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172B1 -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 Google Patents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172B1
KR100375172B1 KR10-2000-0056576A KR20000056576A KR100375172B1 KR 100375172 B1 KR100375172 B1 KR 100375172B1 KR 20000056576 A KR20000056576 A KR 20000056576A KR 100375172 B1 KR100375172 B1 KR 100375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d
water
auxiliary
main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403A (ko
Inventor
한경구
Original Assignee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1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1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학적 정수작용으로 이루어진 깨끗한 연못으로서 정화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완전 방수 처리된 경계층 위에, 필수적 요소인 유기물과 무기물, 그리고 이에 부속된 식물로 구성하고, 주(主) 연못(1)을 경유한 물은 정화를 위해 보조연못(2)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매설되어 있는 침전물 챔버(6)로 공급되며, 정화된 물은 배출구(7)를 통해 제공된다.
이 연못의 정화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보조연못(2)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지고 침전물 챔버는 보조연못의 한쪽 끝에 배열되어 있고, 배출구는 보조연못의 다른 한쪽 끝에 배열됨으로서 침전물 챔버와 배출구 사이의 거리는 실제 보조연못의 길이와 상응한다.

Description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artifical pond make use of aquatic plant and zeolite}
본 발명은 정화장치에 의하여 정화하면서 물을 순환시키도록 하는 인공연못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에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주변에 수생식물을 형성한 인공연못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인공연못의 물을 제오 라이트등의 정화수단으로 정화시켜 배출구로 순화시키는 정화장치를 구비하여 정화장치를 통해서 정화된 물을 배출구를 통해 제공하고 이러한 물은 인공연못에 모여진 상태가 되며 인공연못에 일정한 수위 이상이 될 때 인공연못에서 넘쳐난 물을 정화장치로 유입시켜 이를 정화시켜 다시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하는 순화기능을 함으로써 인공연못에는 항상 깨끗한 물이 고여있도록 하고 인공연못의 주변에 구비된 수생식물에 의하여 인공연못의 물을 자연 생태적으로 정화하도록 한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못은 일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이러한 물은 타측으로 배출되어 하천으로 흘러가는 자연상태로서, 이러한 연못에는 많은 수생식물과 어류가 생존하면서 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수생식물과 어류가 정화하며 자연경관을 아름답게 하여 왔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못을 가정의 정원에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못이 위치한 곳에 건물을 건축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자연연못을 일 개인이 소유할 수 없는 실정이며, 자연 연못의 주변에 건물을 지었을 때 자연연못의 오염이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연못이 없는 장소에서 가정 내부에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공적으로 연못을 조성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인공 연못은 단순히 물을 일측의 배출구로부터 배출시켜 어느 한 곳에 물을 모아놓고 모여진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배출구를 통해서 하천으로 배수가 되도록 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인공연못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물을 필요로 한 단점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인공연못을 통해서 하천에 흘러간 물이 오염되었을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었으며, 인공연못에 자체 정화수단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주변 경관을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아 설치비용에 비하여 사용용도의 제한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원주택 등지에는 정원에 하절기 사용하도록 수영장 시설을 하였던 바, 이러한 개인 수영장은 하절기 이외의 계절에는 사용할 수 없어 동절기나 춘추절기에는 물이 없는 수영장이 외관을 해치는 폐단이 발생되었으며, 하절기 사용 시에도 사용하는 시간에 비하여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함으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였고 한번 수조에 담겨진 물을 여러 날 사용함으로 물의 오염이 심각하여 수영장 내부에 소독제를 삽입하여야 함으로 눈병이나 피부병과 같은 질병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공연못이나 또는 수영장 등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생물학적 정수작용으로 이루어진 깨끗한 연못으로서 정화될 물을 수용하기 위한 완전 방수 처리된 경계층 위에, 필수적 요소인 유기물과 무기물, 그리고 이에 부속된 식물로 구성되며 주(主) 연못을 경유한 물은 정화를 위해 보조연못의 바닥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매설되어있는 침전물 챔버로 공급된다. 정화된 물은 배출구를 통해 제공된다.
연못은 한편으로는 수영이나 물놀이에 적합할 뿐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물이 어느 동·식물을 통해 생물학적으로 정화되어진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러한 여건에도 물이 어느 정도 탁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는 점 또한 사실로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주 연못구역과 보조연못구역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고 펌프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순환시킴으로서 전체 연못의 수질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의 인공연못에도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처리하고 적당한 폭기시설과 함께 주변 여건에 적합한 식물을 심어줌으로서 연못의 수질을 정화시키고자 한 사례가 있으나, 수질정화 성능 면에서 최선책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데 있고, 특히 특별한 정화단계를 거쳐 최대한의 수질정화 효과와 함께 물의 최고 순수도를 제공하는 맑은 연못을 만들어야 하며, 이때 정화량 뿐만 아니라 정화질도 향상되어야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영을 할 수 있는 연못의 관점에서 원래 수상되었으나, 이 정화연못이 폐수정화와 같은 다른 맥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인공연못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주 연못 (2) 보조연못 (3a),(3b) 배수관
(4),(9) 배관 (5) 감독공간 (6) 침전물 챔버
(7) 배출구 (8) 펌프 (10) 시스템 초입구
(11) 개울 길 (12) 걸어 다니는 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연못과 주 연못의 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 -a 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체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b-b에 따른 본 발명의 정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공연못은 연못의 길이가 넓이(폭)보다 커야하고, 보조연못의 한쪽 끝에 설치된 침전물 챔버와 다른 끝부분에 설치된 배출구 사이의 간격이 기본적으로 보조연못의 길이치에 상응하게 설치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향상된 수질 정화효과에 도달하기 위해 보조연못에서의 물의 체류시간과 관련하여 일정한 유출속도가 요구되어지는 것으로, 이것은 물이 흘러 들어오는 곳과 흘러 나가는 곳의 거리가 가능한 크게 만들어져야 가능하며 이때 연못은 가늘고 긴 형태여야 하지만, 연못의 가장자리로부터 침전물 챔버와 배출구의 최소간격은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연못이 각이 졌는지 유선형인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다만 자연에 가까운 형태고 형상화하고 적절한 굴곡을 지니게 만들 수 있는 것이고 물이 흘러 들어가는 곳과 배출되는 곳 사이의 큰 간격을 통해 물은 보조연못의 하층을 최대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다.
보조연못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간격이 일반적으로 연못의 길이이나 이 두 지점의 연결선이 연못 내부를 벗어날 정도로 연못이 심하게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는 연못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두 지점의 가장 짧은 연결거리가 길이이고, 위에서 언급한 것은 격벽과 같은 장애물로 분할된 연못의 경우에 적당한데, 그런 연못에서는 기하학적인 간격과 비교할 때 축과 배출구 사이에 있는 물이 흐르는 통로의 길이가 넓어지는 것으로서, 연못의 길이가 넓이의 최소 1.5배, 특히 2.5배가 될 때 정화효과가 가장 성공적임이 드러난다.
또한, 효율적인 연못정화 기능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침전물 챔버와 배출구 사이의 정 가운데 부분까지의 간격을 평방미터 식으로 재서 그 비율이 연못 바닥 전체 1보다 크고, 특히 2보다 크며, 이러한 계산으로 최상의 조류속도를 설정한다.
보조연못 내부에 여과층이 형성될 시에 특히 효율적으로서 상기 여과층은 물을 이동시켜 충분한 흐름을 만들어 내고 또한 뿌리의 유해성분 제거작용을 위한 최상의 생물학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영양분과 산소성분의 저장력을 형성하고, 이로써 생물학적으로 정수된 물을 주 연못에 공급하며 해조류(이끼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연못이 되는 것이며, 정화될 물은 흐름을 토대로 여과층을 충분히 거쳐 통과되고 영양분과 산소를 저장하고 있는 최상의 생물학적 환경 내에서 연못식물의 뿌리를 통한 유해성분 제거작용을 통해 정화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올라이트라는 광물이 여과층에 투입하는바, 제올라이트는 그 자체의 흡수성과 이온화되는 방식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생긴 연못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연못 틈새를 막아 주는 석박(錫箔)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며, 점토를 첨가해도 이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은 한편으로 점토가 물의 침투를 막는 층들을 형성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매끄러운 점토구조가 흐르는 물에서는 빠르게 분해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으로, 제올라이트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형태 보존재이다.
그리고 아래에 기재한 실시예의 4번째 층에서는 부수적으로 철분-산소 성분 결합으로 섞인 미네랄 알갱이(제올라이트에 더하여)가 투입되어 지는데, 이것은 그 안에 함유된 작용물질의 구성요소(철분-산소 결합)를 부패과정 또는 무기화과정이 막아진다. 또한 이 미네랄 알갱이를 통해 미생물의 영양소 분해과정과 연못 식물의 성장을 돕는다.
첨부된 도면 도 1을 통해서 주 연못 설비의 기본적인 구조를 알 수 있는바,주 연못(1)은 중심부에 위치한 수영(또는 늪)구역(1a)과 재생영역의 역할을 하는 가장자리구역(1b)로 이루어지고, 주 연못의 수영구역(1a)으로 들어온 물은 바닥 배수관(3a)과 넘치는 물을 흘려보내는 배수관(3b)을 지나서 배관(4)으로 이동하며 이 순환을 원활히 유지관리하기 위한 감독공간(5)을 설치한다.
신장모양의 보조연못(2)의 한쪽 끝 부분에 침전물 챔버(6)가 위치하는데 그 안으로 배관(4)이 연결되고, 이 침전물 챔버(6)는 찌꺼기 저장소이고 이 안에 물속으로 흘러 들어온 물질들이 축적 방식을 통해 이곳에 침전되며, 보조연못(2)의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배출구(7)가 배열되어져 있는데 이것은 펌프(8)와 연결되어 있고, 이 펌프(8)는 정화된 물을 배출구(7)를 통해 흡수하여 배관(9)을 통하여 시스템 초입구(10)로 보내며, 시스템 초입구(10)에서 물이 개울길(11)을 거쳐 주 연못(1)으로 되돌아가는데 이로써 물의 순환이 종결되는 것이고 주 연못(1)과 보조연못(2)의 사이에 걸어 다니는 길(또는 데크)(12)이 설치된다.
보조연못(2)의 길이 L은 연못 양 끝 가장자리의 간격을 의미하고, 침전물 챔버(6)의 중심부와 배출구(7) 사이의 간격 D는 근본적으로 이 간격 L에 상응하게 되고 , 이 제한을 가지고 기술적 근거에서 연못의 가장자리에 이르는 일정한 최소간격이 요구되어 있으며 세로방향 B길이는 연못의 넓이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넘치는 물을 흘려보내는 배수라인(3b)의 기본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첫 번째 경계벽(30)은 콘크리트 벽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콘크리트 벽은 연못 방수시트로 형성하고, 경계벽(30)과 나란히 다음 경계벽(40)을 설치하고 이 벽의 윗면은 경계벽(30)의 윗면보다 약간 더 높게 설치하며, 주 연못(1)의 수면(32)은 대략 경계벽(30)과 경계벽(40)의 윗면 사이에 위치하고, 이때에 배수라인(3b)의 넓이는 35cm 이상, 깊이는 최소 10cm 이상 되어야 하며 배수라인(3b)의 가장 깊은 지점에 배출구(33)를 설치하고 이 배출구(33)는 배관(34)을 거쳐 배관(4)와 연결하여 침전물 챔버(6)에 이르며, 배수라인(3b)는 적당한 길이로 여러 단면들이 설치되어 질 수 있는데 각각의 단면들은 배출구(33)과 함께 각각 설치하고 시각적 효과를 위해 배수라인(3b)은 덮개(35)로 덮어준다.
주 연못(1)의 바닥 배출구(3a)를 통해 빠져나가는 물의 양과 배수라인(3b)을 통해 빠져나가는 물의 양과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관(34)과 관(4)의 내부에 적당한 미닫이나 밸브가 설치하고 그것을 통하여 이 배관들에서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주 연못(1)의 가장자리 구역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태면에서 광범위하게 실제 호수를 복제한 것으로서, 연못 방수시트(31)는 촘촘한 경계층이 제시되어지는데 이것은 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것이고, 수영구역(1a)은 벽(36)으로 막히게 되는데 그 벽(36)의 윗면은 분명히 수면의 표면(32)보다 낮으며, 배출관(4)은 최하 10%의 물을 침전물 챔버(6) 안으로 밀어 넣으며, 보조연못(2)은 연못 방수시트(50)의 위 부분에 다음과 같은 층들을 소유한다.
<실시예>
침전물 챔버의 위쪽 모서리로부터 수면 바로 아래쪽까지의 뿌리공간 정화의 구조.
1. 최 하부층 : 큰 자갈 (입경 16mm)로 된 배수층으로, 저수탱크로서 물순환을 보장한다.
- 돌입자 : 16 mm (세척)
- 층두께 : 최소 50cm
2. 흡수성이 있는 미네랄 알갱이와 제올라이트가 혼합된 큰 자갈층
- 돌입자 : 16∼32mm (세척)
- 제올라이트 입자크기 : 5∼10mm (혼합량은 대략 2kg/m2)
- 층두께 최소 10cm
3. 미세한 필터로서 둥근 자갈로 된 배수층
- 입자 : 8∼16mm (세척)
- 층두께 : 최소 10cm
4. 혼합된 미네랄 알갱이와 철분-산소성분 결합으로 섞인 미네랄 알갱이의 부수력을 지닌 섬세 모래층
- 모래입자 : 0∼4mm (세척)
- 층두께 : 7cm
- 혼합된 미네랄 알갱이량 : 1Kg/m2와 입자크기 5∼10mm
- 혼합된 제올라이트 첨가량 : 150g/m2와 입자크기 5∼10mm
5. 섬세한 자갈로 덮은 기본층 (기본 덮개층)
- 입자크기 : 4∼9 mm (세척)
- 층두께 : 3∼5 cm
그리고, 설치된 주 연못의 가장자리 구역내에서 박테리아의 번식과정을 방지하기 위해 식물이 있는 구역에서의 밑에서 위로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1 모래층
- 입자크기 : 0∼4mm (세척)
- 층두께 : 약 8cm
- 제올라이트의 혼합량 : 1.5kg/m2
- 제올라이트 첨가의 혼합량 : 50g/m2
2. 자갈로 된 기본 덮개층
- 입자크기 : 8∼16mm (세척)
- 층두께 : 약 7cm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보조연못 배출구와 주 연못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 실개천은 대략 5cm 두께의 자갈층으로 형성하고, 입자크기는 8∼l6mm이며, 1Kg/m2의 제올라이트를 골고루 분포시키는 것이 유익하다.
그리고, 보조연못에서 배출된 정화된 물을 다시 주 연못으로 순환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 배관을 통한 펌프를 설치한다.
주 연못의 바닥 배수관 옆에 넘치는 물을 흘려보내는 배수관을 가지고 있는데, 주 연못의 가장자리 한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이 방법으로 연못의 표면에 떠다니는 오염물질들이 자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으로 넘치는 물을 흘려보내는 배수관이 2개의 벽 성분으로 만들어질 때 외관상 보기 좋고 기술적으로도 효과적인배수관의 형태가 생기게 되며 이 벽들은 서로 수평적으로 나란히 위치하고 하나의 벽이 주 연못과의 외부 경계를 형성하고 이때 다른 벽은 미세한 차로 더 낮게 지어져 이 양벽의 바닥을 통해 물이 흘러나가는 관을 설치한다.
미네랄 알갱이층(51)은 약 1Kg/m2의 양과 5∼10mm의 입자크기로 되어 있으며, 바닥층(52)은 최소 16mm의 입자크기로 된 큰 자갈로 되어 있고 그 층은 최소 15cm 두께로 형성하며, 두꺼운 자갈층(53)은 16∼32mm 입자크기의 혼합 미네랄 알갱이(제올라이트)로 형성하고 둥근 모양의 자갈로 된 배수층(54)은 8∼16mm의 입자크기이며, 고운 모래층(55)과 작은 자갈로 된 기본 덮개층(56)이 있는데 그것을 식물이 장식하듯이 덮고 있어 알맞은 정화효과를 얻으려면 식물은 충분히 밀집되어 있어야 한 것으로, 예를 들어 부들, 갈대 등은 적어도 m2당 5개의 밀도로 심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의 응용에서 연못(2a)은 분리벽(60)을 지니는데 이 벽은 침전물 챔버(6a)와 배출구(7a) 사이의 물 흐름 연장을 확장하기 위해서 흐름의 방해물로서 이용되어지는 것이며, 간격 D는 언제나 가장 짧은 선의 길이인데, 이것은 양 지점을 서로 연결시키고 완전히 연못(2a) 내에(아래)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분리벽(60)을 제하고 볼 때 다음과 같은 공식이 성립된다.
D=D1+D2
L=L1+L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공연못을 조성함에 있어 단순히 물을 흘려보내 물을 저장한 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주 연못에 물이 일정수위의 이상이 되면 보조 연못으로 물을 보내고 보조 연못에 구비된 정화시설에 의하여 오염된 물을 정수한 다음 이를 다시 배출구로 보내어 정화된 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주 연못에 항상 깨끗한 물이 있도록 하고 주 연못의 일정부분에 수영시설을 구비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주 연못(1)은 중심부에 위치한 수영(또는 늪)구역(1a)과 재생영역의 역할을 하는 가장자리구역(1b)로 이루어지고, 주 연못의 수영구역(1a)으로 들어온 물은 바닥 배수관(3a)과 넘치는 물을 흘려보내는 배수관(3b)을 지나서 배관(4)으로 이동하며 이 순환을 원활히 유지관리하기 위한 감독공간(5)을 설치하며,
    보조연못(2)의 한쪽 끝 부분에 침전물 챔버(6)가 위치하는데 그 안으로 배관(4)이 연결되고, 보조연못(2)의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배출구(7)가 배열되어져 펌프(8)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프(8)는 정화된 물을 배출구(7)를 통해 흡수하여 배관(9)을 통하여 시스템 초입구(10)로 보내며, 시스템 초입구(10)에서 물이 개울길(11)을 거쳐 주 연못(1)으로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주 연못(1)과 보조연못(2)의 사이에 걸어 다니는 길(또는 데크)(12)을 설치하며,
    상기 보조연못(2)의 길이(L)는 연못 양 끝 가장자리의 간격을 의미하고, 침전물 챔버(6)의 중심부와 배출구(7) 사이의 간격(D)은 근본적으로 이 간격(L)에 상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2.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연못(2)은 연못의 길이(L)가 넓이(B)의 최소 1,5배, 특히 2.5배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3. 제 1항에 있어서,
    배출구(7)와 침전물 챔버(6)의 정가운데 사이의 간격(D)의 평방미터가 보조연못 바닥 전체와 비교해 1보다 크고, 특히 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4.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연못(2) 내부에 기본층이 형성되는데 이층을 통해 물은 이동하고 움직여 충분한 흐름을 만들어 내고 또한 뿌리 공간의 유해 성분제거에 최상의 생물학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영양분과 산소 저장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5.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연못은 연못내부에 순서에 따라 차곡히 쌓인 여러 개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별층의 입자크기는 밑에서 위로 올라올수록 가볍고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6. 제 5항에 있어서,
    개별층을 이루는 구성이 최 하부층에는 큰 자갈(입경 16mm)로 된 배수층 (5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흡수성이 있는 미네랄 알갱이와 제올라이트가 혼합된 큰 자갈층(53)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미세한 필터로서 둥근 자갈로 된 배수층(5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혼합된 미네랄 알갱이와 철분-산소성분 경합으로 섞인 미네랄 알갱이의 부수력을 지닌 섬세 모래층(55)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 섬세한 자갈로 덮은 기본층(기본 덮개층)(56)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7.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연못의 물 방입구는 주 연못(1)의 배출배관(3a, 3b)과 연결되어 있고, 배출구는 주 연못(1)으로 이르는 길(10,11)과 연결되며 주 연못(1)과 보조연못(2) 사이의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펌프(8)는 특히 보조연못(2)의 배출구(7)의 주 연못(1)의 방입구 연결길(10,11)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8. 제 7항에 있어서,
    주 연못(1)의 배출길은 바닥-배출배관(3a)과 보조 배수라인(3b)으로 이루어지는데 주 연못(1) 주변에 최소한 부분을 따라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9. 제 8항에 있어서,
    주 연못에서 배수라인(3b)은 2개의 벽(30, 40)으로 설치되는데 이 벽들은 서로 수평적으로 나란히 서있고, 한 벽(40)이 수영연못의 외부를 차단하며 다른벽(30, 40)에 의해 만들어진 배수라인(3b) 바닥에 물이 흘러나가는 관(3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주 연못에서 이 양벽(30,40) 위로 주 연못 바닥에 까는 연못 방수시트(31)를 씌우고 잔디 경계판으로 쌓아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11. 제 1항에 있어서,
    보조연못(2)의 부피는 주 연못(1)의 수영구역 부피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식물과 제오 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KR10-2000-0056576A 2000-09-27 2000-09-27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KR10037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576A KR100375172B1 (ko) 2000-09-27 2000-09-27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576A KR100375172B1 (ko) 2000-09-27 2000-09-27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03A KR20010000403A (ko) 2001-01-05
KR100375172B1 true KR100375172B1 (ko) 2003-03-06

Family

ID=1969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576A KR100375172B1 (ko) 2000-09-27 2000-09-27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049A (ko) * 2003-10-27 2005-05-03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곤충서식 환경 조성형 인공연못구조
KR101088385B1 (ko) 2009-06-29 2011-12-01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553B1 (ko) * 2006-10-27 2008-02-20 (주)용선엔지니어링 생태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888A (ja) * 1991-12-12 1993-06-29 Sakai Hideaki 池や湖の水を改質するシステム
KR19980025620A (ko) * 1996-10-04 1998-07-15 김문주 호소수 정화처리 시스템 및 장치
JPH11131437A (ja) * 1997-10-28 1999-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ム湖、湖沼、港湾等の底質改善方法及び装置
JP2000125697A (ja) * 1998-10-16 2000-05-09 Sanyo Electric Co Ltd 水浄化装置
KR200191282Y1 (ko) * 2000-02-11 2000-08-16 주식회사가경건설 골프장용 연못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888A (ja) * 1991-12-12 1993-06-29 Sakai Hideaki 池や湖の水を改質するシステム
KR19980025620A (ko) * 1996-10-04 1998-07-15 김문주 호소수 정화처리 시스템 및 장치
JPH11131437A (ja) * 1997-10-28 1999-05-18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ム湖、湖沼、港湾等の底質改善方法及び装置
JP2000125697A (ja) * 1998-10-16 2000-05-09 Sanyo Electric Co Ltd 水浄化装置
KR200191282Y1 (ko) * 2000-02-11 2000-08-16 주식회사가경건설 골프장용 연못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049A (ko) * 2003-10-27 2005-05-03 주식회사 네이코스엔지니어링 곤충서식 환경 조성형 인공연못구조
KR101088385B1 (ko) 2009-06-29 2011-12-01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03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31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103238554B (zh) 生态型封闭式循环水养鱼方法
KR100977996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수처리 설비
CN102120677B (zh)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的制作方法及污水处理方法
CN104082211B (zh) 平位三渠道循环水养鱼方法
CN101548655A (zh) 生态型封闭式循环水养鱼方法
CN102234165B (zh) 一种使用人工湿地净化污水的系统和净化自来水厂污染源水的系统方法
KR100375052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촉진방법 및 그 장치
BR102018068943A2 (pt) sistema para implantação ou despoluição e revitalização de lagos artificiais ou naturais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CN114772739A (zh) 沙滩地的河流水质改善与生态修复方法
KR200417720Y1 (ko) 습지를 이용한 완충 저류시설
KR100275090B1 (ko) 담수의 수질정화 시스템
CN202063793U (zh)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
KR100375172B1 (ko) 수생식물과 제오라이트를 이용한 인공연못
KR100874503B1 (ko)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시설
CN214936806U (zh) 一种养殖尾水沉淀系统
KR100409108B1 (ko) 물리적 정수기법을 이용한 인공연못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KR101554715B1 (ko) 집적식 유로 수경녹지를 이용한 광산배수 수처리 장치
KR200251872Y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장치
RU57273U1 (ru)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JP4225956B2 (ja) 水路の生活雑排水浄化装置
ES2232470T3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depuracion de agua.
CN213446717U (zh) 一种海绵城市湿地净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