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434B1 -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434B1
KR100379434B1 KR10-2000-0004893A KR20000004893A KR100379434B1 KR 100379434 B1 KR100379434 B1 KR 100379434B1 KR 20000004893 A KR20000004893 A KR 20000004893A KR 100379434 B1 KR100379434 B1 KR 10037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mo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231A (ko
Inventor
박진구
서상호
노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434B1/ko
Priority to DE10054912A priority patent/DE10054912C2/de
Priority to SE0004068A priority patent/SE521159C2/sv
Priority to JP2000343873A priority patent/JP3455511B2/ja
Priority to US09/709,548 priority patent/US6692093B1/en
Priority to CNB001353373A priority patent/CN1163715C/zh
Priority to CNB200410062845XA priority patent/CN1322293C/zh
Publication of KR2001007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장착되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모터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후면을 가압하는 직선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mounting angle of liquid crystal display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즉 냉장고의 도어에 대한 액정표시기기의 경사각도 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등에서 출력장치로 사용되는 영상표시기기(Display Device)에는 전자총을 이용한 브라운관(Brown tube), 액정표시기기(LCD :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또한, 근래에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냉장고, 조리기기 등의 각종 전자제품에도 영상표시기기가 장착되어 전자제품 자체의 정보 또는 기타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브라운관은 현재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영상표시기기이지만 두께를 줄이는 것이 한계가 있으므로 근래에는 두께가 얇은 액정표시기기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설치조건의 제약 등으로 실질적으로 액정표시기기와 같이 두께가 얇은 영상표시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래에는 냉장고(1)의 도어(5)에 액정표시기기(10)를 설치하고, 상기 액정표시기기(10)에 냉장고의 동작상태와 같은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는 냉장고(1)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냉장고와 같은 전자제품에 설치되는 액정표시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에는 액정표시기기(10)의 설치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조절할 수 없었다. 그런데, 액정표시기기(10)는 그 특성상 사용자가 상기 액정표시기기(10)를 보는 각도에 따라서 화면을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액정표시기기(10)는 두께는 얇은 반면에 화면과 대략 직각의 각도로 보아야만 가장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표시기기(10)를 사용자의 시야에 맞추어서 설치할 수 있지만, 사실상 신체조건이 다른 모든 사용자의 시야에 적합하도록 하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액정표시기기(10)가 설치되는 전자제품에 따라서는 액정표시기기(10)의 설치위치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많다.
둘째, 전자제품에 출력장치인 액정표시기기와 더불어 입력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 설치위치 및 공간상의 제약으로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터치패널은 통상 액정표시기기(10)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액정표시기기(10)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면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사용의 편의성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가장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액정표시기기가 설치된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 - I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II - II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10 : 액정표시기기
7 : 조작스위치 12 : 힌지축
30 : 모터 40 : 구동용 기어
50 : 이동용 기어 60 : 안내부재
70 : 링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모터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후면을 가압하는 직선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직선운동변환수단은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용 기어와; 상기 구동용 기어에 물려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과 함께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후면을 가압하는 이동용 기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용 기어와 이동용 기어의 축은 서로 평행하게 할 수도 있지만,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용 기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동용 기어와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사이에는 보조운동변환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고에 사용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의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 - I선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냉장고 도어(5)의 전면에는 액정표시기기(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정표시기기(10)의 후방에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5)의 소정위치는 절개되어 공간부(5a)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5a)에 액정표시기기(10)가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액정표시기기(10)의 후면에는 설치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5)에는 상기 액정표시기기(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작스위치(7)가 설치된다.
그리고,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후면에는 액정표시기기(10) 및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냉장고의 내부와 차단하는 커버(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5)의 공간부(5a)의 상측은 걸림부(5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5b)를 형성시킴으로써 액정표시기기(10)가 회전시에 상기 액정표시기기(10)의 상단이 도어(5)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걸림부(5b)는 액정표시기기(10)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설명하면, 설치각도 조절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와 액정표시기기(10)의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상기 액정표시기기(10)의 후면을 가압하는 직선운동변환수단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모터(30)는 별도의 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며, 사용자는 도어(5)에 설치되는 조작스위치(7)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30)의 동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며, 이러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직선운동변환수단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30)의 축에는 구동용 기어 즉 피니언(42)이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42)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과 함께 상기 액정표시기기(10)의 후면을 가압하는 이동용 기어 즉 랙(52)이 물리게 되며, 상기 랙(52)의 선단은 액정표시기기(10)에 연결된다.
피니언(42)과 랙(52)의 관계를 설명하면, 축의 상대위치 관점에서는 피니언(42)의 축과 랙(52)의 축은 평행하지만, 양축은 동일평면은 아니다. 그리고, 피니언(42) 및 랙(52)의 잇줄은 직선, 즉 평치차(spur gear)의 형상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7)를 누르면, 상기 조작스위치(7)의 신호는 제어회로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는 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모터(30)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30)에 결합된 피니언(42)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피니언(42)에 물려있는 랙(52)은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랙(52)의 선단에 연결된 액정표시기기(10)는 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액정표시기기(10)가 소정 각도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사용자가 조작스위치(7)를 놓으면 모터(30)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액정표시기기(10)는 도어(5)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진 상태로 멈추게 된다.
이때, 액정표시기기(10)가 자중 또는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사용할 때의 힘에 의하여 모터가 역회전하여 액정표시기기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피니언(42) 및 랙(52)의 축은 평행하므로 액정표시기기(10)를 밀면 랙(52)이 후퇴하고 상기 랙(52)이 후퇴하면 피니언(42) 및 모터(30)가 역회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는 액정표시기기(1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는 있지만 상기 액정표시기기(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정지시에 외력에 의하여 모터가 공회전하거나 랙이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서도 모터(30)의 축에는 구동용 기어(40)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용 기어(40)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과 함께 액정표시기기(10)의 후면을 가압하는 이동용 기어(50)가 물리게 되며, 상기 이동용 기어(50)의 선단은 액정표시기기(10)에 연결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용 기어(40)와 이동용 기어(50)의 축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게 되며, 각각의 기어의 잇줄은 나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용 기어(40)는 원통형의 기어이며, 이동용 기어(50)는 피치원의 지름이 무한대에 가까운 랙기어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외력에 의한 모터(30)의 공회전을 브레이크없이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액정표시기기(10)를 소정각도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액정표시기기(10)를 밀면 이에 연결된 이동용 기어(50)도 후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동용 기어(50)는 구동용 기어(40)와 대략 직각으로 물려있으므로 상기 이동용 기어(50)는 구동용 기어(40)를 퉁하여 모터를 축방향으로 밀뿐 회전반경방향으로 밀지 않으므로 모터(30)는 공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용 기어(40)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이동용 기어(50, 50a)가 물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이동용 기어(50)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힘의 분배가 균일해져 운동이 원활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기어(50)의 이빨형성부(54)는 구동용 기어(40)의 곡률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용 기어(50, 50a)는 안내부재(60, 60a)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용 기어(50)의 후면 즉 이빨형성부(54)의 반대편에는 대략 "T"형 단면을 가지는 지지부(56)가 형성되고, 안내부재(60)에는 상기 지지부(56)에 대응하는 "T"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부(66)가 형성된다.
또한, 안내부재(60)의 선단에는 걸림턱(68)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용 기어(50)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턱(68)에 대응하는 돌출부(5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렇게 구성하면, 이동용 기어(50)가 최대로 돌출되면 돌출부(58)가 걸림턱(58)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표시기기(10)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되는 것을 손쉽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용 기어(40)를 내부를 축방향으로 일부를 절개하여 이곳에 모터(30)를 설치하는 것이 공간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모터(30)의 축(32)은 오링(O-ring)(34)에 의하여 구동용 기어(4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용 기어(50)의 길이는 액정표시기기(10)의 운동각도에 의존하게 된다. 즉, 요구되는 이동용 기어(50)의 최소길이는 액정표시기기(10)의 이동각도 정확히는 상기 이동각도에 상당하는 수평거리가 된다. 그러나, 전자제품에 액정표시기기를 장착하는 경우에 설치공간 특히 두께의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이 제한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설치각도 조절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와 액정표시기기(10)의 사이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수단를 갖는다. 또한, 상기 운동변환수단도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용 기어(40)와 상기 구동용 기어(40)에 물리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과 함께 직선이동하는 이동용 기어(50)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용 기어(5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왜냐하면,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냉장고의 도어(5)에 장착시에 설치공간 즉 두께측면에는 제한이 따르나 수직방향 즉 길이측면에서는 비교적 제한이 적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이동용 기어(5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면, 상기 이동용 기어(50)는 상하로 운동하므로 액정표시기기(1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용 기어(50)의 상하운동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보조운동변환수단이 상기 이동용 기어(50)와 액정표시기기(10)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운동변환수단은 일단은 이동용 기어(50)의 선단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액정표시기기(10)의 소정위치 바람직하게는 하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7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가 회전하면 구동용 기어(40)가 회전하며, 상기 구동용 기어(40)가 회전하면 이동용 기어(50)가 수직방향으로 즉 하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용 기어(50)에 연결된 링크(70)가 액정표시기기(10)를 밀게되어 상기 액정표시기기(10)는 도어(5)의 전방으로 소정각도 돌출되게 된다. 액정표시기기(10)의 복귀는 상술한 과정의 반대과정으로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각도 조절장치를 도어(5)의 후면에 돌출시켜 설치하지 않아도 액정표시기기(10)를 소정각도 이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왜냐하면, 이동용 기어(50)는 수직으로 설치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용 기어(50)의 길이를 길게하여 이런 요구를 만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장 선명한 화면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 터치패널도 소정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기기를 전자제품의 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도어의 전면 중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모터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후면을 가압하는 직선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변환수단은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용 기어와; 상기 구동용 기어에 물려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함과 함께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후면을 가압하는 이동용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기어는 피치원이 지름이 무한대인 기어이며, 상기 구동용 기어와 상기 이동용 기어의 축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기어는 피치원이 지름이 무한대인 기어이며, 상기 구동용 기어와 이동용 기어의 축은 서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기어는 안내부재에 의하여 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대략 "T"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이동용 기어에는 상기 안내부에 대응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기어의 선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액정표시기기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9.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액정표시기기와;
    상기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운동변환수단과 상기 액정표시기기의 사이에는 설치되는 보조운동변환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KR10-2000-0004893A 2000-02-01 2000-02-01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KR10037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893A KR100379434B1 (ko) 2000-02-01 2000-02-01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DE10054912A DE10054912C2 (de) 2000-02-01 2000-11-06 Kühlschrank mit einer als Flüssigkristall ausgebildeten LCD-Anzeige
SE0004068A SE521159C2 (sv) 2000-02-01 2000-11-07 Anordning för inställning av en monteringsvinkel av LCD för kylskåp
JP2000343873A JP3455511B2 (ja) 2000-02-01 2000-11-10 冷蔵庫用液晶表示機器の設置角度調節装置
US09/709,548 US6692093B1 (en) 2000-02-01 2000-11-13 Device for adjusting mounting angle of LCD for refrigerator
CNB001353373A CN1163715C (zh) 2000-02-01 2000-12-11 冰箱lcd安装角度的调节装置
CNB200410062845XA CN1322293C (zh) 2000-02-01 2000-12-11 冰箱lcd安装角度的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893A KR100379434B1 (ko) 2000-02-01 2000-02-01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231A KR20010077231A (ko) 2001-08-17
KR100379434B1 true KR100379434B1 (ko) 2003-04-10

Family

ID=1964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893A KR100379434B1 (ko) 2000-02-01 2000-02-01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160B1 (ko) * 2000-10-13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KR100384510B1 (ko) * 2000-12-29 200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KR100356539B1 (ko) * 2001-01-03 2002-10-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장치를 갖춘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231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5511B2 (ja) 冷蔵庫用液晶表示機器の設置角度調節装置
US571513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display with tilting and rotating movements with rack, pinion, and bevel gears
US5867872A (en) Tilt hinge
EP1696303B1 (en) Data processing device
KR1021830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1238986A1 (zh) 电子设备
KR2005005873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US10290919B2 (en) Electronic device
KR100379434B1 (ko)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CN210246878U (zh) 一种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CN112351161B (zh) 一种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100370004B1 (ko)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KR100379433B1 (ko) 냉장고용 액정표시기기의 설치각도 조절장치
KR100293037B1 (ko) Pdp텔레비전화면부의각도조절장치
JP2000259085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0163133B1 (ko) 디스플레이의 각도조절장치
KR100266709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JP2001034180A (ja) 表示付操作卓のチルト機構
KR200349503Y1 (ko) 틸팅 장치
KR20000014406U (ko) 피디피 티브이의 벽고정 장치
KR100215981B1 (ko) 모니터 화면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010011294A (ko) 카 모니터 뷰각도 조절장치
KR100824604B1 (ko) 벽걸이형 티브이의 화면위치 조절장치
CN220551698U (zh) 曲直屏控制底座
KR100266710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