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950B1 -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950B1
KR100378950B1 KR10-2000-0047240A KR20000047240A KR100378950B1 KR 100378950 B1 KR100378950 B1 KR 100378950B1 KR 20000047240 A KR20000047240 A KR 20000047240A KR 100378950 B1 KR100378950 B1 KR 10037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e
stepper
groove
mors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4134A (ko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방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영식 filed Critical 방영식
Priority to KR10-2000-004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9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용 절삭공구에 있어서 모오스테이퍼를 이용하여 자동선반이나 수동선반의 공구대에 고정되는 바이트의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바이트의 절삭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키 구조를 갖고 상기 바이트를 모오스테이퍼하우징에 강압하여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보다 원활히 작용하도록 하는 조임링의 내부에 베어링을 부설한 구성의 바이트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Fixing Installation of bite for use of lathe}
본 발명은 선반용 절삭공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이트의 일 측에 형성된 모오스테이퍼를 이용하여 선반의 공구대에 고정된 모오스테이퍼하우징에 조립할 때 바이트의 절삭방향을 항상 수평으로 유지 할 수 있도록 위치를 유지하는 고정키와 키홈을 부설하고 바이트에 형성된 모오스테이퍼의 끝단에 형성된 조임날개와 치합 되어 테이퍼홈에 강압시키는 조임링의 날개걸이홈에 보다 원활한 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볼베어링을 설치한 바이트 고정장치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선반에 사용되는 바이트는 선반의 공구대에 간단히 조립될 수 있도록 사각 봉의 끝단에 바이트팁을 부착시킨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바이트는 통상 소형의 일반적인 재질의 금속을 절삭할 때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다루어지는 바이트는 절삭 가공대상 물품의 재질이 비교적 단단하고 부피가 큰 가공물을 대상으로 사용되는 대형 바이트에 관한 것이며 또한 자동선반에서도 사용되는 바이트의 고정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바이트의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끝단에 바이트팁을 고정한 바이트바와 연장된 모오스테이퍼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이트바와 모오스테이퍼의 사이에 조임날개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이트를 선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바이트의 모오스테이퍼와 일치하는 테이퍼홈을 형성한 모오스테이퍼하우징을 선반의 공구대척에 물리고 상기 모오스테이퍼하우징의 선단에는 조임나사산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바이트의 조임날개와 치합 되는 날개걸이홈을 형성한 조임링을 이용하여 상기 조임나사산에 나선체결 되어 바이트를 고정하도록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바이트 고정장치는 바이트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모오스테이퍼와 선반의 공구대에 결합되어 있는 모오스테이퍼하우징의 사이에 특별히 바이트팁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없으므로 바이트를 교환할 때마다 바이트팁의 위치가 매우 다양하게 조립됨으로서 절삭 작업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바이트에 형성된 조임날개를 걸어서 테이퍼홈에 강압시켜주는 조임링에 결합된 조임날개와 날개걸이홈의 사이에 강한 마찰력이 생성됨으로 바이트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바이트에 형성된 모오스테이퍼의 끝단에 바이트팁과 일치하는 방향의 키를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치합 되는 모오스테이퍼하우징의 테이퍼홈 내측에는 키홈을 형성하여 바이트를 교환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주의하지 않아도 바이트의 바이트팁이 항상 절삭방향으로 조립되도록 함과 아울러 바이트의 조립날개와 치합 되는 조임링의 날개걸이홈의 내측에 볼베어링을 부설하여 마찰저항을 현저히 감소시켜 별도의 도구 없이 수작업 만으로 바이트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된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바이트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M ; 모오스테이퍼 T ; 바이트팁
B ; 바이트바 T ; 바이트팁
1 ; 바이트 2 ; 조임날개
10 ; 방향고정키 20 ; 조임링
22 ; 날개걸이홈 23 ; 베어링홈
24 ; 볼베어링 25 ; 셋스크류
30 ; 모오스테이퍼하우징 31 ; 키홈
32 ; 테이퍼홈 32 ; 테이퍼홈
34 ; 공구대고정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임링의 날개걸이홈과 바이트의 조임날개가 치합되는 구조에서 마찰을 감소시키는 접촉수단과 바이트의 절삭방향을 결정하는 위치설정수단 그리고 수동선반의 공구대에 결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끝단에 바이트팁(T)을 고정한 바이트(B)의 반대측에 모오스테이퍼(M)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의 끝단에 상기 바이트팁(T)과 방향이 일치하는 방향고정키(10)를 형성하고 상기 바이트(1)의 중간에는 조임날개(2)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선반의 공구대에 고정하는 공구대고정편(34)을 외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앙에 상기 모오스테이퍼(M)와 일치하는 테이퍼홈(32)을 천공한 후 내부 끝단에 상기 방향고정키(10)와 일치하는 키홈(31)을 형성한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의 외부 선단에 조임나사산(33)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조임나사산(33)에 나선 체결되는 조임나사골(26)과 테이퍼관통홀(27)을 형성하고 바이트(1)의 조임날개(2)가 지나는 날개조립홈(21)을 형성하여 측면에 날개걸이홈(22)을 가공한 조임링(20)에서 상기 날개걸이홈(22)의 내부에는 베어링홈(23)을 외부로부터 상하 부에 천공하고 이에 볼베어링(24)을 다수 삽입하여 셋스크류(25)로 마감한 구성이며,
미 설명부호 "28"은 렌치홀, "28a"는 후크스페너렌치, "40"은 공구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바이트(1)가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에 형성된 테이퍼홈(32)에 끼워지고 조임링(20)에 의하여 바이트(1)의 조임날개(2)를 조임나사산(33)에 나선 체결하여 조립되고 상기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의 공구대고정편(34)은 공구대(40)에 조립되어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조립된 바이트(1)는 바이트팁(T)과 일치된 방향고정키(10)에 의하여 테이퍼홈(32)의 끝단에 형성된 키홈(31)과 일치된 상태로 조립됨으로 바이트팁(T)의 절삭방향은 절삭작업에 적합하도록 수평상태의 절삭작업 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립된 것으로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오스테이퍼(M)를 조임링(20)의 테이퍼관통홀(27)을 통하여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의 테이퍼홈(32)에 삽입한다.
이때, 조임링(20)의 조임나사골(26)과 조임나사산(33)에 중간부위까지만 체결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모오스테이퍼(M)가 삽입되면 바이트(1)의 조임날개(2)는 조임링(20)의 날개조립홈(21)에 수평으로 진입되고 이의 끝단에 형성된 방향고정키(10)는 키홈(31)에 대하여 직각으로 놓여 있게 됨으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조임날개(2)를 90°회전시키면 조임날개(2)는 날개걸이홈(22)에 진입되게 되며 방향고정키(10)는 키홈(31)과 일치되게 됨과 아울러 바이트팁(T)은 절삭방향과 일치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정된 상태의 가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가조립상태에서 조임링(20)을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모오스테이퍼(M)는 테이퍼홈(32)으로 삽입되면서 방향고정키(10)는 키홈(31)에 삽입되어 절삭방향의 설정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모오스테이퍼(M)와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의 테이퍼홈(32)은 완전히 조립이 완료되게 되며 보다 확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임링(20)을 조금 더 조임 회전시키면 날개걸이홈(22)이 바이트(1)의 조임날개(2)를 강압하여 테이퍼홈(32)에 모오스테이퍼(M)를 압입하여 줌으로 쐐기작용의 강한 결합력을 발생하여 준다.
이때, 날개걸이홈(22)과 조임날개(2)의 접촉부위에는 매우 강한 압박력을 받게 되지만 그 접촉은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베어링홈(23)의 내부에 부설된 볼베어링(24)과 접촉이 이루어짐으로 압박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 수작업으로도 강한 압박력을 가하게 되기도 하지만 보다 견고한 조임력을 갖게 하기 위하여는 렌치홀(28)에 후크스페너렌치(28a)를 걸어 조이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모오스테이퍼의 끝단에 바이트팁의 절삭방향과 일치된 상태의 방향고정키와 모오스테이퍼하우징의 테이퍼홈에 형성된 키홈의 결합으로 특별히 신경 쓰지 않아도 절삭작업에 적합한 방향으로 조립되며 특히, 바이트의 조임날개와 조임링의 날개걸이홈의 접촉을 볼베어링에 의하여 접촉되게 됨으로 마찰저항을 매우 작게 발생함으로 별도의 도구 없이 수작업만으로도 강한 압박력을 발생하게 됨으로 바이트의 교환작업이 매우 신속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바이트바(B)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모오스테이퍼(M)의 끝단에 방향고정키(10)를 일체로 형성한 바이트(1)와;
    상기 바이트(1)를 조립하는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의 중앙에 천공된 테이퍼홈(32)의 내측 끝단에 바이트팁(T)과 일치하는 키홈(31)을 천공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향고정키(10)와 바이트팁(T)이 일치하게 한 구성과,
    모오스테이퍼(M)와 바이트바(B)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조임날개(2)와 치합되는 날개걸이홈(22)의 상하 부에 베어링홈(23)을 천공하여 볼베어링(24)을 다수 삽입한 후 셋스크류(25)로 마감한 조임링(20)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 테이퍼홈(32)을 천공한 모오스테이퍼하우징(30)의 외주 측면에 공구대고정편(34)을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KR10-2000-0047240A 2000-08-16 2000-08-16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KR10037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40A KR100378950B1 (ko) 2000-08-16 2000-08-16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40A KR100378950B1 (ko) 2000-08-16 2000-08-16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34A KR20020014134A (ko) 2002-02-25
KR100378950B1 true KR100378950B1 (ko) 2003-04-08

Family

ID=1968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240A KR100378950B1 (ko) 2000-08-16 2000-08-16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95B1 (ko) * 2015-11-05 2018-06-08 김학진 분리 교체형 선반용 바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276U (ko) * 1973-05-09 1975-01-20
JPS61120432U (ko) * 1985-01-11 1986-07-29
JPS62165804U (ko) * 1986-04-07 1987-10-21
JPS6338903U (ko) * 1986-08-27 1988-03-1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276U (ko) * 1973-05-09 1975-01-20
JPS61120432U (ko) * 1985-01-11 1986-07-29
JPS62165804U (ko) * 1986-04-07 1987-10-21
JPS6338903U (ko) * 1986-08-27 1988-03-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34A (ko)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5664A (en) Cutting tool
SE509218C2 (sv) Skaftverktyg
DK1185391T3 (da) Værktøj til spåntagende bearbejdning
KR100378950B1 (ko) 선반용 바이트 고정장치
JPH08112731A (ja) 工具ホルダ
KR20090108205A (ko) 절삭가공용 테이퍼홀더
KR100609937B1 (ko) 절삭가공공구
US7172377B2 (en) Router or cutter bit chuck or extension
JPS6090604A (ja) バイト
ATE276471T1 (de) Rohrschelle
JPS58165906A (ja) クイツクチエンジドリルチヤツク
JPS5930635A (ja) 工具保持機構
KR200208961Y1 (ko) 강화유리의 손잡이 체결구조
JP4239378B2 (ja) 中ぐりバイト固定用補助具
JPS6331844Y2 (ko)
EP3702076B1 (en) Cutter holder structure
JPS5839603B2 (ja) 穴明け工具
JPH0141566Y2 (ko)
CA2399824A1 (en) Milling tool holder
JPH0115443Y2 (ko)
JPH0314251Y2 (ko)
KR200373445Y1 (ko) 이중드릴
JPS6137446Y2 (ko)
KR200337623Y1 (ko) 밀링머신용 아버의 결합구조
JPH0727128Y2 (ja) シャンク付回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