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168B1 -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168B1
KR100379168B1 KR10-2001-0006787A KR20010006787A KR100379168B1 KR 100379168 B1 KR100379168 B1 KR 100379168B1 KR 20010006787 A KR20010006787 A KR 20010006787A KR 100379168 B1 KR100379168 B1 KR 10037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ing
cluster
hermetic compress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544A (ko
Inventor
김종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06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1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모터부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과; 상기 전동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모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선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핀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가능하게 내부에 상기 단자핀을 수용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와; 상기 단자핀과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단자핀과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대적으로 접촉저항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대적으로 접촉저항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원공급장치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는,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20)와, 압축부(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부(30)를 가진다.
케이싱(10)의 일측에는 압축부(20)로 냉매가 흡입될 수 있도록 어큐뮬레이터(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싱(10)의 상부영역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관(15)이 구비되어 있다.
전동모터부(30)는, 케이싱(10)의 내부 상부영역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자(31)와, 고정자(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자(35)와, 일단이 회전자(35)의 축심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삽입결합되고 타단은 압축부(20)로 연장된 회전축(37)을 가진다. 고정자(31)는 복수의 자성체 강판을 상호 절연적층하여 형성되는 코어(32)와, 코어(32)에 권취되는 코일(33)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자(31)의 상부영역에는 코일(33)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리드선(34)이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상측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자커버(17)가 결합되어 있으며, 단자커버(17)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고정자(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및 케이싱(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전동모터부(3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과부하보호기(3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원공급장치는, 일단이 케이싱(10)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41)과, 케이싱(10)에 결합되어 단자핀(41)을 절연가능하게 지지하는 단자핀지지플레이트(43)와, 리드선(34)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싱(10)의 내부에서 각 단자핀(4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클러스터(4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상부영역에는 단자핀지지플레이트(43)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핀지지플레이트(43)는 거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이 관통공을 통과하여 케이싱(10)의 외부에 배치되며 내부를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의 연부에 용접결합되어 있다.
단자핀지지플레이트(43)는 케이싱(10)과 상호 용접결합될 수 있도록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판면에는 단자핀(41)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자핀수용공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단자핀수용공에는 각 단자핀(41)을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절연튜브(45)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클러스터(47)는 각 단자핀(41)의 위치에 대응되게 단자핀(4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핀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클러스터하우징(48)과, 각 핀수용공의 내부에 각 단자핀(41)과 전기적으로 접촉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50)를 가진다. 각 클러스터단자(50)는 단자핀(41)의 삽입방향에 대해 입구영역으로부터 내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각 클러스터단자(50)의 내경이 입구영역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단자핀(41)과 클러스터단자(50)는 상호 선접촉을 하게 되어 접촉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기인한 발열로 유리부재 등으로 형성되는 절연튜브(45) 및 상호 접촉영역이 용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대적으로 접촉저항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에 기인한 부품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원공급장치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의 도 4에 대응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 17 : 단자커버
30 : 전동모터부 31 : 고정자
33 : 코일 34 : 리드선
41 : 단자핀 42 : 리브수용홈
44 : 리브 51a : 내경부
51b : 외경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모터부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과; 상기 전동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모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선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핀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가능하게 내부에 상기 단자핀을 수용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와; 상기 단자핀과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단자핀과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자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내경면으로부터 상기 리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함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리브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는 상호 탄성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이다.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전동모터부(30)와, 전동모터부(30)의 하측에 배치되어 냉매를 흡입 및 압축하는 압축부(20)를 가진다.
전동모터부(30)는 코어(32)와 코일(33)로 구성되어 케이싱(10)의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자(31)와, 고정자(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배치되는회전자(35)와, 일단이 회전자(35)의 축심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압축부(20)로 하향 연장되어 구동력을 압축부(20)에 전달하는 회전축(37)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상단부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관(15)이 구비되어 있으며, 토출관(15)의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자커버(17)가 결합되어 있다. 단자커버(17)의 내부에는 과부하보호기(39) 및 전동모터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전원공급장치는, 일단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케이싱(10)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41)과, 고정자(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선(34)의 말단에 형성되어 단자핀(4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50)와, 클러스터단자(50)의 내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52)와, 단자핀(41)의 클러스터단자(50)의 접촉영역에 리브(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리브수용홈(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상단부에는 단자핀(41)을 지지하는 원반형상을 가지는 단자핀지지플레이트(43)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핀지지플레이트(43)에는 단자핀(41)이 두께방향을 따라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자핀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핀수용공과 단자핀(41)사이에는 각 단자핀(41)을 절연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유리부재로 된 절연튜브(45)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고정자(31)의 상측에는 각 코일(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선(34)이 상향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리드선(34)의 말단영역에는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된 각 단자핀(41)을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클러스터(47)가 구비되어 있다.
클러스터(47)는, 각 단자핀(41)의 위치에 대응되게 단자핀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클러스터하우징(48)과, 각 단자핀수용공의 내부에 배치되어 각 단자핀(41)의 삽입측 단부와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클러스터단자(50)를 가진다. 각 클러스터단자(50)는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된 내경부(51a) 및 외경부(51b)를 가지며, 내경부(51a)는 외경부(51b)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측은 분리되어 있다. 각 클러스터단자(50)의 내경부(51a)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중앙영역으로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5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단자핀(41)의 삽입측 단부에는 리브(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브수용홈(42)이 함몰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단자핀지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된 각 단자핀(41)의 삽입측 단부를 클러스터하우징(48)의 각 단자핀수용공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각 클러스터단자(50)의 내경부(51a)는 리브(52)가 각 단자핀(41)에 접촉되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고 각 리브(52)가 리브수용홈(42)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자체의 탄성력으로 복귀되어 상호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의 도 4에 대응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는, 일단이 케이싱(10)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41)과, 케이싱(10)의 내부에서 각 단자핀(41)을 수용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50)와, 각 단자핀(41)의 삽입측 단부의 외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44)와, 각 클러스터단자(50)의 내경부(51a)에 각 단자핀(41)의 리브(4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형성된 리브수용홈(5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형태로 구성하고, 함몰부를 리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수용홈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돌출부를 돌기형태로 형성하고 함몰부는 돌기수용홈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리브 및 리브수용홈을 하나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드고, 도 5에서는 리브 및 리브수용홈이 두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그 개수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의 내외부에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과, 케이싱의 내부에서 각 단자핀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와, 각 단자핀과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다른 하나에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마련하여 상호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접촉저항이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저항의 증가에 따른 발열에 기인하여 부품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

  1. 내부에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동모터부를 구비한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핀과; 상기 전동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동모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선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핀과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가능하게 내부에 상기 단자핀을 수용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단자와; 상기 단자핀과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단자핀과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상호 접촉면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자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클러스터단자의 내경면으로부터 상기 리브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함몰되고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리브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는 상호 탄성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2001-0006787A 2001-02-12 2001-02-12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KR10037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87A KR100379168B1 (ko) 2001-02-12 2001-02-12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87A KR100379168B1 (ko) 2001-02-12 2001-02-12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44A KR20020066544A (ko) 2002-08-19
KR100379168B1 true KR100379168B1 (ko) 2003-04-08

Family

ID=2769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87A KR100379168B1 (ko) 2001-02-12 2001-02-12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1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44A (ko) 200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2863B (zh) 无刷电机
US6768243B1 (en) Small-size motor brush assembly with electrical noise suppression
KR102184065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조립 방법
US6600245B1 (en) Vibration motor
EP3787153B1 (en) Brushed permanent magnet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2478247B1 (ko) 모터
US10707715B2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03158846A (ja) 密閉形圧縮機
JP6829745B2 (ja) 圧縮機駆動装置用密封アレンジメント、圧縮機駆動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2118607B1 (ko)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JP2006042409A (ja)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CN216016576U (zh) 母线单元
US6617742B2 (en) Star connected rotor
JP6854664B2 (ja) ステータおよび圧縮機
JP6802315B2 (ja) 圧縮機の駆動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37916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전원공급장치
US20230047683A1 (en) Motor, compressor, and fan motor
JP2018168835A (ja) 電動圧縮機
KR200475473Y1 (ko) 브러쉬리스 모터의 회로기판 커넥터 접속장치
JP2019152194A (ja) 電動圧縮機
KR102444995B1 (ko) 차량용 전동 압축기
CN215344298U (zh) 马达和电气设备
CN117662471A (zh) 电动压缩机
KR101270454B1 (ko) 밀폐형 압축기
JP2002064963A (ja) コンデンサ内蔵型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