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504B1 -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504B1
KR100372504B1 KR10-2001-0003995A KR20010003995A KR100372504B1 KR 100372504 B1 KR100372504 B1 KR 100372504B1 KR 20010003995 A KR20010003995 A KR 20010003995A KR 100372504 B1 KR100372504 B1 KR 10037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ireless terminal
access point
uniqu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4253A (ko
Inventor
최완식
Original Assignee
최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식 filed Critical 최완식
Priority to KR10-2001-0003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504B1/ko
Publication of KR2001004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4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504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 1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하고, 고유 아이디가 부여된 무선단말장치; 제 2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하고, 고유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모듈간의 통신으로 무선단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IP 어드레스가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여 각 액세스 포인트들에 연결된 무선단말장치들을 연결시키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운영서버는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 모듈과; 데이터송수신 모듈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 등록시키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위치정보 관리모듈과; 하나의 무선단말장치로부터 요청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장치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말장치 검색모듈과; 하나의 무선단말장치와 검색된 다른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장치간 연결모듈; 및 모듈들의 동작과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ing between mobile device using wireless interface modul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모듈이나 적외선 통신모듈 등을 내장한 무선단말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를 적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단말장치간의 통신로를 형성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단말장치, IMT-2000 단말장치 또는 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로 대표되는 무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지국과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의 구성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며, 이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구축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비용이 부과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선단말장치들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개별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단말장치들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파악되어야만 무선단말장치 간의 음성 및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하여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내는 인터넷 구성도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영서버의 기능별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 3은 무선단말장치에서 접속방법을 설정하는 메뉴를 보여주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단말장치정보 DB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무선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무선단말장치 150, 250, 350, 450 : 블루투스 모듈
200, 400 : 컴퓨터 시스템 500 : 인터넷
600 : 운영서버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 1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하고, 고유 아이디가 부여된 무선단말장치; 제 2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하고, 고유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모듈간의 통신으로 무선단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IP 어드레스가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여 각 액세스 포인트들에 연결된 무선단말장치들을 연결시키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운영서버는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 모듈과; 데이터송수신 모듈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 등록시키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위치정보 관리모듈과; 하나의 무선단말장치로부터 요청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장치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말장치 검색모듈과; 하나의 무선단말장치와 검색된 다른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장치간 연결모듈; 및 모듈들의 동작과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운영서버는 무선단말장치 제조업체 또는 이동통신업체와 연계하여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 부여된 전화번호, 소유자 등의 정보를 단말장치정보 DB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단말장치 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식별정보로는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단말장치의 제품 시리얼 번호에 매핑되는 사용자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설정 아이디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방법에 따르면, 제 1 무선단말장치와 제 1 무선단말장치에 근접한 제 1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하고, 제 1 무선단말장치로부터 고유 아이디와 접속하고자 하는 제 2 무선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제 1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고유 아이디와 식별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운영서버에 전송하며,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운영서버의 단말장치 위치정보 DB로부터 접속하고자 하는 제 2 무선단말장치와 제 2 무선단말장치와 링크된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제 1 액세스 포인트와 검색된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연결함으로써 제 1 무선단말장치와 제 2 무선단말장치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한다.
또한, 일실시예로, 무선단말장치는 셀룰러폰이 사용되며, 접속하고자 하는 수신측 셀룰러폰과 수신측 셀룰러폰과 링크된 수신측 컴퓨터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측 샐룰러폰을 이동통신업체의 중개국으로 연결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을 살펴보면,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한 무선단말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통신로가 형성되면, 액세스 포인트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운영서버에서 무선단말장치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와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전송받아 등록 갱신함으로서 무선단말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로 블루투스 모듈을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블루투스(Bluetooth)는 좁은 범위 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주는 기술사양을 말한다.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과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준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나 프린터에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되면,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하여 별도의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은 거의 모든 디지털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블루투스는 에릭슨, 노키아, 인텔, 도시바 및 IBM의 5개사가 1998년 5월에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이라는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1999년 6월에 영국에서 개최한 1차 포럼에서 "Bluetooth 1.0" 규격을 정하였다. 블루투스 1.0은 데이터 전송속도 1Mbps, 전송거리 10∼100m로 규정하고 있다.
그 후, 루슨트테크놀로지스, 모토롤러, 마이크로소프트, 3Com 등이 블루투스 SIG에 가세하였고, 현재 회원사는 세계적으로 이미 1,790개에 이른다. 이 숫자는계속해서 늘어날 추세여서, 블루투스는 이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세계적인 규격으로 그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블루투스 1.0은 2.4GHz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이용하며, ISM 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이용하는데, 회로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전자레인지 등의 간섭에 비교적 강하다는 하는 주파수 호핑(FH: Frequency Hopp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단말장치들(100, 300)은 각각 블루투스 모듈들(150, 350)을 내장하고, 컴퓨터 시스템들(200, 400)도 블루투스 모듈들(250, 450)을 내장한다. 컴퓨터 시스템들(200, 400)은 인터넷(500)을 통하여 운영서버(600)에 연결된다.
각각의 무선단말장치들(100, 300)은 고유 아이디를 보유하며, 고유 아이디는 제조시에 부여되거나 판매시에 사용자 설정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이들 고유 아이디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영서버(600)의 단말장치정보 DB에 소유자, 전화번호 등의 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무선단말장치(100, 3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단말장치, IMT-2000 단말장치 또는 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200, 400)은 고유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는 한, 데스크 탑에서 휴대용 노트북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시스템(200, 400)을 예로 들고 있으나, 컴퓨터 시스템을 적용하지 않고 셋탑박스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IP 부여가 가능한 하드웨어 자원은 모두 이용될 수 있는 바, 이를 총칭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라 하며, 액세스 포인트에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한 무선단말장치가 감지거리에 들어오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컴퓨터 시스템을 예로 든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단말장치(100, 300)와 컴퓨터 시스템(200, 400) 각각은 블루투스 모듈(150, 250, 350, 450) 간의 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영서버의 기능별 구성이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송수신 모듈(650)은 인터넷(500)을 통해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200, 4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위치정보 관리모듈(620)은 데이터송수신 모듈(650)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
(200, 400)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컴퓨터 시스템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670)에 등록시킨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링크된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장치 위치정보 DB(670)로부터 삭제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 위치정보 DB(670)의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 무선단말장치와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의 고유 IP 어드레스, 위치정보 등이 필드로 기록된다.
또한, 단말장치 검색모듈(630)은 무선단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식별정보에대응하는 무선단말장치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670)에서 검색하여 무선단말장치가 현재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단말장치 관리모듈(660)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 제조업체 또는 이동통신업체와 연계하여 단말장치의 시리얼 번호, 소유자가 설정한 ID, 부여된 전화번호 및 소유자의 이름 등의 정보를 단말장치정보 DB(680)에 기록하여 관리한다.
장치간 연결모듈(640)은 하나의 무선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요청된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610)은 상기한 각각의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단말장치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과 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150)을 내장한 무선단말장치(100)는 역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250)을 내장한 컴퓨터 시스템(200)에 블루투스 모듈 간의 통신에 의해 연결된다(단계 S100).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전송거리는 대략 10 내지 100m 정도이다.
통신로가 형성되면, 무선단말장치(100)는 자신에게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컴퓨터 시스템(200)에 전송한다(단계 S110). 상기한 바와 같이, 고유 아이디로는 무선단말장치를 제조할 때 부여되는 제품 시리얼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고 장치의 구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장치의 제품 시리얼 번호와 사용자가 설정한 ID 또는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매 사용자의 이름과 부여된 전화번호를 설정된 ID와 함께 하나의 데이터 세트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영서버의 단말장치정보 DB가, 예를 들어, 제품 시리얼 번호, 구매 사용자의 이름이나 ID 및 부여된 전화번호를 필드항목으로 갖도록 구성하고, 이들에 관련된 정보를 단말장치 제조업체나 이동통신업체 등과 연계하여 주기적으로 DB를 갱신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무선단말장치(100)로부터 고유 아이디가 컴퓨터 시스템(200)에 전송되면, 컴퓨터 시스템(200)은 수신된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자신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인터넷(500)을 통하여 연결된 운영서버(600)로 전송한다(단계 S120).
이어 운영서버(600)의 위치정보 관리모듈(620)은 데이터 송수신 모듈(650)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무선단말장치가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관련시켜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 등록시킨다(단계 S130). 이때, 위치정보도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이 된 후에는 해당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무선단말장치가 링크를 유지하는 지를 체크한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200)을 통하여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가 수신되지 않으며, 컴퓨터 시스템과의 링크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장치 위치정보 DB로부터 해당정보를 삭제시킨다.
이와 같이 무선단말장치의 위치는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데이터에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가 포함되었는지를 운영서버가 주기적으로 체크함으로서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단말장치 자체는 IP가 부여되어 있지 않아 인터넷상에서 추적할 수 없다 하더라도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의 IP를 체크함으로서 실질적으로 무선단말장치의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방법을 통하여 무선단말장치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무선단말장치로 셀룰러폰을 이용하여 다른 셀룰러폰과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를 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송신 셀룰러폰과 수신 셀룰러폰이 각각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운영서버에 등록되어 위치가 실시간으로 추적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셀룰러폰 사용자가 접속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셀룰러폰 사용자는 자신의 셀룰러폰을 블루투스 모드, PCS 모드 또는 우선순위 모드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드는 이동통신업체의 중개국을 경유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말하며, PCS 모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동통신업체의 중개국을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우선순위 모드는 블루투스 모드와 PCS 모드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수행하여 가능한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말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송신측 셀룰러폰(100)의 사용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셀룰러폰(3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셀룰러폰(100)의 블루투스 모듈
(150)은 셀룰러폰의 고유 아이디와 전화번호를 블루투스 모듈(250)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00).
컴퓨터 시스템(200)은 전송받은 송신측 셀룰러폰의 고유 아이디와 접속 요청된 전화번호를 인터넷(500)을 통하여 연결된 운영서버(600)로 전송한다(단계S210).
운영서버(600)의 데이터 송수신모듈(650)을 통하여 송신측 셀룰러폰의 고유 아이디와 통신 요청된 전화번호를 수신받으면, 제어모듈(610)은 단말장치 검색모듈
(630)을 통하여 수신측 셀룰러폰(300)이 추적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220).
즉, 단말장치 검색모듈(630)은 단말장치정보 DB(680)를 검색하여 수신된 점화번호에 대응하는 셀룰러폰의 고유 아이디를 확인하고, 단말장치 위치정보 DB
(670)를 검색하여 확인된 고유 아이디와 이에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400)의 고유 IP 어드레스가 현재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한 결과, 확인된 고유 아이디와 이에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400)의 고유 IP 어드레스가 현재 등록되어 있는 경우, 장치간 연결모듈(640)은 송신측 컴퓨터 시스템(200)과 수신측 컴퓨터 시스템(400)을 연결시켜 송신측 셀룰러폰(100)과 수신측 셀룰러폰(300) 사이의 통신로를 형성시킨다(단계 S230).
따라서, 송신측 셀룰러폰(100) - 송신측 컴퓨터 시스템(200) - 인터넷(500)
- 운영서버(600) - 인터넷(500) - 수신측 컴퓨터 시스템(400) - 수신측 셀룰러폰
(300)으로 이루어진 통신로가 형성된다. 일단 통신로가 형성된 후에는 송신측 셀룰러폰(100) - 송신측 컴퓨터 시스템(200) - 인터넷(500) - 인터넷(500) - 수신측 컴퓨터 시스템(400) - 수신측 셀룰러폰(300)의 연결구조로 통신이 수행된다.
반면에 체크한 결과, 확인된 고유 아이디와 이에 링크된 컴퓨터 시스템(400)의 고유 IP 어드레스가 현재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운영서버(600)는 송신측 컴퓨터 시스템(200)을 통하여 통화 요청된 셀룰러폰이 현재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240).
이에 따라, 접속모드가 우선순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불루투스 모드에서 PCS 모드로 자동 절환되어 중개국으로 통화 요청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250).
이상에서는 셀룰러폰을 이용한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휴대용 정보단말장치(PDA)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의 초고속화에 따라 IMT-2000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의 원활한 전송도 가능하다.
더욱이,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로는 블루투스 모듈이외에도 전송거리가 짧다는 단점은 있지만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적외선 통신모듈이 사용될 수 있고, RF모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서술한 내용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한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한 무선단말장치 및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한 통신을 이용함으로서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는 운영서버에서 IP가 부여되지 않은 무선단말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통하여 IP가 부여되지 않은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사실은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가져온다.
먼저, 인터넷을 경유하여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셀룰러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저렴한 가격으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는 한, 전세계적인 통화권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인터넷을 이용함으로서 통화를 위한 별도의 통화망을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된다.
또한, 무선단말장치의 실시간 위치추적이 가능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이얼 패드 등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무선단말장치로의 통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하고, 고유 아이디가 부여된 무선단말장치;
    제 2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내장하고, 고유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모듈간의 통신으로 상기 무선단말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며, IP 어드레스가 확인된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여 각 액세스 포인트들에 연결된 무선단말장치들을 연결시키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 모듈과;
    상기 데이터송수신 모듈에 의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IP 어드레스를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 등록시키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상기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위치정보 관리모듈과;
    하나의 무선단말장치로부터 요청되는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장치를 상기 단말장치 위치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말장치 검색모듈과;
    상기 하나의 무선단말장치와 상기 검색된 다른 무선단말장치 간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장치간 연결모듈; 및
    상기 모듈들의 동작과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장치 제조업체 또는 이동통신업체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장치의 고유 아이디, 부여된 전화번호, 소유자 등의 정보를 단말장치정보 DB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단말장치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접속하고자 하는 무선단말장치의 제품 시리얼 번호에 매핑되는 사용자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설정 아이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무선단말장치와 상기 제 1 무선단말장치에 근접한 제 1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단말장치로부터 고유 아이디와 접속하고자 하는 제 2 무선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제 1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고유 아이디와 식별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운영서버의 단말장치 위치정보 DB로부터 상기 접속하고자 하는 제 2 무선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무선단말장치와 링크된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 1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검색된 제 2 액세스 포인트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 1 무선단말장치와 상기 제 2 무선단말장치 사이에 통신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장치는 셀룰러폰이며, 상기 접속하고자 하는 수신측 셀룰러폰과 상기 수신측 셀룰러폰과 링크된 수신측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신측 샐룰러폰을 이동통신업체의 중개국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방법.
KR10-2001-0003995A 2001-01-29 2001-01-29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37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95A KR100372504B1 (ko) 2001-01-29 2001-01-29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95A KR100372504B1 (ko) 2001-01-29 2001-01-29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3A KR20010044253A (ko) 2001-06-05
KR100372504B1 true KR100372504B1 (ko) 2003-02-15

Family

ID=1970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995A KR100372504B1 (ko) 2001-01-29 2001-01-29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5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327A (ko) * 2001-11-16 2002-01-12 정지후 전자 게시판 시스템
KR100423242B1 (ko) * 2002-03-05 2004-03-18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칩이 내장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차별요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1971A (ko) * 2002-03-05 2003-09-13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와 피시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30078222A (ko) * 2002-03-28 2003-10-08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614405B1 (ko) * 2002-09-28 2006-08-18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과 무선랜의 연동을 통한 통합위치정보 서비스방법
KR100483022B1 (ko) * 2002-12-02 2005-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관리 서버와 이를 구비한 이더넷 기반의 무선랜 분배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20050033953A (ko) * 2003-10-07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브이오아이피 서비스 시스템
KR100678514B1 (ko) * 2004-11-22 2007-02-02 이노에이스(주) 이동통신단말기 위치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8210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노텔 주식회사 위치정보 음성안내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728409B1 (ko) * 2005-06-13 2007-06-13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인터넷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061A (en) * 1995-06-06 1998-11-10 Waypor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based communications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061A (en) * 1995-06-06 1998-11-10 Waypor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based communications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4253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020B1 (en) System for searching for the location of each personal handy phone in the personal handy phone system
US6954443B2 (en) Short range RF network with roaming terminals
US6961574B1 (en) Radio handset
KR100372504B1 (ko)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이용한 무선단말장치간 통신시스템 및 방법
EP1059822A3 (en) Mobile equipment and networks providing selection between USIM/SIM dependent features
CN101002450A (zh) 用于在移动设备中更新数据的方法、设备和软件
US8554143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CN1225141C (zh) 便携式数据终端
CN101686429A (zh) 移动终端移动位置服务系统及其位置查询方法
JP3926746B2 (ja) 携帯情報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リンク確立方法
EP1292165B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link establishment
KR100369899B1 (ko) 블루투스 탑재 기기 종류 및 모델 자동 확인 방법 및 시스템
JP313468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20036045A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엔디에스에스 서비스 방법
KR100430612B1 (ko) 휴대용 단말기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중계 시스템
KR2008005072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83208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inkage service of address book data between telematics and mobile terminal
EP148276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ferring an electronic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to a terminal
JP200229103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1127267A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データ通信アクセス方法
KR2005010027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 넘버 멀티 폰 서비스 시스템
KR20050021210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핸드폰을 이용한 원격 위치 확인및 추적 시스템
KR20060062413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망에서의 단말기 접속 방법
KR20020048105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단말기의 통신방법
KR20020076906A (ko) 모바일아이피가 부여된 휴대폰을 이용한데이터송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