 검색되면 바이패스 시키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0 단계에서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 10 단계의 음성 신호를 추출한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는 제 4 단계; 인터넷망의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음성 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추출된 음성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 5 단계의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VOIP가 지원되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VOIP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원할 경우에 QCELP(또는 EVRC)로 보코딩된 음성신호는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10)(또는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50))를 경유하여 인터넷(140)과 같은 패킷망으로 연결되어진다.
이때, 코덱 변환 장치(130)는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110)(또는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50))와 인터넷(140) 중간에 위치한다.
코덱 변환 장치(130)는 이동통신 시스템 측에서 QCELP( 또는 EVRC)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인터넷(140)으로 넘겨 주고, 인터넷(140)망측에서 G723.1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QCELP(또는 EVRC)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 측으로 넘겨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덱 변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덱 변환 장치는, 제어부(210), QCELP(EVRC)/PCM 변환부(220), PCM/G723.1 변환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단말에서 사용하고 있는 코덱과 인터넷과 같은 패킷망에서 사용하는 H.323에서 제공하고 있는 코덱간에 미디어 변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제어부(210)로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그 데이터 내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해내고 QCELP(또는 EVRC)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위의 QCELP(EVRC)/PCM 변환부(220)로 넘겨 준다.
QCELP(EVRC)/PCM 변환부(220)는 QCELP(EVRC) 데이터를 다시 PCM( Pulse Code Modulation)의 형태로 변환하여 PCM/G723.1 변환부(230)로 넘겨준다. 그리고, PCM/G723.1변환부(230)는 PCM 데이터를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210)로 넘겨준다.
제어부(210)는 기존의 QCELP(또는 EVRC)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추출한 프레임에 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교체 삽입하여 인터넷망에 넘겨준다.
반대로 인터넷망에서 제어부(210)로 데이터 스트림이 입력되면 제어부(210)는 그 데이터내에서 G723.1의 음성신호 데이터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해내고 G723.1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위의 PCM/G723.1 변환부(230)로 넘겨 준다.
PCM/G723.1변환부(230)는 G723.1데이터를 다시 PCM의 형태로 변환하여 QCELP(EVRC)/PCM 변환부(220)로 넘겨준다.
QCELP(EVRC)/PCM 변환부(220)는 PCM 데이터를 QCELP(EVRC)의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210)로 넘겨준다.
제어부(210)는 기존의 G723.1의 음성신호 데이터를 추출한 프레임에 QCELP(EVRC)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교체 삽입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제어기( 또는 교환기)로 넘겨준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QCELP 프레임 재생기(310), G723.1 메모리 풀(311), G723.1 데이터 추출기(312), G723.1 프레임 재생기(313), QCELP 메모리 풀(314), QCELP 데이터 추출기(315), QCELP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6), 타이밍 제어기(317),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를 구비하고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망의 BSC(또는 MSC)로부터 제어부(210)로 입력되어 지는 데이터 스트림은 모두 제어부(210)의 QCELP 데이터 추출기(315)로 입력되어 진다.
QCELP 데이터 추출기(315)는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QCELP(또는 EVRC)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데이터를 QCELP(EVRC)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6)로 보낸다.
만약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또는 EVRC)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이 검색되면 G723.1 프레임 재생기(313)로 바이패스 시킨다.
QCELP(EVRC)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6)는 QCELP(EVRC) 데이터 추출기(315)에서 넘겨 받은 QCELP(EVRC)의 음성 데이터를 QCELP(EVRC)/PCM 변환부(220)로 넘겨주어 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되기 전 단계인 PCM 신호로 변환되도록 한다.
또한, QCELP(EVRC)/PCM 변환부(220)를 통해서 PCM 신호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QCELP(EVRC) 프레임 재생기(310)로 보내서 인터넷망에서 입력되어진 프레임의 G723.1의 음성신호와 교체 삽입하여 이동통신망의 BSC(또는 MSC)로 보내도록 한다.
QCELP(EVRC)/PCM 변환부(220)는 QCELP(EVRC)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6)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를 넘겨받은 후,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를 PCM/G723.1변환부(230)가 G723.1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도록 PCM 데이터로 바꿔 전달하고, 반대로 PCM/G723.1 변환부(230)에서 넘겨 받은 PCM 데이터를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로 바꾸어 QCELP(EVRC)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6)로 넘겨 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PCM 데이터를 넘겨 받은 PCM/G723.1 변환부(230)는 PCM 데이터를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로 전송된다.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는 변환된 G723.1의 음성신호를 다시 G723.1 프레임 재생기(313)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망의 BSC(또는 MSC)에서 입력된 프레임은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가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되는 동안 QCELP(EVRC) 메모리 풀(314)에 일시 저장된다.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데이터가 G723.1 프레임 재생기(313)로 입력되어지면, G723.1 프레임 재생기(313)는 입력된 프레임에서 QCELP(또는 EVRC) 음성 신호 데이터를 G723.1의 음성신호 데이터로 교체 삽입하여 인터넷 망으로 전송한다.
인터넷과 같은 패킷 망으로부터 제어부(210)로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은 모두 G723.1 데이터 추출기(312)로 입력되어 진다.
G723.1 데이터 추출기(312)는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G723.1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G723.1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데이터를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로 보낸다.
만약 데이터 스트림에서 G723.1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이 검색되면 QCELP(EVRC) 프레임 재생기(310)로 바이패스(bypass) 시킨다.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는 G723.1 데이터 추출기(312)에서 넘겨 받은 G723.1 음성 데이터를 PCM/G723.1 변환부(230)로 넘겨주어, QCELP(또는 EVRC) 음성 신호로 변환되기 전 단계인 PCM 신호로 변환되도록 한다.
또한, PCM/G723.1 변환부(230)를 통해서 PCM 신호에서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G723.1 프레임 재생기(313)에 보내서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 입력되어진 프레임의 QCELP 음성신호와 교체 삽입하여 인터넷과 같은 패킷 망으로 보내는 역할도 수행한다.
PCM/G723.1 변환부(230)는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에서 G723.1 음성신호 데이터를 넘겨 받은 후에, G723.1 음성신호를 QCELP(EVRC)/PCM 변환부(220)가 QCELP(또는 EVRC)의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PCM 데이터로 바꿔 전달하고, 반대로 QCELP(EVRC)/PCM 변환부(220)에서 넘겨 받은 PCM 데이터를 G723.1 음성신호로 바꾸어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로 넘겨 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한편, PCM 데이터를 넘겨 받은 QCELP(EVRC)/PCM 변환부(220)는 PCM 데이터를 QCELP(EVRC)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변환된 데이터는 QCELP(EVRC)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18)로 전송한다.
인터넷과 같은 패킷망에서 입력된 프레임은 G723.1 음성신호가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로 변환되는 동안 G723.1 메모리 풀(311)에 잠시 저장된다.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데이터가 QCELP(또는 EVRC) 프레임 재생기(313)로 입력되어지면, QCELP(EVRC) 프레임 재생기(313)는 입력된 프레임에서 G723.1 음성 신호 데이터를 QCELP(또는 EVRC) 음성신호 데이터로 교체 삽입하여 디지털 이동통신망의 BSC(또는 MSC)로 전송한다.
타이밍 제어기(317)는 위의 일련의 작업들을 제어하고 음성 데이터가 상호 변환될 때의 시간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QCELP 음성 신호를 G723.1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는 이동통신망의 BSC(또는 MSC)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단계 S101)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단계 S102) QCELP(또는 EVRC)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103).
만약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또는 EVRC)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이 검색되면 바이패스 시킨다.
다음으로, QCELP(EVRC)의 음성 데이터를 QCELP(EVRC)/PCM 변환부로 넘겨주어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되기 전 단계인 PCM 신호로 변환되도록 한다(단계 104).
이후에, PCM/G723.1 변환부는 PCM 데이터를 G723.1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며(단계 S105),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받은 제어부는 QCELP(또는 EVRC) 음성 신호 데이터를 G723.1의 음성신호 데이터로 교체 삽입하여(단계 S106) 인터넷 망으로 전송한다(단계 S107).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G723.1 음성 신호를 QCELP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는 인터넷과 같은 패킷 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받아(단계 S110),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G723.1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단계 S111) G723.1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112).
다음에, PCM/G723.1 변환부는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QCELP(또는 EVRC) 음성 신호로 변환되기 전 단계인 PCM 신호로 변환되도록 한다(단계 S113). 이후에, QCELP(EVRC)/PCM 변환부는 PCM 데이터를 QCELP(EVRC) 음성신호로 변환하여(단계 S114), 변환된 데이터는 제어부로 전송한다.
다음에, 제어부는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데이터가 입력되어지면, 입력된 프레임에서 G723.1 음성 신호 데이터를 QCELP(또는 EVRC) 음성신호 데이터로 교체 삽입하여(단계 S115) 디지털 이동통신망의 BSC(또는 MSC)로 전송한다(단계 S11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 내에 설치할 경우에 많은 부하를 일으킬 수 있는 VOIP(Voice Over IP)를 제공하기 위한 코덱 변환 장치를 이종의 망사이에 둠으로써 이동단말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능에 큰 변화 없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한 패킷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유무선 데이터 단말에 상관없이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 변환 수단;
    상기 제1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펄스 부호 변조 신호를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검출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2 변환 수단; 및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인터넷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받아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저감 비트율 음성 부호화된 신호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변환 수단에 의해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변환된 음성 신호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의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QCELP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QCELP 데이터 추출기와,
    상기 QCELP 데이터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1 변환 수단으로부터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QCELP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메모리 풀과,
    상기 QCELP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제1 메모리 풀에서 읽어온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의 해당 위치에 교체 삽입하기 위한 QCELP 프레임 재생기와,
    인터넷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에서 G723.1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G723.1의 음성 신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G723.1 데이터 추출기와,
    상기 G723.1 데이터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 변환 수단으로부터 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출력하기 위한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제2 메모리 풀 및,
    상기 G723.1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기로부터 입력된 G723.1의 음성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제2 메모리 풀에서 읽어온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스트림의 해당 위치에 교체 삽입하기 위한 G723.1 프레임 재생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신호는 QCELP(QUALCOMM Codebook Excited Linear Predictive)의 음성 신호이며,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한 신호는 G723.1의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덱 변환 장치.
  4. 삭제
  5. 인터넷망과 이동통신망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코덱 변환 장치에 적용되는 코덱 변환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에서 음성 신호를 가진 프레임이 검색되면 QCELP(또는 EVRC)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메모리 풀에 저장하는 제 10 단계;
    상기 제 9 단계에서 QCELP(또는 EVRC)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이 검색되면 바이패스 시키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0 단계에서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인터넷 음성 프로토콜에 적합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 10 단계의 음성 신호를 추출한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는 제 4 단계;
    인터넷망의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음성 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여 음성 신호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추출된 음성 신호를 펄스 부호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저감 비트율 부호화된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제 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 5 단계의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의 변환된 음성 신호를 추출한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메모리풀에서 읽어오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메모리 풀에서 읽어온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는 제 1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인터넷망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받아 입력되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G723.1의 음성 신호를 가진 프레임을 검색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에서 음성 신호를 가진 프레임이 검색되면 G723.1의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메모리 풀에 저장하는 제 15 단계; 및
    상기 제 14 단계에서 G723.1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프레임이 검색되면 바이패스 시키는 제 1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제 7 단계의 변환된 음성 신호를 추출한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메모리 풀에서 읽어오는 제 17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변환된 음성 신호를 상기 메모리 풀에서 읽어온 데이터 스트림에 교체 삽입하는 제 18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덱 변환 방법.
KR10-2000-0042238A 2000-07-22 2000-07-2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238A KR100381044B1 (ko) 2000-07-22 2000-07-2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238A KR100381044B1 (ko) 2000-07-22 2000-07-2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049A KR20020009049A (ko) 2002-02-01
KR100381044B1 true KR100381044B1 (ko) 2003-04-18

Family

ID=1967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238A KR100381044B1 (ko) 2000-07-22 2000-07-2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3250A1 (en) * 1997-12-23 1999-07-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net protocol telephony for a mobile station on a packet data channel
WO1999034587A1 (en) * 1997-12-31 1999-07-0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ll to a mobile subscriber connected to the internet
KR20010055055A (ko) * 1999-12-09 2001-07-02 윤종용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 패킷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65102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철 인터넷 프로토콜(ip) 상에서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ip음성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3250A1 (en) * 1997-12-23 1999-07-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net protocol telephony for a mobile station on a packet data channel
WO1999034587A1 (en) * 1997-12-31 1999-07-0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ll to a mobile subscriber connected to the internet
KR20010055055A (ko) * 1999-12-09 2001-07-02 윤종용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 패킷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65102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철 인터넷 프로토콜(ip) 상에서의 음성 서비스를 위한 ip음성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049A (ko) 200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8979B1 (en) Mobile communications using wideband terminals allowing tandem-free operation
US7194071B2 (en) Enhanced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CN100579321C (zh) 绕过通信网络中的码变换操作的方法及装置
EP09090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forwarding voice signals
JP4926527B2 (ja) 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音声コーデックのスイッチング装置及びスイッチング方法
US6101397A (en) Method for providing a voice request in a wireless environment
SE517858C2 (sv)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etablering av en länk i ett trådlöst kommunikationssystem
WO2006101625A1 (en) Adapter for accessing cellular services from a non-cellular device
US8346239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ilence insertion descriptor (SID) conversion
KR10038104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망과의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코덱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JP2001077934A (ja) 携帯用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音声文字変換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63133B2 (ja) 音声チャネルを介して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10134047A (ja) 移動端末音声認識/議事録作成通信システム
KR100688890B1 (ko) 멀티미디어 코덱을 이용한 링백톤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688889B1 (ko) 코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0428717B1 (ko) 무선 데이터 채널상에서의 음성파일 송수신 방법
JP2001127697A (ja) コーデックおよび追加デコーダを備えた移動遠隔通信端末
KR100295186B1 (ko) 가상 보코더를 이용한 바이패스 장치
JP2005252639A (ja) Pcm符号を用い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音声/データ通信切替方法
KR100549610B1 (ko) 복수개의 모뎀을 갖는 단말기의 사운드 데이터 공유 장치및 그 방법
KR100974581B1 (ko) 사설교환기의 복합 주파수 부호 검출을 위한 복합 주파수부호 검출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0417240B1 (ko) 디지털 음성 통신 방법 및 시스템
JP2005073057A (ja) デジタル通話装置
KR19990031530U (ko) 음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에이디피씨엠 트랜스코더
KR20060010950A (ko) 차량 정보 단말기에서 음성 신호 녹음/재생 방법 및 그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