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172B1 -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172B1
KR100379172B1 KR10-2001-0024920A KR20010024920A KR100379172B1 KR 100379172 B1 KR100379172 B1 KR 100379172B1 KR 20010024920 A KR20010024920 A KR 20010024920A KR 100379172 B1 KR100379172 B1 KR 100379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oom
refrigerator
us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418A (ko
Inventor
유동국
정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주식회사 성철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2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172B1/ko
Priority to DE10219337.1A priority patent/DE10219337B4/de
Priority to MXPA02004544A priority patent/MXPA02004544A/es
Priority to US10/139,507 priority patent/US6883338B2/en
Priority to JP2002132725A priority patent/JP4125538B2/ja
Publication of KR2002008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방을 구비한 냉장고에서 임의의 칸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 해당 칸의 표시부에서 전원-오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개별 방 별로 동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냉장고 자체의 결함이나 발광 다이오드의 결함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된 경우 등의 제품 불량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그에 대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 버튼을 3초동안 눌렀을 경우에 해당 방의 전원-오프가 선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나 버튼조작 미숙으로 인한 원하지 않는 경우의 전원-오프를 방지함으로써, 해당 방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를 선택할 경우에 김장독 냉장고에 구비된 김치숙성에 요구되는 시간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7-세그먼트 표시방식으로 "OFF" 문자를 해당 방에 표시함으로써, 기능 추가에 따른 부품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METHOD FOR DISPLAYING POWER-OFF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방을 구비한 체스트 형(chest type) 김장독 냉장고에서 임의의 칸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 해당 칸의 표시부에서 전원-오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칸과 우칸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체스트 형 김장독 냉장고의 표시부는 도1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해당 칸의 다양한 정보를 발광 다이오드들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체스트 형 김장독 냉장고의 표시부는 초기전원이 인가되면, 좌칸과 우칸 모두 김치 보관 상태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보관될 식품의 종류와 맛 등에 따라 좌칸과 우칸의 기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좌칸이나 우칸의 김치숙성 기능을 선택할 경우에 내부의 마이콤에 기 설정된 김치숙성에 요구되는 시간이 해당 칸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표시된다.
그리고, 좌칸 또는 우칸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칸의 전원버튼을 통해 좌칸 또는 우칸을 선택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전원이 오프되는 칸은 표시부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되어 해당 칸이 사용되지 않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은 전원-오프 표시방법을 첨부한 도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S1)로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제1 내지 제N방을 가진 냉장고에서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방들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2단계(S2)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1단계(S1)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으면, 해당 방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오프시키고, 전원-오프가 선택되지 않은 방들은 상기 제1단계(S1)의 판단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은 냉장고 자체의 결함이나 발광 다이오드의 결함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된 경우에 대해서 사용자가 제품의 불량여부를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방을 구비한 냉장고에서 임의의 칸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 해당 칸의 표시부에서 전원-오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좌칸과 우칸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체스트 형 김장독 냉장고의 표시부를 보인 예시도.
도2는 종래 냉장고의 전원-오프 방법에 따른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4는 도3에 있어서, 전원-오프가 선택된 방의 표시부에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OFF" 문자의 표시를 보인 예시도.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은 각각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제1 내지 제N방을 가진 냉장고에서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방들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으면, 해당 방의 선택된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전원-오프를 표시하고, 전원-오프가 선택되지 않은 방들은 상기 제1단계의 판단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전원-오프가 선택된 방의 전원-오프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외한 해당 방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을 첨부한 도3의 순서도를 일 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S11)로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제1 내지 제N방을 가진 냉장고에서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방들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는지의 판단은 사용자가 해당 방의 전원 버튼을 3초동안 눌렀을 경우로 하여 사용자의 실수나 버튼조작 미숙으로 인한 원하지 않는 경우의 전원-오프를 방지함으로써, 해당 방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단계(S12)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1단계(S11)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으면, 해당 방의 선택된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전원-오프를 표시하고, 전원-오프가 선택되지 않은 방들은 상기 제1단계의 판단을 계속해서 수행한다. 이때, 전원-오프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도4의예시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김장독 냉장고에 구비된 김치숙성에 요구되는 시간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적용하여 7-세그먼트(segment) 표시방식으로 "OFF"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기능 추가에 따른 부품의 낭비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3단계(S13)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2단계(S12)에서 전원-오프가 선택된 방의 전원-오프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외한 해당 방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킨다.
물론, 사용자로부터 전원-오프가 선택되지 않은 방들은 정상적인 기능표시를 함으로써, 냉장고가 동작중임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은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다수의 방을 구비한 냉장고에서 임의의 칸에 대하여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 해당 칸의 표시부에서 전원-오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개별 방 별로 동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냉장고 자체의 결함이나 발광 다이오드의 결함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된 경우 등의 제품 불량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그에 대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 버튼을 3초동안 눌렀을 경우에 해당 방의 전원-오프가 선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나 버튼조작 미숙으로 인한 원하지 않는 경우의 전원-오프를 방지함으로써, 해당 방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를 선택할 경우에 김장독 냉장고에 구비된 김치숙성에 요구되는 시간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7-세그먼트 표시방식으로 "OFF" 문자를 해당 방에 표시함으로써, 기능 추가에 따른 부품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각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제1 내지 제N방을 가진 냉장고에서 사용자로부터 각각의 방들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되었으면, 해당 방의 선택된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전원-오프를 표시하고, 전원-오프가 선택되지 않은 방들은 상기 제1단계의 판단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전원-오프가 선택된 방의 전원-오프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외한 해당 방의 모든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방에 대하여 전원 버튼을 3초동안 눌렀을 경우에 해당 방의 전원-오프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전원-오프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김장독 냉장고에 구비된 김치숙성에 요구되는 시간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적용하여 전원-오프가 선택된 방의 표시부에 7-세그먼트(segment) 표시방식으로 "OFF"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KR10-2001-0024920A 2001-05-08 2001-05-08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KR100379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920A KR100379172B1 (ko) 2001-05-08 2001-05-08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DE10219337.1A DE10219337B4 (de) 2001-05-08 2002-04-3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zeigen eines Zustands einer Kühleinrichtung mit abgeschalteter Spannung
MXPA02004544A MXPA02004544A (es) 2001-05-08 2002-05-07 Aparato de despliegue de estado sin energia de refrigerador y metodo del mismo.
US10/139,507 US6883338B2 (en) 2001-05-08 2002-05-07 Power-off state display apparatus of refrigerator and method thereof
JP2002132725A JP4125538B2 (ja) 2001-05-08 2002-05-08 冷蔵庫の電源−オフ状態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920A KR100379172B1 (ko) 2001-05-08 2001-05-08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418A KR20020085418A (ko) 2002-11-16
KR100379172B1 true KR100379172B1 (ko) 2003-04-08

Family

ID=1970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920A KR100379172B1 (ko) 2001-05-08 2001-05-08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83338B2 (ko)
JP (1) JP4125538B2 (ko)
KR (1) KR100379172B1 (ko)
DE (1) DE10219337B4 (ko)
MX (1) MXPA020045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0559A1 (en) * 2003-06-13 2004-12-16 Storms David M. Power out indicator
US20080047287A1 (en) * 2006-08-24 2008-02-28 Jonathan Paul Ruppert Refrigerator based audio-visual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14440A1 (en) * 2007-02-07 2011-09-08 Miele, Inc. Refrig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04152A (ko) * 2010-07-06 201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및 제어방법
KR101497558B1 (ko) * 2013-07-22 2015-03-03 오텍캐리어냉장 유한회사 냉장 및 냉동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429A (ko) * 1996-06-20 1998-03-30 김광호 전자식 냉장고의 자기진단방법
KR19990054015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전자식 냉장고의 릴레이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9908A (ko) * 1998-09-16 2000-04-15 구자홍 냉장고 표시기능 제어방법
KR20000010975U (ko) * 1998-11-28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정전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234A (en) * 1981-03-25 1982-12-21 Koolatron Industries, Ltd. Control circuitry for thermoelectric environmental chamber
US5490556A (en) * 1993-06-09 1996-02-13 Eagle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Inc. Off-road air conditioning control
WO1996013135A1 (en) * 1994-10-20 1996-05-02 Ies Technologies, Inc. Automated appliance control system
DE19505173C2 (de) * 1995-02-16 1997-12-04 Aeg Hausgeraete Gmbh Kühlgerät mit Netzschalter
JPH09236362A (ja) * 1996-02-27 1997-09-09 Toshiba Corp 冷凍機制御装置
TW421927B (en) * 1998-01-30 2001-02-11 Sanyo Electric Co Central system for managing machines, central managing device for use in such system or terminals for use in the machines to be managed
JP3041337B2 (ja) * 1998-02-16 2000-05-15 マンドー クライミット コントロール コーポレーション 漬物冷蔵庫の運転制御方法
DE29815094U1 (de) * 1998-08-22 2000-01-05 Dewert Antriebs Systemtech Vorrichtung zur Betriebszustandsüberwachung von Verbrauchern
JP3590272B2 (ja) * 1998-08-31 2004-11-1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429A (ko) * 1996-06-20 1998-03-30 김광호 전자식 냉장고의 자기진단방법
KR19990054015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전자식 냉장고의 릴레이 고장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9908A (ko) * 1998-09-16 2000-04-15 구자홍 냉장고 표시기능 제어방법
KR20000010975U (ko) * 1998-11-28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정전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19337A1 (de) 2002-12-05
JP4125538B2 (ja) 2008-07-30
US6883338B2 (en) 2005-04-26
KR20020085418A (ko) 2002-11-16
DE10219337B4 (de) 2016-06-09
JP2002350038A (ja) 2002-12-04
MXPA02004544A (es) 2005-06-06
US20020166329A1 (en)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172B1 (ko) 냉장고의 전원-오프 표시방법
KR100218421B1 (ko) 냉장고의다양한김치류숙성방법
US200800489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peration mode of kimchi refrigerator
KR20040094453A (ko) 김치냉장고
JP3590272B2 (ja) 冷蔵庫
JP2013061094A (ja) 冷蔵庫
JP2009019809A (ja) 冷蔵庫および検査装置
JPH03172999A (ja) 液晶表示パネル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72577A (ja) 冷蔵庫
US5515071A (en) Function display circuit and method thereof in an electronic system
KR100360868B1 (ko) 김장독 냉장고 전원 제어 방법
KR101786929B1 (ko) 김치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775617B1 (ko) 김치냉장고 운전모드 표시방법
KR100381658B1 (ko) 김치저장고의 디스플레이 밝기조절방법
KR20050086083A (ko) 키작동상태 및 표시상태 시험기능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및그 시험방법
KR20000073571A (ko)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20723A (ko)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JP2005188881A (ja) 加熱調理器
KR100768162B1 (ko) 김치냉장고 운전모드 표시장치
JP2002098470A (ja) 冷蔵庫
KR20020057153A (ko) 김치냉장고 동작 변환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950010671A (ko) 터치패널을 갖춘 리모콘과 그 제어방법
KR100775618B1 (ko) 김치냉장고 운전모드 표시장치
KR100746382B1 (ko) 아바타 냉장고
KR940007488A (ko) 냉장고의 자기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