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901B1 -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901B1
KR100380901B1 KR10-2001-0008782A KR20010008782A KR100380901B1 KR 100380901 B1 KR100380901 B1 KR 100380901B1 KR 20010008782 A KR20010008782 A KR 20010008782A KR 100380901 B1 KR100380901 B1 KR 10038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einforcing bar
block
wall
pu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8433A (ko
Inventor
임금철
Original Assignee
임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금철 filed Critical 임금철
Priority to KR10-2001-000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9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28B1/3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by projecting, e.g.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Splittable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 공사시 돌을 일일이 조적하여 쌓는 방식을 탈피하고 다수의 돌을 임의형태로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퍼즐과 같이 그 블록들이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공사시 공기를 단축하도록 하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임의 형상의 틀(1)에 맞도록 석재(11)를 배치하고, 그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 및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12)을 배치하며,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되, 그 블록들은 퍼즐식으로 서로 조합되면서 하나의 벽체(20)에 모두 배치되도록 하였고,
또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공정은, 내외장 공사를 위한 벽체의 면적을 측정하여 그 측정면적의 범위에서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는 임의의 크기로 틀(1)을 제작하는 단계와; 그 틀(1) 내부에 석재(11)를 배치하는 단계와; 배치된 상기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과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12)을 배치 설치하는 단계와;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20) 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PUZZLE TYPE STON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돌(천연석재, 호박돌 등)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 공사시 돌을 일일이 조적하여 쌓는 방식을 탈피하고 다수의 돌을 임의형태로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퍼즐과 같이 그 블록들이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공사시 공기를 단축하도록 하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공사(masonry/stone work)는 도로작업 등의 포장공사, 구조체 구축에 쓰이는 석축(石築)공사, 벽, 바닥 등의 마무리를 하는 내외장(內外裝)공사 등으로 대별된다.
사용되는 석재는 주로 화강암, 안산암 등의 화성암, 사암, 응회암 등의 퇴적암 또는 대리석 등이다. 천연상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흑두기, 정다듬, 도드락다듬, 잔다듬, 물갈기, 광내기 등에 의해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밖에 대리석, 화강암 등의 쇄석(碎石)과 백색시멘트, 안료(顔料) 등을 혼합하여 물로 반죽하여 다져서 색조나 성질을 천연석재와 비슷하게 만든 인조석도 사용된다. 석재는 무겁고 단단하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상에 있어 어려운 점이 있어 마무리공사 등에 쓰이는 비율이 가장 높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돌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종래에는 몰탈에 크기가 서로 다른 돌을 하나씩 붙여가면서 공사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작업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에 의해 전체적인 공기가 길어져 시공자나 건축주 모두 불이익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 공사시 돌(천연석재, 호박돌 등)을 일일이 조적하여 쌓는 방식을 탈피하고 다수의 돌을 임의형태로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퍼즐과 같이 그 블록들이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공사시 공기를 단축하도록 하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의 형상의 틀에 맞도록 석재(천연석재, 호박돌 등)를 배치하고, 그 석재의 상부에 수평근 및 수직근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을 배치하며, 그 보강철근으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의 수직근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되, 그 블록들은 퍼즐식으로 서로 조합되면서 하나의 벽체에 모두 배치되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외장 공사를 위한 벽체의 면적을 측정하여 그 측정면적의 범위에서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는 임의의 크기로 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그 틀 내부에 석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배치된 상기 석재의 상부에 수평근과 수직근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을 배치 설치하는 단계와;
그 보강철근으로 시멘트 몰탈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의 수직근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퍼즐타입의 돌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
도 3 은 다양한 퍼즐타입의 돌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 및 B - B선 단면도.
도 5 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의 제조를 위한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돌 블록, 11: 석재(천연석재, 호박돌 등),
12: 보강철근, 12a: 수평근,
12b: 수직근, 13: 시멘트 몰탈,
20: 벽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퍼즐타입의 돌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 은 다양한 퍼즐타입의 돌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 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의 제조를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임의 형상의 틀(1)에 맞도록 석재(11)를 배치하고, 그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 및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12)을 배치하며,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되, 그 블록들은 퍼즐식으로 서로 조합되면서 하나의 벽체(20)에 모두 배치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면체의 돌 블록(10)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틀(1)의 형상에 의해 매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 블록(10)은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질 수 있다.
내외장 공사를 위한 벽체(20)의 면적을 측정하여 그 측정면적의 범위에서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는 임의의 크기로 다수의 틀(1)을 제작하는 단계와,
그 틀(1) 내부에 석재(11)를 배치하는 단계와,
배치된 상기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과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보강철근(12)을 배치 설치하는 단계와,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20) 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내외장 공사를 위한 벽체(20)의 면적을 측정하여 그 측정면적의 범위에서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는 임의의 크기로 다수의 틀(1)을 제작한다.
이 후 그 틀(1) 내부에 석재(11)를 배치하고, 배치된 상기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과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12)을 배치 설치한다.
이 후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20) 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양생시켜 본 발명에 따른 다면체의 돌 블록(1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 블록(10)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20)에 측정치수에 맞추어 퍼즐식으로 배치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돌 블록(10)의 보강철근(수직근)을 벽체 내부에 정착시킨 다음 상기 벽체와 돌 블록(10)간에 몰탈을 충진시켜 부착을 돕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돌을 마감재로 하여 내외장 공사를 시행하게 되는 벽체의 면적을 측정하여 그 면적에 적합한 돌 블록을 퍼즐식으로 짜맞추어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돌을 하나씩 붙여야 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에 비해 공기를 훨씬 앞당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 내부에 직접 정착시킬 수 있는 보강철근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성이 종래에 비해 증대되는 잇점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임의 형상의 틀(1)에 맞도록 석재(11)를 배치하고, 그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 및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12)을 배치하며,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되, 그 블록들은 퍼즐식으로 서로 조합되면서 하나의 벽체(20)에 모두 배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
  2. 내외장 공사를 위한 벽체의 면적을 측정하여 그 측정면적의 범위에서 서로 조합되어질 수 있는 임의의 크기로 틀(1)을 제작하는 단계와;
    그 틀(1) 내부에 석재(11)를 배치하는 단계와;
    배치된 상기 석재(11)의 상부에 수평근(12a)과 수직근(12b)이 상호 교차되는 보강철근(12)을 배치 설치하는 단계와;
    그 보강철근(12)으로 시멘트 몰탈(13)을 타설함과 동시에 상기 보강철근(12)의 수직근(12b)을 내외장 공사의 벽체(20) 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다면체의 블록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타입의 돌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1-0008782A 2001-02-21 2001-02-21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8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782A KR100380901B1 (ko) 2001-02-21 2001-02-21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8782A KR100380901B1 (ko) 2001-02-21 2001-02-21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540U Division KR200236213Y1 (ko) 2001-02-21 2001-02-21 퍼즐타입의 돌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33A KR20020068433A (ko) 2002-08-27
KR100380901B1 true KR100380901B1 (ko) 2003-04-26

Family

ID=2769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8782A KR100380901B1 (ko) 2001-02-21 2001-02-21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52A1 (ko) * 2020-03-30 2022-09-01 박재홍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84B1 (ko) * 2011-03-11 2011-06-10 최미정 건축용 내외장재
KR101414442B1 (ko) * 2013-04-25 2014-07-04 유주헌 벽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피 시공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410A (ja) * 1991-12-25 1993-07-09 Shinko Kozai Kk 着色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着色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製造方法
JPH07180269A (ja) * 1993-12-23 1995-07-18 Daiwa House Ind Co Ltd 石材外装材
JPH07259329A (ja) * 1994-03-16 1995-10-09 Sanko Sogyo Kk コンクリート壁形成型枠
KR19980012260U (ko) * 1996-08-22 1998-05-25 이승현 모자이크석판블럭
JP2000064572A (ja) * 1998-08-25 2000-02-29 Toyo Exterior Co Ltd 乱張り敷石調床面形成ブロック及びその生産方法
KR200231133Y1 (ko) * 2001-01-05 2001-07-19 김순섭 폐아스콘을 이용한 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410A (ja) * 1991-12-25 1993-07-09 Shinko Kozai Kk 着色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着色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製造方法
JPH07180269A (ja) * 1993-12-23 1995-07-18 Daiwa House Ind Co Ltd 石材外装材
JPH07259329A (ja) * 1994-03-16 1995-10-09 Sanko Sogyo Kk コンクリート壁形成型枠
KR19980012260U (ko) * 1996-08-22 1998-05-25 이승현 모자이크석판블럭
JP2000064572A (ja) * 1998-08-25 2000-02-29 Toyo Exterior Co Ltd 乱張り敷石調床面形成ブロック及びその生産方法
KR200231133Y1 (ko) * 2001-01-05 2001-07-19 김순섭 폐아스콘을 이용한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52A1 (ko) * 2020-03-30 2022-09-01 박재홍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8433A (ko)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36523A1 (en) Building block, building structure and the method of bricking wall using the same
KR100380901B1 (ko) 퍼즐타입의 돌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A2547694A1 (en) Metal fiber concrete
KR200236213Y1 (ko) 퍼즐타입의 돌 블록
CN104110131B (zh) 一种墙体构造柱空心砼模壳
US20050257466A1 (en) Building material
KR100653259B1 (ko)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JPH0611980B2 (ja) 自然石を用いた護岸の施工方法
CN107975183A (zh) 可砌筑成锯齿状墙面砌块、砌块建筑墙体及砌块制备方法
CN103255872A (zh) 空心砌块
JP4481882B2 (ja) 建築物の無型枠基礎構造体
CN207582808U (zh) 一种采用混凝土砌块组砌的罗马柱
KR200389562Y1 (ko)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JP2007077616A (ja) 建築物の無型枠基礎構造体
EP1625260A1 (en) Building block
KR200426155Y1 (ko) 토담집의 벽체 건축용 거푸집
KR101632306B1 (ko) 인공 조경석 제조용 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인공 조경석 제조방법 및 인공 조경석
RU240190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лых архитектурных форм (варианты)
RU2166037C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оснастка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2897357U (zh) 一种架空地坪装置
EP1452287A1 (en) Universal multicavity cassette mould for producing interlocking grouted plates
KR20230106900A (ko) 인조석판 형틀, 이를 이용한 인조석판 제조 방법 및 인조석판
KR100367262B1 (ko) 황토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193388A (zh) 无须拆卸的建筑模板
CN107119853A (zh) 一种采用混凝土砌块组砌的罗马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