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417B1 -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417B1
KR100374417B1 KR10-1999-0034711A KR19990034711A KR100374417B1 KR 100374417 B1 KR100374417 B1 KR 100374417B1 KR 19990034711 A KR19990034711 A KR 19990034711A KR 100374417 B1 KR100374417 B1 KR 100374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shaped
fl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37A (ko
Inventor
김광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Priority to KR10-1999-003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41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5Bottom edge finishing profi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 단열재의 수평유지, 처짐방지 및 파손되기 쉬운 하부를 보강하는 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의 하부 보강재는 벽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면(1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면(12)이 형성된 L자 형상의 판으로 되면서, 상기 고정면(11)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앵커를 박기 위한 구멍(111)이 천공되고, 상기 받침면(12)에는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 L형 후레싱(10)과, 단열재(2)에 부착되는 접합면(2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턱(22) 및 상기 접합면(23)에 연설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3)가 형성된 T자 형상의 판으로 되면서, 상기 접합면(21)에는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T형 후레싱(20)이 일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의 하부 보강방법은 콘크리트 외벽(100)에 접착몰탈(1,3)로 단열재(2)를 부착하고 그 위에 보강용 메쉬(4)를 댄 후 마감재(5)를 바르는 외벽 단열시공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 시공에 앞서 앵커구멍(111)이 천공된 고정면(11)과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 받침면(12)으로 된 L형 후레싱(10)을 상기 고정면(11)을 매개로 벽체(100) 저면에 일렬로 고정한 다음, 단열재(2)를 상기 L형 후레싱(10)의 받침면(12) 위로 시공하고,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접합면(21)과 받침턱(22) 및 돌출부(23)로 된 T형 후레싱(20)은 상기 단열재(2)의 타저면에 그 돌출부(23)가 하향되게 받침턱(22)을 댄 상태로 접합면(21)을 단열재(2)에 일렬로 부착한 다음, 그 위로 마감재를 형성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Flashing for insulation board and its reinforcement method}
본 발명은 외벽 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건축물 외벽단열재의 수평유지, 처짐방지 및 파손되기 쉬운 하부를 보강하는 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벽체의 단열시공은 벽체의 축열효과를 높여 열손실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벽체 안쪽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내벽단열과 벽체 사이에 단열재를 매입하는 중간벽단열 및 단열재를 외벽에 시공하는 외벽단열이 있다.
내벽 또는 중간벽 단열공법은 건물의 기둥, 창호, 스라브, 기타 연결부분으로 발생되는 열손실과 결로현상의 결점이 있어, 최근에는 신축 또는 보수건물의 외벽에 직접시공할 수 있고 시공시 내부입주자의 불편이 없으며 실내공간이 축소되지 않는 외벽단열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외벽단열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100)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 (1)은 접착몰탈, (2)는 단열재, (3)은 접착몰탈, (4)는 보강용 메쉬, (5)는 마감재이다.
즉, 종래의 외벽 단열시공은 건물의 벽체(100) 외면에 먼저 접착몰탈(1)을 바르고 단열재(2)를 벽면에 부착시킨 후, 그 위에 다시 접착몰탈(3)을 바르고 충격 보강용 메쉬(4)를 부착시킨 다음, 마감재를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외벽단열시공은, 시공시 여러장의 단열재를 서로 붙여 나가는 과정에서 일렬로 수평을 맞추는 레벨링작업이 불편하고, 시공후에는 단열재가 밑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또한 쥐 등에 의해 단열재의 하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건물의 외벽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 단열재 하부를 보강용 후레싱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서, 시공시 단열재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시공후 처짐현상이 없으며, 또한 쥐 등에 의해 단열재 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 종래의 외벽단열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 도 2에 도시된 하부보강재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7 -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 하부보강방법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는 L형 후레싱을 벽체하부에 일렬로 설치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4의 L형 후레싱 위로 벽체에 접착몰탈을 바르고 단열재를 부착시킨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단열재 저부에 T형 후레싱을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열재 및 T형 후레싱에 접착몰탈을 바르고 보강용 메쉬를 댄 후 마감재를 도포한 상태의 단면도 및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 접착몰탈
2 : 단열재
4 : 보강용 메쉬
5 : 마감재
10 : L형 후레싱
11 : 고정면
12 : 받침면
20 : T형 후레싱
21 : 접합면
22 : 받침턱
23 : 돌출부
30 : 앵커
100 : 벽체
111 : 앵커구멍
121, 211 : 통공
200 : 지면
300 : 하부보강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의 하부 보강재는 금속판으로 된 L자 형상의 후레싱(10)과 T자 형상의 후레싱(20)이 일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보강재는 상기 L형 후레싱(10)이 벽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면(1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면(12)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고정면(11)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앵커를 박기 위한 구멍(111)이 천공되고, 상기 받침면(12)에는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보강재는 상기 T형 후레싱(20)이 단열재(2)에 부착되는 접합면(2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턱(22) 및 상기 접합면(23)에 연직확장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3)로 구성되면서, 상기 접합면(21)에는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의 하부 보강방법은, 콘크리트 벽체(100) 외면에 접착몰탈로 단열재(2)를 시공함에 있어, 상기 단열재(2) 시공 전·후에 각기 상기 L형 후레싱(10)과 T형 후레싱(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하부 보강방법은, 단열재(2) 시공에 앞서 상기 L형 후레싱(10)을 그 고정면(11)을 매개로 벽체(100) 저면에 일렬로 고정한 다음, 단열재(2)를 상기 L형 후레싱(10)의 받침면(12) 위로 시공하고, 상기 T형 후레싱(20)은 단열재(2)의 저면에 그 돌출부(23)가 하향되게 받침턱(22)을 댄 상태로 접합면(21)을 단열재(2)에 일렬로 부착한 다음, 그 위로 접착몰탈(3)을 발라 보강용 메쉬(4)를 부착하고 마감재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외벽단열재 시공은, 콘크리트 벽체(100)에 접착몰탈(1,3)로 단열재(2)를 시공하고 그 위에 보강용 메쉬(4)를 댄 후 마감(5)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열재(2) 시공 전·후 단계에서 각기 하부 보강재(300)를 설치하여, 시공시 단열재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시공후 처짐현상이 없으며, 또한 쥐 등에 의해 단열재 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하부보강재(300)는 도 3의 L형 후레싱(10)과 T형 후레싱(20)이 일조로 구성된 것이다.
L형 후레싱(10)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재를 L자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벽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면(1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면(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면(11)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앵커를 박기 위한 구멍(111)이 천공되고, 상기 받침면(12)에는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T형 후레싱(20)은 예컨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재를 T자 형상으로 성형한 것으로, 단열재(2)에 부착되는 접합면(2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턱(22) 및 상기 접합면(23)에 연설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합면(21)에는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의해 본 발명의 외벽단열재 하부 보강방법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할 벽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후, 상기 L형 후레싱(10)의 고정면(11)을 수평을 유지한채 앵커(30)를 박아 콘크리트 벽체(100) 하부에 일렬로 고정한다. 이때 L형 후레싱(10)의 받침면(12)은 아래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 상기 고정된 L형 후레싱(10)의 받침면(12) 위로 벽체(100)에 접착몰탈(1)을 떡밥형식으로 바르고 단열재(2)를 올려 견고히 부착시킨다(도 5). 이때 접착몰탈(1)은 아크릴수지로 조성된 프라이몰탈과 시멘트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과 방수·방습효과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재(2)는 난연성 발포 폴리스틸렌 폼을 사용하는 것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L형 후레싱(10)은 단열재(2) 시공에 앞서 벽체(100)에 사전 설치되는 바, 이는 여러장의 단열재(2)를 별도의 레벨링 작업없이 용이하게 수평시공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시공중 단열재(2)가 이탈되거나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 위와 같이 단열재(2)의 일면이 벽체(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단열재의 타저면에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T형 후레싱(20)의 접합면(21)을 부착시킨다. 이때 T형 후레싱(20)의 돌출부(23)는 하향되게 하고 받침턱(22)은 단열재(2)의 밑면에 밀착되게 한다(도 6). 또한, 상기 T형 후레싱(20)의 몇군데 통공(211)에 스크류(30')를 박아 보다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T형 후레싱(20)과 단열재(2) 위로 접착몰탈(3)을 균일하게 바르고 보강용 메쉬(4)를 부착시킨 후 원하는 재질과 색상의 마감재로 마감한다(도 7). 여기서, 보강용 메쉬(4)는 표면의 균열을 방지하고 인장강도 및 충격저항강도를 증대시켜 단열층을 유지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컨대 유리섬유망(reinforcing fiberglass mesh)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용 메쉬(4)는 접착몰탈(3)에 완전히 묻히도록 시공함이 좋다.
상기와 같이 T형 후레싱(20)은 단열재(2) 시공후에 설치되고 그 위로 마감재가 형성됨으로써 외벽단열시공이 완료된다. 상기 T형 후레싱(20)은 단열재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외에 통공(211) 속으로 접착몰탈(3)이 매입되면서 마감재와 단열재와의 부착을 견고하게 하고, 또한 하향돌출된 돌출부(23)는 오수나 빗물이 콘크리트 벽체에 직접 흘러들거나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외벽 단열재 설치 전·후에 특정의 보강용 후레싱을 설치하여, 시공시 단열재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시공후 처짐현상이 없으며, 또한 쥐 등에 의해 단열재 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특히 T형 후레싱에 의해 마감재와 단열재와의 부착이 견고하게 되며 또한 오수나 빗물이 콘크리트 벽체에 직접 흘러들거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벽체(100)에 고정되는 고정면(1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면(12)이 형성된 L자 형상의 판으로 되면서, 상기 고정면(11)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앵커를 박기 위한 구멍(111)이 천공되고, 상기 받침면(12)에는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 L형 후레싱(10)과,
    단열재(2)에 부착되는 접합면(21)과 단열재(2)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턱(22) 및 상기 접합면(23)에 연설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23)가 형성된 T자 형상의 판으로 되면서, 상기 접합면(21)에는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T형 후레싱(20)이 일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단열재의 하부 보강재.
  2. 콘크리트 외벽(100)에 접착몰탈(1,3)로 단열재(2)를 부착하고 그 위에 보강용 메쉬(4)를 댄 후 마감재(5)를 바르는 외벽 단열시공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2) 시공에 앞서 앵커구멍(111)이 천공된 고정면(11)과 다수의 통공(121)이 형성된 받침면(12)으로 된 L형 후레싱(10)을 상기 고정면(11)을 매개로 벽체(100) 저면에 일렬로 고정한 다음, 단열재(2)를 상기 L형 후레싱(10)의 받침면(12) 위로 시공하고,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접합면(21)과 받침턱(22) 및 돌출부(23)로 된 T형 후레싱(20)은 상기 단열재(2)의 타저면에 그 돌출부(23)가 하향되게 받침턱(22)을 댄 상태로 접합면(21)을 단열재(2)에 일렬로 부착한 다음, 그 위로 마감재를 형성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외벽단열재의 하부 보강방법.
KR10-1999-0034711A 1999-08-20 1999-08-20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KR10037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11A KR100374417B1 (ko) 1999-08-20 1999-08-20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11A KR100374417B1 (ko) 1999-08-20 1999-08-20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37A KR20000006637A (ko) 2000-02-07
KR100374417B1 true KR100374417B1 (ko) 2003-03-03

Family

ID=1960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711A KR100374417B1 (ko) 1999-08-20 1999-08-20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112A (ko) * 2001-06-30 2003-01-08 김동수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KR100428054B1 (ko) * 2001-10-08 2004-04-28 김경옥 결로 방지를 위한 방습 단열의 일괄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2203874B1 (ko) 2019-01-11 2021-01-15 네오비엠(주)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18367D0 (en) * 1994-09-10 1994-11-02 Scient Generics Ltd Colostomy/urostomy care product innov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18367D0 (en) * 1994-09-10 1994-11-02 Scient Generics Ltd Colostomy/urostomy care product inno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37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9349B (zh) 可快速拆除、组装的新型房屋及组装方法
RU2348773C2 (ru) Способ за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и дюбель для этого
JP2011515600A (ja) レンガ又はセラミックの外観を有するアルミニウム製表面外装
JPH09151574A (ja) 防水シート固定用ボード及び防水シートを固定するための下地構造、並び防水シートの機械的固定方法
KR100374417B1 (ko)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KR102210564B1 (ko) 세라믹 타일 퍼티 공법
CN114182851A (zh) 一种加气混凝土保温外墙板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323119B1 (ko) 지붕 마감구조, 아스팔트 시트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공법
KR20080005414U (ko) 조립식 단열 패널
JP406382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に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外断熱建築物
CN214329547U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开槽砌块结构
US20050055926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use with poured concrete or light concrete
TWI752467B (zh) 隔音支撐架結構
KR100463025B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100453352B1 (ko) 방수를 포함한 타일의 시공방법및 시공구조
KR200290838Y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100463671B1 (ko)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용 조립식 패널
KR200348491Y1 (ko) 건물 외장용 단열보드의 체결구조
KR200267040Y1 (ko) 방수를 포함한 타일의 시공구조
JP4180199B2 (ja) 新生瓦屋根の改修構造
KR200181977Y1 (ko) 루핑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JPH01105857A (ja) 壁外断熱構築法
JPS6350338Y2 (ko)
CN112482681A (zh) 一种卫生间、厨房等建筑工程湿区调平防水一体化施工工艺
RU2156338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с плитным утеплителем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