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006B1 - 안정한단백질:인지질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정한단백질:인지질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006B1
KR100372006B1 KR1019950702281A KR19950702281A KR100372006B1 KR 100372006 B1 KR100372006 B1 KR 100372006B1 KR 1019950702281 A KR1019950702281 A KR 1019950702281A KR 19950702281 A KR19950702281 A KR 19950702281A KR 100372006 B1 KR100372006 B1 KR 10037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f
composition
protein
rhg
dop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042A (ko
Inventor
데이비드 콜린즈
영식 차
Original Assignee
암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암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70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3Colony stimulating factors [CS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한 단백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 구형 상태 (molten globular state)로 전이될 수 있는 단백질을 음전하 지질 소포와 접촉시킴으로써, 열-유도 집합체, 변성 및 활성도 상실로부터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인지질 복합체는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를 직접 안정화시키며, 본 조성물은 고온 제제형 및 새로운 운반 매개체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안정한 단백질 : 인지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용융 구형 상태(molten globular state)로 전이할 수 있는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를 안정화시키는데 유용한 단백질 : 인지질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증가된 안정성을 가지며, G-CSF 제제형 및 새로운 G-CSF 운반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는 G-CSF : 인지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몇몇 단백질이 용융 구형 상태(MGS)로 전이된다고 밝혀졌다[Van der Goot, F.G., Nature 354, 408-410 (1991) 참조]. 용융 구형 상태의 단백질은 단단한 3차 구조가 결여되었지만 천연 단백질에 비길만한 2차 구조를 나타낸다[Pitsyn 등의 FEBS Letters 262 : 1, 20 - 24 (1990) 참조]. 몇몇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상태로의 전이는 이미 숨겨진 단백질의 소수성 부위를 노출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임계 소수성 잔기를 노출시킴으로써, MGS는 단백질의 응집 및 침전의 중간체일 것이다. MGS 입체형태는 방향족 곁사슬의 스펙트럼(근 UV 원편광 이색성 및 형광)을 원 UV 부위의 원편광 이색성과 비교하여 검출할 수 있다. 용융 구형 상태는 원 UV 원평광 이색성 변화가 없을 때 방향족 그룹의 스펙트럼 변화를 나타내며[Bychkova 등의 FEBS Letters 238 : 231 - 234 (1988) 참조], 이는 일부 단백질에 의한 막 침투를 초래할 지도 모른다[Bychkova 등의 FEBS Letters 238 : 231 - 234 (1988) ; Van der Goot, F.G., Nature 354, 408-410 (1991) 참조].
응집 이전에 MGS로 전이된다고 알려진 두 개의 단백질은 과립구 군체 자극 인자(G-CSF) 및 과립대식세포 군체 자극 인자(GM-CSF)이다. 이러한 두 단백질은 특정 규정 조건하에서 안정화될 수 있지만,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이러한 물질의 보존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인체 제조합 G-CSF는 감염에 대항하는 백혈구의 한 유형인 호중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한다. 일반적으로 필그라스팀(Filgrastim)인 재조합 G-CSF 는 치료학적 용도로 유용하다. 다양한 조건하의 G-CSF 구조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다 ; Lu 등의 J. Biol, Chem, Vol, 267, 8770 - 8777 (1992). 그것의 소수성 성질로 인해 G-CSF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도록 제형화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정 소수성 단백질의 제제형은 장기간 보존시에 이합체의 형성 및 고배열 응집(거대 범위)으로 인해 활성을 상실한다. 보존시에 탈아미노화 및 산화와 같은 다른 화학적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더욱이, G-CSF 제제형은 변성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며, 특히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야 한다.
인체 GM-CSF는 대식세포 및 과립구 선조세포의 시험관내 증식을 위해 연속적으로 필요한 22-kDa의 당단백질이다. 또한 이것은 선조세포가 과립구 및 대식세포를 형성하도록 비가역적으로 조절한다. 다른 생물학적 활성도는 성숙한 세로 유형의 기능적 활성도의 조절[Gough 등의 Nature, 309, 763 - 767 (1984) 참조] 및 인식된 화학 주성인자를 향한 주화성 증가[Williams 등의 Hematology, 4th ed. (1990) 참조]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GM-CSF는 단구의 생성을 자극하므로 단구감소증과 같은 단구 질환의 치료에 유용할 것이다.
인체 GM-CSF는 다수의 원(source)에서 수득하여 정제할 수 있다. 재조합 인체 GM-CSF의 생성 과정은 Burgess 등의 Blood, 69 : 1, 43 - 51 (1987)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한 미국 특허 번호 제 5,047,504 호(Boone)는 원핵 숙주세포 발현 생성물로서 비-글리코실화된 형태의 GM-CSF를 상업적 규모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한다.
과거에 G-CSF 및 GM-CSF와 같은 단백질 연구에 시도되어 왔던 한 방법은 리포솜을 이용하는 것이다. 리포솜은 물-불용성 극성 지질, 특히 인지질에 의해 형성된 완전히 폐쇄된 지질이중막이다. 리포솜 소포는 단일막 이분자층(단일층)을 갖거나 다중막 이분자층(다중층)을 갖는다. 이분자층은 친수성 (극성) "머리" 부위 및 소수성(비극성) "꼬리" 부위를 갖는 두 개의 지질 단일분자층으로 이루어지의, 소수성 꼬리는 이분자층의 중심을 향하고 친수성 머리는 수층을 향한다. 리포솜의 안정성, 강성 및 투과성은 인지질 조성물의 변화, 온도 변화, 스테롤의 함유 또는 전하 양친매성의 결합에 의해서 변할 수 있다. 리포솜의 기본 구조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기술로써 제조할 수 있다.
리포솜 형성 방법에서 리포솜은 수용성 채널에 수성 용질을 유입하여 가변 속도로 그것을 방출할 수도 있다. 리포솜이 세포내로 효소를 도입시켜 그들의 대사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음이 발견되자[Gregoriadis 의 New Engl, J. Med. 295, 704 - 710, 765 - 770 (1976) 참조] 표적 약물 수송에 대한 논의의 해답으로서 리포솜이 대두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는 리포솜의 소수성 층이나 소수성 중심 내부에서 분리된 약물, 비타민 및 단백질을 서서히 유리하는 저장부(depot)로서 리포솜의 용도와 관련된 제약업에 있어서 획기적인 개발연구이다.
약물-담체로서 리포솜의 성공적인 용도는 그것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몇가지 문제에 부딪히면서 제한되었다. 예를 들어, 리포솜은 유입 항원에 대한 강력한 면역학적 부가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고, 이종 기원의 효소나 다른 단백질이 리포솜에 유입될 때 신중을 기해야만 한다. 또한, 약물의 확산속도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이는 리포솜의 본래의 불안정성과 특정 약물의 확산을 가속화시키는 특정 혈액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 본성으로 인해 일부 물질은 리포솜에 불완전하게 유입되므로 급속도로 확산된다. 결국, 간이나 비장이외에 어떤 세포 또는 기관을 표적으로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리포솜내로 결합되는 물질 및 약물 담체로서 리포솜의 용도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리포솜에 관한 우수한 평론지는 Drug Carriers in Biology 및 Medicine, Chapter 14, 287 - 341 (Academic Press, N.Y., 1979)에 수록된 Gregory Gregoriaidis 의 "Liposomes" 이다.
약물 담체로서 리포솜의 용도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치료학적 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보존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리포솜의 용도에 관하여는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 발명의 명칭이 "치료상의 펩티드 및 단백질" 인 Hostetler 등의 제 PCT/US90/05163호에는 대기/물 계면에 폴리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표면에 폴리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을 가용화시킨 약학적으로 용인가능한 희석제로서 공(空) 리포솜의 용도에대해 기술되어 있다. Hostertler 등은 음하전된 인지질을 약 50 몰%까지 가할 수 있으며, 포스파티딜콜린, 중성 인지질이 바람직한 리포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Hostertler 등은 폴리펩티드 및/또는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희석제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았다.
발명의 명칭이 "종양 괴사 인자의 리포솜 제제형에 관한 제조 및 특징" 인 Hung 등의 제 PCT/US91/07694호에는 리포솜 내에 피막되거나 그 표면과 관련된 지방친화성 변이 종양 괴사 인자(TNF) 분자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리포솜 지방친화성 TNF 분자는 생체내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안정성은 생체내 시스템 내로 TNF를 누출시키는 TNF-리포솜의 감소성향 또는 감소와 관계가 있다. 바람직한 리포솜은 중성지질이었다. Hung 등은 부형제가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TNF 조성물에 관하여는 기술하지 않았다.
G-CSF와 같은 단백질을 음하전된 지질 소포와 접촉시킴으로써 열-유도 응집, 변성, 활성도의 상실 및 2차 구조의 펼쳐짐으로부터 단백질을 직접 안정화시키는 것에 관해서는 어떤 문헌에도 나타나 있지 않다. 상기 조성물은 새로운 운반 매개체[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G-CSF의 경구 투여]로서 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를 요하는 제제형 과정에 유용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용융 구형 상태 조건하의 단백질에 리소인지질이나 다른 리포솜과 같은 소수성 부형제를 가하여 이 단백질의 2차 및 3차 구조를 직접 안정화시킴으로써, 열-유도 응집, 변성 및 활성도의 상실로부터 단백질을 보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안정한 G-CSF : 인지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놀랍게도, 바람직한 G-CSF 조성물을 냉각시 단백질의 2차 구조가 완전히 회복되도록 10 - 95 ℃ 사이에서 여러 번 순환시킬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새로운 G-CSF 운반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온도를 요하는 제제형 과정에 유용한 이중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단백질 : 인지질 복합체는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DOPG),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글리세롤(DMPG),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PPG), 에그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OPE) , 에그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드산(DOPA) ,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드산(DMPA), 디팔미토일포스파티드산(DPPA),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세린(DOPS),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DMPS),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DPPS), 에그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틸글리세롤,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세린 중에서 선택한 음하전된 리포솜을 포함한다. 음하전된 불포화 인지질인 DOPG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3.0 - 7.5 범위로 유지되는 pH 및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이 적어도 10 : 1 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제공하는 부가요소는 단백질: 인지질 복합체내에 화학적으로 변형된 단백질의 사용 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등장 조절제, 완충제 및 pH 조절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들 부가요소를 다양하게 결합시킨 단백질: 인지질 조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DOPG 소포의 존재(곡선 1) 및 부재(곡선 2)시 rhG-CSF의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rhG-CSF 의 농도는 0.2 mg/ml 였다. DOPG : rhG-CSF의 비율(곡선 1)은 100 : 1(몰 : 몰) 이었다.
도 2 는 rhG-CSF 형광에 대한 지질 : 단백질의 비율 증가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F0 는 초기 형광(지질 무첨가)이고, F 는 지질 : rhG-CSF의 지정된 몰비율에 이르도록 지질을 가한 후의 형광을 말한다. 도 2A 는 DOPG : rhG-CSF 혼합물에 대한 F/F0 (n) 및 최대 방출 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DOPG : rhG-CSF 혼합물에 대한 F/Fo (n) 및 최대 방출 파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DOPG 소포의 부재(●) 및 존재(○)시 K1 에 의한 rhG-CSF 형광의 소광에 관한 스턴-볼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소광 실험은 rhG-CSF (0.2 mg/ml) 및 DOPG : rhG-CSF (100 : 1 몰)에 KI 의 분취량을 가함으로써 실시하였다.
도 4 는 피렌 데칸산 첨가시 rhG-CSF 트립토판 형광의 소광을 나타낸 것이다. 방출 파장은 327 nm였고, DOPG : rhG-CSF의 비율은 100 : 1(몰) 이었다.
도 5 는 다양한 지질의 부재 및 존재시 rhG-CSF 에 대한 F세기 변화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은 100 : 1(몰) 이었다.
도 6 은 다양한 지질의 부재 및 존재시 rhG-CSF에 대한 방출 최대치에서 이동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은 100 : 1(몰) 이었다.
도 7 은 rhG-CSF(곡선 1)의 CD에 대한 DMPC(곡선 2), DMPG(곡선 3) 및 DMPA(곡선 4)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은 pH 6.0의 물 내에서 50 : 1(몰)이었다.
도 8 은 rhG-CSF(곡선 1) 또는 DOPG : rhG-CSF(140 : 1 몰)(곡선 2)의 CD 에 대한 온도 증가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rhG-CSF 의 농도는 pH 6.0의 물 내에서 80 μg/ml 였다. 온도는 100 ℃/시의 속도로 10 - 90 ℃에서 스캐닝하였다.
도 9 는 rhG-CSF(곡선 1) 및 DOPG : rhG-CSF(45 : 1 몰)(곡선 2)에 대한 시차 스캐닝 열량측정의 온도 기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의 rhG-CSF의 농도는 1 mg/ml(pH 7.0, 물 내에 함유됨)였다. 스캔 속도는 90℃/시 였다.
도 10 은 rhG-CSF(곡선 1) 및 DOPG : rhG-CSF(140 : 1 몰)(곡선 2)의 CD 에 대한 온도 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화살표로 가리킨 바와 같이 시료를 급속하게 95 ℃까지 가열하고 10 ℃로 냉각하였다. 시료의 rhG-CSF 농도는 80 μg/ml, pH 6.0 이었다.
도 11 은 rhG-CSF(곡선 1) 및 DMPG : rhG-CSF(150 : 1 몰)(곡선 2)의 CD에 대한 온도 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를 95 ℃ 까지 가열한 다음 10 ℃ 로 냉각하였다. 시료의 rhG-CSF 농도는 80 μg/ml, pH 6.0 이었다.
도 12 는 rhG-CSF(곡선 1) 및 DPPG : rhG-CSF(150 : 1 몰)(곡선 2)의 CD에대한 온도 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를 95 ℃ 까지 가열한 다음 10 ℃ 로 냉각하였다. 시료의 rhG-CSF 농도는 80 μg/ml, pH 6.0 이었다.
도 13 은 동결-건조동안에 rhG-CSF를 안정화시키는 다양한 지질의 능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은 100 : 1 이었다. 안정성은 골수 검정시 시험관내 활성도의 보유를 기초로 하였다. rhG-CSF 단독은 동결 건조 과정에서 잔존하지 않으므로 사용한 대조는 지질이 결여된 비처리된 rhG-CSF 이다.
도 14 는 rhG-CSF 의 생체내 활성도에 대한 여러 가지 지질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활성도(WBC수)는 햄스터에 피하주사한 후에 측정하였다. rhG-CSF 투여량은 100 : 1 의 지질 : 단백질 비율을 갖는 100 μg/kg 이었다.
도 15 는 rhG-CSF의 생체내 활성도에 대한 다양한 지질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활성도(WBC 수)는 햄스터에 피하주사한 후에 측정하였다. rhG-CSF 투여량은 50 : 1의 지질 : 단백질 비율을 갖는 100 μg/kg 이었다.
도 16 은 다양한 pH에서 DOPG의 부재 및 존재시 CHO-G-CSF에 대한 F 세기 변화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질 : 단백질 비율은 100 : 1(몰) 이었다.
도 17 은 다양한 pH에서 DOPG의 부재 및 존재시 CHO-G-CSF에 대한 방출 최대치에서 이동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경우에 있어서, 지질 : 단백질 비율은 100 : 1(몰) 이었다.
도 18은 PEG-G-CSF(-) 및 DMPG : PEG-G-CSF(17 : 1 몰)(---)의 CD 에 대한온도 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를 90 ℃ 까지 가열하고 10 ℃로 냉각하였다.
도 19A 는 PBS, pH 7.0 에 함유된 GM-CSF의 CD에 대한 온도 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 ℃ 에서의 GM-CSF(-)를 90 ℃ 까지 가열한 다음 10 ℃ 로 일각한 GM-CSF(---)와 비교한 것이다. 도 19B 는 DPPG : PEG-G-CSF(17 : 1 몰)의 CD에 대한 온도 순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 ℃ 에서의 DPPG : GM-CSF(-)를 90 ℃ 까지 가열한 다음 10 ℃ 로 냉각한 DPPG : GM-CSF(---)와 비교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의 논문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하기 한 실시예에 잘 설명되어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상을 보여 주며 다양한 단백질 : 인지질 조성물의 안정성 및 생물학적 활성도 시험의 결과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지질 소포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은 단백질 구조를 직접 안정화시킴으로써, 지질 부재시에 단백질의 변성을 초래하는 조건하에서도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있어 주목할만한 것은 용융 구형 상태로 전이될 수 있는 단백질의 다양성이다. 주목할만한 전형적인 단백질은 전술한 G-CSF, GM-CSF, M-CSF, 인터페론(알파, 베타 및 감마), 인터루킨(1-11), 에리트로포이에틴(EPO),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간 세포 인자, 신경 성장 인자, BDNF, NT3,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및 종양 성장 인자(알파, 베타) 같은 다양한 조혈 인자를 포함하는 시토킨이다. MSG로 전이되는 능력에 관하여 다른 단백질도 평가할 것이다. 의문의 단백질이 MGS로 전이될 수 있다면, 의문의 단백질은 음하전된 리포솜 소포와 접촉할 것이고, 안정화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G-CSF는 포유동물 기관에서 순수하게 분리한 천연형이거나 택일적으로, 게놈이나 cDNA 클로닝 또는 유전자 합성에 의해 수득한 외인성 DNA 서열의 원핵 또는 진핵 숙주 발현의 화학적 합성 과정의 생성물일 수 있다. 적합한 원핵 숙주는 다양한 박테리아(예를 들어, E. coli) 세포를 포함한다. 적합한 진핵 숙주는 효모[예를 들어, 에스. 세레비시에(S. cerevisiae)]및 포유동물(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원숭이) 세포를 포함한다. 사용한 숙주에 따라, G-CSF 발현 생성물은 포유동물 또는 다른 원핵 탄수화물로 글리코실화되거나 비-글리코실화될 수 있다. 특히 E. coli 에서 유래한 일부 및 모든 형의 G-CSF가 재조합 G-CSF이기는 하나,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은 그것이 상업적인 실용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변형시킨 G-CSF는 천연 인체 G-CSF(nhG-CSF) 또는 원핵이나 진핵 숙주세포 발현과 같은 재조합 핵산 공정의 생성물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도한 화학적 변형은 G-CSF 분자 자체에 화학성분을 부착하는 것이다. 단백질 변형 및 융합 단백질에 관하여 기술한 평론지는 Francis의 Focus on Growth Factors 3 : 4 - 10 (1992. 5)(연합왕국 런던 N20 오엘 디 프리에른 바르넷 레인 마운트뷰 코트 메디스크립트에서 출판)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를 부착시킨 G-CSF의 제조방법 및 그 물질에 대해 기술한, 발명의 명칭이 "화학적으로 변형된 과립구 군체 자극 인자" 인 유럽 특허 제 0 401 384호를 참조하라. 부착은 활성제에 다리로서 작용하는 단백질 또는 그 성분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것이다. 공유결합이 부착에 있어 가장 안정하므로 바람직하다. 화학적 변형은 G-CSF의 효과를 조절, 유지 또는 연장하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이것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가 순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다. 화학적 변형체의 예로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조성물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투여시 효능을 나타내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의 제조방법이다. 효능은 본 분야의 의사가 인지하는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것이다.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G-CSF,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E. coli 유래 G-CSF, 더욱 특별하게 트리-테트라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E. coli 유래 G-CSF가 바람직하다.
G-CSF는 pH 2.5 - 5.0 범위에서 3차 구조의 결합이 약화되고 알파 헬릭스 함량이 증가하는 입체형태의 변화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산성 조건하에서 가장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었다[Narhi 등의 J. Protein Chem 10, 359 - 367, (1991) 참조]. 이러한 입체형태의 변화는 용융 구형 상태(MGS)의 특성이다. 따라서, MGS로 전이될 수 있는 다른 단백질을 수반하여 제조한 제제형의 경우에서와 같이, G-CSF를 수반하여 제조한 제제형도 응집과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 및 3차 구조의 열-유도 펼쳐짐으로부터 보호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GM-CSF는 포유동물 기관에서 순수하게 분리한 천연형 또는 게놈이나 cDNA 클로닝에 의해 또는 유전자 합성에 의해 수득한 외인성 DNA 서열의 원핵 또는 진핵 숙주 발현생성물일 것이다. 적합한 진핵 숙주는 다양한 박테리아(예를 들어, E. coli) 세포를 포함한다. 적합한 원핵 숙주는 효모(예를 들어, 에스. 세레비시에) 및 포유동물(예를 들어,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 원숭이) 세포를 포함한다. 숙주의 사용에 따라 GM-CSF 발현 생성물은 포유동물 또는 다른 원핵 탄수화물로 글리코실화되거나 비-글리코실화될 것이다. 특히 E. coli에서 유래한 일부 및 모든 형의 G-CSF가 재조합 G-CSF이기는 하나,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은 그것이 상업적인 실용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지질 소포는 문제의 단백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음하전된 리포솜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주목할만한 리포솜은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OPG),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MPG),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PPG), 에그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DOPE), 에스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드산(DOPA),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드산(DMPA), 디팔미토일포스파티드산(DPPA) ,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세린(DOPS),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DMPS),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DPPS), 에그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타티딜세린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특별한 리포솜에 따라 리포솜의 양은 달라진다.
단백질 : 인지질 조성물은 원하는 범위내에서 용액의 pH를 유지하기 위해 완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인산나트륨 및 시트르산나트륨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완충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조성물에 유용한 완충제의 양은 사용하는 특별한 완충용액 및 용액의 pH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는 pH 6 보다 pH 5 에서 더 효과적이므로, pH 6 보다 pH 5인 용액에서 더 적은 양의 아세테이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바람직한 pH 범위는 pH 3.0 - 7.5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등장성인 용액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등장 조절제를 더 함유할 수 있고 주사액 형태가 더 알맞다. 가장 바람직한 완충제는 0 - 150 mM 농도 범위의 염화나트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용인가능한 희석제, 방부제, 용해제, 유화제, 보조제 및/또는 담체와 함께 본 발명의 유효량의 폴리펩티드 산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러한 조성물은 단백질의 물리적 상태, 안정성 및 생체내이용효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1435 - 1712 (미국 펜실베니아 이스톤에 소재하는 맥 퍼블리싱 컴파니, 1990)를 참조하라.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 단백질의 유효량을 정하는 것은 바람직한 치료결과, 증상의 심각성 또는 치료하려는 질병, 환자의 물리적 상태 등을 포함하여 지식있는 의사가 고려해야 할 요소의 다양성에 따라 결정된다.
E. coli 유래 rhG-CSF와 관련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리포솜 소포는 pH 4.5에서, 10 mM 아세트산나트륨을 함유한 50 : 1 비율의 DOPG : G-CSF를 갖는 DOPG 이다.
E. coli 유래 rhG-CSF와 관련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리포솜 소포는 pH 7.0에서,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내에 함유된 17 : 1 비율의 DMPG : GM-CSF를 갖는 DMPG 이다.
화학적으로 변형된(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E. coli 유래 rhG-CSF와 관련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rhG-CSF는 트리-테트라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것이고, 사용한 리포솜 소포는 pH 4.5에서, 17 : 1 비율의 DMPG : PEG-G-CSF를 갖는 DMPG 이다.
본 발명은 특수한 단백질 : 지질 조성물 및 처리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조성물 및 처리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을 더 상세히 설명해줄 것이다.
실시예 1
재조합 인체 G-CSF(rhG-CSF)가 지질 소포내로 결합되는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초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rhG-CSF 는 Souza의 미국 특허 번호 제 4,810,643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인체 G-CSF를 암호하는 DNA 서열로 E. coli 세포를 감염시키는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rhG-CSF를 묽은 염산, pH 4.0 내에 함유된 4 mg/ml 용액으로서 제조하였다. 모든 지질은 아반티 극성 지질(Avanti Polar Lipids)(앨라배마 앨러배스터에 소재)에서 수득하여 클로로포름내에 함유된 최종농도 100 mg/ml 로 질소하에 -20 ℃에서 저장하였다.
G-CSF : 인지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G-CSF를 결합시키기 위한 지질 소포를 제조하기 위해, 30 μmole 의 적당한 지질을 유리 시험관에 나누고 질소가스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얇은 막으로 건조시켰다. 지질막을 진공하에서 적어도 2시간 동안 건조시켜 모든 미량의 클로로포름을제거하였다. 지질막을 증류된 탈염수(ddH2O), 인산염 완충 식염수, pH 7.2(깁코/비알엘 "D-PBS")나 또는 150 mM NaCl 에서 수화시켰다. 그런 다음 욕조형 음파처리기(뉴욕 힉스빌에 소재하는 라보라토리 서플라이스에서 수득)에서 시료를 음파처리하였다. 시료가 시각적으로 맑아질 때까지 음파처리를 계속하였다(보통 10 - 15 분). 사용할 때까지 시료를 질소하에 4 ℃에서 저장하였다. 최종 지질 농도는 30 mM 이었다. 택일적으로 300 μ 몰의 지질을 취하여 질소하에서 건조시키고 상기와 같이 건조시켜서 지질 소포를 제조할 수 있다. 건조 지질막을 상기와 같이 10 ml 의 적당한 수용액에서 수화시켰다. 그런 다음 시료를 10,000 psi에서 작동하는 벤치 스케일 유화기(bench scale emulsifier)(마이크로플루이딕스 모델 110S, 메사츄세츠 캠브리지에 소재하는 마이크로플루이딕스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수득)로 미세유동화하였다. 상기 장치를 통하여 10번 순환하는 동안 시료를 재순환시켰다. 그런 다음 미세유동화된 시료를 상기와 같이 4 ℃에서 저장하였다.
G-CSF(상기와 같음)를 특정 지질(상기와 같음)과 혼합하여 G-CSF : 인지질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혼합은 와동(vortexing), 교반(stirring), 또는 서서히 진탕(shaking)시켜서 행한다. 단백질의 막 삽입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가지 몰비의 지질 : G-CSF를 제조하였다. 예를 들어, 지질 : G-CSF의 몰비가 40 : 1 인 0.2 mg/ml G-CSF의 시료 3 ml(물내에 함유됨)를 제조하기 위해, 150 ㎕의 G-CSF 저장물을 44 ㎕의 지질(음파처리에 의해 물내에서 제조한 30 mM 저장물)과 결합시키고 최종 시료 부피가 3 ml 가 되도록 물을 가한다. 5 분간 항온하는 것을권하며(필수적이지는 않음), 시료를 사용하거나 분석하기 전에 본원에서는 이와 같이 행하였다. G-CSF 를 미세유동화 하기 전에 수화된 지질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물을 직후에 미세유동화시킴은 결과적으로 지질막내로 G-CSF가 결합됨을 초래한다.
G-CSF : 인지질 복합체의 분석
1. 트립토판 방출 스펙트럼
rhG-CSF에는 2개의 트립토판 잔기가 있는데, 이는 위치적 환경조건에 절대적으로 민감하다. 따라서, rhG-CSF를 리포솜과 접촉시킬 때 rhG-CSF 트립토판 형광을 측정하기 위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형광 방출 최대치에서의 청색이동은 트립토판이 보다 소수성 환경에서 존재하므로 rhG-CSF가 지질막내에 삽입되어져 있음을 암시한다. 트립토판 형광 분석에 관한 우수한 평론지는 Principles of Fluorescence Microscopy, by J Lakowicz, chap 11(Plenum Press, New York, 1983)이다.
G-CSF : 지질 복합체(상기와 같음)의 트립토판 형광은 시료를 280 nm 에서 흥분시킨 반면에 1 nm/sec의 속도에서 1 nm 증가량으로 285 nm 에서 420 nm 까지의 방출을 스캐닝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시료에 대한 시료부피는 3 ml였고 G-CSF의 최종 농도는 0.2 mg/ml 였다. PTI 알파스캔(Alphascan) 형광측정계(뉴저지 사우스 브룬스윅에서 수득)를 사용하여 모든 형광 측정을 수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25 ℃ 에서 행하였는데 이 온도는 순환 수조에 연결된 워터-자켓 쿠베트 홀더(water-jacketed cuvette holder)를 사용하여 유지하였다. 방출 스펙트럼을 모아 PTI 에서 제공한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DOPG 로 구성된 작은 단일층 소포의 존재 및 부재시의 rhG-CSF의 형광 스펙트럼은 도 1 에 나타나 있다. rhG-CSF는 DOPG 소포의 부재시 334 nm 에서 방출 최대치를 가진다. 지질 : 단백질이 100 : 1 의 비율에서 DOPG가 존재하면, rhG-CSF 트립토판 형광은 327 nm의 형광 방출 최대치에서 청색 이동을 나타내고 형광의 세기는 극적으로 증가한다. DOPG가 존재시 저파장의 형광 방출은 트립토판이 천연 단백질보다 더 소수성인 환경에서 존재함을 암시한다. 도 2 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형광 이동은 DOPG : G-CSF의 몰비에 달려있으며 막 삽입은 DOPG : G-CSF의 비가 10 : 1이 되었을 때 검출가능하다.
2. 요오드화물 소광(quenching) 실험
요오드화물은 트립토판 형광의 유효한 충돌 소광제(quencher)이지만 지질막을 투과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요오드화물에 이한 트립토판 형광의 유효한 소광은 대부분의 수용성 용매에 잔기가 노출됨을 의미하지만, 요오드화물 소광으로부터의 보호는 단백질 트립토판이 수용성 용매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발생한다.
실험에서, G-CSF 와 DOPG : G-CSF 조성물(100 : 1 의 지질 : 단백질 비율)을 사용했다. 시료에 대한 초기 읽기(F0)를 택하여 기록한 후, 요오드화 칼륨(KI)(5 M저장물)을 증량하여 가한 후에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Lee 등의 Biochem. Biophys. Acta, 984 : 174 - 182 (1989) 문헌 및 Dona 등의 Biochem. BioPhys. Acta, 858 : 1 - 5 (1986)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시료와 KI 용액 모두가 1 mM Na2SO3(최종 농도)를 함유하도록 제조하였다. Na2SO3의 첨가는 단백질과 막을 비극성 부분으로 분리할 수 있는 I2의 형성을 방지한다. 데이터는 스턴-볼머(Stern-Volmer) 방정식(Fo/F = 1 + KKI[KI])으로 분석하되, 여기서 F0와 F는 각각의 농도 [KI]에서 KI 의 존재 및 부재시 시료의 형광 세기이다. KKI는 G-CSF 트립토판 잔기의 KI 소광에 대한 스턴-볼머 소광 상수이다 ; Lehrer, S의 Biochemistry 10 : 3245 - 3263 (1979).
데이터의 스테른-볼머 도면(plot)은 도 3 에 나타나 있다. DOPG 소포가 없을 때, rhG-CSF 형광은 KI 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광된다. DOPG가 존재할 때, 데이터의 스테른-볼머 도면은 직선이며, 이는 요오드화물이 두 트립토판에 근소하게 접근함을 의미한다. 데이터는 DOPG가 없을 때에 요오드화물-접근가능한 트립토판 잔기가 DOPG가 존재할 때에는 요오드화물에 접근하기가 어렵게 됨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트립토판을 함유하는 rhG-CSF의 일부가 DOPG 이분자 층에 삽입되어져 있음은 틀림없다.
3. 에너지 이동 측정
예기한 바와 같이, 에너지 이동은 트립토판 공여체와 피렌데칸산(pyrene decanoic acid)과 같은 지질 가용성 형광 수용체 사이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이 프로프의 여기(勵起) 스펙트럼이 트립토판의 방출 스펙트럼과 상당히 중복되기 때문이다. Friere등의 Biochemistry 22 : 1675 - 1680 (1983) 문헌 참조. 단백질이 지질막내에 삽입되면, 트립토판에서 피렌으로의 에너지 이동은 결과적으로 트립토판 형광의 소광을 초래할 것이다. 이 실험에서, 여러가지 G-CSF : 지질 복합체의 트립토판 방출 세기는 다양한 양의 피렌 데칸산(테트라히드로푸란내에 함유된 30 μg/ml 저장물)을 가하기 전(Fo) 및 후(F)에 기록한 것이다. 피렌 테칸산과 시료 사이의 혼합을 촉진시키도록 피렌 데칸산을 가하는 동안 시료를 계속 교반하였다. F/Fo의 비는 G-CSF 트립토판과 소수성 에너지 수용체 피렌 데칸산 사이에 발생하는 에너지 이동량에 비례한다.
도 4는 부가한 피렌 데칸산의 작용에 따른 DOPG의 존재시(100 : 1 의 지질 : 단백질 비율) rhG-CSF 에 대한 소광 외곽선을 나타낸다. 소광은 매우 낮은 피렌 데칸산 농도(<1 몰%)에서 발생되므로, 막 구조 및 작용에 대한 형광 프로브의 효과는 최소이다. 피렌 데칸산이 지질 이분자층을 신속히 분리한다고 예상할 수 있으므로, 본 데이터는 rhG-CSF가 트립토판에서 피렌 수용체로 에너지 이동이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히 DOPG 막 깊이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에너지 이동은 rhG-CSF의 존재 및 부재시 피렌 데칸산-표지 DOPG 소포의 여기(勵起) 스펙트럼을 조사함으로써 입증하였다.
상기 분석은 rhG-CSF가 DOPG와 같은 불포화 인지질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DOPG 소포가 존재할 때, rhG-CSF 트립토판은 수용성 형광 소광제로부터 보호되나, 소수성 형광 프로브로의 에너지 이동에 의한 소광에는 민감하다. 종합하면, 데이터는 rhG-CSF가 DOPG로 구성된 막내에 삽입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막 삽입은 10 : 1 비율(지질 : G-CSF)이 되었을 때 검출가능하며, 이 수는 단백질의 삽입부분을 들러싸는 지질의 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에서는, 다른 인지질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rhG-CSF의 능력을 상기한 바와 같이 F/Fo세기 및 방출 최대치를 비교하여 결정하였다. 각 예에서, 지질 : rhG-CSF의 몰비는 100 : 1 이었다.
도 5 는 다양한 지질의 부재 및 존재시 rhG-CSF에 대한 F/Fo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동일 조성물에 대한 방출 최대치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데이터는 DOPG 이외에 rhG-CSF가 DMPG, DPPG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덜 효과적이지만,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류(PE's) 및 포스파티딜세린류(PS's) 내에 삽입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또한, NG-DOPE(PE 헤드그룹을 보다 음성적으로 제조한 DOPE 시료)가 DOPE 보다 증진된 rhG-CSF의 삽입을 제공한다고 밝혀졌다.
DOPC, DMPC 및 DPPC는 중성 지질이며 이들 소포는 rhG-CSF의 방출 최대치이거나 형광 세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이들 인지질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한다(도 5와 도 6 및 도 7, 곡선 2 참조).
상기 데이터는 용융 구형 상태로 전이될 수 있는 단백질이 다양한 지질 소포내에 삽입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 rhG-CSF : 지질의 상호작용은 단지 음하전된 지질 소포를 사용할 때 발생한다. 음하전된 지질 소포 중에서 보다 큰 음전하를 갖는 소포가 보다 강한 rhG-CSF : 지질 상호작용을 제공한다고 여겨진다.
실시예 3
이 실시예에서, rhG-CSF : DOPG 상호작용의 효과가 단백질 안정성과 관계가있으므로 이를 측정하였다. 펠티어-타입(Peltier-type) 자동온도조절기 세포 홀더와 자석 교반기를 갖춘 자스코(Jasco) J-720 장치로 원편광 이색성을 측정하였다. 80 μg/ml, pH 6.0의 최종 rhG-CSF 농도를 사용하여 222 nm에서 원편광 이색성을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칼(Microcal) MC-2 열량계를 사용하여 시차 스캐닝 열량측정법을 행하였다. rhG-CSF(1 mg/ml, 물에 함유됨)나 DOPG : rhG-CSF(45 : 1 몰/몰, 물에 함유됨)의 시료를 90 ℃/시의 속도에서 스캐닝하였다. 데이터를 저장하여 마이크로칼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G-CSF 의 알파 나선성의 온도-유도 변화는 증가하는 온도의 작용에 따른 원편광 이색성(222 nm)을 측정한 결과일 수 있다. pH 6.0 에서 rhG-CSF의 열-유도 펼쳐짐에 관하여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곡선은 상당히 뚜렷한 전이가 알파 나선성의 상실을 초래하는 ∼60 - 70 ℃에서 발생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이 후에 rhG-CSF는 용액으로부터 비가역적으로 침전된다. 펼쳐짐의 온도 범위는 도 9에 도시한대로 시차 스캐닝 열량측정법으로 측정한 바와 같이 pH 7.0에서 rhG-CSF의 녹는 온도와 유사하다.
대조적으로, DOPG : rhG-CSF 시료는 온도가 상승하면서 알파나선성이 점차적으로 상실됨을 나타내고, rhG-CSF 단독과는 다르게, DOPG : rhG-CSF의 온도-유도 펼쳐짐은 협조적인 것 같지 않다(도 8 참조). 또한 이러한 결과는 시차 스캐닝 열량측정법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용융 전이의 결여로써 설명된다(도 9 참조). DOPG : rhG-CSF 시료를 95 ℃ 로 가열한 후 알파 나선성이 회복될 수 있음은 주목할 만하며, 냉각시 나선성이 완전히 회복되도록 95 ℃ 와 10 ℃ 사이를 되풀이해서 순환시킬 수 있다(도 10 참조). 이러한 조건하에서 rhG-CSF 단독은 비가역적으로 펼쳐져 용액으로부터 침전된다.
G-CSF 원평관 이색성에 대한 DMPG와 DPPG의 효과도 조사하였다. 150 : 1 비율의 지질 : rhG-CSF를 사용하였고, DOPG, DMPG 및 DPPG를 수반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rhG-CSF의 2차 구조를 안정화시켰다(도 11 - 13 참조).
이들 데이터는 DOPG, DMPG 및 DPPG와 rhG-CSF와의 상호작용이, rhG-CSF만이 불안정한 조건하에서 단백질의 안정화를 증진시킴을 설명한다. 상호작용은 rhG-CSF의 2차 및 3차 구조를 직접 안정화시킨다.
실시예 4
이 실시예에서, rhG-CSF : DOPG 상호작용의 효과는 rhG-CSF의 생물학적 활성도와 관계가 있으므로 이를 측정하였다. rhG-CSF의 시험관내 활성도를 Zsebo 등의 Immunobiology 172 : 175 - 184 (1986) 문헌에 기술된 대로 마우스의 골수 세포에 의한 [3H] - 티미딘의 G-CSF 의존 섭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활성도 측정은 3번 수행하였다. 생체내 활성도는 햄스터를 피하주사하여(100 μg/kg의 rhG-CSF 투여량) 백혈구(WBC) 수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1. 시험관내 활성도
A. DOPG의 부재 및 존재시 rhG-CSF의 고유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열 처리한 rhG-CSF와 DOPG : rhG-CSF 시료도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 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a측정하기 전에 시료를 수조내에서 85 ℃에서 10분간 항온하였다.
bDOPG : rhG-CSF 비율은 50 : 1 (몰/몰)이다.
표 1 에 제시한 바와 같이, DOPG 이분자층내로의 삽입은 rhG-CSF의 생물학적 활성도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85 ℃ 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rhG-CSF는 검출 불가능한 활성도와 단백질 침전물을 가진다. 이와 유사한 처리 후, DOPG : rhG-CSF는 가열하지 않은 rhG-CSF의 활성도를 ∼ 85 % 유지하고 냉각시에 2차 구조를 완전히 회복한다.
B. 냉동건조시키는 동안 rhG-CSF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지질의 능력도 연구하였다. 다양한 지질과 결합한 rhG-CSF의 시료를 냉동건조시켜서 활성도를(상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냉동건조 후에, DOPG, DMPG 및 DPPG 를 rhG-CSF 와 혼합하면 rhG-CSF 의 생물학적 활성도가 ∼ 100 % 유지된다(도 14 참조). rhG-CSF 단독은 냉동건조 과정에서 잔존하지 않았다.
2. 생체내 활성도
지질의 부재 및 존재시 rhG-CSF의 활성도(WBC 수)를 측정하였다. 활성도는 0일째 피하주사(100 μg/kg의 rhG-CSF 투여량)한 후 측정하였다. 5개의 상이한 지질 : rhG-CSF 복합체를 측정하였으며 각 경우에 있어 지질 : rhG-CSF 복합체는 생체내 활성도를 유지하였다(도 15 및 도 16 참조).
상기 연구는 음하전된 지질 이분자층내로의 삽입이 rhG-CSF의 생물학적 활성도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설명한다. 게다가, 지질의 보호 효과가 냉동건조 과정동안에 rhG-CSF를 보호하는 것은 자명하다.
실시예 5
이 실시예에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G-CSF(PEG-G-CSF)] 및 진핵 숙주세포 발현 생성물(CHO-G-CSF)로서 수득한 G-CSF를 음하전된 지질 소포와 상호작용하는 그들의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CHO-G-CSF에 있어서, F/Fo세기 및 방출 최대치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상기 실시예 1 에 기술된 바와 같음). 각 경우에, 지질 : 단백질의 몰비는 100 : 1 이었다. PEG-G-CSF 에 있어서, 측정은 원편광 이색성 분석을 기초로 하였다.
사용한 CHO-G-CSF는 Souza의 미국 특허 번호 제 4,810,643 호에 기술된 대로 인체 G-CSF를 코드하는 DNA 서열로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T 세포를 감염시키는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CHO-G-CSF를 PBS, pH 7.0 내의 함유된 0.6 mg/ml 용액으로서 제조하였다. CHO-G-CSF는 rhG-CSF와 유사한 방법으로 DOPG와 상호작용하였으며, 각 시료는 DOPG의 존재시 증가된 형광 세기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DOPG의 존재시 방출 최대치에서 청색 이동을 나타냈다(도 17 및 도 18 참조). 그러므로, DOPG 상호작용은 G-CSF 재조합형의 일부 특이성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이 실험에서 사용한 PEG-G-CSF는 트리-테트라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E. coli 유래 G-CSF 였다(PEG 6000 사용). DMPG : PEG-G-CSF(17 : 1 몰/몰)시료를 기술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DMPG : PEG-G-CSF 시료는 가열후 2차 구조가 완전히 회복된다고 밝혀졌다(도 19 참조). PEG 분자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유도된 단백질은 천연 단백질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질과 상호작용할 수 있었다.
상기 데이터는 음하전된 지질 소포와 G-CSF와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안정화 효과가 원핵 숙주세포 발현 생성물로서 수득된 rhG-CSF 에서만 유일한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MGS 로 전이될 수 있으며 리포솜 소포와 접촉한 화학적으로 변형된 단백질은, 본원의 PCG-G-CSF : DMPG, 또한 안정화 효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6
이 실시예에서, GM-CSF에 대한 DMPG와 DPPG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GM-CSF는 Boone의 미국 특허 번호 제 5,047,504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재조합 인체 GM-CSF이며,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pH 7.0 내에 함유된 1 mg/ml 용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지질 : GM-CSF의 비율은 17 : 1 로 사용하였고 상기한 바와 같이 원편광 이색성 분석을 이용하여 열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DMPG와 DPPG는 GM-CSF의 보다 우수한 열 안정성, 예를 들어, 가열 후 2차 구조의 회복을 초래할 수 있다(도 19A 및 19B).
이들 데이터는 용융 구형 상태로 전이될 수 있고, 단백질에 대한 보다 우수한 열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음하전된 지질 소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단백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공한다.

Claims (23)

  1. 음하전된 리포솜 소포와 접촉시킨 용융 구형 상태(molten globular state)로 전이될 수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열-유도 응집, 변성 및 활성도의 상실로부터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화시키는데 유용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3.0 - 7.5의 pH를 가지고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이 적어도 10 : 1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리포솜 소포는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OPG),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MPG),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PPG) , 에그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OPE), 에그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드산(DOPA),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드산(DMPA), 디팔미토일포스파티드산(DPPA),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세린(DOPS),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DMPS),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DPPS), 에그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리소포스파티딜세린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시토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시토킨이 조혈인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조혈인자는 G-CSF와 GM-CSF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조혈인자가 G-CSF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G-CSF는 천연 인체 G-CSF 이거나 원핵 또는 진핵 숙주세포 발현 생성물로서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G-CSF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는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G-CSF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용인가능한 담체를 포항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단백질은 E. coli 유래 rhG-CSF이고, 리포솜 소포는 DOPG이며, 조성물은 50 : 1 비율의 DOPG : rhG-CSF를 가지고, 4.5의 pH를 가지며 10 mM 아세트산 나트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용융 구형 상태로 전이될 수 있는 단백질을 음하전된 리포솜 소포와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단백질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3.0 - 7.5의 pH를 가지며 지질 : 단백질의 비율이 적어도 10 : 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리포솜 소포는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OPG) ,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MPG),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PPG), 에그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OPE), 에그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올레오일포스파티드산(DOPA),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드산(DMPA), 디팔미토일포스파티드산(DPPA),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세린(DOPS), 디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세린(DMPS),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DPPS), 에그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딜글리세롤,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리소포스파티딜세린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단백질이 시토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시토킨이 조혈인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조혈인자는 G-CSF와 GM-CSF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조혈인자가 G-CSF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G-CSF는 천연 인체 G-CSF이거나 원핵 또는 진핵 숙주세포 발현 생성물로서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G-CSF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화학적으로 변형된 G-CSF는 폴리에틸렌글리콜화된 G-CSF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용인가능한 담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702281A 1993-10-06 1994-09-29 안정한단백질:인지질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KR100372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41393A 1993-10-06 1993-10-06
US08/132,413 1993-10-06
US08/132413 1993-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042A KR960700042A (ko) 1996-01-19
KR100372006B1 true KR100372006B1 (ko) 2003-07-18

Family

ID=2245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281A KR100372006B1 (ko) 1993-10-06 1994-09-29 안정한단백질:인지질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0671905B1 (ko)
JP (1) JP2852127B2 (ko)
KR (1) KR100372006B1 (ko)
CN (1) CN1206982C (ko)
AT (1) ATE222752T1 (ko)
AU (1) AU683698B2 (ko)
CA (1) CA2150939C (ko)
CZ (1) CZ290029B6 (ko)
DE (1) DE69431236T2 (ko)
DK (1) DK0671905T3 (ko)
ES (1) ES2184768T3 (ko)
FI (1) FI116271B (ko)
HK (1) HK1010341A1 (ko)
HU (1) HUT72326A (ko)
IL (1) IL111170A (ko)
NO (1) NO314064B1 (ko)
NZ (1) NZ274705A (ko)
PT (1) PT671905E (ko)
RU (1) RU2119791C1 (ko)
WO (1) WO1995009611A2 (ko)
ZA (1) ZA9477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4075A (en) * 1993-10-06 1999-02-23 Amgen Inc. Stable protein: phospholipid compositions and methods
US7972593B2 (en) 2004-06-10 2011-07-05 Saint Louis University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to the bone
US7863238B2 (en) 2004-06-10 2011-01-04 Saint Louis University Proteins with an attached short peptide of acidic amino acids
JP2006248978A (ja) * 2005-03-10 2006-09-21 Mebiopharm Co Ltd 新規なリポソーム製剤
WO2009124754A1 (en) 2008-04-08 2009-10-15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ntaining cyclic peptides and methods of use
KR102067445B1 (ko) * 2012-05-31 2020-01-17 에이전시 포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앤드 리서치 양전하 유기 첨가물 처리에 의한 단백질-오염물 복합체 및 단백질 제제 내 응집체 레벨의 감소 방법
AU2015242791B2 (en) * 2014-04-04 2017-08-17 Osaka University Drug Delivery Enhancer Comprising Substance For Activating Lysophospholipid Recepto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8527A1 (de) * 1992-03-17 1993-09-23 Max Planck Gesellschaft Liposomen mit negativer ueberschussladung
JPH06247842A (ja) * 1993-02-23 1994-09-06 Green Cross Corp:The リポソーム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22752T1 (de) 2002-09-15
DK0671905T3 (da) 2002-10-07
HU9502053D0 (en) 1995-10-30
FI952738A0 (fi) 1995-06-05
ES2184768T3 (es) 2003-04-16
PT671905E (pt) 2002-12-31
DE69431236T2 (de) 2003-01-02
JP2852127B2 (ja) 1999-01-27
EP0671905A1 (en) 1995-09-20
WO1995009611A3 (en) 1995-06-22
WO1995009611A2 (en) 1995-04-13
NO314064B1 (no) 2003-01-27
FI116271B (fi) 2005-10-31
CA2150939C (en) 2001-05-01
CZ290029B6 (cs) 2002-05-15
NO952210D0 (no) 1995-06-02
JPH08505403A (ja) 1996-06-11
KR960700042A (ko) 1996-01-19
IL111170A0 (en) 1994-12-29
CA2150939A1 (en) 1995-04-13
AU7923994A (en) 1995-05-01
CN1206982C (zh) 2005-06-22
CZ143895A3 (en) 1996-01-17
IL111170A (en) 1999-11-30
RU2119791C1 (ru) 1998-10-10
EP0671905B1 (en) 2002-08-28
NZ274705A (en) 1997-12-19
HUT72326A (en) 1996-04-29
HK1010341A1 (en) 1999-06-17
CN1117266A (zh) 1996-02-21
ZA947782B (en) 1995-05-17
AU683698B2 (en) 1997-11-20
DE69431236D1 (de) 2002-10-02
NO952210L (no) 1995-08-04
FI952738A (fi) 199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471B2 (ja) 安定なタンパク質:リン脂質の組成物および方法
TWI433693B (zh) 親脂藥物傳送媒介物及其使用方法
US6207456B1 (en) Nucleic acid delivery vehicle
EP0826063A1 (en) Single-vial formulations of dna/lipid complexes
JP2006517972A5 (ko)
US8349794B2 (en) Reconstitution medium for protein and peptide formulations
KR100372006B1 (ko) 안정한단백질:인지질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AU688678C (en) Stable protein:phospholipid compositions and methods
MXPA97007137A (en) Stable protein compositions: fosfolipidos ym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