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715B1 -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715B1
KR100375715B1 KR10-2000-0040253A KR20000040253A KR100375715B1 KR 100375715 B1 KR100375715 B1 KR 100375715B1 KR 20000040253 A KR20000040253 A KR 20000040253A KR 100375715 B1 KR100375715 B1 KR 100375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composition
coating film
art educatio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814A (ko
Inventor
이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스
Priority to KR10-2000-004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7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전색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그림물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그림물감 조성물은 미술 교육용 또는 장식용으로 수회 착탈 가능한 점착 도막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기공 또는 요철을 포함하지 않는 소재의 표면에 상기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 건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조하여 형성된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원하는 제2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제2부위에 부착된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박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제3부위에 재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색제는 유리전이온도가 -15~0℃인 폴리머로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색제의 함유량은 50 내지 70중량%(고형분을 기준으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어린이 등이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가능한 소재의 표면 상에 원하는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 도막을 상기 표면으로부터 박리시켜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가능한 소재의 표면 상에 부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A composition of colors for decoration and art education for producing adhesive films of colors which are removable several times}
본 발명은 그림물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여 어린이 등이 특정 소재의 표면 상에 원하는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 도막을 상기 표면으로부터 박리시켜 유리와 같은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가능한 소재의 표면 상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액상 그림물감은 종이나 천과 같은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불가능한 소재의 표면 상에서 반영구적인 고착성을 목적으로 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그림이 건조되어 형성된 도막의 탈착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았고, 따라서 종래의 액상 그림물감을 이용하여 제작된 도막은 박리가 불가능하였다. 즉 종래의 액상 그림물감으로 종이나 천에 고정된 그림을 그릴 수는 있었지만, 그 그림물감이 건조되어 형성한 도막을 벗겨내어 다른 곳에 부착시킬 수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은 특정 소재의 표면 상에서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 건조시켜 생성된 도막을 벗겨내어 유리창이나 거울 등의 원하는 다른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고, 이렇게 부착된 도막을 다시 벗겨내어 새로운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면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점착도막을 제작할 수 있다.
종래에도 유리장식용 필름이나 염색 유리는 있었지만, 이러한 유리장식용 필름 등은 이미 도안이 그려지고 채색된 형태의 필름이 판매되는 것이므로,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자신의 창작성을 발휘하여 원하는 도안을 그리고 색칠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은 통상의 그림물감과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창작성을 발휘하여 원하는 도안을 그리고 이에 색칠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생성된 점착도막을 유리창이나 거울 등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어린이들의 창작성과 미술감각을 키워줄 수 있어 교육상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그림물감이나 유리장식용 필름 등과는 전혀 다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여 어린이 등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소재의 표면 상에 원하는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 도막을 상기 표면으로부터 박리시켜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가능한 소재의 또 다른 표면 상에 장식용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 등의 창작성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실내 장식에도 유용한 그림물감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림물감 조성물은, 전색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그림물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그림물감 조성물은 미술 교육용 또는 장식용으로 수회 착탈 가능한 점착 도막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기공 또는 요철을 포함하지 않는 소재의 표면에 상기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 건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조하여 형성된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원하는 제2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제2부위에 부착된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박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제3부위에 재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색제는 유리전이온도가 -15~0℃인 폴리머로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색제의 함유량은 50 내지 70중량%(고형분을 기준으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림물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아크릴 에멀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 폴리비닐-아크릴 코폴리머 에멀젼 및 폴리우레탄 에멀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에멀젼 타입의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그림물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장식용 착색액에서, 상기 에멀젼 타입의 폴리머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이고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소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푸마르산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소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 대해 고형분을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1. 전색제
전색제(binder 또는 vehicle)는 그림물감 조성물 중에서 색소를 제외한 액상성분을 말한다. 이러한 전색제는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의 물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색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건조 후의 도막의 성질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양호한 도막의 성질을 위해서는 내광성, 내후성, 내수성, 온도 감응성 등 다양한 일상조건에서의 내성을 고려해야 한다. 유리창이나 거울 또는 가구 등에 장식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방치되어도 빛, 습도, 온도 등의 외부 조건에 대해서 견딜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색제는 색소인 안료 등과의 상용성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착색액의 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타 수지와도 충분한 상용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폴리머로서는 유기 용제가 함유되지 않은 수용성 수지 또는 에멀젼 타입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에멀젼 타입의 폴리머에는 폴리아크릴 에멀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 폴리비닐-아크릴 코폴리머 에멀젼 또는 폴리우레탄 에멀젼이 있고, 바람직한 수용성 수지 타입의 폴리머에는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수지 타입이 있다.
상기 폴리머 중에서, 특히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건조 후에 외관과 광택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고, 그 건조도막은 온도에 대한 감응성이 작아서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현저한 물성 변화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분이나 습기에 대한 내수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므로 일상적인 기후 변화에 대해 매우 안정적으로 물성 유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에멀젼의 또 다른 장점은 액상에서의 양호한 투명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유리창과 같은 소재의 표면에 부착시켰을 때에는 도막이 투명할 것이 요구되므로, 이런 관점에서 보아도 아크릴계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티렌을 함유한 아크릴 폴리머는 딱딱하고 깨지기 쉬운 도막을 형성하므로, 스티렌이 함유된 아크릴계 수지보다는 스티렌이 함유되지 않은 순수한 아크릴계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는 -15℃ 내지 0℃인 것이 바람직하다. -15℃ 미만의 Tg를 갖는 아크릴 폴리머로 구성된 도막에는 계속적으로 점성이 잔존하게 되므로 오염되기가 쉽고, 그림이 그려지고 색칠된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기가 어렵다. 또한 Tg가 0℃보다 높으면 도막이 딱딱하게 되므로 부서지는 등 도막이 손상되고 건조된 도막을 원하는 부위에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부착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전색제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화학적인 안정성이 뛰어나고, 접착제로서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익숙한 형태의 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액의 중요한 물성 중의 하나인 흐름성, 평활성의 관점에 있어서도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더욱이 투명한 건조도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투명성의 관점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전색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는 Tg가 30℃ 부근으로 너무 높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도막은 딱딱해져 부서지는 등 손상될 우려가 있고 점착력이 너무 낮아서 원하는 부위에 부착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최소도막형성온도(Minimum Film Forming Temperature, M.F.T)를 낮추고, 도막에 유연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가소제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폴리머와의 상용성, 건조도막에서의 잔존성이 제품의 물성을 좌우하는 핵심이 된다.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부적합하면 제품의 저장 중에 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또한 도막의 성능을 약화시킨다. 폴리머와 혼합된 가소제는 폴리머와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안정화된 상태가 아니며 단순히 폴리머의 분자 구조들 사이에 위치해 있는 상태로서 폴리머의 거동을 조정해 준다. 이러한 가소제는 폴리머가 건조되어 도막을 형성한 이후에도 액체상태로 존재해 있다. 이는 폴리머가 액체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에서 고체상으로 상변화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상용성을 갖는 가소제를 선택하여야 함을 제시한다.
더욱이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도막에는 친수성(hydrophilic)의 관능기를 포함하므로 습기나 수분에 대해서 취약한 물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약점이 보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도 더욱 더 가소제의 도입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한 가소제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푸마르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디부틸, 말레산 디옥틸 또는 푸마르산 디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가소제의 사용량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 대해 고형분을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이다.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은 최소도막형성온도(M.F.T)가 건조도막의 투명성을 결정하므로, 이를 조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가소제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림물감 조성물이 전색제로서 유기 용제가 함유되지 않은 수용성 수지 또는 에멀젼 타입의 폴리머를 고형분을 기준으로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색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색소는 크게 안료와 염료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안료는 그 기능과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면에서 그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안료가 분말 형태일 경우에는 적절한 전색제와 분산제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러한 분산 공정을 통해 안정화된 색재는 다시 제품의 다른 성분들 간의 상용성을 가져야 한다. 안료의 전색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수지류로는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염, 그리고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수용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전색제가 다른 제품의 물성을 저해할 수도 있으므로, 안료의 분산농도는 최대한 고농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료의 전색제로써 사용된 수지의 중량부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색제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하고, 그 수지의 양이 많아짐에 따른 다른 제품 물성의 저해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안료에는 유기계 안료와 무기계 안료가 있다. 유기계 안료들은 일반적으로 착색력이 우수하고, 색상이 선명한 반면, 화학적인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무기계 안료들은 화학적인 안정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우수하지만, 양호한 착색성과 높은 명/채도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이나 용제에 불용성인 안료는 효과적인 분산이나 증점을 통해 색소의 저장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색소의 효과적인 분산은 제품의 외관과 광택, 그리고 안정성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안료 이외에도 염료가 본 발명의 착색액을 위한 색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염료는 안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친수성을 갖는다. 물에 쉽게 용해한다는 점에서 양호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흡유량에 대한 별도의 설계 검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색제의 고유의 광택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내수성이 취약하여 안료보다는 상대적으로 수분에 취약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도막이 형성된 이후에도 계속적인 수분의 접촉으로 인한 색재의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염료는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갖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색소는 전색제로 사용되는 폴리머의 성질과 서로 친화력이 충분하여 상용성이 있어야 제품의 물성이 안정화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일상적으로 제품이 많이 접하게 되는 수분이나 습기에 대한 저항성을 얻기 위해서 전색제와 색소의 성분이 친수성이 적은 소재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오히려 친수성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만약 제품의 주 수요층이 저 연령층일 경우에는 부주의한 사용으로 인한 원하지 않는 부위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하는데, 친수성인 경우에는 오염이 물에 쉽게 지워지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듯이,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색소와 전색제와의 상용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 만약 상용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색의 번짐이나 색재의 이탈(migration, bleeding)을 초래할 수 있다. 분산된 형태의 안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분산된 형태에 따라 저장 안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안료의 종류, 분산제의 종류, 분산된 정도, 제품의 점도 및 성질에 따라 저장 안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 중 하나가 제품의 점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3. 증점제
본 발명에 있어서, 점도는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만약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용기에서 바로 짜서 쓰는 형태의 제품이라면, 본 발명의 착색액이 건조되기 전에 원만한 평활성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평활성을 가져야 사용자가 착색액을 원하는 부위에 펴 바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당한 점도와 평활성의 균형을 고려해야 한다.
제품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증점제의 종류와 기능은 실로 다양하다. 화학적인 조성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제품에 적용된 상태에서 유동 특성을 조절하는 기능과 특성에도 많은 차이가 있다. 증점제로는 수용성 고분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반응성 고분자 증점제 등의 유기계와 무기계 증점제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합성 고분자형 증점제 중에서 사용방법 및 효과가 다양한 여러가지 타입의 증점제를 선정하여 단독 혹은 병행 사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합성 고분자형 증점제로는 알칼리 스웰러블(alkali swellable) 타입, 어소시에이티브(associative) 타입, 알칼리 스웰러블 어소시에이티브(alkali swellable associative) 타입을 들 수 있다.
증점제의 효과적인 선정은 전색제로 사용된 폴리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을 전색제로 이용한 경우에는보호 콜로이드 만으로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는 뉴톤 플로우(newtonian flow)의 성질을 나타낸다. 이는 외부 응력에 비례하여 점도의 수치가 증가하는 성질을 나타내므로 제품의 사용성 또는 작업성(workability)이 불량해질 소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질은 제품의 평활성(self-leveling)에는 긍정적인 물성으로 작용하므로 적절한 점도의 설정으로 취약한 성질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 수지 타입에 점도를 부여하기 위해서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로서 H.E.C(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우스), HPMC(히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우스), 셀룰로우스 에스테르(CMC: Carboxylic Methyl Cellulose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제조 작업성을 고려하면 HPMC가 바람직하다.
전색제로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 수지와는 달리,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증점방법이 다소 상이해질 수 있다. 아크릴산이나 아크릴산염을 다량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는 pH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점도 조절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알칼리 스웰러블 타입의 폴리머 증점제를 병용하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병용은 안정성면에서도 충분히 고려할 만 하다.
4. 기타
상기 전색제,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색소 및 증점제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착색액은 pH 조절제, 소포제 및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H 조절제로는 아쿠아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술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pH 조절제는 사용 전에 사용량이나 잔류 독성을 검토해야 하며 갑작스런 투입으로 인한 쇼킹에 대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물에 희석한 후 천천히 투입하면 된다. 그러나 pH 조절제 중에는 장기 저장 중에 황변을 야기하거나 특유의 냄새를 발생시키는 것이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아쿠아 암모니아가 인체에 대한 독성이 적은 장점을 가지지만, 휘발성이 강해 정량 투입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후각에 덜 자극적이고, 또한 다른 유기 아민계 원료에 비해서 황변이 적으므로 본 발명의 착색액의 성분으로서 바람직하다.
소포제로서는 실리콘 에멀젼(디메틸 실록산계)이나 비-실리콘계가 모두 바람직하다. 실리콘 소포제는 소포력이 우수하지만 제품의 표면장력 감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작용도 함께 고려하여 사용량을 결정하여야 한다. 아크릴 수지계에 있어서는, 광물유가 블렌딩된 소포제가 바람직하다. 비닐계 수지계에 있어서는, 콜로이드 실리카가 석유계 탄화수소에 미립자상으로 분산된 형태의 소포제가 적당하다. 미네랄 오일계 소포제는 효과는 보통이지만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면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방부제의 사용은 수용성 제품의 세균에 의한 저장 중 변질을 방지하고, 2차오염을 차단하는 측면에서 필수적이다. 방부제로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및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화합물들은 함께 배합된 안정제의 형태에 따라 다소간의 성능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또한 1,2-벤지소티아졸린-3-온과 같은 화합물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림을 그리기 위해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이 적용되는 대상의 소재는 특정한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은 반영구적인 고착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그린 후에 건조된 도막을 박리시킨 후 다른 부위에 부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건조된 도막의 탈착이 자유롭고 변형이나 오염이 되어서는 안되는 특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도막이 건조되기 전까지는 그림물감이 습윤된 상태로 계속적인 접촉이 있으므로, 그림물감의 구성성분들에 대한 내성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플라스틱,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성형된 플라스틱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후 박리된 도막이 부착되는 대상이 되는 소재는 수회 탈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특정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수회 탈착가능한 도막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그 부착 대상이 점착 테이프의 박리가 가능한 소재이어야 한다. 이러한 소재로는 유리, 거울, 철재면, 플라스틱류, 페인트 도장면, 가공되어 매끈한 목재류, 돌류 등을 포함한다. 만약 종이나 천류와 같이 매끈하지 않은 소재에 부착되면 이 도막은 다른 원하는 부위에 부착시키기 위해 다시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림물감이 전색제로서 유기 용제가 함유되지 않은 폴리머를 고형분을 기준으로 50 내지 7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1에 나타나 있듯이 전체 그림물감 조성물 중 폴리머는 87.5% 함유되지만 그 폴리머 중 고형분이 60%이기 때문에 폴리머 내의 고형분만은 전체 그림물감 조성물 내에 52.5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명세서 내에서 언급하는 "고형분을 기준으로"하는 폴리머의 함량은 폴리머 내의 고형분이 전체 조성물내에 차지하는 함량을 뜻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체 후막(厚膜) 형성 제품임을 고려할 때 고형분을 기준으로 한 폴리머의 함량이 최소 50중량%는 함유되어야 하며, 안정한 수준으로는 70중량%까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가 1mm 내지 1.2mm정도 형성이 되어야 건조 후의 탈착의 반복이 용이하다. 그런데 건조 후의 도막 두께가 1mm 내지 1.2mm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폴리머의 조성 및 여타의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고형분 50%인 경우, 2mm 내지 2.4mm이상의 도막을 형성시켜야 하고, 고형분 70%인 경우에는 1.4mm 내지 1.7mm의 도막을 형성시켜야만 건조 후의 도막을 1mm 내지 1.2mm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수분의 증발로써 건조도막을 획득할 수 밖에 없는 제품의 특성을 고려할 때 기술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최대의 고형분의 설정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적용 후 12시간 내에 건조된 도막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50중량% 이상의 고형분을 가져야 한다. 또한 고형분이 50중량% 이상이어야만 소비자가 실용적인 건조 도막두께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70중량%를 넘지 못하는 것은 에멀젼 제형상의 한계이다. 현재 상업화된 기술로서는 고형분이 75%를 넘는 에멀젼을 제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고형분 함량을 무리하게 높이려고 하면 에멀젼 제형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고형분 함량이 70중량% 이하인 경우 에멀젼 제형이 안정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있어서 고형분 및 비고형분 모두 포함하여 전색제는 전체 조성물 중 약 90중량%, 많게는 95중량%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전색제 이외의 고형분은 고형분 함량 기준 판단시 무시할만한 정도의 양에 불과하므로 상기 건조시간, 건조도막의 두께, 그림물감의 점도 등의 판단에 고려되는 고형분 함량에서 무시하였고, 폴리머의 고형분만을 고려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들 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성분들로 구성된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구성원료 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고형분 60%) 87.5
소포제 0.3
방부제 0.1
가소제 5.6
첨가제 0.7
프로필렌 글리콜 1.5
색소(폴리머) 3.5
0.8
먼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을 정량 계량한 후에, 계속 교반하면서 소포제 및 방부제를 투입하여 저속으로 균일하게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에 가소제를 혼합하는데, 이는 특히 주의를 요한다. 이를 위해 폴리머 에멀젼과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교반시간과 교반속도를 고려하여 교반하였다. 이로 인해 내용물의 상태가 균일해졌을 때 나머지 원료들인 첨가제, 프로필렌 글리콜,색소 및 물을 차례로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성분들로 구성된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구성원료 중량%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 91.8
NOPCO NXZ 0.3
방부제 0.1
프로필렌 글리콜 2.5
ACRYSOL ASE-60 0.7
색소(안료 분산) 2.8
아쿠아 암모니아(26Be) 0.4
1.4
제2실시예에서는 특정한 안료를 함유하는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시각적인 상품성이 있다. 분산되는 특정 안료로서는 펄 안료, 형광 안료, 인광 안료 또는 폴리머 글리터 플레이크(glitter flakes) 등을 사용하였다. 이 폴리머 글리터 플레이크는 고분자 수지의 필름층을 기제로 색소의 증착이나 합지 방식으로 다양한 색상을 낼 수 있어서, 여러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글리터 플레이크는 장식용이 아닌 기능과 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전색제로서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을 사용하였다. 또한 소포제로서 NOPCO NXZ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pH 조절제로서 아쿠아 암모니아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사항들을 제외하고는 구성원료들을 표2에 기재된 순서대로 투입하면서 제1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성분들로 구성된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구성원료 중량%
수희석형 폴리머 8.0
8.0
분산제 0.3
소포제 HDW-636 0.4
펄 안료 7.0
폴리비닐-아크릴 코폴리머 에멀젼 73.0
소포제 0.2
방부제 0.1
첨가제 0.4
프로필렌 글리콜 1.0
1.6
제3실시예에서는 분산제를 첨가하였다. 이 분산제는 저분자 형태의 제품이 효과적이므로 이를 사용하였다. 펄 안료는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분산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효과적인 분산 설비와 적절한 분산제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표3에 기재된 성분 순서대로 투입하고, 제1실시예에서 기술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인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성분들로 구성된 그림물감을 제조하였다.
구성원료 중량%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 90.0
소포제 0.3
방부제 0.1
프로필렌 글리콜 1.5
색소 1.2
글리터 플레이크 5.0
폴리머 증점제 0.5
0.5
아쿠아 암모니아(26Be) 0.4
0.5
제4실시예에서는 글리터 플레이크를 첨가하였다. 따라서 글리터 플레이크의 침강을 방지하고 저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품인 그림물감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4에 기재된 순서대로 투입하면서 제1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특정 소재의 표면 상에서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 건조시켜 생성된 건조도막을 박리하여 유리창이나 거울 등의 원하는 다른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고, 이렇게 한 번 부착된 건조도막을 다시 박리하여 새로운 부위로 옮겨 부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면 자유로운 이탈착이 가능한 장식용 점착도막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면 어린이들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실내장식용으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전색제 및 색소를 포함하는 그림물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그림물감 조성물은 미술 교육용 또는 장식용으로 수회 착탈 가능한 점착 도막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기공 또는 요철을 포함하지 않는 소재의 표면에 상기 그림물감 조성물을 사용하여 원하는 그림을 그린 후 건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조하여 형성된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원하는 제2부위에 부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제2부위에 부착된 점착 도막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박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제3부위에 재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색제는 유리전이온도가 -15~0℃인 폴리머로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전색제의 함유량은 50 내지 70중량%(고형분을 기준으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아크릴 에멀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 폴리비닐-아크릴 코폴리머 에멀젼 및 폴리우레탄 에멀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호모폴리머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말레산 에스테르 및 푸마르산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말레산 디부틸, 말레산 디옥틸 및 푸마르산 디부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도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구성된 바탕 위에 그림을 그림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또는 제 10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또는 제 10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KR10-2000-0040253A 2000-07-13 2000-07-13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KR10037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53A KR100375715B1 (ko) 2000-07-13 2000-07-13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53A KR100375715B1 (ko) 2000-07-13 2000-07-13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814A KR20020006814A (ko) 2002-01-26
KR100375715B1 true KR100375715B1 (ko) 2003-03-15

Family

ID=1967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253A KR100375715B1 (ko) 2000-07-13 2000-07-13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084B1 (ko) * 2019-11-01 2021-08-17 주창현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점도 조절이 가능한 물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8873A (en) * 1980-08-20 1982-03-03 Mitsutoshi Suzuki Repeatedly usable self-adherent film-sheet and preparation of same
JPS57149361A (en) * 1981-03-11 1982-09-14 Saika Kagaku Kogyo Kk Water pigment composition
KR840009323A (ko) * 1983-05-21 1984-12-26 김영철 점착성 물감
JPS6047080A (ja) * 1983-08-25 1985-03-14 Nippon Carbide Ind Co Ltd 剥離性白・墨汁組成物
JPH0726176A (ja) * 1993-07-12 1995-01-27 Nippon Carbide Ind Co Inc 可剥離性水系被覆組成物
JPH07331119A (ja) * 1994-05-31 1995-12-19 Kansai Paint Co Ltd 被覆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被膜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8873A (en) * 1980-08-20 1982-03-03 Mitsutoshi Suzuki Repeatedly usable self-adherent film-sheet and preparation of same
JPS57149361A (en) * 1981-03-11 1982-09-14 Saika Kagaku Kogyo Kk Water pigment composition
KR840009323A (ko) * 1983-05-21 1984-12-26 김영철 점착성 물감
JPS6047080A (ja) * 1983-08-25 1985-03-14 Nippon Carbide Ind Co Ltd 剥離性白・墨汁組成物
JPH0726176A (ja) * 1993-07-12 1995-01-27 Nippon Carbide Ind Co Inc 可剥離性水系被覆組成物
JPH07331119A (ja) * 1994-05-31 1995-12-19 Kansai Paint Co Ltd 被覆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被膜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814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075A (en) Washable acrylic paint
US5498282A (en) Color changing pan paint compositions
US5326388A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s
US5489331A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s using acids
US7851545B2 (en) Paint composition
US5352282A (en) Color changing compositions
EA012372B1 (ru) Набор для краски со спецэффектом
US20010007676A1 (en) Transparent clear suspension nail polish enamel
US5340386A (en) Silicone containing artists&#39; media
US5480920A (en) Ozone-friendly correction fluid
KR100375715B1 (ko) 수회 착탈가능한 점착 도막 제작을 위한 장식 및 미술교육용 그림물감 조성물
CN109401469B (zh) 辊涂多色涂料组合物
KR20030043071A (ko) 아스팔트콘크리트 장식용 수성도료 조성물
US5380787A (en) Paint resembling stained glass
CN113512330A (zh) 零voc水性快干铅笔漆、底漆、面漆、制备方法及铅笔
JP2862961B2 (ja) 改良された油性絵具
KR100695273B1 (ko) 수성 균열도료와 그 제조 방법
CN112680075B (zh) 一种免罩面的水性着色剂及其制备方法
JPH06172681A (ja) 絵の具
KR102291084B1 (ko)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점도 조절이 가능한 물감
CA2079926A1 (en) Gloss acrylic paint
KR102279812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점도 조절이 가능한 물감
EP1375603B2 (en) Novel water paints having colours associated with fragrances,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pplications
KR20010057550A (ko) 수성도료 조성물
RU2246511C1 (ru) Эмульс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красок и краска для живописи на ее основ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